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토피아적 상상력과 젠더 : 모어의 『유토피아』와 카벤디쉬의 『빛나는 세계』를 중심으로

        오봉희(Bonghee 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유토피아적 상상력은 기지의 지평 너머에 있는 대안적인 이상적 공동체를 모색하는 사유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실 사회의 어떤 문제를 핵심 의제로 설정하는가에 따라서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모색하는 이상적 사회의 성격은 달라진다. 본 논문은 젠더에 초점을 두고 모어의 『유토피아』와 카벤디쉬의 『빛나는 세계』에서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를 고찰한다. 모어는 역사적 사실들을 작품에 끌어들여 유토피아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전략을 취하는 반면에 카벤디쉬는 빛나는 세계가 전적으로 자신이 상상한 세계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전략을 취한다. 『유토피아』의 히슬로데이는 미지의 유토피아적 장소를 탐험하고 그 탐험에서 얻은 지식을 가지고 돌아와 그곳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는 전형적인 유토피아 여행객으로, 유토피아 여행은 그의 능동적인 남성 주체성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빛나는 세계』의 여제는 남성 욕망의 대상이 되어 납치당하지만, 빛나는 세계에서 권력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주체가 됨으로써 그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정체성을 획득한다. 이런 변화는 끝까지 이방인으로 남는 히슬로데이와 달리 여제가 빛나는 세계의 일원이 되어 그곳을 가장 행복하게 통치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함의하는 바가 크다. 두 작품 모두에 작가가 직접 등장한다. 그런데 등장인물 모어가 히슬로데이의 유토피아 이야기를 들은 그대로 옮기는 기록자의 역할만 하는 데 반해 등장인물 카벤디쉬는 여제처럼 자신의 권력욕과 지식욕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당시 권력과 지식을 남성이 독점하고 있었음을 고려하면, 여제와 공작부인의 권력욕과 지식욕은 당대의 젠더 관계를 교란하는 전복력을 갖는다. 모어는 유토피아 문학을 추동하는 상상력의 전형적 틀을 만들었지만, 젠더의 관점에서 보면 카벤디쉬의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갖는 파급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Utopian imagination offers opportunities for thought experiments in which we envision ideal societies alternative to the one we live in. But the type of an imagined ideal society should vary according to what we put on the agenda. With the focus on gender, this essay explores how utopian imagination works differently in More’s Utopia and in Cavendish’s The Blazing World. Utilizing historical facts into his text, More argues that he only aims truth in his text. Cavendish does not care about the probability of her text and instead claims the Blazing World as her own creation. In Utopia, Hythloday is characterized as a typical utopian traveler: he travels to an unknown place, comes back to his original world, and tells the story of an utopian commonwealth. But his journey exerts little influence on his subject position. In The Blazing World, the Empress is presented as an object of male desire at first. She, however, acquires quite a different identity by pursuing her own desire for power and knowledge. Moreover, while Hythloday remains as a stranger throughout his stay in Utopia, the Empress does not only get incorporated into the Blazing World but also reigns it as an absolute monarch. Both More and Cavendish appear as characters in their own texts. While More only serves as a character who repeats what he has heard from Hythloday, Cavendish pursues her own desire for power and knowledge. Considering the monopolization of power and knowledge by men at that time, the two female characters’s ambitions for power and knowledge in Cavendish’s text are quite subversive. More provides one of the archetypes of utopian literature. In terms of gender, however, Cavendish’s utopian imagination seems more innovating.

      •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 구상의 가능성과 그 한계 -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개념해명을 중심으로 -

        전석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문화 Vol.0 No.6

        'Die Krise der Humanwissenschaft'? Von vornherein möchte ich feststellen, daβ diese Krise in der Entwicklungsgeschichte der Humanwissenschaft immer dabei gewesen ist. Aus diesem Grunde sollte man das Versthen zum Phänomen der 'Krise der Humanwissenschaft' von einem Gesichtspunkt der dynamischen Begriffenerläuterungen aus gehen. Dabei wähle ich selbst den Weg der Kontrastierung: mit der Rehabilitierung der humanwissenschaftlichen Imagination. Diese Untersuchung vollzieht sich in den künstlichen Romantismus und auf den Ebenen des Deutschen Idealismus, insbesonder der Philosophie von Schelling. Daraus folgt, definierte T. Coleridge eine neue Imagination, freilich in einem anderen Zusammenhang als 'die 'philosophische Einbildungskraft'. Wichtig ist aber, zunächst hier die Tatsache, daβ in der späten Zeit der Technologie sie auf eine Illusion beruhen wird. Was Habermas in bezug auf 'die Erschöpfung utopischer Energien' formuliert, glit sodann auch für die Aufzehrung der Imagination von heute. Unter diesem Gesichtspunkt lassen sich die Überlegungen zur Pathologie der Moderne aufgreifen und fortführen: bzw. die Überlegungen nach dem 'philosophischen Monismus' und 'empirischen Konservativismus'. Habermas versucht das utopische Denken in der späten Industriegesellschaft zu retten, wo 'die Überzeugungskraft der arbeitsgesellschaftlichen Utopie' geschwunden ist. Er kommt hier zu der Feststellung, daβ man eine neue kommunikative Rationalität braucht. Vielmehr geht es um eine Frage, bzw. was für eine Kommunikation ist, die - gründlich gegenseitige Kenntnis vor ausgesetzt - sich tatsächlich auf Perspektivenwechsel einläβt? An diese Frage beantwortet Wellmer mit Habermas. Er glaubt feststellen zu können, daβ 'die industrielle Produktion an kommunikativ geklärte Zwecksetzungen zurückgebunden würde' und daβ 'Kunst und ästhetische Phantasie sich in die kommunikative Klärung gemeinsamer Zwecke verstricken lieβen'. Wellmer zieht daraus den Schluβ, daβ es das 'Medium einer aufgeklärten demokratischen Praxis' zu haben braucht. Allerdings bleibt unklar, wie dieses Programm methodisch zu realisieren ist. Der weiteren Begriffenerläuterung seiner abstrakten Behauptung werden wir noch eine besonderer Betrachtung über 'das Medium' widmen, um den neuen humanwissenschaflichen Diskurs auszubilden.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의 성격에 들어 있는 항존적인 현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제로 인문학적 위기를 정태적 개념이 아닌 역동적인 개념을 통해 그 해명을 시도한다. 그런데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 구상’의 핵심은 새로운 담론의 창출이 아니라, 전승된 담론 안에 있었던 상상력의 재흥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는 데에 놓여진다. 이러한 논의의 전개과정은 무엇보다 먼저 인문학과 예술과의 연관관계를 주목하면서, 특히 문예적 낭만주의와 이상주의 철학과의 연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러한 ‘철학적 상상력’이 현대에 진입하면서 리얼리즘으로 은폐된 환상을 강제화 하는 가상으로 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일단 인문학적 상상력을 배태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 사유의 소멸로 진단된다. 그러나 소멸된 유토피아적 사유는 단지 노동개념에 의해 바라본 유토피아에 대한 단편적 평가이다. 유토피아저 사유에 대한 단념은 일원론적 사유의 양식을 보편화한다. 그리고 실제에 있어서는 ‘경험적 보수주의’의 정서를 배태시키면서 결국 ‘직업적 근시안’의 모습을 지닌 ‘체제유지적 참여역할’에 충실한 인간관을 재생산시킨다. 그러한 부정성에의 극복은 하버마스 등을 위시한 비판이론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 그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벨머가 제시한 ‘예술과 산업의 재접근’의 개념에서 그 구체적 전략을 시사받을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예술과 산업이 ‘계몽된 민주적 실천이라는 매체’ 즉, ‘제3의 매개’는 매우 추상적으로 남아져 있고, 그러한 해제작업은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의 구상에 담겨져야 할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전통서사의 외연 : 『반지의 제왕』의 대중성

        김보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0 통합인문학연구 Vol.2 No.1

        이 논문은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이 획득한 대중성에 주목하여 서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작품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판타지 문학의 위상과 의의를 본격 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조망하려는 시도이다.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판타지 고유의 ‘유토피아적 상상력’으로 빚어진 가운데 땅의 환상성이 독자들을 사로잡고 이들에게 관습적 세계를 뛰어 넘는 통찰을 선사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아울러 서사 전개에 있어서도 중 세 로맨스의 통상적 구조와 어긋난 전복적 특성이 있음을 확인한다. 한편 이와는 대조적으로 서사 전개와 함께 이 작품에서 종국적으로 제시하는 가치와 질서는 비교적 전통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점이 주목을 요하는데, 이는 양차대전을 거치며 혼란의 시대를 거쳐 온 서구의 독서 대중에게 이런 가치들이 정서적 안정과 위로를 가져다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두 가지 대조적인 특성은 주류 문학에서 배제되고 폄하되어 온 것들 이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전통 서사의 외연에 항상 굳건히 존재하던 정서와 가치들이라는 사실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영상 시대의 전개와 함께 문학과 서사의 위축이 심화되고 있는 현재의 문학 지형에서 『반지의 제왕』이 확보한 대중성은 판타지 및 환상 문학의 고유한 특성을 주류 문학에서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포용적 자세가 절실함을 확인시켜 준다. This paper tries first to explai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J. R. 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and then to apprais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fantasy literature with regard to the literary mainstream. First of all, the readers are captivated by the fantastic nature of Middle-earth created by the utopian imagination proper to the literary fantasy, and they are presented with insight into the conventional world. The fantastic is also ascertained in the unique narrative structure subverting that of the standard Medieval Romance. On the other hand, it is worth noticing that readers find traditional or conventional values and order underscored at the end of the story, which are believed to have comforted and consoled those who had witnessed the hardships brought on by two world wars. Even though these two characteristics-fantasy and traditional values- have been disregarded and ignored by the literary mainstream, they have always remained firm within the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In conclusion, the popular appeal of The Lord of the Rings assures us of the necessity for the broad minded embrace of fantasy in narrative have been increasingly diminished and thwarted by visual mass media such as films, television and animation.

      • KCI등재

        과도기 의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김승옥의 <강변부인>에 대하여

        오양진 ( Yang Jin O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3

        김승옥의 <강변부인>은 197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의 유행에 가담하는 만큼 혁명기의 과도기 의식에 적극적으로 순응한다. 즉 과거와 미래 사이에 있다는 그러한 이행의 감각은 경험의 지속적인 축적이 불가능해지고 미래에 대한 기대만이 증폭되는 과정을 통해 미지의 것을 향해 다급히 달려가고 있다는 시간 경험을 대중화하는데, 동시대의 멜로드라마들과 마찬가지로 김승옥 역시 경험을 통해 근거지어지지 않은 멜로드라마적인 기대들을 서사적 가속화의 형식을 통해 충족시킨다. 그런가 하면 <강변부인>의 내용 또한 기대로서 선취된 경험의 대중적 소비주의에 대한 영합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상상적 기대로서 현재의 사실적 경험을 대체하는 과도기의 쇠퇴하는 경험의 문제를 공유한다. 김승옥의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자기위안적인 경험의 양상들은 초라한 현실의 느낌을 화려한시간에 대한 갈망으로 떨쳐버리려는 대중적인 욕구와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강변부인>은 대중을 감상주의나 소비주의에 휩쓸리는 문화적퇴폐의 원류로만 간주하고 그것에 영합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김승옥의 멜로드라마가 선한 개인과 악한 개인의 대립이라는 멜로드라마 일반의 도덕적인 구조를 선한 개인 대 악한 사회의 대립이라는 낭만주의적인 형태로변형하는 데서 확인되는데, 여기에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쇄신에 대한 갈망을 가진 세력이라는 사실 또한 대중의 정체성을 이루는 것이라는 인식이 숨어 있다. 요컨대 <강변부인>의 멜로드라마적인 도덕성은 문제의 진정에만 관심이 있는 멜로드라마의 도덕성과 달리 문제의 해결을 상상하는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어서 미진하고 잠재적인 것이나마 언제든 변혁의 힘으로작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Kim, Seung-ok`s <A Riverine Lady> participates in popularity of 1970`s Korean melodrama, and so adapts to the transitional consciousness in revolutionary age of Korean society actively. That is, the sense of transition which is between past and future is in sympathy with such a time experience that is hastily running toward the unknown, the process of which makes impossible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amplifies only the expectation about future. Like contemporary melodramas, Kim, Seung-ok`s also satisfies the melodramatic expectation devoid of experiential basement by means of the form of narrative acceleration indigenous to i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in <A Riverine Lady> also holds in common with the problem of declining experience in Korean transitional period when substitutes the real experience of present for the imaginary expectation about future by means of the accommodation to popular consumerism indigenous to the preoccupied experience as expectation. The aspects of self comforting experiences in Kim, Seung-ok`s melodrama are accurately combined with a popular desire that wants to replace the feeling of shabby reality with the craving for gorgeous time. However, Kim`s <A Riverine Lady> always don`t accommodate itself to the masses by regarding them as only a headstream of cultural corruption which is swept in sentimentalism or consumerism. This is above all confirmed in the point where Kim, Seung-ok`s melodrama converts the moral structure of general melodrama on basis of oppositio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into the romantic formation on basis of opposition between the good individual and the evil society. So there, the recognition that the masses are a crowd with the expectation about future and an earnest desire for renovation also is hiding in <A Riverine Lady>. As a result, melodramatic morality in <A Riverine Lady> has a power always able to operate with a force of reform though unsatisfactory and latent, on the grounds that it`s different with morality of the melodrama that is only interested in the pacification of all problems and filling up as an utopian imagination that imagines the solution of them.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의 유토피아적 사상과 상상력

        정경원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5 스페인어문학 Vol.0 No.76

        La imaginación utópica del siglo XVI resultó del desarrollo del pensamiento humanista. En la vida cotidiana el ser humano se siente limitado desede el punto de vista tanto temporal y como espacial. De ahí surge la imaginación humana para construir posibilidades racionales y proponer otra realidad alternativa mejor a la presente, la utopía. El pensamiento utópico requiere la renovación de la sociedad y supone una tarea colectiva. En este sentido, América Latina es la tierra paradisíaca como mundos ideales donde todo pude ser hecho nuevo. Pero con el paso del tiempo, la tierra utópica se convierte en la antiutópica en la que se encuentra la necesidad de alterar y planear el futuro ante la amenaza de la catástrofe para lograr una vida estable sin preocupaciones inmediatas. Paralelo a la antiutopía la ciencia ficción se ha impuesto como uno de los cosumos inmediatos debido a los avances de la ciencia y la técnica. Sin embargo el público ávido de la imagen pierde la imaginación creativa y liberadora. A pesar de ello el pensamiento utópico está en activo en América Latina. Por lo cual se necesita rescatar el valor movilizador de la utopía con el potencial del optimismo.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의 유토피아적 사상과 상상력

        정경원 ( Kyungwon Chung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5 스페인어문학 Vol.0 No.76

        La imaginacion utopica del siglo XVI resulto del desarrollo del pensamiento humanista. En la vida cotidiana el ser humano se siente limitado desede el punto de vista tanto temporal y como espacial. De ahi surge la imaginacion humana para construir posibilidades racionales y proponer otra realidad alternativa mejor a la presente, la utopia. El pensamiento utopico requiere la renovacion de la sociedad y supone una tarea colectiva. En este sentido, America Latina es la tierra paradisiaca como mundos ideales donde todo pude ser hecho nuevo. Pero con el paso del tiempo, la tierra utopica se convierte en la antiutopica en la que se encuentra la necesidad de alterar y planear el futuro ante la amenaza de la catastrofe para lograr una vida estable sin preocupaciones inmediatas. Paralelo a la antiutopia la ciencia ficcion se ha impuesto como uno de los cosumos inmediatos debido a los avances de la ciencia y la tecnica. Sin embargo el publico avido de la imagen pierde la imaginacion creativa y liberadora. A pesar de ello el pensamiento utopico esta en activo en America Latina. Por lo cual se necesita rescatar el valor movilizador de la utopia con el potencial del optimismo.

      • KCI등재

        「기상도」 연구

        박순원(Park Soon-Won) 한국시학회 2003 한국시학연구 Vol.- No.9

        「Gisangdo(Weather Chart)」, is the long poem of 7 parts, 422 lines and the masterpiece of Kim, Kirim, completed with his ambitious plan. Kim clarified that he planned 「Gisangdo」 to capture "the complicated and much crooked modern civilization" and to write "a long poem in which the dramatic development is possible." By analysing the composition of 「Gisangdo」 and by examining the poetic consciousness represented differently in each part and the relation between each part and other poems before and after 「Gisangdo」 in the process of his poems, this study has made clear the following three facts. First, 「Gisangdo」 is divided into first half from part 1~5 and second half from part 6~7 by the location of the speaker. In the first hal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y looks out with global view and have the clear epic composition of beginning, development, crisis, climax and conclusion. The second half is similar in the point that the speaker is located on the ground, but is different in the point that the speaker in part 6 regrets his situation and position, the speaker in part 7 reveals his will and aspiration. Secondly, the speaker in part 1~5 has an aspect of cosmopolitan accusing the absurdity and contradiction of the modern civilization. His cosmopolitanism is based on the desire to leap from colonials to universal citizen of the world. The speaker of part 6 shows internal reflection but it is not originated from practical experience but from intellectual manipulation and the speaker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universal modern intellectual firmly by not revealing the self - consciousness of his being the citizen of underdeveloped country. The speaker of part 7 shows the one - sided will of the self in single - lined and monologue tone Thirdly, The attitude of internal reflection represented in part 6 is developed into the direction to express the reality of colony or the limit of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 「The Sea and The Butterfly」, 「A Public Cemetery」, 「A Convalescent Hospital」, 「The Travel to Northside」 series because Kim faced with unconquerable limits as an intellectual in the colonial period. Single - lined and monologue voice of the speaker in part 7 repeated in early and later period poems and this shows that utopian imagination based on romantic dichotomy acts as one axis throughout Kim's writing his poems. Kim reveals intention towards universal world citizen in 「Gisangdo」, Satire, internal reflection and aspiration towards the new world represented in 「Gisangdo」 is represented in a global level. But Kim himself exists as a colonial, a citizen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In spite of Kim's ambitious plan to capture "the complicated and much crooked modern civilization", 「Gisangdo」 reveals the limit of lacking insight into his own condition of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