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원불교 실학론’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지금까지 ‘실학’ 개념은 주로 서구 근대적인 실용성이나 실증성과의 관련속에서 이해되어 왔고, 실학자의 범위도 조선후기 유학자들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적인 의미의 ‘실학’ 개념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의 것이라기보다는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과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을 암암리에 차용하여 조선후기사상사 서술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류병덕은 1930년대의 정산 송규의 ‘실천 실학’ 개념을 단서로, 조선후기의 실학을 ‘이론실학’으로 규정하고, 구한말의 안창호나 백용성 그리고 원불교를 이론실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실천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의 실학, 즉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이야말로 사실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이 말하는 ‘실학’ 개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류병덕의 실학 개념은 원래의 실학 개념으로 되돌아가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사상가들은 어디까지나 도덕실천이라는 유학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제도개혁을 주장하였는데, 그런 점에서는 원불교에서 말하는 “도학과 과학의 병진”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류병덕의 ‘원불교실학론’은 기존의 ‘실학자=유학자’라는 편협한 도식에서 벗어나서 ‘실학’의 층위와 범위를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has been mainly dealt with reference to Western modernity, and its scope has been limited to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i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as a modern science might have come from Hukuzawa Yukichi (1835~1901) in Japan rather tha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Song Gyu, the second leader of Won-Buddhism in the 1930s, suggested that Won-Buddhism is a Practical Learning of action, that is, Practical Learning as a moral practice. Ryu Beong-deok in the 1990s, developed Song Gyu’s suggestion. and argued that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a theoretical Practical Learning. In fact,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he same as Song and Ryu’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pursued political reform based on moral practice. This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pursuit of both Dao Learning and science in Won-Buddhism. The Theory of Practical Learning in Won-Buddhism by Ryu Byeong-deok suggests that we should extend the scope and range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
      • 루만의 체계이론과 실학의 합리성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1 No.2

        오늘날 기능적 분화를 넘어 배타분화 되고 있는 ‘지식사회’에서 전통적 합리성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실학의 합리성이 다시 새로운 지식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실학의 합리성 개념이 아직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체계에 편입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루만의 체계이론은 보편적 ‘커뮤니케이션체계’에 대한 이론적 장치로서 체계합리성을 개념화하고 있다. 체계합리성을 준거로 실학의 합리성을 개념화할 수는 없을까? 특히 이러한 발상에 있어서 체계합리성은 외율준거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체계는 조작적으로 환경에서 배제되고 자연을 관찰하면서 환경에 포함된다. 재귀준거와 외율준거의 차이로서 환경에 대한 차이는 체계고유의 관찰에 기초가 된다. 체계는 배타분화를 통하여 환경에서 일어나는 것과의 관계에서 전적으로 무관심하다. 그러나 이러한 무관심은 체계 자체의 복합성을 증축하기 위한 방패처럼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성은 체계내부에서 정보의 형식으로 자연을 감지할 수 있는 한 환경에 의한 자극에 대해 아주 민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합리성은 체계와 체계 내 환경과 차이의 일관성을 성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체계합리성이 ‘자동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칭의 무너짐’을 필요로 한다. 바로 이러한 비대칭성에서 합리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확실성에 대한 잠재력이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잠재력인 것이다. 그리고 의존이 아니라 자유가 중요하며,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자유의지의 장소와 상상력이 중요한 것이다. Today, the rationality of Sirhak, which was regarded as a treasure-house of the traditional rationality in the knowledge society that shifted from a functional differentiation to an ex-differentiation, began to rise again as an alternative source for the new knowledge. However, the concept of rationality hasn't yet reached the level where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al communication system. Luhmann`s System Theory, as theoretical tools conceptualized the systems rationality about the universal communication system. In lieu of the systems rationality can the rationality of silhak be conceptualized? Especially, in terms of this inspiration, systems rationality can be an external reference. One system is excluded from the environment technically and included in the environment by observing the environment.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environment form the foundation of the system observation as a different standard of reflexive- and external references. System itself is completely indifferent to the relationship with what is occurring in the environment through ex-differentiation, however, the indifference is used as a shield to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The complexity would be very sensitive to the environmental stimuli as long as it can perceive the environment as a form of information in the internal system. Rationality means that the consistency of differences between the system and the environment of the system should be maintained. The 'break in symmetry' is needed for this system rationality to maintain the 'autopoiesis'. What is asked is not the potential for the certainty but the uncertainty to find a rationality in the asymmetry. It is the importance of freedom rather than dependency. What is really needed is undiscovered free will and imagination.

      • KCI등재

        「허생전」에 투영된 박지원의 경제 사상 -서구 경제학 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설경 ( Li Xue-jing ),서영빈 ( Xu Yong-bin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5 No.-

        본고는 연암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 투영된 그의 경제 사상을 독점경제, 자유무역, 분산투자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서구 경제학 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서구 사회의 경제번영을 이끌었던 경제학 이론들은 오늘날까지도 인류 사회 발전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에 비해 연암의 경제 사상은 당시 사회적, 문화적 요소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그저 문학작품 속 담론으로 소비되는 데 그쳤다는 등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중농주의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폐쇄된 동양에서, 특히 조선이라는 불모지에서 서구 경제학 이론과 일맥상통하는 그의 경제 사상은 특별한 의미를 가지며 그 가치는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이러한 연암의 경제 사상이 그저 실학사상의 한 갈래로만 평가되고 더 넓은 세계적인 시각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며 본고는 서구 경제학 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igns of economic transformation with capitalis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feudal society. Jiwon Park being a representative of the pragmatist in this period, his novel Heo Saeng Jeon takes the business experience of Heo Saeng as the main line, revealing the structural defects of the CHOSUN Dynasy’s economy in 18th century. Heo Saeng’s ways of doing business in novel, such as opposing monopoly, supporting foreign trade and advocating diversification of investment, etc, coincide with western economic theory. Therefore, this paper will interpret the economic thoughts and business ethics reflected in the Heo Saeng Je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economics, and then further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 the entire East Asian economy.

      • KCI등재

        여말선초 사대부의 대응양상과 사상적 전환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5 No.-

        조선조 유학의 특징은 순정한 도덕성의 중시와 함께 이를 구현시킬 수 있는 현실적 제도와 권력의 추구라는 강한 실천성에 있다. 유교적 이념을 사회에 실천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주자학의 언어와 이론으로 해석하고 타개해 나가면서 이를 재구성함에 의하여 조선의 성리학이 정립된다. 여말선초라는 전환기에 대한 대응이 도덕성/실천성이라는 두 가지 대립적연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바로 유학의 담지자인 사대부들이 구체적인 방법론과 현실적연 실천 방안을 둘러싸고 서로 간에 인식을 달라했기 때문이다. 조선 초기, 당시 사회가 제기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모색하고 새로운 사회를 기획하고 개척해가면서 전대의 이념인 불교와 도가사상에 대한 비판이론이 구축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조선 유학의 초석이 준비된다. 이 비판이론은 ‘무’에서 ‘유’로, ‘허’에서 ‘실’로 라는 도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교는 현실성/실천성의 철학적 토대를 구축하게 되며 이는 16세기 ‘사화士禍’라는 극심한 모순을 타개하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퇴/고의 사단칠정론이 형성되는 기반이 된다. 조선유학은 실천과 이론, 현실과 이상의 변증법적 통일체로서 한국의 사장으로 정립되고 발전되어 나간 것이다. Confucianism in Joseon can be characterized by emphasis of pure morality and practical pursuit for political power. It required Neo Confucian theories and languages to deal with social problems and consequently reformulated Joseon Confucianism. Dichotomy of morality and practicality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epended upon Confucian literati's diverse perceptions of the way to practice ideals. In the early Joseon, in the middle of solving the problems, envisioning new society, they established critical ideas against Daoism and Buddhism and made a ground for Joseon Confucianism. Critical ideas can be summed up as transition from nothingness, vacuity to something and practicality. It was philosophical ground for reality and practicality. In the 16th, times of literati purge, Four Seven debates was established for overcoming the problem. Confucianism in Joseon has been built as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realism and idealism.

      • KCI등재

        조선후기 독서론과 독서 방식의 변화 -18세기 연암일파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박수밀 ( Park Su-mil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3 No.-

        This study observed the reading theory and the change of reading ways, so examined the intellectual attitude and the change of interests of highbrows. The reading of purpose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was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making the teaching of the sages. But realists pursued the truth and the pure pleasure with realistic interest. Till the middle Chosun Dynasty, they complied with a reading way of accepting of sages words. But Sungho school(성호학파) thought important of doubting objective actuality. Yunam school(연암학파) were aware of the changeability of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language. So they emphasized on the inside of readers. Till the middle Chosun Dynasty, required reading tought the codes of ethics and diciplines. However, the late Chosun Dynasty intended open society. A lively reception the Collection of the last period of Myoung era and the early of Chung era and reading heat changed cultural climate into emphasizing on wide reading and the erudition. Through the Chosun Dynasty, the highbrows samely doubted, emphasized on emptiness, talked about practicalism, but their aspect were different. They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in what doubting, what empty. The later highbrows regards characters as living universal natare, doughted everything, so they brought distinct reading ways and attitudes. Moreover, they rediscovered the existence of friends, carried on negotiations with the outside, amassed riches, so it enlarged scope of reading and leavened reading ways.

      • 한국의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유교적 제언 : 화이론(華夷論)의 극복과 군자교육

        장현근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011 다문화사회연구 Vol.4 No.1

        경제적 낙후와 문화적 낙후가 동질적인 것이 아님에도 한국인들은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이주민들에 대하여 잘못된 문화 우월주의를 견지하고 있다. 이 글은 다문화 사회 사회통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 가운데 하나를 중화문화 우월주의와 잘못된 화이관(華夷觀)의 전승 때문으로 본다. 동양철학 쪽의 다문화 사화통합에 대한 선행 연구업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글은 일종의 시론이며, 한국인의 내면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유가사상에서 그 대안을 찾는 작은 시도이다. 2장에선 전통 속의 화이론과 중화주의가 어떻게 생겨나 중화 우월주의로 나갔는지 살펴보고, 3장에선 중화주의 내의 그릇된 화이관이 잘못 전이되어 조선문화 우월주의로 가게된 과정을 설명하고, 북학파의 논의 속에서 그 해법의 실마리를 찾는다. 4장에선 화이론의 극복이라는 전제 위에 전통 유가사상에서 군자교육과 같은 긍정적 요소들을 찾아 내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