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향여(劉香女) 이야기의 여성 의식 연구 ― 전기(傳奇) <쌍수기(雙修記)>·<유향보권(劉香寶卷)>·평화(評話) <유향여(劉香女)>를 중심으로

        허윤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5 No.-

        劉香女故事以劉香女爲主人公, 記述了出身於卑微貧苦人家的劉香女, 在嫁入有錢人家之後, 遭受到婆家的各種迫害, 但憑著强烈的宗敎信念, ?忍受住種種苦痛, 最終完成修行得道成神的過程。 本文以葉憲祖的傳奇<雙修記>、 吳方言地區的<劉香寶卷>和福建省福州評話<劉香女>這三部作品爲硏究對象, 先考察各個作品之間的共同點和不同點, 然後以此爲基礎, 就女性認識進行比較硏究。 這三部作品中都存在著婆家與?婦間的對立關系, 這種對立關系實質上反映了儒學世俗主義與佛敎禁欲主義之間的對立關系。 這種對立關系因三部作品所采取的不同的世界觀而有所不同。 <雙修記>和<劉香女>是在個人道德與人性層面上建構了善與惡的對立關系, 而<劉香寶卷>中劉香女來自社會底層的弱者身分則使之成爲佃農和平民的代表, 從而使對立關系擴展至婆家與?婦間、 窮人與富人間、 民與官之間這樣多個層面之上。 像劉香女這樣的社會底層人物要想擁有自己的語言與行動, 其唯一的途徑便是宗敎信念。 這種宗敎信念不僅存在於精神領域, 而且還表現在對肉體上的童貞的一種執著。 女性將父權制對女性所要求的性別義務進行顚覆性的解釋幷將之轉化爲一種道德主體。 不過, 這種道德主體對於各個作品中的劉香女所具有的含義略有不同, 而且劉香女們的社會認同性與地位也有所不同。 就共同點而言, 這種道德主體性都是三個作品中忍受婆家迫害的劉香女用來維護自尊的手段: <劉香女>中的劉香女能勾超度婆家人, 因而得到家庭成員的認可。 而<劉香寶卷>中的劉香女則作爲一名道姑, 成爲主流社會的批判者, 得到社會成員的尊重。 三部作品不僅在創作主題、 觀衆、 讀者方面有所不同, 而且還反映了福州方言區與吳方言區間的不同。 此外, <劉香女>與<劉香寶卷>都存在著性別差別與尊重女性這樣互相矛盾的立場。 對此, 本論文是這樣解釋的: 父權制下的女性在將性別差別、 厭惡輕視女性這樣的社會主流意識形態深深烙於內心之後, 反而能勾將女性問題提出來進行共同討論幷要求獲得社會的認可。

      • KCI등재

        ‘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중국에서의 유향(乳香)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변천사

        최해별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1 No.-

        Ruxiang, one of the most commonly imported herbs, has been mentioned in Chinese literature since the Wei and Jin periods. With the growth of overseas trade during the Tang and Song periods, the massive importation of herbs, including Ruxiang,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uxiang. This study examines historical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Ruxiang in China. In the literature of the third century, Ruxiang was mentioned as a “strange item from the south” and understood as a “medicinal herb.” Particularly during the sixth century, TaoHongjing(陶弘景)’s Bencaojingjizhu本草經集注 focused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Ruxiang for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and specific prescriptions that used Ruxiang were related to these ailments. This understanding continued until the early Tang Dynasty, during which Ruxiang was mainly used for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or intestinal gas and bad odor. The perception of the efficacy of Ruxiang changed in the eighth century. Notably, ChenCangqi(陳藏器) emphasized its efficacy in treating stroke, female infertility, blood circulation, deafness, and diarrhea in Bencaoshiyi本草拾遺. However, there are no records of Ruxiang being used to treat these conditions in formulary books(醫方書) compiled during that time as well as in Waitaimiyao外台祕要. By the end of the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s, with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overseas trade, the importation of Ruxiang increased considerably, resulting in significant changes in how it was perceived and used. With Rihuazibencao日華子本草 compiled in the southern region in the tenth century, a more advanced understanding of the efficacy of Ruxiang emerged, which included protecting the regularity of Qi(氣), protecting the waist and knees, stopping pain, and promoting skin regeneration. Additionally, Taipingshenghuifang太平聖惠方 compiled during the Song Dynasty included various prescriptions that reflected the changing perception of Ruxiang’s efficacy since the eighth century, including treatments for stroke, female infertility, and diarrhea. Bencaotujing本草圖經 from the mid-Northern Song Dynasty emphasized the efficacy of Ruxiang in treating blood and promoting circulation, a fact that was further confirmed in Taipinghuiminhejijufang太平惠民和劑局方 prescriptions added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Ruxiang’s effectiveness in ‘boosting the meridian circulation,’ which was particularly mentioned in the added prescription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came to be highlighted by Yishuixuepai易水學派 and medical scholars such as Zhangyuansu張 元素 and Wanghaogu王好古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In conclusion, in the sixth century, Ruxiang was understood to be effective at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and dispelling negative energy. Such an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shifted toward an emphasis on its ability to invigorate blood circulation and alleviate pain in the eleventh to thirteenth centuries. This evolution reflected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and the gradual establishment of an increasingly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it. Additionally, the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can be observed in the many usages to which it was put in medical books, which expanded significantly from the tenth and eleventh centuries onward, during the time of large-scale Ruxiang importation. The appearance of medical prescriptions that used Ruxiang in the Song Dynasty’s Taipingshenghuifang太平聖惠方 likely resulted from the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and the increased importation of Ruxiang from the late Tang Dynasty to the Five Dynasties periods. 대표적인 해외 유입 향약(香藥)의 하나인 유향은 위진 시기부터 문헌 기록에서 확인이 되며, 이후 당송 교체기 해외 무역이 활발해져 향약의 대량 유입이 가능해짐에 따라 유향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도 커다란 변화가 나타난다. 이 논문은 중국에서의 유향에 대한 인식과 그 활용의 역사를 복원하였다. 3세기경 문헌 기록에서 유향은 남방의 ‘기이한 물건’으로 소개되기도 또 ‘본초’로서 이해되기도 하였다. 특히 6세기 도홍경이 본초경집주를 편찬할 즈음은 ‘옹저’의 치료 효과에 주목하였고, 같은 시기 유향이 사용된 구체적 의방 역시 이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 이후 당 전기까지 이러한 이해는 지속된다. 주로 옹저나 창양 치료 및 악취 제거 등에 쓰였다.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난 것은 8세기인데, 진장기는 본초습유에서 유향의 효능에 대해 처음으로 중풍, 부인의 난산과 혈기, 이롱(귀머거리), 설사 멈춤 등 효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당시 편찬된 의방서에서는 이들 병증과 관련한 치료에 유향이 쓰인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당말 오대시기에 이르면 지방 정권의 수립과 더불어 그간의 해외 무역의 발전으로 유향이 대량 유입되면서 유향의 인식과 활용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난다. 10세기 남방의 오월에서 편찬된 일화자본초에서는 유향의 효능에 대해 더욱 진일보한 인식이 나타나는데, 정기를 보호하고, 허리와 무릎을 보호하며, 통증을 멈추게 하고 피부를 자라게 한다는 내용이 더해졌다. 그리고 송 초 편찬된관방 의방서 태평성혜방은 8세기 이래 중풍, 부인 난산 및 설사 치료 등 그간의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반영된 다양한 의방을 실었다. 북송 중기 소송의 본초도경에서는 유향의 혈의 치료를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본초도경의 ‘치혈’과 ‘지통’의 이해는 태평혜민화제국방 중에서도남송 시기 추가된 의방에서 주로 확인되며, 특히 이 시기 추가된 의방에서언급되었던 ‘활경락’ 등의 효능은 13세기 ‘역수학파’라 불리는 이고와 왕호고등에 의해 ‘여러 경락의 통증을 다스림’에 효과적이라는 설명으로 강조된다. 결론적으로,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이해는 6세기 전후 옹저 치료와 나쁜 기운의제거를 위주로 하는 이해에서 11-13세기 혈을 돌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것 등으로의 인식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이해의 확장과더불어 그것에 대한 설명이 점점 이론화된 틀에 의해 구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울러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확장은 의방서에서 유향을 다양하게활용하는 모습과 함께 볼 수 있는데, 의방서의 활용은 유향의 대량 유입이이루어진 시기 즉 10세기 및 11세기 무렵 유향의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된다고 볼 수 있다. 송 초 태평성혜방에서 유향을 활용한 의방이 대거 등장한것은 아마도 당 중기부터 오대시기까지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더불어 당 말부터 해외에서 유향의 대량 유입이 본격화되면서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유향 『열녀전』 형성의 배경과 그 영향

        박동인 ( Park Dong-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유향이 『열녀전』을 짓게 된 내·외적 배경들과 그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이 중국 전통사회에서 여성들의 삶의 질곡을 부른 근본원인을 유향의 『열녀전』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연 유향 『열녀전』 속의 어떠한 요소들이 이러한 비판들을 야기시켰는지를 찾는 것은 철학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라 생각된다.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시대의 필요에 따라 어떤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낼 때 반면교사의 역할을 할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그 연구결과 유향이 『열녀전』을 짓게 된 직접적인 배경은 조비연(趙飛燕) 자매가 그들의 미색을 이용하여 황실의 기강을 무너뜨린 것을 바로잡는 것과, 태후와 황후와 비빈들의 부덕(婦德)을 제고함으로써 그들의 세력을 업고 각종 전횡을 일삼는 외척의 준동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배경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 볼 때 또 다른 요소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전국 말에서 진·한대에 걸쳐 형성된 대일통 전제왕국이 지향한 황제일인 독재정치 시스템 구축이라는 보이지 않는 이유가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당시의 금문경학자들은 이것이 보다 강력하게 효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황제한 사람뿐만 아니라 사회 기층이나 가정에서도 그러한 논리가 동일하게 작동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바로 황실-향리-가정이 남성중심의 황제-향장-가부장에 의해 다스려지는 일원화된 통치시스템이 그것이다. 유향은 바로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금문학적 해경방법을 사용하여 비록 당시의 현실과는 괴리되지만 『열녀전』 곳곳에 당시 지배층들이 꿈꾸었던 이상적인 여성윤리관을 심어 놓는다. 이른바 삼종지도와 일부종사 및 정절, 그리고 바로 그러한 금문학적 여성윤리를 기반으로 하여 여성들에게 부과된 각종 예법들이 그것이다. 유향이 그의 『열녀전』 속에 심어 놓은 이러한 요소들이 후대에 사회·정치적 역학관계 속에서 그 정치적 필요에 따라 더욱 부각되면서 점차 여성들의 삶에 질곡을 야기했다고 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후대의 정사(正史) 열녀전이나 『열녀전』의 주석가나 작자들 및 여계문학이 유향의 『열녀전』의 구조를 기본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그것에 더해 후대의 통치자들이 그들의 백성에 대한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유향 및 금문경학자들이 꿈꾸었던 방식을 차용해 썼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송대와 명대 및 청대가 되면 정절이라는 요소가 거의 종교적 수준으로 첨예화되어 여성 질곡의 대표적인 요인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internal and external backgrounds, and its impact for which Liu xiang wrote Lie Nu Chuan. The reason for which this is important is because there are many researchers look for in Liu xiang’s Lie Nu Chuan the root cause of women's fetters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Therefore, finding out what factors in Liu xiang’s Lie Nu Chuan caused these criticisms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work in philosophy. Because I think that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fanmianjiaoshi(反面敎師) when we develop any new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According to this study, I was known that the direct backgrounds for which Liu xiang wrote Lie Nu Chuan was is to fix the part where Zhao Fei Yan’s sisters was loss of imperial discipline as used their beauty color. And at the same time, It is to prevent all kinds of arbitrary of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which was rely on their strength by raise the female virtues of the Empress Dowager, the queen, and the royal concubine. But when we looked deeper into the backgrounds, we found that there was another factor. In other words, there was an invisibl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horitarian political system, which was pursued by an absolute monarchy, which was formed from the last of the Warring Country period to Qin Dynasty and Han Dynasty. But to reinforce this logic, the New-Text Scholarship’s scholars of that time thought that social layer and each family as well as the emperor ought to work by a same logic. That is a unified system of governance, as it is called, which is that the imperial family-one’s hometown-the family is governed by male-dominated Emperor-Village foreman(鄕長)-Patriarch(家父長). In order to build this system, Liu xiang planted ideal female ethics that were dreamed of by the ruling class at various places of Lie Nu Chuan by means of the New-Text Scholarship’s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even though separated from the present. These are, so called, San-Cong-Zhi-Dao(三從之道), Yi-Fu-Cong-Shi(一夫從事), Zhen-Jie(貞節), and the various manners imposed on women on the basis of the New-Text Scholarship’s feminine ethics. These factors which was Liu xiang planted in his Lie Nu Chuan, gradually led to the yoke of women’s lives with increasing prominence to the political needs in a social and political dynamics relationship in later generations. Because authentic history’s Lie Nu Chuan, the Lie Nu Chuan’s exegetist, writers, and female literature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structure of Liu xiang’s Lie Nu Chuan. In addition to that, because Future rulers borrowed the ways that Liu xiang and the New-Text Scholarship’s scholars had dreamed to better govern their people. Thus, the element of chastity has become so acute that it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the female yoke in the days of Song dynasty,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 KCI등재

        유향(劉向)의 유가철학(儒家哲學)과 그 정치적 함의

        박동인 ( Park Dong-i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유흠(劉歆)이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창립하게 되는 배경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어떤 뛰어난 사상도 그것을 가능케 하는 사회·정치적 배경과 가계의 뒷받침 없이 그렇게 되었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도 서한 말(西漢 末)처럼 금문경학(今文經學)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유흠이 고문경학을 창립하는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는 그의 아버지 ‘유향의 유가철학과 그 정치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유향이 금문경학자요 금문경전의 하나인 『춘추곡량전』을 전수받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타파의 소의경전인 『춘추공양전』이나 『춘추좌씨전』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또 금문경학의 특징인 가법(家法)과 사법(師法)에 얽매이지 않으며, 또 심지어 제자백가의 사상까지도 육경의 지류(支流)와 말예(末裔: 보조자료)라고 보면서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이유를 찾았다. 그것은 바로 다름이 아니라 기울어져 가는 서한 말의 정세를 바로잡고 유한정권(劉漢政權)의 장치구안(長治久安)을 도모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유한정권의 종친이었던 그에게 중요했던 것은 학파나 가법과 사법 같은 학파적 정체성이 아니라 바로 유한정권을 지키고 보존하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환관과 외척에게 휘둘리는 황권을 바로 세우기 위해 그는 기존의 음양재이사상을 재해석하여 그 타깃을 황제가 아니라 당시 정권을 틀어쥐고 전횡을 일삼던 환관과 외척에게 맞추었다. 원래 황제의 독재를 막고자 설정된 이론을 환관과 외척 등 간신들의 준동을 막는데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 위민(爲民)과 인귀(人貴) 중심의 민본사상을 통해, 유향은 이전의 누구보다도 군주의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통치에 있어서 오직 임금과 백성이라는 양자구도를 조성했다. 즉 그렇게 함으로 환관이나 외척들이 백성들과 관계할 수 있는 입지 자체를 무화시켰던 것이다. 그래야 군주의 백성들에 대한 위상을 제고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 유향은 당시의 주된 경향이었던 학파나 사법 및 가법에 굳이 얽매이지 않고 금·고문은 물론이고 제자백가도 정치적 필요에 따라 모두 활용했다. 이것은 당시 학파나 학맥을 중시하는 금문학자나 유학자에게는 있을 수 없는 일인데도 유향은 그것에 개의치 않은 것이다. 한(漢) 황실의 종친이었던 그에게 중요한 것은 학파적 지향이나 원리 및 신념을 지키는 것보다 한 황실의 안정과 장치구안이었기 때문이다. 바로 그의 이러한 점들이 그의 아들 유흠이 고문경학을 창설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유가사상은 강한 정치적 특징을 지닌 것이라 평가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Liu Qin’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Old-Text scholarship.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any outstanding ideas have become so pronounced that without socio-political background and the backing of the family which is it can do so. That is especially true in situations of the last period of West Han dynasty where the New Text scholarship forms the mainstream. Then, in here I want to look at Liu Qin’s father ‘Liu Xiang's Confucian Philosoph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tics’ that is looked like the most influential influence on that Liu Qin establish of Old-Text scholarship. As a result, Although Liu Xiang is a commentator of the New Text scholarship and a learned recipient Guliang Zhuan which is one of the sacred texts of the New Text scholarship, I found a reason that Liu Xiang was used freely Gongyang Zhuan and Zuo Zhuan which is the elementary canon of other schools, and was free from Jiafa(家法) and 師法(Shifa)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 scholarship, and Even used freely that all classes of philosophers was regarded as an auxiliary document of six Scriptures of Confucianism. Because, that's not the difference, it is for righting of the declining conditions of the last period of West Han dynasty, and for promote the permanent stability of the Liu regim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him that was the royal family of the Liu regime, is not a school identity as school, Jiafa(家法) and Shifa(師法) but promote the permanent stability of the Liu regime. So In order to erect the rightful emperor that was defeated by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he, as reinterpret the existing a natural calamity of yin and yang, set the target of an attack not to the emperor, but to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in the grip of the regime. Originally it is that the theory was set up to prevent the dictatorship from Emperor, but he used it block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s wriggling. And he, through the people-oriented idea of Weimin(爲民: for the people) and Rengui(人貴: favor a person), set up the structure of both sides of king and people by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monarchy than previous anyone else. That is, by way of doing so he made it impossible for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to relate to the people. Because that is because he believed that could raise the stature of the monarchy about peoples. And Liu Xiang were utilized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needs that did not stick to school, Jiafa and Shifa that was the principal trend of the day, but all classes of philosophers, as well as New and Old Text scholarship. This is something that can not be done for a Confucian scholar who cares about the school or the pulse of the school, but Liu Xiang did not care about it. Most important thing to him that was the royal family of Han dynasty was because that was the stability and preservation of the royal family of Han dynasty rather than school orientation, principles, and beliefs. These things had a profound effect on his son Liu Qin who founded the Old Text scholarship. Therefore, his Confucian philosophy can be regarded as has a strong political character.

      • KCI등재

        劉向의 儒家哲學과 그 정치적 함의

        박동인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Liu Qin’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Old-Text scholarship.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any outstanding ideas have become so pronounced that without socio-political background and the backing of the family which is it can do so. That is especially true in situations of the last period of West Han dynasty where the New Text scholarship forms the mainstream. Then, in here I want to look at Liu Qin’s father ‘Liú Xiàng's Confucian Philosoph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tics’ that is looked like the most influential influence on that Liu Qin establish of Old-Text scholarship. As a result, Although Liú Xiàng is a commentator of the New Text scholarship and a learned recipient Guliang Zhuan which is one of the sacred texts of the New Text scholarship, I found a reason that Liú Xiàng was used freely Gongyang Zhuan and Zuo Zhuan which is the elementary canon of other schools, and was free from Jiafa(家法) and 師法(Shifa)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 scholarship, and Even used freely that all classes of philosophers was regarded as an auxiliary document of six Scriptures of Confucianism. Because, that's not the difference, it is for righting of the declining conditions of the last period of West Han dynasty, and for promote the permanent stability of the Liu regim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him that was the royal family of the Liu regime, is not a school identity as school, Jiafa(家法) and Shifa(師法) but promote the permanent stability of the Liu regime. So In order to erect the rightful emperor that was defeated by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he, as reinterpret the existing a natural calamity of yin and yang, set the target of an attack not to the emperor, but to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in the grip of the regime. Originally it is that the theory was set up to prevent the dictatorship from Emperor, but he used it block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s wriggling. And he, through the people-oriented idea of Weimin(爲民: for the people) and Rengui(人貴: favor a person), set up the structure of both sides of king and people by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monarchy than previous anyone else. That is, by way of doing so he made it impossible for the eunuch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to relate to the people. Because that is because he believed that could raise the stature of the monarchy about peoples. And Liú Xiàng were utilized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needs that did not stick to school, Jiafa and Shifa that was the principal trend of the day, but all classes of philosophers, as well as New and Old Text scholarship. This is something that can not be done for a Confucian scholar who cares about the school or the pulse of the school, but Liú Xiàng did not care about it. Most important thing to him that was the royal family of Han dynasty was because that was the stability and preservation of the royal family of Han dynasty rather than school orientation, principles, and beliefs. These things had a profound effect on his son Liu Qin who founded the Old Text scholarship. Therefore, his Confucian philosophy can be regarded as has a strong political character. 본 논문은 유흠(劉歆)이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창립하게 되는 배경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어떤 뛰어난 사상도 그것을 가능케 하는 사회·정치적 배경과 가계의 뒷받침 없이 그렇게 되었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도 서한 말(西漢 末)처럼 금문경학(今文經學)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유흠이 고문경학을 창립하는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는 그의 아버지 ‘유향의 유가철학과 그 정치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유향이 금문경학자요 금문경전의 하나인 『춘추곡량전』을 전수받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타파의 소의경전인 『춘추공양전』이나 『춘추좌씨전』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또 금문경학의 특징인 가법(家法)과 사법(師法)에 얽매이지 않으며, 또 심지어 제자백가의 사상까지도 육경의 지류(支流)와 말예(末裔: 보조자료)라고 보면서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이유를 찾았다. 그것은 바로 다름이 아니라 기울어져 가는 서한 말의 정세를 바로잡고 유한정권(劉漢政權)의 장치구안(長治久安)을 도모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유한정권의 종친이었던 그에게 중요했던 것은 학파나 가법과 사법 같은 학파적 정체성이 아니라 바로 유한정권을 지키고 보존하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환관과 외척에게 휘둘리는 황권을 바로 세우기 위해 그는 기존의 음양재이사상을 재해석하여 그 타깃을 황제가 아니라 당시 정권을 틀어쥐고 전횡을 일삼던 환관과 외척에게 맞추었다. 원래 황제의 독재를 막고자 설정된 이론을 환관과 외척 등 간신들의 준동을 막는데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 위민(爲民)과 인귀(人貴) 중심의 민본사상을 통해, 유향은 이전의 누구보다도 군주의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통치에 있어서 오직 임금과 백성이라는 양자구도를 조성했다. 즉 그렇게 함으로 환관이나 외척들이 백성들과 관계할 수 있는 입지 자체를 무화시켰던 것이다. 그래야 군주의 백성들에 대한 위상을 제고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 유향은 당시의 주된 경향이었던 학파나 사법 및 가법에 굳이 얽매이지 않고 금·고문은 물론이고 제자백가도 정치적 필요에 따라 모두 활용했다. 이것은 당시 학파나 학맥을 중시하는 금문학자나 유학자에게는 있을 수 없는 일인데도 유향은 그것에 개의치 않은 것이다. 한(漢) 황실의 종친이었던 그에게 중요한 것은 학파적 지향이나 원리 및 신념을 지키는 것보다 한 황실의 안정과 장치구안이었기 때문이다. 바로 그의 이러한 점들이 그의 아들 유흠이 고문경학을 창설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다. 따라서 그의 유가사상은 강한 정치적 특징을 지닌 것이라 평가 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경쟁그래프와 경쟁수에 대하여

        김서령 대한수학회 2001 대한수학회논문집 Vol.16 No.1

        어떤 유향그래프 D의 경쟁그래프란 D와 같은 꼭지점들의 집합을 갖고 두 개의 꼭지점 x와 y가 변으로 연결되어있는 것과 동치인 조건이 D에서 어떤 꼭지점 z에 대하여 유향변(x,z)와 (y,z)가 존재하는 것인 그래프로 정의된다. 어떤 그래프 G의 경쟁수란 G에 첨가하여 생기는 그래프가 유향 회로가 없는 유향그래프의 경쟁그래프가 되도록 하는 고립된 꼭지점의 최소수로 정의된다. 갱쟁그래프의 개념은 생태학적 위상공간의 최소차원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1968에 Cohen에 의하여 도입되었다. 경쟁그래프와 그것의 변형들은 잡음이 많은 통신로 상에서의 교신, 라디오 송신기에 주파수 부어하기, 복잡한 경제 체계와 에너지 체계에 응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경쟁 그래프와 그 변형들, 경쟁수와 그 변형들에 대하여 소개하며 그것들에 대한 중요한 결과들을 개관하고 미해결 문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劉向 《說苑》의 인식과 활용

        권아린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6

        While studying 《說苑》 compiled by Han Dynasty 劉向, I discovered an interesting fact. It was highly likely that it had been introduced into the Silla period earlier. Later, the contents of 《說苑》 cited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ere examined. It was also politically referen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further officially published.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quot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became curious about how they perceived and utilized 《說苑》. If we summarize these cases, we can look at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process of 《說苑》.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37 cases ci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and then 118 were calculated from the classical translation. Through the research subjects calculated in this wa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First, the types of use of 《說苑》 cited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ere divided. Second, the use of 《說苑》 was analyz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說苑》 that could be actively utilized were derived. When we summarized the types of use of 《說苑》, it was most often used as a reference for cultivation of customs, followed by a means of drawing out the boundaries of the magistrates and as a standard of testimony. What could be known through the type of applicati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Joseon Dynasty was actively accep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huzixue(朱子學). Second, it seems to have paid attention not only to the political content but also to the practical nature of 《說苑》. Third, as the status of 《說苑》 increased after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is study, the foundation for a closer examination of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acceptance of 《說苑》 was laid. 漢 劉向이 편찬한 《說苑》에 대해 연구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찍이 신라시대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의 문헌에 인용된 《說苑》의 내용을 살펴보니 정식으로 출판되었을 뿐 아니라 서울과 지방 관청의 벽에 게시하여 참고토록 하였고, 외전과 승정원에 붙여놓고 수시로 참고한 기록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들은 《說苑》이 조선시대에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기에 당시의 지식인들은 《說苑》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양상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인지 궁금해졌다. 그런데 그동안의 《說苑》 연구는 출판 현황과 판본 등 문헌학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어 조선시대 《說苑》의 구체적인 수용 의미와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조선시대 문헌에 인용된 《說苑》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지식인들은 《說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說苑》이 적극 활용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유향그래프에서 동시발생 부분그래프 마이닝

        박기성,한용구,이영구 한국정보과학회 2014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0 No.2

        Recently graph mining algorithms are facing the challenges to deal with mining co-occurrentsubgraphs in directed graph databases. In particular, co-occurrent frequent subgraph mining is animportant technique that can be utilized for pattern analysis and discriminative features for furtheranalysis such as classification and clustering. Recently, co-occurrent subgraph mining techniqueshave been proposed for undirected graph DBs. However, the existing techniques cannot reflectfeature of directed graph because these techniques do not consider orders of between frequentsubgraph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co-occurrent subgraph minining techniqueconsidering orders between frequent subgraphs. The proposed technique finds co-occurrentsubgraphs efficiently by expressing directed graphs as compression forms of subsequences. Inexperiments,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an reduce runtime by up to 30% comparedwith the naive technique. 최근 유향 그래프 DB로부터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유용한 지식을 찾아내는 기술이 주목받고있다. 특히 동시발생 부분그래프 마이닝 기법은 그래프 DB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유용한 특징으로, 패턴 분석도구 및 분류, 군집화와 같은 고차원 분석에 활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동시발생 부분그래프를 마이닝하기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부분그래프들 간의 순서를 고려하지 못하여 유향 그래프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향 그래프 DB에서 순서 정보를 고려한 동시발생 부분그래프를 효율적으로마이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그래프를 시퀀스들로 압축 표현하여 순서가 고려된 동시발생 부분그래프를 효율적으로 찾는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동시발생 부분그래프 마이닝 기법이 나이브 기법보다 최대30%까지 수행시간을 단축함을 보인다.

      • KCI등재

        《說苑》과 그 문학성 연구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설원》은 역사고사 모음집으로 일컬어져 지금까지는 문학방면에서의 연구가 소홀하였다. 그러나 편찬자인 劉向은 통치자에게 勸戒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해 문학적인 표현까지 활용하여 서술하였다. 이 때문에 詩歌·傳記·小說 문학의 방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설원》에는 《詩經》의 많은 시들이 인용되어 있어 서정성이 농후한 시가문학 작품으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으며, 중요 인물들의 언행과 사적을 포함하여 그들의 인품·성격·지혜·재치 등을 잘 그려냄으로써 전기문학으로서의 성취도 드러냈다. 또한 허구와 상상 등 소설적 성분 뿐 아니라 소설적 내용 내지 구조를 갖는 문장들까지 삽입되어 있어서, 《설원》의 문학성을 더욱 높여 문학방면에서 접근할 가치가 있는 전적이다. 《說苑》是一部西漢末葉劉向編撰歷史故事的典籍. 編撰的主要目的在於提供皇帝的閱覽. 劉向爲了達成編撰的目的往往使用了文學的敍述方法, 由於如此理由 《說苑》裡面含有很多的文學成分. 所以這篇論文的寫作意圖在於探究 《說苑》裡面的文學的性質. 硏究的結果如此: 《說苑》所含有的諸多文學性當中有詩歌文學·傳記文學·小說文學方面的可注目的成就. 由於劉向受了家風的影響, 他熟悉了 《詩經》, 因此他常常引用了 《詩經》裡面的詩歌. 特別是他在比喩和誇張的修辭方面活用了 《詩經》活用得很好. 所以通過所要傳達的文學的表現, 他不但達成了自己的編撰目的, 而且更加提高了 《說苑》的詩歌文學的性質. 因爲 《說苑》含有衆多人物的言論和行迹, 於是不過言 《說苑》是一部收集人物的傳記的典籍. 通過敍述各種人物的生涯當中可注視的言行和逸話, 《說苑》不但提高了人物的聲價, 而且在文學方面描述了人物的性格·人品·智慧等描述得很好, 因此 《說苑》可以說達成了傳記文學的成就. 《說苑》雖然在根本上努力傳達了歷史的事實, 但是爲了達成勸戒的效果, 它有時候要表現得與事實不一樣. 因此 《說苑》裡面多有小說的因素包括虛構·想像·遺聞逸事·民間傳說什麽的. 甚至於一部分故事具有小說的內容和構造. 這種成果讓我們更加注視 《說苑》的小說方面的成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