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박혜전(Hye-jeon Park),노임대(Im-dae Noh)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특수학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등 전국적으로 약 590개소 이상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부족, 비합리적 서비스 전달기관의 역할과 기능, 서비스전문화 부족 등의 문제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의 미확립으로 재활기관은 서비스이용자 모집경쟁을, 장애인 입장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서비스가 중복적으로 제공되어 불편함을 겪고,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비스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지 못할 때 조직과 자금의 중복과 낭비가 발생하고 서비스단절과 누락, 과잉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직업재활 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체계화, 관련기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 구축은 제한된 국가사회적 자원을 적절히 장애인의 욕구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일차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부처의 통합적 시스템을 통해 자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둘째, 재활전문공무원제를 도입하여 전문성과 책임성이 포함된 정책적 리더쉽을 발휘하여 재활기관 간 협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며, 셋째,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전달체계로의 전환과 중증장애인에게 우선하는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n emerging profession in Korea becaus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habilitation goals is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rehabilitation clients. It is a basic human right. Rec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institutes have continually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concern and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service deliver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rvice qual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ter-agency agreement, and well trained personnel. Without adequately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rained personnel for delive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ordination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agencies, the outcome of a variety of efforts in many levels of society is continuing to be disappointing.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er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increases experience exchange, public awareness, facility resource allocation, cooperation, training opportunities, knowledge-based decision making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research. In order to operate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develop and evaluate professional programs, and activate linkage between organizations off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ducation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hould also be increased and supported. Further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measures should be constantly provided on highly individualized bases, while maintaining good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s themselves. A common body of knowledge underlying the practi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provide standardization of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protection of integ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The client-centered rehabilitation practice emphasizes life long process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employment. Further analysis of changes and content in service delivery based on comprehensive, continuity, accountability and accessibility will greatly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

        나운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determine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using literature analysis, DACUM job analysis, FGI,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is rehabilitation specialist to "provide holistic services such as diagnosis and evalu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case management, transition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ho are unable to engage in personal activities or social participation due to personal impairment or function limitation and context factors etc,", Second, the duty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is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case management, disability diagnosis and vocational evaluation,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rehabilitation service,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rehabilitation policy, Third, rehabilitation counselors have 39 tasks and 193 task elements, Fourth,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grade 2 are 37 task elements in 6 tasks, 1st is 5 tasks and 14 task elements, 3 Classes include 6 tasks and 17 task elements that are important ro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class division classified into the third class only into the first class and the second class, or to integrate the series.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job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improve the national examination subjects and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be placed in the roles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organizations.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무와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직무의 임무와 과업, 과업 요소를 정하고 임무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급수별 역할범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문헌연구와 DACUM기법의 직무분석, FGI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는 “개인의 손상이나 기능제한, 상황적 요인 등으로 개인 활동이나 사회참여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단과 평가, 재활상담과 사례관리, 전환기 서비스 및 직업재활 등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재활전문가”이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임무는 재활상담 및 사례관리, 장애진단 및 직업평가, 직무개발과 배치, 재활서비스, 재활행정, 재활정책이며, 셋째, 과업은 39개로 과업 요소는 193개로 분류되며, 넷째, 급수별 장애인재활상담사의 과업은 2급은 6개 임무의 37개 과업이며, 1급은 5개의 임무와 14개 과업, 3급은 6개의 임무와 17개의 과업이 중요한 역할범위이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직무와 임무, 과업, 과업 요소를 토대로 장애인복지법 규정의 장애인재활상담사 급수를 고려해 적용해 보면 3급의 경우는 수행할 수 있는 임무와 과업, 과업 요소가 제한적임으로 현재 3급으로 구분되어 있는 등급구분을 1급과 2급으로만 구분하거나 아니면 급수를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며,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시험과목의 개선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무가 실제 장애인재활기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직업재활실습이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요인연구

        이수용,나운환,박경순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actic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on the future specialist'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finish their practicum in accordance with the qualification and course certification regulation.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294 undergraduate students that are supposed to graduate a 2 or 4 college of Rehabilitation. These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a practicum which the association approves nationally. The research used SPSS 21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irst,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fu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s three times more compared to male counterparts. As for practice, students who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ompleted the practicum course more than who double major or minor in the subject. Most of the practices are done in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which provide overall rehabilitation services. Most of the students set their goals before they choose institutions, and try to decide in accordance to the goals. Second, the level of specialty is moderate in general. The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supervision factor lead onto higher satisfaction level on average compared to institution factor or university fact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and level of speciality are supervision, individual, and university factors in order. The institutional factor is an exceptional factor that does not affect the relationship.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vidual factor, the content of practicum instructions university facto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upervision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peciality.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university factors as well as supervisors'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specialty, the existence of goal setting before practicum and types of supervision influence the level of specialt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o improve the special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Thu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to be conducted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the content of education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and some practical training manuals applicable in institutions.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실습의 실태와 실습이 직업재활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실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재활사 자격 및 양성과정 인증 규정에 의거 현장실습을 마치고, 학회가 인정하는 연수를 이수해야 하는 전국의 2, 4년제 재활전공학과를 졸업예정인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여 총 294명의 설문 응답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직업재활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배정도 많으며 실습은 복수나 부전공보다는 전공자가 실습을 이수하고, 실습기관은 총체적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이 주이며, 실습 전 대부분의 학생이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따라 실습기관을 선정하였다. 둘째, 직업재활의 전문성 수준은 대체로 보통 수준이며, 독립변수 중 슈퍼비전요인이 실습기관요인이나, 학교요인의 만족도 평균보다 더 높았다. 직업재활실습과 전문성 간의 영향요인은 기관요인을 제외한 슈퍼비전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며, 개인요인 중에서는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 학교요인 중에서는 실습수업내용, 슈퍼비전요인 중에서는 슈퍼비전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 학교요인, 슈퍼바이저요인의 일반적 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실습 전 목적설정 유・무, 슈퍼비전 형태가 전문성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습 전 슈퍼바이저의 적격성에 대한 논의, 학교와 실습기관이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실습매뉴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 :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 사례관리 실천 중심으로

        공창숙 한국직업재활학회 2023 職業再活硏究 Vol.33 No.2

        재활사례관리는 장애인재활상담사(rehabilitation counselor) 국가자격제도 시행 이후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실천기술 및 역량 중 중요한 역할과 기능으로 강조되고 있다. 재활사례관리 실천은 장애인복지시설 및 기관에서 사례관리자가 장애 유형과 개별(case) 욕구사정을 통해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에 관여한다. 본 논문은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로 재활사례관리 개념 및 특성에 관한 문헌조사와 장애인복지기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단계 및 과정에 대한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과정과 사정단계 내용 및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행 및 점검단계의 현황과 특성은 어떠한가? 의 3가지로 설정하였다. 문헌조사 및 실천현장 내용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 사례관리의 개념적 특성은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삶의 복합적이고 만성적인문제에 대해 욕구특성에 맞는 사정도구 및 심층면접, 자원사정을 통해 재활서비스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실천과정이며, 그 실천범주는 개인력, 사회력, 대인관계, 사회적응, 자립생활, 일상생활, 직업재활, 재활 서비스, 복지지원 등 삶의 전 영역에 관여하게 된다. 둘째, 장애인복지관과 직업재활시설 재활사례관리 실천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된 과정 및 단계별 특성으로 초기단계에서는초기면접→사회진단→직업지원계획→개인별 서비스계획→직업평가서 작성 및 점검 등의 과정을 통해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 경제적인 자립, 직업재활, 사회적 관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수 있다. 셋째, 사정단계에서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사용하는 사정도구는 생육사(Life history), 가계도, 생태도, 사회적 관계망, 자원사정, 사정기록지 등이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에서는 장애유형별 특성 및 자립생활, 직업평가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종합평가지, 평가도구(수용어휘력검사, MDS),행동관찰평가지, BVMGT, ADL, IADL 척도 등 장애로 인한 삶의 반경에서의 어려움과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욕구사정과 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천적 함의로 향후 장애 유형별 사정도구의 개발 및 사례관리자의 훈련과 교육, 수퍼비젼 시스템을 마련하여 전문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단편적인 연계 및 실적위주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인 관점으로 재활사례관리 영역을확대하고 지역사회 자원의 조직화와 활용과정에 적용해 나가야함을 제시하였다.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among the practical skills and competenci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 is involved in chronic and complex problems caused by disability through case manager's assessment of disability type and individual case needs in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a content analysis of the stages and process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in three way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process and assessment stage by institution? Third, what ar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inspection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institution? I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content analysis, firs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is a long-term and continuous practice process that checks and adjusts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assessment tools, in-depth interviews, and resource assessment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needs for the complex and chronic problems of life caused by disability, and the practice category is involved in all areas of life, including personal history, social his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daptation, independent living, daily life,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service, and welfare support.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s of welfare center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the initial stage with the proposed process and step-by-step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problems in daily life caused by disability, economic independenc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cesses of initial interview →Social diagnosis → Job support plan → Individual service plan → writing and checking the job evaluation report. Third, in the assessment stag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use life history, family tree, ecology map, social network, resource assessment, assessment record, etc. in common.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haracteristics by type of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job evaluation are being conducted, and it can be seen that assessment tools for needs assessment and service plan establishment such as comprehensive evaluation sheet, evaluation tools (receptive vocabulary test, MDS), behavior observation evaluation sheet, BVMGT, ADL, IADL scale, etc. are used to guarantee difficulties and basic rights in the radius of life due to disability. As practical implic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e by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each disability type, training and education of case managers, and preparing a supervis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onsider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 complex way, getting away from the fragmentary connection and performance-oriented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that it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 KCI등재

        직업재활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혜전,손관호,조주현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is survey research was inten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KSVR) was established in 1991. This organization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 KSVR has not yet done research concerning the issues of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manpower.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developments levels and the confident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 roles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ounsel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duties and satisfaction levels as a professional and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ervices by examining of characteristics of their current condit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uration of work period and the length of time spent for their rehabilitation client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ir perception of work efficiency tend to have much stronger when they work longer and spend more time with their immediate clients.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report that they share their work responsibilities with their clients half and half, reflection the recent paradigm shift empower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paradigm, services providers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aspect of service delivery rather than one of the quantity so that disabled persons life changes can be occurred. Therefor,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deal with rehabilitation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full participation aspects. Thir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ism tends to be developed by participation and presenting papers at the conferenc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 Society Voc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ticipated and expected to have research topics of employment assistance programs, knowledge and skill areas of vocational assess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including other issues of roles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한국직업재활학회를 통해 발급되는 자격증을 지닌 직업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재활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직업재활학회는 1991년에 창립되어 28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회를 통해 배출된 직업재활사에 대한 분석연구는 한 번도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의 직업재활사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학회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학회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의 특성으로 학부의 전공은 직업재활학이 67.8%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의 직종도 직업재활사가 60.0%로 나타나고 있다. 하루 중 직업재활 업무에 보내는 시간은 8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내담자와의 직접 관계하는 시간은 1시간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활동에 관한 사항에서는 회원들의 학회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회연수 강좌에 기대되는 내용으로 직업평가의 지식과 기술, 직업재활 관련 제도 ․ 정책에 관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재활에 관한 생애학습 환경에 관한 내용에서는 학습의 기회가 없다는 비율이 73.3%로 나타나고 있다. 직업재활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내담자 간 책임의 비율은 50:5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회 연구의 우선순위에서는 장애특성별 직업재활과 직업재활 전문직의 교육체계, 직업재활 전문가의 전문성과 윤리로 나타나 직업재활사의 역할정립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재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재활 근속기간, 내담자와의 직접적 관계 시간과의 비율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만족도 및 교육 효과

        조계엽,김완호,김정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understandings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were rehabilitation service work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ommunity should be period K Rehabilitation Hospital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three days. After the training course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satisfaction,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Result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Results should that nurse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was in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is the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s, social workers, health occupations, administrative, exercise curer, dental hygiene. The average satisfaction was 4.40 (0.52),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 <.01). Du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p <0.01), educational background (p = 0.006), the main task (p = .01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worker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tinued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future occupational group practice rehabilitatio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are needed. In addition, the findings proposed to develop the rehabili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ttitude, as well as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hich can be used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실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만족도, 교육과목 내용 이해도 및 재활실무적용성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설계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이며 K재활병원에서 3일과정으로 실시하는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과목 만족도,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 교육내용 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을 교육실시 전과 교육실시 후에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종사자들은 간호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순위는 물리치료사였으며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보건직군, 행정직군, 운동처방사, 치위생사 등의 직군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만족도 평균은 4.40(0.52)이었으며 교육내용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은 모두 유의하게(p<.01)로 향상되었다. 일반적 특성중에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전문직종(p<0.01), 학력(p=0.006),주 업무(p=.01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의 재활실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군별 재활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또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실무 지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능력 평가도구를 개발을 제언한다.

      • 미국재활법의 이해

        조성열(Sung-yeol Ch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1

        미국의 직업재활 및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전반적인 내용을 규정한 미국재활법(The Rehabilitation Act)은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과 함께 미국의 2대 장애인재활 관련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재활법은 장애인에게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함께 주류 사회에 통합시키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국재활법에는 직업재활과 지원고용, 독립생활, 내담자원조, 재활공학 등의 서비스를 위한 공식 지원프로그램이 규정되어 있고, 재활서비스청(RSA)에서 시행하는 다양한 훈련 및 서비스 지원제도도 들어 있다. 동 법에는 또한 국립장애 및 재활연구소(NIDRR)에서 수행하는 연구 활동과 국가장애평의회(NCD)의 활동도 규정되어 있고, 장애인의 인권과 권익옹호 및 보호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조항들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미국재활법에 대한 소개가 거의 없는 상황이고 따라서 이 법이 담고 있는 장애인 위주의 여러 가지 재활원리들이 소개되어 있지 못한 실정 이며, 앞으로 보다 내실 있는 장애인재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미국재활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원리와 서비스체계, 변천사, 주요 내용, 제한점 등을 소개함으로 아직 체제가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은 우리나라 장애인재활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Rehabilitation Act which introdu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s for Americans with disabilities is recognized as one of two major pieces of disability legislation along with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ADA, 1990). The Rehabilitation Act aims to bestow civil right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ntegrate them into mainstream socie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Act introduces public support servic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ed employment, independent living, client assistance,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It also introduces various training and support services administered by Rehabilitation Service Administration(RSA). Research programs in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Research, activities of 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and various articles focusing human rights and advoca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listed in this Act. However, the content of the Rehabilitation Act and rehabilitation principles focused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not properly introduced in Korean field of rehabilitat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objective and major issues of the Rehabilitation Act to deliver effective and efficient rehabilitation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rehabilitation principles, service delivery system, legislative history of rehabilitation, major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Rehabilitation Act in order to provide basic foundations of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in our country.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재활실습 운영기준 탐색

        박경순,최영광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loratory study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develop appropriate operational standards and standard guidelines for rehabilitation practicum.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sp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of rehabilitation practicum.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status of rehabilitation practicum institut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and proper operation standards of the practice. Based on this survey, rehabilitation practicum operation standard and improvement plan were derived. The analysis data used in the study utilized 146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the Establishment Rehabilitation practicum Standard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 analysis. In addition, the X² (Chi 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inimum qualification for supervisor is 3 years for the first grade and 5 years for the second grade, the appropriate number of apprentice student per supervisor is 3.2. second, The minimum required subjects for the students to complete before rehabilitation practicum were 7 required courses and 2 elective courses. Third, The appropriate time for rehabilitation practicum is 151 hours on average, Fourth, The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acticum cost per an apprentice student was 126,000 won. In addition, the level of supervision of rehabilitation practicu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supervisor, the region,, and the career experience. Finally, I proposed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practical, institutional, and academic researches so as to be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ng standards for future rehabilitation practicum of Rehabilitation Counselor. 본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를 대상으로 재활실습의 적합한 운영기준과 표준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현장 실습교육의 실태와 여건을 파악하고자 재활기관의 실습운영 현황, 실습지도자의 수퍼비전, 실습의 적절한 운영기준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실습교육의 운영기준 제시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분석 자료는 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의 ‘재활실습 운영기준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에 응답한 14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와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의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X²(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재활실습에 필요한 운영기준으로 실습지도자의 최소자격은 1급이 3년, 2급이 5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들이 실습 전 이수해야 할 최소 필수 교과목은 필수 7과목과 선택 2과목이, 실습운영의 적정시간은 평균 151시간이, 1인당 실습지도자의 적정 실습인원은 3.2명, 1인당 적정 실습비용은 12.6만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실습의 수퍼비전의 수준과 실습지도자의 자격, 지역, 실습경력에 유미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향후 장애인재활상담사 재활실습의 운영기준 마련을 위한 작업에 기초가 될 수 있도록 실천적, 제도적, 학문적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미국의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licit implications of providing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grams through investigat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job accommodation in the United State. The provision of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and its effects from Bush's New Freedom Initiative of 2001, Assistive Technology Act of 2004,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nd Rehabilitation Act of 1998 were investigated. To facilitate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the job accommodation needs of workers and job seekers with disabilities, workplace conditions in Korea,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context, and the rol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should first be analyzed in the future study. With the analysis base, regulations and policies regarding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workplace and the roles of the professionals c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을 위한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직장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제도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시 대통령의 New Freedom Initiative 정책, 재활보조공학법, 미국장애인법, 재활법에서 장애인의 직업관련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와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에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편의증진과 재활공학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장애인근로자와 구직 장애인의 편의증진 요구, 사업체의 여건, 직업재활 서비스 환경, 직업재활 서비스 전문가와 재활공학 전문가의 역할 등의 연구 분석을 통한 제도와 전문인력 배치 및 활용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충북 어린이재활서비스 이용실태 및 관련 욕구 조사

        김성태(Sung-Tae Kim),이준희(Joon-Hee L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3

        연구는 어린이재활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이용실태, 어린이재활서비스의 만족도, 그리고 어린이재활서비스의 문제와 개선방향을 조사하여 보고하고, 수요자 요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재활서비스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온라인 SNS를통해 배포하고 온라인방식으로 회수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기준은 충북에 거주하며 어린이재활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부모이며, 최종적으로 119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충북지역의 어린이재활서비스의 양적, 질적 부족으로 인하여 대다수 응답자가 재활대기 경험이 있고, 타지역을 이동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타 지역을 이동하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들에 비하여 재활서비스를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대기하고, 재활서비스와 관련한 비용이 증가하여 가정형편이곤란해 졌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 지역을 이동하여 재활서비스를 이동한 경험이 있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유의미하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장애아동 부모들이 바라는 욕구는 어린이재활서비스의 양적, 질적 기준을 충족하고 보육과 교육의 기능을 통합한 공공형 어린이재활의료기관 설립을 희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actual condition survey to families with experience in using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Chungbuk reg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rough SNS and collected by online(Google-form). The criteria for survey respondents are parents who have lived in Chungbuk and have experience using rehabilitation services, and finally analyzed 119 survey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waiting for rehabilitation service due to the lack of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in Chungbuk. Parents who moved to other regions were waiting more time and spending more money for rehabilitation services than those who were no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moving rehabilitation services by moving to other reg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out. The deman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hoped to establish a public child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that me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of child rehabilitation services and integrated the functions of childcare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