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醫易을 명리학에 적용한 命理正宗 의 「病藥說」 연구

        이용문(Lee Yong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명대(明代)의 장남(張楠)의 『명리정종』은 「병약설」로 대표되지만 서락오의 「병약용신취용법」의 모태(母胎)이론으로 알려져 있어 정작 「병약설」의 원뜻은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병약설」은 사주원국에서 ‘병(病)’을 진단하고 그 병에 대한 ‘약(藥)’을 쓰는 개념으로 전통의학의 치병의 원칙과도 유사한 개념이다. 사주 8글자를 인체에 비유하며 설명하고 있는 장남은 8글자에서 병이 되는 것을 문제로 삼고, 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을 약으로 쓰는 방식으로 간명한다. 『黃帝內經』과 明代 張介賓의 『類經圖翼』 등을 통해 「병약설」의 이론과 비교해본 결과 방식은 매우 유사하였으며 明代 의학을 특징짓는 醫易사상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음양오행학이 가장 발달하여 전수되어 온 동양의학을 통해 학습하고 曆法과 易法을 참구하며 명리를 연구한다는 것은 술사로서 지극히 당연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장남의 「병약설」은 동양의학과 『周易』에 그 이론의 근원을 두고 있어 기존의 자평학이 오행의 중화를 추구하는 반면 장남은 동양의학에서 병을 치료하는 원칙인 음과 양의 균형으로 사주를 보는 근본 원칙으로 삼는다. ‘병과 약’은 ‘음과 양’의 개념과 같이 대대관계를 이루며 서로 상반되지만 상호 감응함으로써 조화되어 서로를 완성시켜 준다는 의미가 된다. 장남은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중화라고 보는 관점에서 실전명조의 해석을 통해 명리정종 을 완성시켰다. 『Myeongrijeongjong(命理正宗)』 written by Jangnam(張楠) of the Ming period, is represented by 「Byeongyakseol(病藥說)」, but is known as the parent theory of Seorak-oh’s 「Byeongyakyongsinseol(病藥用神說)」, so the original meaning of 「Byeongyakseol(病藥說)」 is not properly conveyed. 「Byeongyakseol(病藥說)」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oriental medicine by diagnosing the diseaseand using the medicine for the disease. JangNam(張楠) explains by comparing the eight letters offortune to the human body. And The way he sees fate is to diagnose becoming a disease amongthe eight letters and use it as a medicine to solve it. As a result of comparing 『黃帝內經』 and 『類經圖翼』of JangGaebin(張介賓) with 「Byeongyakseol(病藥說)」, they were very similar. Perhaps the influence of the idea that medicine and the scienceof change are the same, which characterizes medicine of ming period, cannot be ruled out. Professional diviner should learn through oriental medicine, which has been passed on withthe most development of yin-yang and Five-Elements theory, and Oriental calendar and Scienceof Changes. Traditional “Japyeonghak(子平學)” value the even arrangement of five elements(五行). But histheory is different. His theory is the concept of discovering problems in Saju 8 characters andusing solutions to them. His theory developed from Oriental medicine. So he makes it a rule tobalance yin and yang. This is the principle of treating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His conceptof ‘problems(病) and solutions(藥)’ is the same as ‘yin and yang’. this means that they are opposedto each other but harmonize and complete each other. He thought it was important to strike abalance between the two. Then, he applied his theory to interpret the actual Saju and completed 『Myongrijeongjong(命理正宗)』.

      • KCI등재후보

        家書에 나타난 退溪의 心理에 대한 一考 -長男 寯에게 부친 서찰을 대상으로-

        정시열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3

        본고는 退溪 李滉이 長男 寯에게 보낸 家書에 나타난 그의 심리적 양 상에 대한 연구이다. 장남에게 보낸 퇴계의 현전 가서는 500통을 상회 하며, 기간상으로는 不惑인 1540년부터 考終하던 1570년까지 약 30년 이다. 본고에서는 이들 서찰 가운데 40세에서 55세까지 보낸 160여 통 을 대상으로 했다. 퇴계가 70세에 고종했음을 고려할 때 이 15년간은 전반기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관직에 매여 운신의 폭이 자유롭지 못한 퇴 계를 대신해 젊은 장남이 집안의 온갖 일처리를 맡아서 하던 때였다. 병 약한 퇴계가 그나마 외부 활동을 하던 이 기간 동안 준은 弱冠의 청년에 서 서른을 훌쩍 넘겨 장년에 접어들었는데, 그는 진로가 결정될 중요한 시기에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고 집안의 대소사를 관장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들을 바라보는 퇴계의 심사가 편치 않았으리라는 점은 자명 한데, 본고에서는 그 구체적 양상을 기대와 실망이라는 상반된 두 감정 의 공존, 집안을 단속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기인한 섬세함, 혈육에 대 한 믿음과 정서적 의존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장남에 대한 퇴계의 기대와 실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 펴보았다. 學?家의 병행을 피할 수 없는 장남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이해 했던 퇴계였지만, 사대부로서 자식이 학문적으로 성공하는 모습을 보고 자 하는 기대를 접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 결과 퇴계의 뇌리 속에 는 준에 대한 기대와 실망이라는, 병립하기 힘든 두 감정이 공존하는 상 황이 지속되었다. 제3장에서는 세심한 성품의 소유자로서 집안을 관리하 는 데 정성을 다했다는 측면에서 퇴계의 심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 았다. 퇴계에게는 자신이 지녔던 가문 수호의 의지와 그에 따른 중압감 을 집안 대소사에 대한 섬세한 조율로 해소하고자 한 측면이 있었다. 물 론 퇴계의 심중에 자리한 이러한 의식은 아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 제4장에서는 장남에 대한 퇴계의 신뢰와 정서적 의존에 대해 구체적으 로 살펴보았다. 퇴계는 자신의 안부와 감정 상태, 그리고 잡다한 신변사 를 아들에게 전함으로써 부자간의 정을 돈독히 하고, 정서적 공유점을 만들어 나가고자 했다.

      • 樟南의 사상적 배경과 의학관

        성호준,윤창열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4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17 No.4

        Zhang-nan(樟南) did not regarded the human's life phenomena as a simple physical change in his medical theory. He thought medicine in the light of the establishment of moralism and partly used it for the practical Confucianism as well. In view of the Chijunghwa(致中和), Zhang-nan(樟南)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Simseongnon(心性論, Emotional naturalism) in Neo-Confucianism(性理學) in the point of essential and principal Junghwa(中和). Therefore, Zhang-nan(樟南)'s medical theory is very suggestive not only in Medicine but also in Liberal art which pursue the moral Seongmyeong(性命).

      • KCI등재

        아들가족에서의 노부(모) 돌봄 연구

        김혜경(Kim Hye-Kyung),남궁명희(Namgoong Myoung-Hee)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4

        장남가족은 한국사회의 노인돌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집단이다. 이 연구에서는 네 사례의 3세대 확대가족 12명(각각 장남, 며느리, 노부모. 한 사례는 차남가족)의 생애서사를 토대로, 노인돌봄 실천의 내용과 방식, 노인돌봄의 질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양적인 분석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가족돌봄의 경험과 의미부여 과정, 부양규범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맥락과 가족관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돌봄제공자인 장남 부부뿐 아니라 돌봄이용자인 노부(모)의 어느 한편을 배제하지 않은 돌봄의 가족적 상황, 즉 ‘가족세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돌봄을 둘러싼 다성성(polyvoca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네 가족을 인터뷰한 결과 장남가족의 노부모 돌봄은 규범적인 효의식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적 배경과의 협상을 거친 도덕적 합리화의 대상으로 재구성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개별가족마다 다양한 돌봄서사가 드러났지만, 가족관계의 역사, 애정적ㆍ경제적 자원의 역할, 친족집단 등으로부터의 사회적 압력 등이 협상의 계기들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돌봄제공자 간의 세대 간 차이, 성별차이와 결합해서 작용하였는데, 특히 전통적 부양규범과 도덕적 논거 양자를 큰 갈등 없이 결합하고 있는 아들에 비해, 며느리들은 돌봄에 대한 도덕적 정당화의 논리가 부재할 경우 갈등의 서사를 보였다. 한편 돌봄의 경험에서는 노동의 차원보다는 관계적 속성이 강하게 드러났는데, 전통적인 부양기대를 받고 있는 장남가족에서 돌봄의 관계적 속성은 오히려 돌봄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였다. 돌봄의 질을 중심으로 볼 때 이들 가족은 양질의 돌봄에 기본적인 요소인 “신뢰”의 관계를 보여주지도 않았으며, 돌봄이용자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살필 수 있는 “관심”과 같은, 돌봄 정의(定意)의 기본적인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돌봄에 대한 강력한 문화규범에 의해 제약받고 구성되는 이들의 생애서사에는, 특히 경제적, (가족)관계적 자원을 갖지 못한 노인과 규범적 제약이 강한 며느리의 경우, 자신의 갈등경험과 해석을 말로 하기 어려운 ‘서사 이전단계의 서사’(pre-narrative)와 자기검열에 의한 소극적인 서사방식 등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역설적으로 돌봄의 필요에 대한 “인정”과, 돌봄자원의 사회적 배분에 대한 정치적 동의를 필요로 하는 관계적 자율성과 같은 대안적 돌봄개념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Elderly care by the eldest son’s family is characteristic of family care in Korea. But filial norm in Korea has been changing, and came to be something that has to be reexamined. This study, reviewing the narratives of 12 members of 4 families(eldest son, his wife, and his sick old parent in each family living together) analyzes the care practices and their negotiations with the norm of the filial responsibility, and the quality of care resulted from them. The method of family setting analysis was introduced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dynamics and to allow the polyvocality both for the care giver, and the care user who have usually been regarded as dependent and also silenced in the elderly care studies and poli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re practice of the eldest son’s family is a very contextual one and is related to the concrete family conditions. That means the filial responsibility is not any more a taken-for-granted thing in Korea. It is not simply determined by abstract norm of familialism but morally reasoned by combining the history of the family relationship, extent of the intimacy, economic consideration, and the social expectations especially from the relatives. Moreover the characteristic of care proved more a relationship than a work or physical activity. How they feel towards the old parent(in law) wa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are, than how much work they do for care. But the traditional familial attitudes still tend to emphasize the parents care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son’s family. Those social environments bear some tensions among the families concerned, and paradoxically make the care as a relation more difficult. In consequence the quality of care in that setting couldn’t be evaluated to be a good one. It doesn’t have the element of trust and attentivenes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quality care. Meanwhile the narratives on the care histories were very different among the family members. Especially those of the old parents and the daughters in law have a kind of pre-narratives which were the results of their low positions 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e voices of the old parents with little economic, relational, and narrative resources tend to be silenced. The findings suggest the strong need of interest at policy level which recognizes and guarantees the autonomy of both the care-giver and care-user in the family care setting. It requires the broader social redistribution of resource for the elderly care, guaranteeing the relational autonomy. But defamilialization of care doesn’tseem to be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the conflicting needs were found among family members. What we have to do first is to expose the changing needs and the care practices in families to the object of public discourse.

      • KCI등재

        명리원전 『命理正宗』에 함축된 病藥사상 고찰

        김만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7 No.-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Jangnam(張楠)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japyeongmyeongli, from an analy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tried to correct and improve the theory. As part of his efforts, Jangnam, in his book, 『Myeongrijeongjong (命理正宗)』, presented byeongyak(病藥)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in full extent. Although the byeongyak principle has been already employed in many other literature including 『Yeonhaejapyeong (淵海子平)』, 『Myeongrijeongjong 』 was the first literature to name it as byeongyak principle and organize its ideas. The byeongyak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bases on the phrases of 『Oeondokbo (五言獨步)』 that “It is nothing special that one never gets sick and becomes valuable only in the face of an illness. If an illness is removed in the constitution of Sajupalja, wealth and happiness are accompanied together(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 In addition, four illnesses(彫枯旺弱) potentially occurring in the original constitution of palja were listed and explained along with four medications(損益生長) of them.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contradicts to the existing balancing theory of japyeongmyeongli because sajumyeongli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what the balancing was.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too, seeks balancing but the focus is not on balancing the entire saju based on the thing or ten celestial stems of birthday, the main part of sajupalja; but its focus was on the utilized gods by the ten celestial stems. For this reason, if the utilized gods got si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ocus and secondary focus were reversed in trying to treat the illness. It is deem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 gap in the theoretic frame and viewpoints between the classical japyeongmyeongli and contemporary japyeongmyeongli. 明代 말, 張楠은 기존 子平命理 이론의 오류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지적하면서 수정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일환으로 장남은 자신의 저술 『命理正宗』에서 病藥法을 본격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淵海子平』 과 다른 문헌들에서도 이미 병약법을 취하고 있었지만 이를 ‘病藥說’이라고 이름붙이고 그 개념을 체계화한 것은 『명리정종』이 처음이다. 병약설은 “病이 있어야 비로소 귀하고, 傷함이 없으면 뛰어나지 않은 것이다. 格 중에서 병을 제거하면 재물과 복록이 기쁘게 서로 따른다(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라는 「五言獨步」의 구절에 그 근거를 두었다. 또한 팔자 원국에서 출현할 수 있는 4가지 병[彫枯旺弱]과 이를 치료하는 4가지 약[損益 生長]도 열거하며 설명하였다. 장남의 병약설이 기존 자평명리의 中和論과 상반되는 원인은 사주명리의 中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즉 장남의 병약설도 중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중화의 초점이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日干, 혹은 體를 중심으로 한 사주 전체의 중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간이 사용하는 用神에 맞춰져 있어 용신이 병들면이를 치료하고자 하는데 있어 主客이 전도되었다. 이는 고전 자평명리학과 현대 자평명리학의 이론적 틀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다양한 연령 대 남성들의 자녀 가치관, 성 선호 및 장남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연구

        김용미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lue of children, sex preference for children, and life of the eldest son among men of various ages. Eight men aged between 20’s and 70’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In regard to value of children, men expressed both instrument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children. Children might achieve life goals that father failed to do, fulfill responsibility for one’s family lineage, and children themselves provided joy and meaning to men’ life. Daughter preference and no preference were found to be strong rather than son preference. These results were in line with the recent population statistics, which showed that value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family were changing fast among Koreans. Life of the eldest son seemed to affect men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and as an adult. The eldest sons felt that they enjoyed many benefits as the eldest child and were willing to play appropriate role for the famil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included the sampling and family policy planning.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연령대 남성들의 자녀 가치관, 자녀 성 선호, 장남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대 중반부터 70대 초반에 이르는 8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남성들의 자녀 가치관은 도구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가 공존하고 있어서 아버지가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어주거나, 가문에 대한 책임감, 자녀의 존재만으로 기쁨과 의미가 있다고 답했다. 둘째, 자녀 성 선호에 있어서는 아들딸 상관없다거나 딸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없다는 응답자는 아들딸 공평하게 사랑하고 교육시켜야 한다고 믿었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사고방식이 유연해져서 상관없다고 답했다. 여아선호의 경우는 처음부터 딸을 선호했거나, 중간에 딸 선호로 바뀐 경우가 있었다. 남아선호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통적 남아선호 사고의 틀 그대로 아들을 선호하고 집안 내력과 분위기, 아버지의 인생 경험과 교훈을 전수하기 위해서, 아들과 함께 여러 가지 활동을 즐길 수 있어서 선호한다는 것이다. 셋째, 장남으로 살아가기에 대해서는 성장과정에서 장남으로서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았고 성인이 되어서는 사회경제적, 심리적 부담과 책임감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고 답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남성들의 자녀 가치관과 성 선호는 과거와 달라졌으며, 심화되는 저출산 현상과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기혼, 고학력자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연령, 학력, 결혼 상태 등을 골고루 표집해서 연구한다면 좀더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저출산 관련 및 가족정책 수립 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자녀와 가족 관련 가치관과 변화의 추세를 정확하게 반영한 정책을 수립해야 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지역 주민주도를 통한 접경지역 문화유산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호로고루 통일바라기 축제를 중심으로

        이세진,박규진,최종택,이동해,강상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4

        이 글은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소재 고구려 유적인 호로고루의 보존과 활용사례에 관한 내용이다. 호로고루의 발굴 과 사적 지정 이후 훼손을 막는 방안으로 유적 주변에 공원을 조성하기로 하였고, 태양을 상징하는 해바라기를 심기로 결정하였다. 공원 이름으로 통일의 염원을 담은 ‘통일바라기 공원’이라 명명한 후, 주민을 비롯한 관련 기관들은 공동으로 공원을 조성하였다. 이후 유적과 공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고 통일바라기 축제를 개최하기에 이른다. 해당 축제는 지역 주민들의 주도하에 개최되는 행사로, 이를 통해 문화유산의 보호 및 홍보, 경제적 수익 창출이란 효과를 거두고 있다. 즉 연천 장남 통일바라기 축제는 휴전선 인근 접경지역에서 발생하는 여러 악조건을 주민 스스로 문화유산 활용이라는 방법을 통해 훌륭하게 극복한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conservation and use cases of Horogoru, a Goguryeo site located in Wondang-ri, Jangnam myeon, Yeoncheon-gun in Gyoenggi Province. After Horogoru was excavated, it was decided to build a park around it as a way to prevent damage, and also to plant sunflowers to symbolize the sun. Naming the park ‘Tong-il Balagi Park’, which refers to the wish for unification, local resident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jointly opened the site. Afterwards, they looked for ways to utilize the location and park, and chose to hold the ‘Tong-il Balagi Festival’. The festival is an event held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residents, which has the effect of promoting both conservation and cultural property, as well as generating economic benefits. In other words, the Yeoncheon-gun, Jangnam-myeon Tong-il Balagi Festival can be said to be an exemplary example of successfully overcoming various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border area near the ceasefire line through local residents’ own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 KCI등재

        조선후기 거주이동과 혈연적 연대의 관계 -단성지역 합천이씨 가계들의 호적과 족보 분석을 통해-

        손병규(Son, Byung-giu)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3년마다 작성되는 호적대장의 ‘행정리’는 가족이 실제로 거주하는 복수의 ‘마을’로 편성된다. 호구 등록이 가족의 형성과 거주이동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행정리를 넘어서는 호구 이동을 연속된 장기적 관찰로 추적하여 현실적인 거주와 이동을 추정할 수는 있다. 조선후기 단성지역의 합천이씨 가족들은 여러 행정리에 할거하고 있었다. 행정리마다 등재된 호구는 대체로 신분이나 가계를 달리하며,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거주하거나 행정리를 넘어서서 이동하는 경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18~19세기를 통해 동일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등재되는 경우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호의 대표자가 장남과 계자인 호의 비율은 높아진다. 거주이동이 심화되고 계자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반영한다. 계자와 장남이 출신지 행정리에 지속적으로 등재되는 비율은 양반과 향리의 특정가계에서만 두드러진다. 단성현의 합천이씨 가족들은 18세기를 통해 세거지의 형성을 강하게 열망해왔지만, 타지역으로의 이동도 빈번했다. 19세기에는 양반들도 몇몇 직계가족을 제외하고 한 지역에서 세대를 이어 장기적으로 거주하기는 어려웠다. The administrative village in the household registers published every three years in Joseon Korea consisted of several actual villages.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household register shows the formation and migration of the family as it was.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actual movement of the family by observing the living and moving on the registers in the long term. In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the Hapcheon Lee clan members of Tanseong prefecture were dwelling in several administrative villages. The trend of moving patterns across the border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s of the Lee clan members those who are in various social status differed by lineages and their status. While the proportion of the households those who kept staying in the same administrative village wa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as the household head who was the first son or adopted son in the family increased for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It means that they migrated frequently and adopted more in that period. However, the eldest sons or adopted sons of some elite lineages tended to not move across the administrative village border. Even though the Lee clan was known about had been tried to build their “same family name villages” in the prefectur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registers also show they used to move across the villages. The nineteenth century onwards, staying at a village in generations was difficult to even the elite lineages except for a few dominant famil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