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도덕적 자율성

        오근창(Oh, Keun-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직관적으로 호소력이 있지만 상당히 모호하게 보이는 칸트의 인간성 정식(FH)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 나는 현존하는 견해들과 다른 칸트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대안적 독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칸트의 인간성 정식을 재구성한다(2장). 아래에서 나는 센센, 코스가드, 딘에 의해 제안된 인간성 정식에 대한 여러 영향력 있는 해석들이 갖는 몇몇 결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센센과 달리, 내가 보기에 인간성 정식은 단지 보편법 정식을 보다 직관적이게 만드는 소극적인 역할만을 하고 있지 않다(3장). 또한 코스가드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독해는 너무 얇은 인간성 관념을 가짐으로써 칸트의 원래 의도와 달리 목적 수립 능력 일반이 비도덕적인 행위마저 허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4장). 최근에 딘은 인간성이 선의지와 등가적이라고 제안했지만, 나는 선의지 독해가 너무 두껍고 도덕주의적인 인간성 개념을 가정함으로써 인간성의 내용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5장). 마지막으로 이 글은 몇몇 유관한 문헌적, 철학적 이유들을 조명함으로써 인간성 정식의 핵심이 도덕적 자율성 개념에 있음을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regarding how to make sense of Kant’s formula of humanity (hereafter, “FH”), which seems to be intuitively appealing but perplexingly obscure. In this paper, I aim to propose an lternative reading of FH against the existing views and hope to show what FH as an end itself refers to and how it could be coherently connected to other formulas. To this end, I first reconstruct Kant’s argument for FH by focusing on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hereafter, “Groundwork”) and briefly evaluate the validity of his regress argument (Section 2). In the following, I critically examine the flaws of several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FH proposed by Sensen, Korsgaard, and Dean. Unlike Sensen, my interpretation shows that FH plays a role that goes beyond that of merely bringing the formula of universal law (hereafter, “FU”) closer to intuition (Section 3). In addition, Korsgaard’s reading of FH is flawed since it has such a thin conception of humanity that the end?setting capacity in general even permits non-moral acts, contrary to Kant’s intention (Section 4). Although Dean has suggested that humanity is equivalent to a good will, I argue that a good will reading supposes a too thick and moralistic notion of humanity and thereby excessively limits the contents of humanity (Section 5). Finally, I conclude that FH should be interpreted as moral autonomy by elucidating some relevant textual support and philosophical reasons (Section 6).

      • 헤르더의 인간성 사상, 인류 역사에서 나타난 “인간성의 진보와 퇴보”

        김대권 ( Kim Dae Kweon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50 No.-

        헤르더는 “인간성의 철학자”라고 불릴 정도로 인간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생애 후반기에 들어서는 그의 주저인 『인류 역사에 관한 철학에 대한 생각』과 『인간성 촉진을 위한 편지』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생각』에서는 ‘인간성’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인류 역사의 목적으로 설정하며 인간성 사상의 기초를 다졌다고 한다면, 『편지』에서는 인간성 사상을 구체적인 현실에 적용하여 인간성을 촉진하거나 후퇴하게 한 요인들을 찾아 분석하고 비판했다. 헤르더는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으로 대변되는 고대인들에게서, 그리고 인간이 이룩한 종교와 예술, 학문과 문학과 기술 분야에서는 인간성이 발전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유럽의 식민주의 정책과 흑인 노예무역과 흑인 노예제와 같은 비인도적인 행위들에서는 인간성이 후퇴했음을 목도하고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헤르더는 인간성 사상을 범인류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리는가 하면, 이것을 억압적인 독일 현실을 비판하는 우회로로 삼기도 한다. 하지만 그리스와 로마, 그리고 유럽을 중심으로 인류 역사를 기술하고 이들의 문화를 인간성 발전의 척도로 삼음으로써 그리스와 로마, 유럽 중심주의적 시각을 대변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In his distinctive publications, Ideas on the Philosophy of the History of Mankind (1784-91) and Letters for the Advancement of Humanity (1793-97), Herder concentrates on the idea of humanity. Ideas explores its concepts, while setting it as the ultimate goal of the history of mankind. Furthermore, phenomena that have promoted or impeded humanity in concrete reality are identified and critically analyzed by Herder in Letters. He acknowledges the development of humanity in the ancient Greeks and Romans,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religion, art, science, literatur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bitter criticisms are also expressed to the regression of humanity as he scrutinizes the European colonial policies and inhumane acts such as slavery. His Greek-Romancentric and Eurocentric position impose limits of his philosophy, yet he is highly regarded as a leading figure who expanded thoughts on humanity to panhuman dimension, while relying on them as a detour to criticize the oppressive reality of the German regime.

      • KCI등재

        왜곡된 공동체성으로 인해 상처입은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영혼 돌봄 연구

        고유식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현재 대한민국에 사는 사회적 약자들은 ‘헬조선’이란 단어로 대한민국의 왜곡된 사회 구조를 표현한다. 이들은 자기 삶의 자리를 총체적 지옥이라고 여기며, 현재의 삶이 조선 시대의 억압과 사회적 제재가 극심하던 봉건주의 사회와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기에 ‘헬조선’에서 사는 비통함과 ‘탈조선에 대한 희망’을 언급한다. 이러한 비통함의 지속과 희망의 미성취는 실존적 좌절로 연결되며 결국 인간성의 파괴를 경험하게 된다. 인간성 파괴는 사회-구조적 차원에 의해 야기되어진다. 그러나 단지 그것으로만 원인을 한정지을 수는 없다. 같은 삶의 조건 아래에서도 인간은 획일화되지 않고 각자 다양한 삶의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개인-심리적 차원에서 알프레트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의 관점에서 인간성 파괴의 원인을 바라보았다. 인간의 열등감 해소와 우월감 추구를 위한 권력욕구와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 상실이 인간성 파괴를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가 속한 공동체를 통해서 타인을 자기 욕구의 대상으로 삼아 서로 지배, 사용하기를 원한다. 공동체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개인의 건강이 중요하다. 책임과 자유, 그리고 사랑을 통해 공동체성의 건강한 회복이 가능해지며 이는 인간성 회복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성 파괴의 원인이 되는 실존적 공허와 좌절의 원인 분석과 인간성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긍정적 공동체성 형성, 그리고 인간성 회복을 위한 실천신학적 연구를 통해 인간성의 의미를 숙고해보고자 한다. The current weak people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 the distorted social structure of Korea with the word 'Hell-Chosun'. They regard their place of life as total hell, and feel that their lives are no different from the feudal society in which the suppress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social sanctions were extreme. For this reason, they hope for the suffering of 'Hell Chosun' and 'the desire to escape from Hell Chosun'. Continuation of deep Sadness and failure of the Hope-accomplishment are connected to existential frustration, finally they experience destruction of humanity. Humanity destruction is caused by the socio - structural dimension. However, the cause can not be defined solely on the socio-structural dimension. Because even under the same conditions of life, humans can not be uniform, and have a variety of life propensity. So I looked at the cause of human destruction from the point of “Individuale Psychologie” of Alfred Adler, and “Logotherapie”of Viktor Frankl. The desire for power to resolve the inferiority of human beings and pursue superiority and the loss of will to find meaning in life are promoting destruction of humanity. Human beings want to control and use each other as objects of their own desires through their communities. In order to keep the community healthy, the health of the individual is important. Responsibility, freedom, and love enable a healthy recovery of community, leading to a restoration of humanity. In this study, i tr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human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 of the existential emptiness and frustration which cause human destruction, positive community formation that suggests possibility of humanity restoration, and practical theological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humanity.

      • KCI등재

        연구논문 : 『시경(詩經)』에 나타난 행복구가와 인간성 회복

        최미라 ( Mi Ra Cho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본고는 『詩經』의 詩들에서 행복구가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인간성 회복과 연결시킬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람은 행복하면 노래를 한다. 노래에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칭송이든 비판이든 솔직하게 담는다. 孔子는 이를 思無邪라고 했다. 하여튼 詩는 인간성을 회복한다. 최초의 시문집인 『詩經』에는 행복구가를 위한 詩들이 있다. 이것은 인간성 회복의 모습이다. 孔子 생애의 평범성과 현실성은 인간성 회복과 관계가 있다. 2500년 전 孔子에게 주어진 영감이나 계시는 자기 수양과 점점 더 분열되는 정체성에 도덕심을 회복시키겠다는 사명의식의 결과물이다. 『論語』에서 孔子는 인간성 회복으로서의 仁을 설명하고 있다. 孔子에게 仁은 행복구가의 전제였고 인간성 회복을 위한 修養이었기때문이다. 이러한 仁을 바탕으로 한 시들을 『詩經』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論語』에는『詩經』이 8번 인용된다. 孟子는 인간성 회복을 仁義에서 찾았다. 孟子에서도 『詩經』은37번이나 인용된다. 인용했다는 것은 인정한다는 전제이다. 결국 孔子와 孟子는 『詩經』을 인간성 회복의 전제로서 인정했다는 것이고 행복구가의 詩들은 仁과 仁義의 바탕이라고 설명된다. 『大學』에서 12번, 『中庸』에서 16번 『詩經』을 인용한다.『大學』에서 인간성 회복은 인격주체의 자기 수양, 그 자체로만 완결되지 않고, 더 정교화 된다. 몸을 닦아 공경하는 誠意와 正心, 몸을 닦아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修身과 齊家, 백성을 편안하게 만드는 治國과 平天下가 곧 ``행복구가``이며 ``인간성 회복``으로 확장된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인간성회복``의 구조를 인정하려면 『詩經』의 詩들을 통한 ``행복구가``의 의미를 생각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詩經) and the linkage thereof with the restoration of humanity. People sing songs when they are happy. They frank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philosophies . whether they are praises or criticisms . through songs. Confucius referred to this expression as “having no depraved thoughts(思無邪).” Anyhow, poetry restores humanity. The first collection of poetry, the Classic of Poetry, contains poems that sing happiness. This is the effort to restore humanity. The commonality and reality of Confucius’s life are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Inspirations or revelations that Confucius received 2500 years ago are the results of his sense of mission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to restore morality to his identity that was increasingly separated from his true self. In the Analects, Confucius explains about benevolence(仁) as the way of restoring humanity, because, for him, benevolence was the prerequisite to singing happiness and self discipline to restore humanity. Many poems based on such benevolence can be easily found in the Classic of Poetry. The Analects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eight times. Mencius sough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from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Mencius also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37 times, which means that he acknowledged the latter. This suggests that both Confucius and Mencius acknowledged the Classic of Poetry as the prerequisite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at poems singing happiness are based on benevolence and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Great Learning(大學) and Doctrine of the Mean(中庸)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12and 16 times, respectively. Great Learning argues that humanity cannot be restored by the person’s self discipline alone, but needs to be further refined. Sincerity(誠意) and right mind(正心) which are to discipline oneself and respect others, self-discipline(修身) and governing home(齊家) which are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comfort others(治國), are ruling the state and pacifying the world(平天下) are the pursuit of singing happiness. Thisfurther expands in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Modern people should think of the meaning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 in order to acknowledge the structure of restoring humanity.

      • KCI등재

        『詩經』에 나타난 행복구가와 인간성 회복

        최미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詩經) and the linkage thereof with the restoration of humanity. People sing songs when they are happy. They frank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philosophies – whether they are praises or criticisms – through songs. Confucius referred to this expression as “having no depraved thoughts(思無邪).” Anyhow, poetry restores humanity. The first collection of poetry, the Classic of Poetry, contains poems that sing happiness. This is the effort to restore humanity. The commonality and reality of Confucius’s life are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Inspirations or revelations that Confucius received 2500 years ago are the results of his sense of mission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to restore morality to his identity that was increasingly separated from his true self. In the Analects, Confucius explains about benevolence(仁) as the way of restoring humanity, because, for him, benevolence was the prerequisite to singing happiness and self discipline to restore humanity. Many poems based on such benevolence can be easily found in the Classic of Poetry. The Analects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eight times. Mencius sough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from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Mencius also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37 times, which means that he acknowledged the latter. This suggests that both Confucius and Mencius acknowledged the Classic of Poetry as the prerequisite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at poems singing happiness are based on benevolence and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Great Learning(大學) and Doctrine of the Mean(中庸)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12 and 16 times, respectively. Great Learning argues that humanity cannot be restored by the person’s self discipline alone, but needs to be further refined. Sincerity(誠意) and right mind(正心) which are to discipline oneself and respect others, self-discipline(修身) and governing home(齊家) which are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comfort others(治國), are ruling the state and pacifying the world(平天下) are the pursuit of singing happiness. This further expands in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Modern people should think of the meaning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 in order to acknowledge the structure of restoring humanity. 본고는 『詩經』의 詩들에서 행복구가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인간성 회복과 연결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람은 행복하면 노래를 한다. 노래에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칭송이든 비판이든 솔직하게 담는다. 孔子는 이를 思無邪라고 했다. 하여튼 詩는 인간성을 회복한다. 최초의 시문집인 『詩經』에는 행복구가를 위한 詩들이 있다. 이것은 인간성 회복의 모습이다. 孔子 생애의 평범성과 현실성은 인간성 회복과 관계가 있다. 2500년 전 孔子에게 주어진 영감이나 계시는 자기 수양과 점점 더 분열되는 정체성에 도덕심을 회복시키겠다는 사명의식의 결과물이다. 『論語』에서 孔子는 인간성 회복으로서의 仁을 설명하고 있다. 孔子에게 仁은 행복구가의 전제였고 인간성 회복을 위한 修養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仁을 바탕으로 한 시들을 『詩經』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論語』에는 『詩經』이 8번 인용된다. 孟子는 인간성 회복을 仁義에서 찾았다. 孟子에서도 『詩經』은 37번이나 인용된다. 인용했다는 것은 인정한다는 전제이다. 결국 孔子와 孟子는 『詩經』을 인간성 회복의 전제로서 인정했다는 것이고 행복구가의 詩들은 仁과 仁義의 바탕이라고 설명된다. 『大學』에서 12번, 『中庸』에서 16번 『詩經』을 인용한다. 『大學』에서 인간성 회복은 인격주체의 자기 수양, 그 자체로만 완결되지 않고, 더 정교화 된다. 몸을 닦아 공경하는 誠意와 正心, 몸을 닦아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修身과 齊家, 백성을 편안하게 만드는 治國과 平天下가 곧 ‘행복구가’이며 ‘인간성 회복’으로 확장된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인간성 회복’의 구조를 인정하려면 『詩經』의 詩들을 통한 ‘행복구가’의 의미를 생각하여야 한다.

      • KCI등재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 개념

        최신한 ( Shin Hann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에 나타난 인간성 개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슐라이어마허에게 ``인간성``은 ``외적 자연``, ``무한자``와 더불어 종교적 직관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인간성을 ``개인성``, ``상호주관성``, ``역사성``으로 규정하면서 이를 칸트의 ``인격성`` 개념과 구별한다. 개인성으로서의 인간성은 직관하는 인간의 제1특성이다. 직관은 늘 개별적이며 고유하고 그때마다 구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종교적 직관은 개인을 늘 새롭게 형성한다. 개인의 진정한 개인성은 그의 새로운 형성과 변화가능성에 있다. 새롭게 형성된 내면성이 상호작용할 때 인간성은 상호주관성으로 규정된다. 상호작용하는 인간성은 욕망에서 출발하는 개인 간의 투쟁으로가 아니라 정신에 토대를 두는 사랑과 만족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타자에 의해 불가피하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내면성의 동경을 통해 성취된 결과이다. 인간성의 새로운 형성은 역사성으로 이어진다. 새로운 형성은 현실적 삶 속에서 성취되기 때문이다. 영웅이나 종교적 거장의 등장은 역사 속에서 일어나며, 이들은 역사 속에서 완전한 인간성을 대변한다. 인간성이 그때마다 새롭게 형성되는 개인성을 강조하는 한, 이는 보편적 인격성과 구별된다. 칸트의 도덕신학은 삶의 가변적 상황 너머에 있는 인격성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진정한 모습은 현실 위에서 보편적 도덕을 요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가운데서 초월적 체험을 통해 그때마다 새롭게 변화되는 데 있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 개념의 요체는 현실 가운데서 늘 새로움으로 나타나는 생명이다. 이것은 무한자과 접촉하는 종교적 인간의 본래성이다. Diese Abhandlung zielt darauf ab, den Begriff der Menschheit in Schleiermachers Uber dier Religion zu analysieren. Bei ihm wird die Menschheit wie die aussere Natur und das Unendliche als der Gegenstand der religiosen Anschauung angesehen. Ich versuche die Menschheit als Individualitat, Intersubjektivitat und Geschichtlichkeit zu bestimmen und dann sie von dem Begriff der Personlichkeit bei Kant zu unterscheiden. Die Menschheit als Individualitat ist die erst Bestimmung des anschauenden Menschen, weil die Anschauung immer einel, eingentumlich und jeweils sich unterscheiden ist. Die religiose Anschauung bildet jeweils das Individuum zum neuen. Die authentische Individualitat des Individuums liegt in seiner neuen Bildung und Veranderlichkeit. Wenn die neu gebildeten Innerlichkeiten aufeinander wirken, wird die Menschheit als Intersubjektivitat bestimmt. Die aufeinander wirkende Menschheit lauft nicht auf dem von der Begierde ausgehenden Kampf zwischen den Individuen hinaus, sondem auf Liebe und Genuss, die auf dem Geist fussen. Dies ist kein Resultat, das von den Anderen unausweichlich zustande kommt, sondem das, das durch die Sehnsucht der Innerlichkeit erreicht wird. Die neue Bildung der Menschheit wird zur Geschichtlichkeit fortgesetzt, da sie im wirklichen Leben verwirklicht wird. Der Held bzw. der religiose Virtuose vertritt die der Vollkommenheit annaherende Menschheit. Diese individuelle Menschheit unterscheidet sich von der allgemeinen Personlichkeit, die etwa die Moraltheologie Kants behauptet. Das wahre Menschenbild liegt nicht darin, von der transzendenten Ebene her dem Menschen die allgemeine Moral zu fordem, sondem darin, in der Wirklichkeit durch die transzendete Beruhung jeweils sich neu gebildet zu werden. Die Pointe des Begriffs der Menschheit bei Schleiermacher liegt im Leben, das in der Wirklichkeit immer neu geschieht. Dies ist die Eigentlichkeit des religiosen Menschen, der mit dem Unendlichen beruhrt.

      • KCI등재

        칸트 윤리학과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

        이원봉(Lee Won-Bong)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2 No.-

        칸트는 자살이 인격 안의 인간성을 단지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덕적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인간성을 지키기 위한 자살을 허용하는듯한 주장도 하고 있다. 자살에 대한 이런 모순된 주장은, 칸트 윤리학 안에서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과 관련한 다양한 논쟁을 불러왔다. 나는 이런 논쟁이 칸트의 인간성 개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했다고 보며,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개념을 이중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도덕적 자살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칸트의 인간성 개념에는 주관적 목적을 설정하고 적합한 수단을 찾는 합리성으로서의 인간성과 도덕적 이념으로서의 인간성이 결합해 있으며, 이런 이중의 인간성 개념이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적 이념으로서의 인간성을 지키기 위한 자살은 도덕적 의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자살이 자기 사랑의 동기에서 나온 것인지 도덕적 동기에서 나온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진실한 인식이 요구되는데, 나는 이러한 자기 인식은 도덕적 준칙을 통해서 일관되게 추구되어온 내적 가치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Kant says suicide is a violation of moral obligations by using humanity in personality only as a means. Others, however, claim to allow suicide to protect humanity. This contradictory claim to suicide has sparked various debates about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in Kant s ethics. I believe that this debate originat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Kant s concept of humanity, and argue that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can be secured by doubl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humanity as a rational being. Kant s concept of humanity combines humanity as a moral end with humanity as a rationality that sets a subjective objective and seeks a suitable means. Therefore, suicide to protect humanity as a moral end can be a moral dut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suicide is from the incentive of self-love or the moral incentive, sincer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one is faced is required. This article explains what it means to use humanity as end as the only reason for prohibiting suicide in order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moral suicide in Kant s ethics (Chapter 2). It will be revealed that duties to oneself require genuine self-recognition to confirm the motives for fulfilling the duties (Chapter 3). Finally, genuine self-recognition is achiev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general principle of life, the actor will argue that his motiv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alues of life consistently pursued through moral maximes (Chapter 4). Through this process, you will be able to identify some conditions to enable moral suicide.

      • KCI등재

        바울의 육신 개념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바울서신의 내용을 중심으로

        최영태 ( Choi Yeong-ta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8 성경과신학 Vol.88 No.-

        이 논문은 바울서신에 나타난 사도 바울의 육신 개념과 그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울에게 있어서 육신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1) 몸의 조직들(살 또는 고기), 2) 인간의 몸, 3) 한계를 가진 연약한 인간, 4) 혈통적으로 가까운 친족, 5) 인간의 외적 조건들 또는 인간의 영역에 속한 것들, 6) 윤리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서 죄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또는 인간성)이다. 2. 바울의 육신 개념 6가지 중 처음 다섯 가지는 중립적이고, 도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의 육신은 선으로도 악으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은 이러한 육신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육신은 아담의 타락 이후 죄로 오염되어 있다. 이 육신의 주인인 인간이 죄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이와 같이 죄로 오염되어 죄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또는 인간성)도 육신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여섯 번째 의미의 육신이다. 그런데 바울은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그는 죄에서 벗어나 새 사람이 된다고 한다. 그는 과거의 모든 죄를 용서받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죄에서 벗어나 하나님을 향하여 산, 새로운 존재가 되었다고 한다(롬 6:1-11 등). 그는 죄의 지배 아래 있는 육신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새 사람이 된 것이다(롬 8:9; 엡4:22-24; 골 3:5-10; 고후 5:17; 엡 5:8-9 등). 그러므로 바울의 육신 개념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도 있다: 1) 단지 중립적으로 연약한 육체를 가진 인간으로서의 육신, 2) 죄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또는 인간성)으로서의 육신, 3) 죄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워진 인간(또는 인간성)으로서의 육신이다. 3.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원칙적으로 앞에서 본, 2) 죄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으로서의 육신(타락한 인간성)에서는 해방되었고, 그 대신 3) 새로워진 인간(곧 새 사람 또는 새로운 인간성)으로서의 육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도 연약함과 한계를 가진 인간으로서의 육신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다(갈 2:20; 고후 4:7-11; 빌 1:22-24 등).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도 그의 이러한 연약한 육신(인간성)으로 인해 이 세상에서 항상 죄의 유혹과 시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가 이러한 죄의 유혹과 시험에 굴복할 때, 그는 다시 죄와 육신(죄 있는 육신, 곧 타락한 본성으로서의 육신)의 지배를 받게 되는 것이다(롬 6:16; 8:13; 고전 3:1-4 등). 바울은 이런 사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 또는 “육신에 속한 자”라고 한다(고전 3:1-4). 이런 사람은 그리스도인이면서도 타락한 인간성으로서의 육신에 속하여 그 육신을 따라 삶으로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롬 8:13; 갈5:16-21 등 참조). 4.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그의 이러한 연약한 육신(또는 인간성)으로 인한 죄의 유혹과 시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항상 깨어 기도해야 한다(엡6:10-18; 마 26:41 등 참조). 그리고 그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가운데 성령을 따라 행해야 한다(롬 8:4 등). 곧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그 뜻에 순종해야 한다(롬 12:1-2 등). 그러면, 그는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않고, 대신 성령의 열매를 맺기 때문이다(갈 5:16-26 등). 그리고 그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여(지, 정, 의 포함)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장성한 사람이 되기 때문이다(엡 4:13-16; 딤후 3:14-17 등 참조). This thesis examined the Apostle Paul’s concepts of the flesh(σaρξ) and their ethical meanings as described in Paul’s epist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Paul, the concepts of the flesh(σaρξ) can be divided into 6 items as follows: 1) the tissues of the body (flesh, muscles or meat), 2) the body of a human, 3) the human who has weaknesses and limits, 4) family line or descent, 5) the external conditions of a human or the things which belong to the human, 6) as that which has ethical meaning, the human or the human nature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sin. 2. Among the above 6 items the first 5 have neutral and instrumental meaning, because they can be used as either good or evil up to their masters’ characters. Everyone has such fleshes and is living with them, because they are of the basic human conditions. However, these have been polluted with sins since Adam’s Fall. Paul calls such human or humanity, that is polluted with sin and is under the control of sin, ‘flesh’ too, and this is the 6th meaning of the flesh. By the way, Paul says that if a person knows and believes in Jesus Christ, he/she is freed from sin and becomes a new person. He/she not only is forgiven of all his/her past sins, but also becomes a new person who has been freed from sin and is living toward God, through his/her union with Christ (Rom. 6:1-11, etc.). He/she has been freed from the flesh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s in, and has become a person who has the image of God (Rom. 8:9; Eph. 4:22-24; Col. 3:5-10; 2Cor. 5:17; Eph. 5:8-9, etc.). Therefore, we can classify Paul’s concepts of the flesh largely into three kinds as follows. 1) The first one is just as a neutral meaning the flesh as the human(or humanity) who has weaknesses and limits, 2) the second one is the flesh as the human(or humanity) who is under the control of sin, and 3) the third one is the flesh as the human(or humanity) who has been freed from sin and has become a new person. 3. Therefore the Christian who believes in Jesus Christ, in principle, has been freed from the flesh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sin, and has become a new person (Rom. 8:1-9, etc.). However, he/she has not yet been freed from the flesh that has weaknesses and limits. Therefore, even the Christian is always open to the temptations of sin in this world of sin and death, because of his/her weaknesses. And when he/she surrenders himself/herself to the temptations of sin, he/she commits sins, and happens to be under the control of sin and of the sinful flesh (Rom. 6:16; 8:13; Gal. 5:16-21, etc.). Paul calls such people “babes in Christ” or “men of flesh” (1Cor. 3:1-4). 4. Therefore, Christians should always pray in alert and follow the Holy Spirit so that they may not fall into such temptations of sin (Eph. 6:10-18; Rom. 8:4, etc.), grow in Christ, and do the will of God (Eph. 4:13-16; Rom. 12:1-2; Gal. 5:16-21, etc.).

      • KCI등재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에서 ‘인격 안의 인간성’ 개념 이해

        추교준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72 No.-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1788)에서 등장하는 ‘인격 안의 인간성’(Menschheit in der Person)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인격’(Person), ‘인격성’(Persönlichkeit) 개념에 대한 설명과는 달리, ‘인격 안의 인간성’은 별다른 설명 없이 곳곳에서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천이성비판 에서 도덕적 주체인 인격은 두 세계 사이의 존재자로서, 자연의 기계성을 벗어나 자유라는 이념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칸트는 이 자유를 인격성이라 규정한다. 그런데 뒤이어 인간은 신성하지 않지만 인격 안의 인간성만이 신성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인격 안의 인간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 도덕형이상학 정초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1785)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기서 ‘인격’ 및 ‘인간성’(Menschheit) 개념의 용례를 분석하고 인간성 개념에 이중의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것이다. 이후 볼프의 일반 실천 철학 (Philosophia practica universalis, 17381│17502)에서 등장하는 ‘이중의 인격’(duplices personae)을 살펴볼 것이다. 칸트의 ‘인격 안의 인간성’과 볼프의 ‘이중의 인격’을 비교·대조 해봄으로써, 칸트의 ‘인격 안의 인간성’은 전통 형이상학적 질서에서의 영혼 개념을 벗어나서 유기체인 동시에 이성적 본성을 지닌, 자라나고 성장하는 인간이 지니는 개별적이자 보편적인 특성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이는 칸트의 인격이 현상계와 예지계 사이에서 도덕적 실천이라는 끝없는 고군분투를 감행하는 존재임을 확인해 주는 특성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umanity in Person’ (Menschheit in der Person), which appeared in Kant’s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 explains the concepts of ‘Person’ and ‘Personality’ (Persönlichkeit), bu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Humanity in person’. In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Person as a moral subject is an entity between two worlds that pursues the idea of freedom by escaping the mechanical nature. Kant defines this freedom as Personality. However, he then goes on to claim that Humans are not sacred and that only the Humanity in the Person is sacred. What does ‘Humanity in Person’ mean here? To understand this question, I will read the Foundation of Moral Metaphysics. He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age of the concepts ‘Person’ and ‘Humanity’, I confirm that there is a double meaning within the concept of Humanity. Next, I will look at the ‘double Person’ that appears in Wolff’s Universal practical philosophy. Through this, I will compare and contrast Kant’s ‘Humanity in Person’ and Wolff’s ‘double Person’. Kant's ‘Humanity in Person’ breaks away from the concept of soul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order and reveals that it is an individu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 of a growing human being who has both an organism and a rational nature. Through these points, we can see that Kant's Person is a being who endlessly struggles to practice between Phenomena and the Noumena.

      • KCI등재

        인간성 회복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장정은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oss and recovery of humanity in terms of psychoanalytic perspective and to describe why the Korean society loses its human qualities and how it recovers the qualities. Psychoanalysis has continually developed since its introduction by Freud. However, in spite of its development, there have been the similar preconditions and assumptions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It assumes the existence of the Unconscious in our own inner world. Its therapeutic key method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nd integrate it into the our minds. The Unconscious means an area of our inner worlds which people are not able to recognize. It can be conscious with the help of someone who knows its pattern and grammar. In this way, psychoanalysis presupposes a split part from our inner worlds and it understands psychopathologi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lit part. The loss of humanity designates the splitting and separation which occur in our inner worlds and arouse difficulties in our minds. The recovery of humanity, in the other hand, is related to the incorporation of the split part into our minds. This study finally talks about the reason why the Korean society loses its human qualities and the way in which the Korean society recovers them. For this work, this study uses psychoanalytic theories and concepts. Korean society has put its emphasis on the economic growth and efficient thinking, Productive and rational activities have predominated in the Korean society. As the result, emotional and humane aspects of human beings have been sacrificed to achieve the highest work performance. This imbalance in our society has brought the splitting of our hearts and the loss of humanity. The study provides how to get over the loss and to repair the splitting in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성 상실과 회복에 대해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인간성 상실의 원인과 그 회복의 길을 분석하고 묘사하는 데 있다. 프로이트가 처음 정신분석을 도입한 이래로, 정신분석은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하지만, 그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이 초기부터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는 전제와 가정들이 존재한다. 인간의 심리내적 세계에서 무의식의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한다는 것이 그 가운데 하나이다. 무의식의 영역을 전제하고 그것을 의식화시키고 통합하는 것이 정신분석 치료의 핵심이라는 것은 어는 정신분석학파에나 적용이 된다. 의식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은 정신분석이 구획화된 인간 마음에 대해 묘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곧 인간의 마음에는 소외되고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이 심리적 증상과 정신병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정신분석은 설명하고 있다. 이렇듯 무의식 개념은 인간 마음에 분열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분열로 인해 인간에게 심리적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이런 분열이 통합되어 인간의 마음에 전체성을 다시금 회복할 수 있는 것이 정신건강에서 중요한 측면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런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인간성의 상실을 분열과, 인간성의 회복을 통합과 관련시켜 이해하며 이를 한국사회의 인간성 상실과 회복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 동안 한국사회는 지나치게 경제성장을 강조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생산적이고 이성적인 활동에 집중하는 사회분위기에서 인간적인 속성들의 억압, 격리, 분열, 소외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인간성의 상실을 가져왔다고 본 연구는 분석했다. 또한 인간성 회복을 위해 한국사회에 필요한 제안들을 본 연구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