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리스도인들에게 “모세의 율법”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바울의 율법이해를 보는 하나의 시각

        조경철(Kyong Chul Cho)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이 논문은 바울의 율법이해를 주제로 한다. 먼저 바울은 “율법”(νόμος)을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율법에 관한 바울서신의 해석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로마서의 해당 단락에 나타난 바울의 견해를 살펴본다. 바울은 이 서신들에서 율법의 구원사적인 역할에 관해서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낸다. 신약성서에서도 매우 독특한 바울의 율법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울의 율법이해는 그의 다마스쿠스 계시사건에서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으로서 바울은 율법에 의해서 저주받고 죽은 그리스도가 다시 살아났다는 놀라운 체험에 근거하여 구원사적인 차원에서는 율법에 매우 부정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율법을 하나님의 거룩하고 의로운 뜻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바울의 율법이해는 때로는 혼란스러운 인상을 주기도 한다. 율법신앙에 투철했던 바리새인 바울이 다마스쿠스 사건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사도가 된 이후에도 율법을 둘러싼 고뇌가 계속되었다는 뜻이기도하다. 그러나 율법의 행위로는 구원받을 수 없고,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구원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 바울은 추호의 의심도 하지 않는다. 그러면 윤리적인 측면에서는 어떠한가? 구원론의 차원에서는 율법의 기능이 끝났다면, 윤리적인 차원에서는 여전히 율법이 유효한가? 학자들의 의견이 여러가지 갈리지만, 필자는 윤리적인 차원에서도 율법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더 이상 유효한 기준으로 작용할 수 없다는 것이 바울의 신학이라고 여긴다. 바울은 성도들의 윤리적인 삶에 관하여 가르칠 때에도 모세의 율법에 근거해서 가르친 적이 없다. 바울에게 중요한 삶의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나타난 사랑이다. 바울의 가르침이 내용적으로 모세의 율법의 내용과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할 수는 있지만, 그러나 모세의 율법은 바울에게 어떠한 기준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오늘의 교회들도 모세의 율법을 설교할 때, 매우 조심해야 한다. 어느 경우에도 율법적인 차원으로 삶의 교훈을 제시해서는 안 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정신에 부합하는 삶을 가르치고 실천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길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법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법과 율법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리는 율법 준수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right읥법과s율법ss)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톨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율법을 지켜야 하는가?

        최영태 ( Choi Yeong Ta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4 No.-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하는가? 아니면, 지킬 필요가 없는가? 이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대한 답에 따라 그리스도인의 구원의 방법과 삶의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모세의 율법을 그대로 다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모세의 율법은 지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을 검토한 결과, 이 두 견해는 다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 두 견해의 문제들을 보완한 제3의 견해를 제시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인들은 구약의 율법 특히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 모세의 율법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며(딤후 3:16 등), 예수께서 다 지켜야 한다고 했기 때문이다(마 5:17-20 등). 그러나 그 율법의 준수는 형식적 의미의 율법이 아니라, 율법의 본질적인 내용인 율법의 정신 곧거룩, 의, 선(사랑)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1) 모세의 율법중 도덕법은 하나님의 백성의 삶의 원리로서 그 내용은 거룩, 의, 선 곧 사랑이다(마 22:34-40; 갈 5:13-14; 롬 13:8-10 등). 그러므로 이 도덕법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롬 2장; 3:31; 8:1-4 등). 이것은 영원히 변치 않는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다(마 22:34-40 등). 2) 율법의 형식적인 내용 특히 의식법은 하나님 앞에 속죄와 정화와 화목에 대한 것으로 이것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이루어졌다(히 10:17-18 등). 그러므로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이 의식법을 그대로 지킬 필요가 없다(갈 3:15-29; 4장). 그러나 그 의식법의 정신인 거룩과 정결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함으로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계속 지켜져야 할 것이다(요일 1:9 등 참조). 3) 시민법은 이스라엘 민족의 시민 생활에 관한 법으로서 오늘 역사와 문화가 다른 우리의 시대에 그대로 지킬 수 없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그 시민법의 정신인 정의와 사랑은 오늘 그리스도인들의 삶 속에서도 지혜롭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롬 12:1-2; 엡 5:15-17 등 참조). 이와 같이 율법의 형식적인 측면은 실체이신 그리스도가 오신 오늘 그리스도인들이 그대로 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율법의 본질적인 측면인 거룩과 의와 사랑은 타락한 인간성을 가진 인간은 자기 힘으로 이것을 행할 수가 없다(롬 7장 등). 그러나 오늘 그리스도인들은 계속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의지함으로 이것을 행할 수 있다(롬 8:1-4 등). 그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에서 벗어나 새사람이 되었고(롬 1-6장), 또한 삼위 하나님이 그와 함께 계시므로 그가 계속하여 성령을 따라 행할 때 이것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롬 7-8장; 갈 5:16-26 등). 오늘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이와 같은 사실을 바로 알고 행할 때에 그들의 삶은 이 땅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이루고,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것이다(마 5:13-16; 6:33). 그리고 이것은 오늘 한국교회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그리스도의 복음 선교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Should Christians keep the Mosaic Law of the Old Testament or not? This is a big issue, especially in Korea today, becaus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irectly affects both the way to salvation and the contents of Christian living.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are divid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Christians should keep the Law literally, and the other is that Christians should not or need not keep it. However, according to this research, both of these two views have problems. So this thesis presents a third view which complements the two views. The third view is as follows. Christians should keep the Mosaic Law because it is the word of God which is inspired by God’s Spirit (2 Tim. 3:16), and because Jesus Christ said that it should be kept wholly (Matt. 5:17-20, etc.). However, the keeping of the Law should not be too rigid or formal, but rather the essence of the Law, that is, the spirit of the Law should be kept. And the spirit of the Law is holiness, righteousness, goodness, and love (Rom. 7:12; Matt. 22:37-40, etc.). The more detailed explanation is as follows: 1) The moral law of the Mosaic Law should be kept as it is, because it is the moral principle of the people of God and it requires holiness, righteousness, goodness, and love (Rom. 2:6-16; 7:12; Matt. 22:37-40, etc.). 2) The formal aspects of the Law, especially the ceremonial law should not be kept literally (Gal. 3:15-29; 4:8-11, etc.), because the ceremonial law and its rites, which are for atonement, purification, and the reconciliation of the people of God, have already been accomplished by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Heb. 10:17-18, etc.). However, the spirit of the ceremonial law, which is for holiness, purity, and reconciliation of the people of God, should be kept even in the life of Christians today, because it is still required even for Christians today (1 John 1:9, etc.). 3) The civil laws of the Mosaic Law, such as the rules regarding the civil life of the people of Israel cannot be kept strictly today as our society is different from the society of ancient Israel. However, the spirit of the civil laws which is justice and love for one’s neighbors should be kept in the life of Christians today because it is also the spirit of the Law itself (Rom. 12:1-2; Eph. 5:15-17, etc.). The way of keeping the Law is this: to trust in and obey Jesus Christ always, because, though for a person to keep the formal aspects of the Law is in some degree possible, for a person to keep the essential aspect of the Law, that is, the spirit of the Law is not possible, because natural man is in a state of depravity (Rom. 7:7-25, etc.). Therefore, Christians today should always trust in and rely on Jesus Christ for keeping the Law, because when they trust in and rely on Jesus Christ they are released from sin and death, and accomplish the requirements of the Law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Rom. 8:1-4; Gal. 5:16-26, etc.). When Christians today in Korea understand and practice these truths, their lives will build the kingdom of God, accomplish the will of God, and give glory to God (Matt. 5:13-16; 6:33, etc.). And that will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Korean churches and help to achieve the mission of the church.

      • 바울의 율법 이해: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4 敎育論叢 Vol.51 No.2

        바울의 율법 이해에 관한 신학자들의 논쟁은 매우 다양한데, 코페르스키는 이들을 다섯 범주의 부류로 분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바율의 율법 이해를 기능을 중심으로 하며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시내산 언약의 의무인데, 이를 온전하게 지키지 못한 자는 율법의 저주를 받는다. 둘째, 율법은 구원사적 관점에서 예속시키는 세력으로 작용한다. 셋째, 예수 그리스 도의 십자가 사역으로 율법의 두 가지 기능은 종결되었지만, 율법은 여전히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으로서 기능한다. 갈라디아 서 5:14의 `이루었나니”와 6:2의 `성취하리라”가 동일한 어근에서 나온 의미가 같은 동사로서 `참된 의도를 만족시키다”라는 의미이므로 이 진술은 율법의 진정한 목적이 이웃에 대한 사랑을 통하여 완성된다는 것으로 이 해된다. 이러한 바울의 율법 이해는 구문분석을 통하여서도 확인된다.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과 바울의 율법이해

        유은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if the Reformers cor- rectly understood Paul in terms of the Law. As is widely recog- nized, the Reformers came up with three usages of Law: 1. the Law as the one guiding morally the secular world aright (primus usus legis), and the Law which is to reveal each one’s sins and to let him repent (secundus usus legis). And it has finally the third usage which a converted Christian can now ethically live up to (tertius usus legis). Although Paul did not show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eformers did, we can confirm that the apostle represented the Law before the Christ event, at the time of salvation, and after the salvation. Our exe- getical observations lead us to assume that the Reformers appropriately un- derstood Paul’s concept of Law. Though it does not enable us to reach the salvation, it has a function not to be judged as negative: the recognition of sins. 본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종교개혁자들이 바울의 율법을 얼마나 정확히 수용하고 있는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개혁자와 바울은 다른 역사적 상황 가운데 율법에 대한 이해를 피력했지만, 양자 사이 에는 비교를 위하여 충분한 접점이 존재한다. 이른바 종교개혁자들이 주장 한 바 율법의3가지 이해가 얼마나 바울의 본문에서 그근거를 찾아볼 수 있는지 추적하는 것이다. 율법의 제1용법, 곧 세속 사회를 위한 목적은 교회 밖의 죄인들을 도덕적으로 교화하기 위한 것이다. 제2용법은 율법을 통해서 인간의 죄를 드러내고 회개시키는 기능과 관계가 있다. 아울러 제3용법은 구원을 받은 크리스천이 은혜 가운데 살아가도록 실천적, 윤리적 지침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울은 이처럼 조직적인 율법 이해를 전개하지는 않았지 만, 그리스도 사건 이전과 구원 당시, 나아가 구원받은 이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기능을 염두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사도에게 있어서 율법은 그 자체로 구원을 가져오지는 못하나, 믿음을 통해 구원받는데 있어 결코 부정 적이라 할 수 없는 나름의 역할을 수행한다. 요컨대 종교개혁자와 바울의 율법 이해 사이에는 명확한 연속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 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 (covenantal nom 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갈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볍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 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볍과 율볍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라는 율법 준수가 아니 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의 법파 율법)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 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툴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 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 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 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 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 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

        누가의 영생과 구원: 눅 10:25-37과 18:18-30을 중심으로

        김충연(Kim Chung-Y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7

        누가-행전은 예수의 생애와 초기 기독교의 신앙을 우리에게 잘 보여주는 문서이다. 특별히 이 누가의 문서에는 예수, 율법, 영생, 구원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 및 발전하고 있는가를 제공한다. 복음서에서 예수는 율법에 매우 충실한 자로 묘사된다. 그리고 두 번에 걸친 영생에 대한 질문(10:25-37; 18:18-31)에서 모두 율법이 '영생의 길'임을 알려준다. 이러한 그의 대답은 유대인에겐 전혀 낮선 것이 아니다. 유대인이라면 모두 율법을 잘 준행하는 자는 영생을 얻는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생의 길'로서의 율법의 기능은 사도행전에 와서는 축소가 된다. 즉 영생의 길은 이제 더 이상 율법을 행함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말씀/복음을 믿는 자들이 얻게 된다. 구원도 마찬가지이다. 누가복음에서 예수는 '구세주'이다. 이것은 사도행전에 와서 더욱 분명해진다. 예수와 그의 이름을 통하여 구원을 받는다. 정리하면, 전에 율법이 유대인들을 위한 배타적 영생의 길을 제공하였다면, 이제 예수는 모든 민족을 위한 영생과 구원의 길이 된 것이다. 누가는 이러한 과정을 다른 공관복음서와는 차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Life of Jesus and the faith of the early Christians are well shown in the documents of Luke-Acts. Especially Luke provides the details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Jesus, laws, eternal life and salvation. In the Gospels, Jesus is depicted as one who is faithful to the law. From twice asked question of eternal life (10:25-37; 18:18-31), he explains that the law is the 'way of eternal life.' Since the Jews believed that those who exercise the law will get eternal life, his answer was not strange at all for them. However, this function of the law as for the 'way of eternal life', is simplified in the book of Acts. The 'way of eternal life' is no longer obtained through practicing the law, but through believing in the Word of God/Gospel. It goes same for the salvation. In Luke, Jesus is the 'savior.' And this becomes even more evident when it comes to Acts. One receives salvation through the name of Jesus. To summarize, if the law provided the way of eternal life exclusively for the Jews before, now Jesus became the way of eternal life and salvation for all people. The course of this presentation in Luke is differentiated unlike the other Synoptic Gospels.

      • 이상원 교수의 개혁 기독교 윤리학

        문병호(Byungho Moon)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이상원 교수는 기독교 윤리학을 교리에 정초시켜 전개한다. 이는 개혁 기독교 윤리학의 특성을 드러낸다. 그의 강의는 조직신학 전 부분에 미친다. 서론에서는 계시와 은총의 일반성과 특수성, 그리고 신학의 원리를, 신론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 무엇보다 하나님의 공유적 속성이 의미하는 바와 그것이 사람의 하나님의 형상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인간론에서는 처음 지음 받은 하나님의 형상의 어떠함과 타락으로 인한 죄책과 오염의 전가를, 기독론에서는 영원하신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의 아들이 되셔서 하나님의 아들이시자 사람의 아들로서 신인양성의 중보자 위격을 지니신 가운데 구원의 의를 다 이루심, 무엇보다 그 의가 율법에 불순종한 형벌을 치름과 율법에 순종함의 당하신 순종(obedientia passiva)과 행하신 순종(obedientia activa)에 모두 미침을, 구원론은 보혜사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은 그리스도의 의의전가로 인한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 가운데서 베풀어지는 새 생명으로 거듭남과 새 생활로 거룩해짐이 모두 전적인 은혜임을, 교회론은 언약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그의 지체들의 연합체인 교회의 본질과 표지, 그리고 교회에서의 은혜의 방편으로서의 말씀, 성례, 기도의 삶을, 종말론에서는 구원의 완성으로서의 마지막 때 있을 부활과 심판의 의의와 그 현재적 가치를 다룬다. 이러한 교리 위에 윤리가 서는바, 기독교 윤리는 구원의 불가항력적인 은혜에 필히 초래되는 자기부인과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고 계시된 하나님의 품성을 조망하고 그것을 닮은 삶을 사는 것을 논한다. 그리하여 십자가의 윤리, 부활의 윤리,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윤리, 송영의 윤리라 칭함을 받는다. Professor Sangwon Lee deploys Christian ethics on the basis of Reformed theology. This is shown significantly in his lectures of systematic theology, which include every article of biblical doctrines. Prolegomena is devoted to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s and their normative significances with special regard to three principles of theology(principia theologiae), the doctrine of God, to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the triune God with special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ble attributes of God and the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the doctrine of man, to the miserable state of human beings, who lost the original image of God as a result of the imputation of original sin including guilt as well as corruption, Christology, to the person and work of Christ the mediator, who has been in the hypostatic union of divinity and humanity since the incarnation, with special regard to His passive obedience(obedientia passiva) and active obedience(obedientia activa), soteriology, to the imputation of Christ’s redemptive righteousness, which work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alvation including justification in new life and sanctification in new living, which are based on believers’ mystic union with Christ(unio mystica cum Christo), ecclesiology, to the essence, notes, and means of grace of the church, which comprises the society(societas) or body(corpus) of Christ, who is its head, and its members, who are saved by His irresistable grace, and finally, eschatology, to the truth of the resurrection of saints and the final judgement and its present significance. Christian ethics, which reflects these doctrines both inwardly and outwardly, concentrates on the nature, office, use, and practice of the divine law in the process of self denial, bearing the cross, following Christ, and fulfilling the image of God. In this respect, Christian ethics is characterized as that of the cross, that of the resurrection, that of the mystic union with Christ, and that of glorification.

      • KCI등재

        시편 19편에 나타난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과 ‘율법’

        김진명(Jin-Myung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시편 19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전제는 1–7절의 찬양시와 8–15절의 율법시라는 각기 다른 역사적 배경을 가진 두 개의 다른 시가 하나로 결합된 시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시편에 대한 편집비평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 단락으로 구성된 시편 19편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해 보고, 찬양시 A – 율법시 B – 찬양시 A` 의 구조 안에서 창조(A)와 구원(A` )과 율법(B)의 주제를 파악하였다. 다시 최종 본문상에서 하나의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편 19편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본문에 대한 수사비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시적 방법과 통시적 방법의 두 가지 방법론을 적용한 시편 19편 연구는 창조주와 구속주로서 ‘하나님의 정체성’과 바로 그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율법’의 주제를 강조하는 이 시편의 특징을 새롭게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 시편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과 율법의 주제들을 밀접하게 결합시켜 ‘하나님의 보편적 주권’을 강조한 시편으로 시편 19편을 해석할 수 있었다. The main arguments of the previous works on Psalm 19 is that the Psalms of 1–7 and the poems of 8–15 are paired together into two different poems with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Psalm 19 is composed of three paragraphs by means of a redaction critical analysis of the text; the praise A(Sun/existence of nature): creation of God–Torah B: the words of God–the praise A` (Sin/existence of human): redemption of God. This study shows that the background of Psalm 19 can be connected with the post–exile period in which people had a great concern for Torah. The final form of the poetic text shows that it is characterized as one unified work with a set of typical rhetorical and literary features. Many diverse expressions of the Law are used to show the meaning of the Word of God, and the overall literary structure and instrument illuminate its emphatic points. This study of Psalm 19, thus investigated in light of the diachronic and the synchronic method emphasizes the “God’s identity” as the Creator and Redeemer, and further highlights the theme of “Law” as the very Word of God. Finally, Psalm 19 can be finally viewed as conveying the theme of the “sovereignty of Yahweh” with emphasis on Yahweh’s “law.”

      • KCI등재후보

        바오로 사도가 복음의 진리로 선포한 자유에 대한 성서적 고찰

        이영헌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神學展望 Vol.- No.164

        바오로 사도는 당시 유다이즘과 헬레니즘의 여러 개념들을 빌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룩하신 구원을 다양하게 표현했는데, 본고에서 다룬 ‘자유’ 개념은 그것들 가운데 하나다. 본고는 특히 자유에 관해 다양하게 자주 언급된 갈라티아 서간의 내용에 따라 자유 개념과 신학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요점별로 심도 있게 고찰함으로써 바오로가 어떤 의미로 자유를 ‘복음의 진리’로 선포했는지 규명하고, 그 자유가 오늘날에도 우리 인간 사회에 올바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과 의의를 둔다. 그래서 본고는 먼저 갈라티아 서간의 문맥에 따라 자유의 의미와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것은 본고의 주제를 다루게 된 동기를 말해 주고, 본고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길잡이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이어서 바오로가 자유를 복음의 진리로 선포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본다. 그것은 자유가 복음의 진리로 선포된 동기와 그 이유를 알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의 개념과 그 신학적인 의미를 도출해 낸다. 갈라티아 서간에서의 자유는 한 마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베풀어 주신 구원의 선물로서 율법에서 해방된 자유를 가리킨다. 하지만, 이 자유는 단순히 율법 그 자체를 폐기하거나 무력하게 만들어 버린 무법이나 방종을 조장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오로지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의 인도에 따라야만 올바르게 실행될 수 있고, 사랑으로 유지되며 확증될 수 있는 그런 자유를 뜻한다. 그래서 자유와 사랑은 그리스도 안에서 결속되고, 이런 자유는 율법의 근본 정신을 새롭게 살려 준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키고 완수하는 종말론적인 구원의 선물이 된다. 그러므로 자유는 사랑으로 서로 섬기고 봉사하는 이들의 일상 생활에서 올바르게 실행됨으로써 복음의 진리로 계속 선포될 수 있고, 또한 선포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자유의 개념과 그 신학적인 의미와 가치도 생생하게 입증될 수 있고, 일상 생활에 반영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