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8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지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사리, 비리, 심리, 소사리 등의 주로 남서사면과 계곡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상관형으로는 상록활엽수림이며, 군락구조는 4층 구조로서 높이는 교목층이 12-14m이며 평균 식피율은 교목층 95%, 아교목층 45%, 관목층 51%, 초본층 58%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후박나무림의 식생단위는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후박나무-섬바디군집, 후박나무-밤일엽군집, 후박나무군락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후박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마을, 소사리, 마리 등의 마을주변에서, 붉가시나무군락은 대흑산도 문암산 정상부근과 비리마을 상부지역에서 분포하였다. 동백 나무림의 식생단위는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동백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사리마을, 심리 마을 주변 저지대 및 구릉지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교목층의 식생이 교란된 지역이 많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 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58.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흑산도의 주요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 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며, 향후 이들 군락이 기후변화, 인위 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각 군락의 종 구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8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eninsula, a comparasion study was conducted.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e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t forms a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valleys of the Daehuksan Island Yeri, Sari, Simri and Sorasi village. The investigated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Machilus thunbergii. It forms a community in and around towns, mostly in Daehuksan Island Yeri, Sorasi and the Mari village. The investigated Quercus acut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Quercus acuta, and it forms a community in the top of Mt. Munam and the upper part of Viri village. The investigated Camellia joponic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Camellia joponica, and it was distributed around Daehuksan Island Sari, Simri village, and lowlands and the hilly area. However, there were many areas where tree vegetation was disterbed due to human interference.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58.0%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잣나무 조림지에서 확인된 생태적 복원 효과

        김세미,안지홍,임윤경,피정훈,김경순,이호영,조용찬,배관호,이창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Developmental process of vegetation over years after afforestation was analyzed in the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with different stand ages. Height and diameter of Korean pine increased rapidly until 27 years after afforestation and tended to be blunted since then. Density of Korean pine tended to be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stand age. As the result of stand ordination of Korean pine plantations with different ages based on floristic composition, Korean pine plantations showed a changing depending on stand age but a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stands. Korean pine plantations showed the trend to be usually succeeded to the native vegetation dominated by ash (Fraxinus rhynchophylla) but partially by Mongolian oak as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by diameter class of major tree species.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f all plant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ference vegetation. On the other hand, the exotic plants, which no appear in the reference stands, appeared in the Korean pine stands but the percentage was very low as it is below 3%. As were shown i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the Korean pine plantation did not show restoration effect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imilar to the reference stands, successional trend toward the vegetation dominated by the native oaks and so on. The background of the difference is as follows. The other plantations were created to control erosion in the forest degraded due to excessive uses, whereas the Korean pine plantations were to get seeds as an useful resource. Therefore the former stands are no longer interfered artificially but the latter is dominated continuously by artificial interferences. 조성연도가 다른 잣나무조림지에서 조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생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잣나무의 높이와 직경은 27년생 식분까지 빠르게 생장하였고, 그 이후의 생장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밀도는 식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생조성에 기초하여 조성연도가 다른 잣나무조림지의 식분을 대조구 식분과 함께 서열화 한 결과, 잣나무조림지 식분들은 독자적인 변화경향을 보이고 대조구 식분과는 차이를 보였다. 주요 종의 직경급별 빈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잣나무조림지는 대체로 물푸레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의 천이경향을 보였지만 지소에 따라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의 천이경향도 나타났다. 종 다양성은 모든 지소들이 대조지소보다 높게 나타났다. 잣나무조림지에는 대조구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는 외래종이 출현하였지만 그 비율은 3% 이하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잣나무조림지는 우리나라의 주요 조림수종인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일본잎갈나무의 조림지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조구와 유사한 종 조성, 자생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식생으로의 천이 등의 복원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다른 조림지가 과도한 이용에 의해 황폐해진 삼림을 기능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시도된 사방조림인 반면에 잣나무조림지는 유용자원으로서 잣을 얻기 위해 조성되어 지속적으로 인위적 간섭이 이루어지는 데서 비롯된 결과로 해석되었다.

      • 북방수염하늘소의 소나무류 수종별 산란 선호도 및 잣나무 수체내 분포

        김동수,이상명,김철수,고상현,정영진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잣나무에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잣나무 수체내 분포상황과 성충의 탈출공 크기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초 순경에 경기 광주시 소재 잣나무림의 재선충병 발생지내에서 고사된 잣나무 를 벌채하여 주간부와 가지부분으로 일정한 크기(80cm)로 조제한 후 야외 망 실(4m×2m×2.5m) 내에서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우화시기와 매개충 탈출공의 수체내 분포양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망실 내에서 국내에 많이 분포하여 피 해가 우려되는 소나무류(해송,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를 선별하여 투 입하고 산란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이 번데기방에서 우화하여 잣나무의 목질부를 가해하 고 탈출할 때 생성되는 탈출공의 직경을 조사한 결과(n=858) 최대 9.62mm, 최 소 2.02mm, 평균 5.83±0.74mm로 나타났고, 잣나무의 경급별 탈출공의 분포는 공시목 직경이 8-14cm 범위가 49.3%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또한, 2-4cm는 0.8%, 4-8cm는 14.3%, 14cm이상은 35.5%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북방수 염하늘소의 분포는 주간 상부 쪽과 가지의 직경이 비슷한 크기의 수준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잣나무 내 어느 위치에서도 우화탈출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전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직경 8-14cm가지가 많은 중․상부쪽에 주 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나무에 있어서 솔수염하늘소의 분포양식 과 비슷하다. 소나무류 수종별 산란선호도와 관련된 침입공수의 출현빈도는 해송 18.8%, 잣나무 54.0%, 리기다소나무 7.7%, 낙엽송, 20.2%로 조사되었으 며, 각각 8.2%, 31.3%, 23.8%, 56.4%의 우화탈출율을 보였다.

      • KCI등재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1

        이수동,김지석,김미정,강현경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모밀잣밤나무 등이 분포하여 식생학적 가치가 높은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고 자 진행하였다. TWINSPAN과 DCA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모밀잣밤나무군락, 모밀잣밤나무-곰솔군락, 참식나무-동백 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 사방오리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상록활엽수림은 교 목층과 아교목층에서 모밀잣밤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의 세력이 우세하여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교란이 없다면 당분 간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굴피나무군락은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에 의해,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은 상호경쟁에 의해 식생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난대림의 일반적인 천이경향은 곰솔, 낙엽활엽수를 거쳐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측하고 있는 바, 비진도의 곰솔, 낙엽활엽수 우점지역도 장기적으로 이들 수종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종다양도는 곰솔자연림군락(1.2739),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1.2325), 낙엽활 엽수군락(1.1807), 사방오리나무군락(1.0854)이 높은 반면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모밀잣밤나무군락, 참식나무-동 백나무군락, 곰솔 산불피해지 군락은 0.7380∼0.8416으로 낮았다. 토양산도(pH)는 4.72∼6.33, 전기전도도는 34.5∼ 127.9uS/㎝, 유기물함량은 3.4∼17.4%이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evergreen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ijin Island. The island was worth of vegetational value because of the representative warm temperate species such as Castanopsis cuspidata was distribute the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munity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DCA, the Bijin Island evergreen forest were classified by 9 communities, such as C. cuspidata, C. cuspidata-Pinus thunbergii, Neolitsea sericea-Camellia japonica, Platycarya strobilacea, Quercus serrata-Decidus broad-leaved, Alnus firma, P. thunbergii. Due to the C. cuspidata, N. sericea, Ca. japonica etc. were still dominated at canopy and under-canopy layer, so the evergreen forest will be sustain current conditions for a while if there is no artificial disturbances that were caused by human. Pl. strobilacea community will be expected to replace N. sericea and also Q. serrata-Decidus broad-leaved community will be changing caused by mutual competition. Normally, in the way of the succession process of the warm temperate forest, P. thunbergii will be expect via deciduous broad-leaved to evergreen forest such as Machilus thunbergii,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N. sericea. In case of species diversity index, P. thunbergii comm.(1.2739), Q. serrata-Decidus broad-leaved comm.(1.2325), Decidus broad-leaved comm.(1.1807), and A. firma comm.(1.0854) are relatively high, while C. cuspidata and N. sericea-Ca. japonica that was dominated by evergreen species at canopy layer and P. thunbergii that was damaged by fire are relatively low(0.7380~0.8416). Soil pH was 4.72~6.33, electric conductance was 0.035~0.128dS/m, and 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3.4~17.4%.

      • KCI등재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이태선 ( Tae Sun Lee ),이경재 ( Kyong Jae Lee ),최병언 ( Byung Un Choi ),박석철 ( Seok Cheo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휴양림의 기능 향상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 축령산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휴양림 내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의 주요 분포종인 잣나무 인공식생지와 자연식생지인 낙엽활엽수림의 생물다양성 조사 및 분석 등을 실시하여 휴양림 기능향상을 위해 식생유형별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식생관리, 현존식생 및 비오톱 현황, 식생유형 구분, 식생구조, 야생조류 서식구조 등의 기능검토를 실시하였다. 휴양림내 식생유형 구분은 현존식생과 비오톱현황을 기초로 잣나무 인공조림지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 대표식생 조림여부, 식생관리 등에 따라 4개의 유형(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단풍나무 비율이 높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관리된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종다양도는 낙엽활엽수림이 인공 잣나무림 보다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고 관리되지 않은 상태가 관리된 상태보다 종다양도지수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야생조류 서식구조 분석결과 관리된 잣나무림은 층위구조가 빈약한 단층으로 식재되어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통로로서 부적합한 구조이고, 관리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잣나무림 등이 양호한 야생조류 서식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물다양성 기능 검토에 근거하여 관리유형을 크게 보전관리와 복원관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보전관리 중 기존낙엽활 엽수림 유지유형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지역, 관리된 낙엽활엽수림 지역 등이 속하며 생태적 관리유형은 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지역을 설정하였고, 복원관리지역인 생태적 복원유형은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지역으로 설정하여 식생관리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supposed to offer vegetation plans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the recreational forest by researching Mt. Chukryong which is located at Oebang-li Sudong-Myon Namyangju Kyong-gi Province inKorea. In this study, artificial vegetation and natural vegetation near trails in recreational forest were researched through biodiversity analysis. From this analysis process, a typical management improvement of the biodiversity functions were examined by reviewing functions biotope condi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wild bird community condition. Typical veget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detail part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ot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forest,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Not managed deciduous forest. As a result of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numerical value of the deciduous forest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managed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t managed condition. As a result of a habitat structure analysis of the wild bird community, managed Pinus koraiensis forests were inadequate structure for wild birds to habit in there because the forests had weak structure layers, but unmanaged deciduous forest and unmanaged Pinus koraiensis that had diverse layers was proper places for birds to in habit. Thus, based on the functional analysis of biodiversity, management patterns of the target area were concluded in two manners: conserving management and restoring management. Deciduous forest protection target areas included natural deciduous forest area and managed deciduous forest area, ecological restoration target area included un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area and restoring management target area includes managed artificial Pinus koraiensis.

      • KCI등재

        양분벡터분석을 통한 활엽수와 침엽수 묘목의 적정 시비량 구명

        박병배,변재경,성주환,조민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fertilizer for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with vector analysis. As the amount of fertilizer increases, the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of F. rhychophylla and F. mandshurica increased and those of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reatment 1x (N 6.9 g m-2, P 3.1 g m–2, K 3.7 g m-2), 2x (two times of 1x) and 4x (four times of 1x) improved the dry weight of F. rhynchophylla by 43, 11, and 87% and that of F. mandshurica by 36, 145 and 14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dry weight of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was not different among fertilization treatments. The responses of vector exhibit a different inclination depending on tree species and the amount of fertilizer. F. rhynchophylla is in the status of N “deficiency” which means the N concentration does not increase as much as the increment of growth and nutrient content; F. mandshurica is in a condition of N “dilution” which refers the concentration decreases since the growth increases more than the absorption of nutrients;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show the state of N “antagonism” which indicates the concentration decreases slightly while the growth does not increase nearly. This study suggests that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require to fertilize 2x or more and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do not need to fertilize at the initial stage of outplanting. 묘목 생산성과 적절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비는 매우 중요하지만, 수종에 따른 최적의 시비량을 결정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경제림 육성 수종인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를 대상으로 복합비료 1x(N 6.9 g m-2, P 3.1 g m-2, K 3.7 g m-2), 2x(1x의 2배), 4x(1x의 4배) 처리가 묘목의 생장과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양분벡터분석(Vector diagnosis)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수고와 근원경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잣나무와 전나무는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1x, 2x, 4x는 대조에 비하여 물푸레나무의 건중량을 각각 43, 11, 87% 증가시켰고, 들메나무는 각각 36, 145, 143% 더 증가시켰다. 반면 잣나무와 전나무 건중량은 시비량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비에 대한 양분벡터반응은 수종과 시비량에 따라 상이한 경향을 보였는데, 물푸레나무 조직의 질소 농도는 생장 및 질소함량의 증가만큼 증가하지 않는 “양분결핍” 상태였고, 들메나무는 흡수한 것보다 생장이 증가하여 농도가 감소하는 “양분희석” 상태였으며, 잣나무와 전나무는 생장이 거의 증가하지 않으면서 농도는 약간 감소하는 “과량길항”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처리 2x 또는 그 이상의 시비가 요구되고, 잣나무와 전나무의 경우 초기 시비를 하지 않아도 생장과 양분 흡수에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난대성 주요 3개 수종에 대한 지위지수 추정 및 적지판정 -제주특별자치도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강성표 ( Sung Pyo Kang ),김종영 ( Jong Young Kim ),유병오 ( Byung Oh Yoo ),안기완 ( Ki Wan A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특별자치도와 도서지역을 포함한 남부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난대성 주요 3개 수종(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을 대상으로 지위지수(지위를 사정하는 몇 가지 방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지위를 수치로 표현하는 방법)를 추정하고 각 수종별 적지를 판정하여 신규조림지 조성 및 기후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산림자원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각 수종별로 32개 입지환경인자와 우세목(수관이 상층임관을 형성하는 잘 자란 나무를 이르는 말로 수관급 분류에서 1급목에 해당하는 나무)5주의 평균수고를 이용하여 수고생장모형을 추정한 후 검증을 위해 현지에서 표본목을 벌도하여 채취한 원판으로 수간석해(수목의 과거 생장률을 알기 위해 여러 수고부위에서 원반을 절취하여 연륜측정 등을 행하는 철저한 수간의 분석)를 실행하였다. 더불어 입지.기상요인별 기여도 분석, 지위지수함수식, 현존 임분의 적지면적 산출과 적지적수도(기후와 토양 등 입지조건에 맞는 가장 적합한 나무를 해당임지에 표현한 그림)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붉가시나무는 지위지수 중(10) 이상인 적지가 82,522ha이며, 구실잣밤나무는 지위지수 중(12) 이상인 적지가 60,801ha, 후박나무는 지위지수 중(12) 이상인 적지가 219,442ha으로 나타났다. 붉가시나무 적지에 대한 분포는 해안 및 도서지역에 고르게 분포하였고 해안선으로부터 20km이내, 해발고도는 400m 이하인 지역으로 밀집되었다. 구실잣밤나무 적지에 대한 분포는 붉가시나무 분포와 비슷하게 분포하였지만, 내륙지방까지 분포하였으며 연간 최저와 최고기온의 차이가 비교적 심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후박나무는 해안선을 따라 주로 나타났으며 해발고도 200m 이하, 봄철 강수량이 풍부한 지역이 생육적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붉가시나무의 결정계수는 0.306, 구실잣밤나무의 결정계수는 0.271, 후박나무에 대한 결정계수는 각각 0.259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난대지역의 적지적수의 선정과 산림자원조성 및 경영계획 수립 등에 관한 의사결정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est resource model and prepare for the new afforested land and climate change through estimating the site index(among several methods, the site index is a typical way to digitize the quality of locality). It also aims to evaluate a suitable site with the warm temperate zone’s three major species(Quercus acuta, Castamopsis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that grow in the southern region including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and island region. Each specie used 32 sit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average height of 5 dominant trees`` for the growth model.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ample tree collected for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 In addition to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used the on site stem analysis data and made the final site index functional formula by analyzing the site condition which affects the site index table and curve. Also, this study calculated the suitable site space and tabulated the suitable tree figure on site by using the site index functional formula. As a result, the suitable site of Quercus acuta turned out to be over 10 site index 82,522ha, the Castanopsis sieboldii over 12 site index 60,801ha and the Machilus thunbergii over 12 site index 219,442ha. Quercus acuta was evenly spreaded along the coast and island region that had a high annual average minimum temperature, and was located within 20km from the coastline under 400m elevation. The Castanopsis sieboldii’s suitable-site was mainly spreaded out in the island and coastal region, but it also grew up into the inland and its suitable-site showed a large gap between the annual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wth suitable-site of the Machilus thunbergii turned out to be a place abundant with rainfall in the early spring season, and less than 200m elevation along the coastline and island region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306, 0.271, and 0.259.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cide the forest resource composition and establish management plans through estimating the site index of the warm temperature zone’s three major trees and thus help select a suitable tree on a site through evaluation.

      • KCI등재

        잣나무 임분수확표를 이용한 등급별 목재 이용량 분석 연구

        권순덕,곽두안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직경분포에 근거한 잣나무 임분수확표(지위지수 14)를 활용하여 등급별 목재 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잣나무 임분수확표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직경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직경급별 본수를 예측하였으며, 목재 생산량은 말구직경 을 기준으로 3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잣나무 임분수확표를 활용한 원목생산량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1등급(재장 3.6m) 원목은 40년부터 생산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분단위 원목의 생산량은 직경급별 생산되는 등급별 원목 개수와 직경급별 본수에 따라 생산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임령에 따른 등급별 원목의 이용재적은 원목 생산량에 비례하였 고, 2등급 이용재적비율은 30년과 40년일 때 전체 임분 이용재적의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 이용재적비율 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임분단위 이용재적은 임령이 증가할수록 1등급과 2등급(재장 3.6m) 이용재적은 증가하였고 3등급은 감소하였다. 임분단위 이용재적비율은 3등급의 경우 20년일 때 85% 이상 차지하였고, 2등급은 40년일 때 74% 이상 차지하였으며, 1등급 이용재적이 증가하는 50년 이후 부터 감소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stand yield table (site index 14) of Pinus koraiensis based on diameter distribution in order to analyze timber production by grade. The stand yield table of Pinus koraiensis used the diameter distribution functio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o predict the number of trees by diameter classes. Timber produ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ased on the small-end diameter. The study result shows that in terms of log production, which utilized the stand yield table of P. koraiensis, the 1st grade production has risen as stand age increased, while the 1st grade (log length 3.6m) log has been analyz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duce starting from the year of 40. Production of log by stands unit has presented differences based on the number of trees by diameter classes, and on the amount of log by grade, which is produced by diameter classes. Merchantable volume of the log by grade based on stand age is proportional to the log production, and in the year of 30 and 40, the 2nd grade merchantable volume rate has occupied more than 60% of the entire stands merchantable volume, while it has decreased as stand age increased which leads to a rise in the 1st grade merchantable volume rate. In terms of merchantable volume by stands unit, the 1st and 2nd grade (log length 3.6m) merchantable volume has increased, and the 3rd grade has decreased as stand age increased. Moreover, in respect of merchantable volume rate by stands unit, the 3rd grade has occupied more than 85% in the year of 20, and the 2nd grade has comprised more than 74% in the year of 40, while it has decreased starting from the year of 50, when the 1st grade merchantable volume rises.

      • 잣나무솔잎벌(Diprion hani)의 생태적 특성과 잣나무에 미치는 영향

        김은희,이귀용,한주환,표승현,유종현,구창덕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잣나무솔잎벌은 2007년 경기, 강원, 충북의 잣나무조림지에 잎을 가해하는 돌발해충으로 생태, 형태적으로 특성이 밝혀지지 않아 충북 제천지역에서 월동에 들어간 고치를 수집하여 충북 청원군에 소재한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로 옮겨와 실내 곤충사육실(온도 25°C, 습도 50%,16L/8D)과 야외에 철망(16 mesh)을 씌운 우화상 (55(가로) × 55(세로) × 60cm(높이))에서 개체 사육하여 생활사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잣나무 피해목과 건전목의 신초, 정아, 잎의 생장량을 조사하였다. 잣나무솔잎벌은 4월, 7월과 9월에 1년에 3회 발생하고 암컷성충은 평균 145.7개의 알을 산란하고 산란기간은 평균 5.3일이며, 부화기간은 평균 7.1일이었다. 성충의 생식방법은 양성생식과 단성생식을 같이 하였는데, 양성생식 했을 때의 암컷비율은 평균 0.48이었고, 단성생식 했을 때는 100% 수컷으로만 부화하였다. 유충은 5번 혹은 6번 탈피하고, 유충기간은 6령까지 평균 20.9일, 7령은 평균 23.5일 이었다. 유충 한 마리가 섭식하는 잣나무잎은 평균 227.84㎝이었으며 영기가 증가 할수록 섭식량도 증가하였다. 전용기간은 평균 16.4일, 번데기기간은 평균 6.8일이었다. 암컷성충의 난소발육은 번데기 단계에서 시작하고 고치 속에서 우화 할 때 난포의 성숙이 끝난 상태로 우화탈출하여 산란하는 특성을 보였다. 건전목의 신초길이는 평균 26.6±7.2cm이고, 피해목은 평균 3.2±0.5cm였다. 정아 길이는 건전목이 2.1±1.4cm이고, 피해목은 0.9±0.2cm였고, 잎의 길이는 건전목이 59.8±4.0cm이었고, 피해목이 평균 93.7±12.6cm로 건전목에 비해 피해목의 성장이 아주 미미하였다.

      • Seasonal occurrence of the western conifer seed bug, Leptoglossus occidentalis heidemann from cone of Korean white pine and cone damage by period

        Gun-Hyung Kwon,Sun-Hee Kim,Youngwoo 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소나무허리노린재는(Leptoglossus occidentalis)는 북미원산으로 2010년 경남 창원에서 국내 침입이 처음 확인 되었다. 최근 까지는 소나무 구과에서 피해에서 나타났으나 이로 인한 피해는 수목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2020년 경기도 가평군의 잣나무 구과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는데, 잣나무 구과는 산림에서 경제적 으로 매우 중요한 소득작물로, 이로 인한 피해가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잣나무 구과에서 소나무허리노린재 발생소장 조사를 위해 경기도 가평군 6개 지역의 잣나무 상부에 타임랩스 카메라(TLC2020,Brinno)설치하고 영 상분석을 통해 잣 구과에서 소나무허리노린재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잣 구과에서 2021년 6월 7일에 최초 관찰 되기 시작하여 11월 7일까지 관찰되었으며, 2022년에는 5월 17일부터 10월 29일까지 관찰되었다. 시기별 구과 피해율 조사를 위해 잣나무 구과에 4월 초순에 망대를 사전에 설치하고 5월 중순부터 각 시기별로 소나무허리노 린재를 15일 간격으로 접종시켜 가해토록 한 후 제거하여 가해 시기에 따른 종자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잣 구과가 주로 성숙하는 6~7월 경이 잣 종자피해율이 높았으며 7월 하순부터는 종자 피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