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 제안

        민경식(Min Kyoung-Shik) 한국신약학회 2010 신약논단 Vol.17 No.1

        최근에 국립국어원에서 외국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의 일환으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을 내놓았으며, 이에 따라 그리스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시안)가 발표되었다. 그런데 이 시안은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성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이 소외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물론 성서학계에서도 성서언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에 대한 논의가 없지는 않았으나, 신약의 언어인 성서 그리스어의 경우, 매우 제한적으로만 연구되었으며, 그 결과 오늘날 신약학계에서 성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이 아직 정착되지 못하였다. 더군다나 그나마 실시된 기존의 연구들은 최근에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기본 원칙들을 위배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본 소고는 성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 원칙에 대한 제언을 내어놓는다. 국립국어원의 기본 원칙과 상응하는 다섯 가지 기본 원칙들을 제안하고, 이 원칙들을 토대로 음역 세부 지침과 실질적인 예들을 제공한다. 본 소고는 성서 그리스어의 우리말 음역에 대한 하나의 제안일 뿐이다. 이 연구의 여러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이 소고가 이 방면의 지속적인 논의와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이 밖에도 성서의 고유명사(인명, 지명 등) 음역에 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drawn up a tentative draft of transcription of Greek into Korean, though it was mainly focused on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Greek, not on the biblical. Of course there have been a few researches to establish general rules of transcription of the biblical Greek into Korean script. These, however, are not widely accepted, nor settled in the scholarly field. Moreover, they are sometimes against the basic principles which the Institute mentioned above recently has established. This study distinguishes “transcription” from “transliter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general rules of transcription (not transliteration) of the biblical Greek into Korean. It suggests five basic principles in accord with thos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se basic principles, it tries to give a concrete guidance of transcription and to offer some actual examples. Despite some limitations of this proposal, the present writer expects this study to be a groundwork for further constructive examinations and continuous developments of transcription principles of the biblical Greek into Korean. Besides, transcriptions of proper names should be the next area of research.

      • KCI등재

        《희린음의(希麟音義)》의 음역어(音譯語) 연구(硏究)

        이지영 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語文學誌 Vol.0 No.63

        我們可以通過音譯語與飜譯對象梵語的比較分析出所音譯的是何種音。就此可知梵語詞語和音譯語的音譯過程, 了解當時實際發音。而且《希麟音義》對音譯梵語的詞語給出了解釋。若有比標題詞更適合的飜譯則給出‘正云…’等, 除了被音譯的標題詞外還有其他音譯語時也給出標記。長久以來人們飜譯佛經, 在這個過程中飜譯者和飜譯時期的差異, 使得梵語詞語被譯爲漢語多種詞語的情況也很多。爲了選擇適當的飜譯語進而減少這種混亂音義書整理了這些詞語, 希麟也是同樣的。本文通過《希麟音義》的標題詞掌握音譯語的音韻情報, 通過與梵語比較了解音譯語的實際音譯過程, 以及梵語被音譯爲漢語的各種現象。從中分析出了重現中古音的幾個必要因素。當然這些依據需要與韻書、等韻圖的相關關系、現代方言等諸多因素組合進行取舍。

      • KCI등재

        현장(玄장)의 음역어, 마게타(摩揭陀)에 관한 고찰

        공만식 ( Man Shik Kong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본론은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초기 시대부터 후대까지 번역 경전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었던 ``magadha``에 대한 음역어들(摩竭提, 摩伽陀등)과 이 기존 음역어들을 와전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음역어인 摩揭陀가 올바른 음역임을 주장하는 현장의 음역어를 비교하여 고찰한다. 구역 음역어의 사용 폭과 사용 시기, 사용자들의 특징들을 고찰하여 그 특징들을 파악한 후, 이들 구역 음역어들이 가지고 있었던 역경상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구역 음역어들이 magadha에 대한 음역에서 신, 구역을 통틀어 가장 보편적으로 다수의 역경승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구역 음역어의 영향력은 현장의 신역 음역어인 摩揭陀가 등장한 이후에도 현장과 그의 제자 그룹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경가들에 의해 지속되었다. 그리고 현장의 신역 음역어 사용자들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과 현장 이후에 구역 음역어인 摩竭提, 摩伽陀의 사용 용례를 통해 신, 구역 음역어의 역경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신역 음역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大唐西域記와 續高僧傳을 통해 새로운 경전 번역과 음역어 사용에 대한 현장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present essay is aimed at exploring the word, Magadha, transliterated from Sanskrit and Pali into Chinese by Xuan Zang. This translated word started to be used by Chinese monks, Xuan Zang, who intended to circulate his own Chinese transliteration for ``magadha`` for which there were the words which have already been universally used to translate Buddhist canon. The words translated from before Xuan Zang have been called as the Old Translation, and among a lot of translated words for Magadha, the most significant words are Mo jie ti(摩竭提) and Mo jie tuo(摩伽陀). These two words have been used from Hou Han period and they were used even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after Xuan Zang`s pass away. The words are Mo jie ti(摩竭提) and Mo jie tuo(摩伽陀). And these words were comprehensively used for translating Buddhist canon which were introduced from India. On the other hands, new transliterated word which started to be circulated from Tang dynasty by Xuan Zang. Xuan Zang looked down upon the words under the influence of the Old transliteration, and he tried to prohibit reading Buddhist canon which belonged to the tradition of the Old translation of Buddhist literature. The intention of Xuan Zang who tried to circulate his own translated Buddhist canon and words failed in two aspects. One is that even his times, the word of transliteration by him was used by solely himself and his disciples and the two words of Old Translation had continued to be used even in Tang dynasty.

      • KCI등재

        한역 대장경의 음역어로 파생된 문제 사례

        정승석(Jung, Seung Suk)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본론은 한역(漢譯) 대장경에서 음역어로 파생된 문제들 중 일부를 대표적 사례로 추출하여 검토한다. 여기서는 음역이 유발할 수 있는 착오의 양상을 사례별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판독의 오류를 유발하기 쉬운 사례, 파격적인 음역으로 원어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혼동하기 쉬운 사례, 대정신수대장경 또는 이의 번역본에 제시된 원어가 부정확한 사례를 예시하여 검토했다. 그러나 여기서 검토한 사례들은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그런 만큼 음역어는 한역 불전을 판독하거나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 복병과 같은 장애가 된다. 더욱이 이런 장애는 한역 불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중국의 학승들은 한역 불전에 의거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이런 저서에는 당연히 기존의 음역어들이 구사되지만, 음역어들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거나 해석한 사례를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때문에 중국인의 저서에서 설명하는 음역어 대해서는 일단 오해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음역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들은 애초 번역시에 사용했던 원전을 확보한다면 간단히 해결된다. 그러나 그러한 원전이 없는 현실에서는 관련 자료를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만이 최선의 해결책이다. 근래에는 과거에 수집된 단편적인 사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사본들은 비록 극히 일부의 원전에 지나지 않지만, 모호한 음역어들의 정체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음역어의 문제는 개인적 노력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이 문제는 불전의 원전들을 소장한 단체, 그리고 원전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연대하여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국제적 과제에 속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d representative examples in Chinese Tripitakas containing problems abstracted from transliterated words. I focused on illustrating the patterns of mistakes. In other words, I review possible examples: cases that easily lead to deciphering errors, cases of aberrant transliterations which make it virtually impossible to identify the original words, and cases of unclear or ambiguous original languages which are suggested in T or the translation of T. However, the examples examined in here are merely the tip of the iceberg. Transliterated words are significant hurdle waiting to ambush any attempt to understand or read the Chinese Tripitaka. Moreover, this difficulty is not limited into the matter of translated Chinese Tripitaka. Student monks in China wrote many books based on translated Chinese Tripitaka. Of course, those kinds of books relied upon existing transliterated words but the meanings were frequently misunderstood or misinterpreted. Because of this reason, transliterated words within Chinese works must to be carefully reviewed for the possibility of a misunderstanding. The matters derived from transliterations would be easily resolved if the original manuscripts still existed. However, there are no such manuscripts in reality and thus the best solution is to engage in comparative analysis of related materials from multi-perspectives, what textual critical scholars in the west refer to as textual eclecticism. Recently, the research on fragmentary manuscripts collected in the past has prospered. Even though these fragmentary manuscripts are only a small part of the larger corpus they can provide important clues in the search to reveal the identity of ambiguous transliterations. The issues of transliteration problems presented in this paper cannot be resolved by personal endeavors; they are problems that are international in scope and their solution requires mutual assistance between scholars who are working on manuscripts and Buddhists institutions which possess manuscripts.

      • 청나라 제1대 조선어통역사의 한어 음역이름에 관한 연구

        리충휘(李忠?)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4 No.-

        중조 량국의 력사문헌에 따르면 청나라 제1대 조선어통역사의 인원수가 비교적 많았는데 그들은 청나라에서는 한어 음역이름을, 조선왕조에서는 조선 한자이름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청나라 제1대 조선어통역사들의 한어 음역이름과 조선 한자이름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이들의 한어 음역이름이 만주어 음역이름을 재음역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음역과정에 조선어통역사들은 시대, 문화, 신분과 정체성 사이를 넘나들며 그 음역이름에 조선의 언어문화적 요소가 많이 녹아 들게 하고 문화적 차별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며 베누티의 이국화 번역원칙을 선명하게 드러냄으로써 청나라에 끌려간 조선인들의 복잡한 신분과 그들의 감정정서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가야금 정악보의 기보와 음역에 대한 연구 - 20세기 이후 발행된 악보를 중심으로 -

        이주인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정악을 기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야금 정악보는 율자보를 주로 사용한다. 황종(黃鍾)을 예로 들면 율자의 높낮이는 청탁(淸濁)이라 하여 한 옥타브 높은 음역에서는 청성(淸聲)의 청에서 삼수변(氵)을 사용하여 潢으로 쓰고, 청황종이라 읽는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에서는 배성(倍聲)의 배에서 사람인변(亻)을 사용하여 僙으로 쓰고 탁황종이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배(倍)의 연원을 알 수 없었다.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더니 『세조실록』 권48에서 ‘하4(下四), 하5(下五)는 배탁성(倍濁聲)이다’라는 글귀와, 『악서』에서 율관을 반(半)으로 줄이면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이 되고 두 배(倍)로 늘이면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이 된다는 황종 율관의 제작방법에서 배(倍)의 연원을 찾을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 율자보로 발행된 가야금 정악보는 11종이 있는데 㣴-仲, 僙-㳞, 黃-㴢의 3가지 음역으로 기보 되어있다. 그리고 오선보 음역 기보는 4종이 있는데 2종에서 E♭2–A♭4에서 㣴-仲을, 1종에서 E♭3–A♭5에서 㣴-仲을, 1종은 E♭3–A♭5에서 僙-㳞으로 기보 되어있다. 1920년대에 정악을 오선보로 처음 채보하였고,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현재 아악은 황(黃)=C4, 향악은 황(黃)=E♭4로 기보한다. 합주음악인 정악의 주요 악기들(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의 실제 음역을 측정하였더니 정악가야금의 음역은 E♭2–A♭4이고, 율자기보는 㣴-仲이 적합하였다. 정악에서 사용하는 음역에 대한 용어의 정립과 실음에 맞는 기보를 한다면 가야금 정악보가 보다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mong various notation systems used to notate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yuljabo (music letter notation) is often used for gayageum. In yuljabo, the pitch range of yulja (music letter) is called cheongtak (淸濁). For instance, hwangjong (黃鍾) is written as 潢 and called cheonghwangjong (淸黃種) using the water radical (氵) derived from the character cheong from cheongseong (淸聲). On the other hand, when indicating the lower register, called baeseong (倍聲), it is written as 僙 using the person radical (亻), derived from the character bae from baeseong (倍聲), and called takhwangjong. However, it was unclear from where bae (倍) was derived. Through my research, I have found the origin of the character bae (倍). From the 48th Annals of King Sejo, I have located a written passage where it says “hasa (the fourth lower note, 下四) and hao (the fifth lower note, 下五) are baetakseong (倍濁聲).” Moreover, I have also found its origin from the process of making a pitch pipe for hwangjong: “When you cut a pitch pipe in half (半), you get an octave higher note, and when you make it twice (du bae, 2 倍) longer, you get an octave lower not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11 jeong-ak (court/classical music) sheet music books for gayageum using yuljabo have been published and three different ranges are used to notate music: 㣴-仲, 僙-㳞, 黃-㴢. Among the four music books using a staff, two books use E♭2–A♭4 (㣴-仲), one book uses E♭3–A♭5 (㣴-仲), and another book uses E♭3–A♭5 (僙-㳞). After undergoing several changes since jeongak was first written on a staff in the 1920s, currently hwang (黃) = C4 in aak (ritual music) and hwang (黃) = E♭4 in hyangak (indigenous music). By measuring the actual pitch ranges of the major instruments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in playing jeongak, which is often played as an ensemble, I have found that the pitch range of the gayageum is E♭2–A♭4 and thus concluded that the proper written range for yuljabo is 㣴-仲. In conclusion, if we unify the terms related to jeongak and write music based on the actual pitch range of the instrument, the gayageum jeongak music books will be more logical and utilized more conveniently.

      • KCI등재

        대중가요 보컬 전공 남학생의 성종에 따른 모음 간 음역 차이

        지일송(Il-Song Ji),김재옥(Jaeock Kim) 한국음성학회 202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6 No.2

        본 연구는 대중가요 관련학과에서 보컬을 전공하고 있거나 입시를 준비하는 전공하는 남성 2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성종과 음역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주관적으로 평가한 성종과 음향학적으로 평가한 성종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고, 성종 간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qency, F0)와 평균발화기본주파수 간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이 모음에 따라 고음역에서 산출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극모음인 /a/, /i/, /u/ 모음 간 음역의 차이와 성종별로 구분하여 모음 간 음역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모음별로 성종 간에 음역의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중가요 보컬을 전공하거나 입시를 준비하는 남성의 절반 이상이 본인의 성종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모음 간에 최대기본주파수와 주파수범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모음의 종류에 따라 산출할 수 있는 음역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모음 /a/>/u/>/i/ 순으로 음역이 감소하였다. 이는 모음 /a/가 다른 모음에 비해 고음역에서 조음하기에 용이하지만, 모음 /u/와 /i/는 고모음으로 혀의 위치가 상승함으로써 구강 면적이 좁아지고 후두의 상승이 동반되기 때문에 음역이 감소하고 고음에서 발성하기에 어려움이 초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 male students majoring in or preparing for popular music vocals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ir voice classification and vocal range.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average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were compared among the voice classifications.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y may differ in their ability to produce high frequencies depending on the vowel, differences in voice ranges among the cardinal vowels, /a/, /i/, and /u/, were examined, and differences in voice ranges between vowels were compared by voice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male students majoring in or preparing for popular music vocals were not accurately aware of their voice types.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ximum fundamental frequency and frequency range among vowels, indicating differences in the voice range that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vowel type. In particular, the voice rang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a/>/u/>/i/. This suggests that while the vowel /a/ is easier to articulate in the high register compared to other vowels, vowels /u/ and /i/ as high vowels involve narrowing of the oral cavity due to the raised position of the tongue, accompanied by raising of the larynx, resulting in a decrease in voice range and difficulty in vocalizing in the high register.

      • KCI등재

        외래어 표기과정에서의 현대 중국어 字義 확장과 교육방안 연구― 단음절 음역어를 중심으로

        장은영(EunYoung Jang)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4 No.-

        서양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중국어에 유입되는 외래어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중국어에서 외래어를 표기하는 방법으로는 음역과 음의겸역, 의역, 차용 등이 있다. 특히 음역어는 표의문자의 성격이 강한 한자의 한계를 드러냄과 동시에 한자의 표음성을 부각시키고 자의를더욱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몇 가지 단음절 음역어를 예로 들어 음역을통한 한자의 자의 확장과 자의 유형 분류 그리고 그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磅, 迈’처럼 외래어와 발음이 비슷하면서 자형에서 의미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것은 그자의 유형을 同音假借 引伸義 혹은 字形引伸 假借義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외래어 표기와 관련된 새로운 자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교육 측면에서 ‘卡, 托,吧, 磅, 迈’ 등은 HSK 6급 어휘에 假借義가 사용된 관련 단어가 있었는데, 특히 ‘卡’는 관련단어가 모두 음역어로 음역을 통한 한자 자의 확장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중국어 상용 어휘에서 음역어로 사용된 한자는 그 本義와 引伸義는 물론 假借義까지 고려해 교육을 해야 한다. This paper described a transcription method of loan words in Chinese, such astransliteration, meaning and translation, free translation, borrowing etc. And then,described the meaning expansion of Chinese characters. In order to indicate theextension or borrowing and the type of class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smeaning, this paper selected fourteen monosyllabic words.As a result, the Chinese characters belongs to the pure transliteration words, itsmeaning can be classification to borrowed meaning. And the Chinese charactersbelongs to the glyphs ideographic transliteration words, such as "磅、迈". Itsmeaning can be classified to the borrowed homophone extended meaning orshape extension borrowed meaning, because the shape and pronunciation arerelative to loan words. And the Chinese characters belongs to the meaning andtranslation words, such as "酷". Its meaning can be classified to the borrowedhomophone extended meaning, because the shape and pronunciation are relativeto loan words. The borrowed homophone extended meaning or shape extensionborrowed meaning. This type of meaning also considers the relation of themeaning and the pronunciation between the Chinese characters and loan words, soit'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ype of Chinese characters meaning.Transliter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a transcription of loan words is not onlyaffect the meaning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canevince Chinese characters is flexibly adapted to modern society. This meansChinese characters still have strong vitality.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지역 아유타에 대한 연구 -한역 경전에 나타난 음역어를 중심으로-

        황정일 ( Jung Il Hw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본 논문은 가야불교 전래지인 인도 아유타가 실재한 도시였는지를 한역불전에 근거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에 가야불교 전래지로 추정되는 아유타와 관련해 3가지 학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가야불교의 전래지를 현재의 북인도에 실재하는 아유타(Ayodhya)로 보는 것이다. 이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오는 『가락국기(駕洛國記)』의 내용을 하나의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설이다. 반면에 두번째는 아유타라는 지명 자체가 『라마야나(Ramayana)』의 신화에 근간을 둔허구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즉 고대 인도의 사께따(Saketa)라는 지역이 『라마야나』에 의해서 라마의 탄생지인 아유디야(Ayodhya)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에 나오는 「가락국기」의 내용은 역사적 사실이 아닌 하나의 허구로 보는 것이다. 세 번째는 아유타가 북인도에 있었다거나 『라마야나』에 근거한 허구가 아니라, 남인도의 아유디야 꾸빰(Ayodhya Kuppam) 혹은 그 일부 지역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이 주장은 아유타라는 지명이『라마야나』에서 유래한 것임을 인정하지만 지리적으로는 실재한 도시임을 주장하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한 가야불교 전래지인 아유타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논자는 한역 불전에 나오는 아유타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한 결과, 한역 불전에서의 아유타(阿踰陀)는 적어도 10개의 음역어를 갖고 있으며, 한자표기로는 14개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아유타와 관련한 음역어를 조사한 결과, 초기경전인 『잡아함경(雜阿含經)』에 이미 아유타의 음역어인 아비사(阿毘도)와 아비타(阿毘陀)가 나올 뿐만 아니라, 사께따의 음역어인 사기(娑祇) 또는 파기(婆祇) 역시 나온다. 이는 이미 아유타와 사께따가 공존했다는 증거로 사께따가 『라마야나』에 의해서 아유타로 되었다는 주장과 모순된다. 또한 사께따가 『라마야나』에 의해서 아유타로 되었다는 증거로 법현(法顯)의 『고승법현전(高僧法顯傳)』 이전에는 아유타라는 지명이 없었다는 주장 역시 『고승법현전』 이전에 역경된 『불설수말소표경(佛說水沫所漂經)』이나 『불소행찬(佛所行讚)』 등에 아유타의 음역어인 아영사(阿迎도)나 아수사(阿輸도) 등이 나옴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가야불교 전래지인 아유타는 초기불전에 실재하는 도시로 나올 뿐만 아니라, 부처님과 관련한 여러 에피소드를 갖고 있는 불교신봉지역임은 틀림없어 보인다. 따라서 가야불교가 인도 아유타로부터 전래되었다는 설은 그 과정의 맥락은 확신할 수 없지만, 적어도 허구적이지 않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whether Ayuta, where Gaya accepted Buddhism from, was a city that existed then or not, using Chinese Sutras. There are three main theories about the existence of Ayuta which is assumed to be the place where Gaya Buddhism came from. The first theory is, seeing Ayuta in the Chinese Sutras as the current Ayodhya in North India. This theory accepts the 「Story of the Geumgwan Gaya(駕洛國記)」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as a historical account, insisting Buddhism was transmitted to Gaya from Ayuta. The second theory states, the name Ayuta came from an Indian literature, 『Ramayana』 which is a Hindu mythology. It says Ayodhya where Rama was born in 『Ramayana』is actually an Ancient Indian city called Saketa. Also, in the second theory, the 「Story of the Geumgwan Gaya」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considered a folktales, not a historical event. The third theory states that Ayuta is either Ayodhya Kuppam or a part of Ayodha Kuppam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 India. It says the name Ayuta did come from 『Ramayana』, yet, the geographical existence of the city itself is still considerable. Through researching Chinese Sutras about the existence of Ayuta, i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 Looking at the sound-translation words from the Chinese Sutras, Ayuta has at least ten sound-translations, and it can be written in fourteen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In one of the early sutras,『Agama(雜阿含經)』, Ayuta is sound-translated to Abhisa(阿毘도) or Abhita(阿毘陀), and Saketa is sound-translated to Sagi(娑祇) or Pagi(婆祇). This shows Ayuta and Saketa existed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e second theory, saying Saketa is the same as Ayuta, is contradictory. Some scholars say that since the name Ayuta was not found in any records before Faxien``s travelogue, 『Record of the Buddhistic Kingdoms(高僧法顯傳)』, it proves that Saketa is the same place as Ayuta in 『Ramayana』. Only, it should be reconsidered due to Ayuta actually being found as Ayungsa(阿迎도) and Asusa(阿輸도) in the earlier records, 『Bulsulsumalsophyo-gyung(佛說水沫所漂經)』and 『Buddhacarita(佛所行讚)』. In conclusion, referring to the Early Sutras, Ayuta seems to be existed then, containing many episodes related to the Buddha and was cherished by many people as a sacred place. It is not clear how Buddhism transmitted to Gaya from Ayuta, yet, it does not look like a total fiction at least.

      • KCI등재

        중국어 음역어의 단음절 형태소화 현상에 대한 고찰

        김태은(Kim Taee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중국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는 중국 사회는 활발한 국제 교류와 빠른 경제 성장을 토대로 외국으로부터 다양한 문물과 개념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중국어 어휘에도 매우 큰 변화가 일게 되었다. 비단 새로운 어휘가 생겨났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새롭게 조어(造語)되는 차용어도 눈에 띄게증가하였다. 본고는 최근 크게 변화는 중국어 어휘 중에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음역어의 단음절 형태소화 현상에 대한 고찰이다. 단음절 형태소화란 음역어에서 외국 음을 전사하기 위해 사용된 표음부호로서의 한자 중 어느 한 두 개가 전체 음역어의 의미를 대변하게 되어 새로운 형태소로 재탄생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표의]이던 한자가 음역어에서 [-표의]로 사용되다가 다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여 [+표의]의 한자로 회귀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런 형태소화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해당 음역어의 축약, 고빈도 출현율, 안정성, 조어력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며 이런 외래 형태소들은 중국어 어휘에 수적인 증가, 표현능력의 향상, 구조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형태소들을 몇 가지 기준에 의해 그 유형을 분류하고 형태소화를 이루는 음절의 특징에 대해서도 논의함으로써 현재 중국어 어휘에 출현하고 있는 변화의 일면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he morphemization of Mandarin meaningless syllables, which consist of phonetic loans. This morphemization means that one or two meaningless syllables in Mandarin phonetic loans become a morpheme by attaining a new meaning. They stand for the whole meaning of phonetic loans, even though they are only one or two syllables, which are extracted from the phonetic loans. Namely, a Mandarin syllable whose feature is [+meaning], it becomes a syllable whose feature is [-meaning] in order to transcribe foreign sounds, and finally it becomes a syllable whose feature is [+meaning] by getting a new meaning. This means that the syllable becomes a morpheme. In order for morphemization, some elements are required as follows: abbreviation, high frequency, stability, and ability of word-formation. Morphemization makes a number of Mandarin vocabulary not only increased, but also varied. In addition, it can change the inner structure of Mandarin vocabulary. This paper also discusses ab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orphem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