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니폼 디자인 방법에서 Human-centered Design의 디자인 미학의 응용 모델 연구 -한국, 중국, 일본 스튜어디스 유니폼 디자인을 중심으로-

        양유가,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design aesthetics theory in uniform design methods. With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improvement of material living standards has made people begin to pursue spiritual enjoyment, and through the spiritual level of demand more pursuit of beauty is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s to meet the aesthetic needs of users. At the same time, the theoretical support about uniform design is incomplete. This study will apply the design aesthetics method to uniform design based on human-oriented design, and analyze the classic cases of front-end airline uniforms in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 comparative research method and website survey method. An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tus of airline uniforms at the present stage, the design concepts of the outstanding airline uniforms of Korea, China, and Japan were extracted, and a model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design aesthetics in uniform design was expected to be obtained. This study is a supplement to the theoretical study of design aesthetics in uniform design. At the same time, it meets the dual needs of users for material and spirituality, and helps users to improve their work efficiency. It provides new idea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uniform design, helps uniforms for specific groups of people to establish advantages in the market competition with serious homogenization, and provides references for uniform design and selection. 이론을 적용하여 디자인 방법론적 응용모델을 제안하였다. 사회가 진보되고 발전함에 따라 물질적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은 정신적 즐거움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수요를 바탕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추구를 제품에 융합시켜 사용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유니폼의 획일적 설계에대한 이론적 근거와 결과물에 대한 미적 논리의 타당성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중심 디자인을기반으로 한 디자인 미학 방법론을 문헌 연구법, 비교연구법, 웹사이트 조사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각각 1위를 차지한 항공사 유니폼의 고전적 사례를 상세히 분석하고 현 단계 항공사 유니폼의 발전상황에 따라 우수한 항공사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방향을 파악하고 디자인 미학을 유니폼 디자인 방법에 응용하는 방법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니폼 디자인에 디자인 미학의 이론적 연구를 보완함과동시에 사용자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이중적 요구를충족시키고 사용자의 작업 능률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이 방법 모델은 유니폼 디자인 개발의 새로운아이디어에 대한 사고방법과 개발방향을 제시하여 유니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지고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하며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과 선택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역문화자원의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나현숙(Na, Hyun Suk),배수정(Bae, Soo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담양의 요식업에서 착용하고 있는 종사자 유니폼 현황을 파악하고 실태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담양 문화자원의 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자원의 개념과 유형, 담양의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요식업소 30곳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지법을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범위는 2015 세계대나무엑스포 행사 장소 주변인 담양 죽녹원과 관방제림 일대의 요식업소 30곳으로 한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담양 지역문화자원의 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방향과 유니폼디자인을 하였다. 유니폼 일러스트레이션은 Adobe Illustrator CS 6와 Adobe Photoshop CS 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식화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 결과, 요식업 종사자 유니폼은 거의 대부분 담양의 지역 문화적 특성이 부가되지 않은 낮은 가격의 아이템인 앞치마를 착용하고 있었고, 사이즈의 불만족과 미착용자의 경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과 개선 후 착용 의향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다. 선호하는 앞치마는 주머니가 부착되고, 폭의 여유량이 많아 뒤를 절반이상 가릴 수 있는 디자인과, 여밈 방법이 끈으로 묶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소재는 세탁견뢰도와 내구성이 좋은 면 혼방(T/C)에 문양이 없거나 기하학 문양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린, 브라운, 블랙의 어두운 계열의 컬러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4종류의 앞치마 세트를 음식의 테마 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 디자인은 한정식업 유니폼으로, 음식의 고유함을 더하는 전통한복의 목판 깃과 띠허리에 개더를 넣은 활동이 편한 원피스형 앞치마를, 두 번째 디자인은 일반 음식점의 유니폼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단추를 부착시켜 목뒤로 여밀 수 있는 홀터넥, 세 번째 디자인은 카페의 유니폼으로, 응답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허리끈 형태, 네 번째 디자인은 국수를 판매하는 음식점의 유니폼으로 블랙의 심플한 사각형의 앞치마를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타지역들의 문화자원 의 이미지를 활용한 다양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21세기 유망산업인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의 발전에 일조하길 기대해본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niform status of people in the restaurant business in Damyang, Jeollanam-do and try to suggest the uniform design using the image of Damyang culture resource based on this. The study method wa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ir concepts and types as well as the cultural resources of Damyang, and the interview and the survey were conducted which targeted the people working at 30 restaurants. The fact finding range was limited to 30 restaurant places of the Damyang Jungnogwon and Gwanbangjerim forest that is the surrounding place of the 2015 World Bamboo EXPO. The study term was from Oct. 2 to Oct. 7 of 2015 and implemented interview and survey by directly visiting the restaurant and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sis as the analysis method targeting on the final analysis of the 90 surveys. Based on this have set the uniform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as well as designing the uniform using the image of the Damya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uniform illustration was suggested in schematization using the Adobe Illustrator CS 6와 Adobe Photoshop CS 6 program.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is study, almost many of the people working at the restaurant wore the uniforms that did not include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 of Damyang and were just wearing aprons that is at low price items and in case of unsatisfactory size and in case of people who did not wear, they replied that there needs to be the improvement as well as they have the will to wear after improvement is made. The preferred apron was with the pocket attached with extra space to cover at least half of the back and the form of tieing by strings. Preference of no pattern or geometry pattern on durable blended cotton(T/C) with good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ould be found out that dark colors such as green, brown and black was preferred. Based on such result, 4 types of apron sets were suggested by the theme of the food. The first design was for the Korean Table d’hote which is the one-piece type apron with gathers on the block collar and belt band of the traditional hanbok made convenient for activity that adds the inheritance of the food, the second design was for the uniform of the general restaurant which is the halter neck that could be tightened by the back of the neck with buttons attached to control the size, the third design was the uniform of the cafe in the form of the belt form which had the highest preference of the repliers and the fourth design was the uniform of the restaurant that sells noodles designing the black simple apron of the square shap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value-added tourism industry which is the 21st promising industry by consistent study on the various uniform design development using the image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other areas.

      • KCI등재

        의상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대학 농구 유니폼 연구 : 한양대학교 농구부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Focused on Basketball`s Uniform Design of Hanyang University

        김소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의상디자인 프로세스와 의류 제품 평가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기능복 제작을 위한 의상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이 의상디자인 프로세스에 입각하여 실제 한양대학교 농구복의 디자인 개발을 함으로써 목표에 적합한 의상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기존의 디자인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있다. 의상 디자인의 평가표는 대학 농구 유니폼에 적합한 평가 기준의 차원으로 상징성, 심미성, 기능성을 도출하여 적용시켰으며, 의상 디자인 프로세스의 체계적 단계에 입각하여 농구부의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문제 인식 단계는 한양대학교 농구부의 디자인 및 제작에 대한 의뢰로 이루어졌고, 외부 환경 조사단계는 농구부와의 인터뷰, 기존 농구복 실물 조사, 실제 착용상황 관찰, 국내 주요 대학 농구부의 유니폼 탐색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디자인 단계에서는 농구 유니폼의 요건부터 디자인 컨셉, 소재, 색상에 대한 사항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의상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시켜 만든 농구 유니폼 디자인이 기존의 주먹구구식 디자인 단계보다 상징성이나 심미적인 측면 가능성에서 우수하고 체계적임을 나타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pparel design process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clothes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aspect of apparel design process and evaluation for apparel design product, to present suitable apparel design by designing and producing university basketball's uniform through apparel design process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ccess by design process through analyzing and supplementing other preceding studies. The Problem identification stage is request of the Basketballs of Han-Yang University for design of new uniform development. So, consideration of the essential factor of uniform, design concept, materials and color. And alsop we designed new logo that using Han-Yang University symbolic mark and color such a yellow, blue and orange. And, producing stage that the sample producing applying new logo design of the Han-Yang University and uniform design.

      • KCI등재

        지역브랜드 구축을 위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 개발 Ⅱ -목포지역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나현숙(Na, Hyun Suk),배수정(Bae, Soo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목포지역의 요식업소 유니폼 디자인을 위해 요식업소의 현황조사와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목포지역문화자원 특성을 반영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지역브랜드 및 문화자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목포지역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실증연구는 무작위로 방문한 30곳의 요식업소 유니폼 디자인 현황조사와 명소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유니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관광객 대상의 설문지는 총 8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한 현황과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여 총 4벌의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패션디자인 전문가 5인의 평가를 거친 후, 2벌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유니폼 디자인 현황조사 결과, 조사대상 지역 요식업소 유니폼은 지역문화자원 모티브가 활용되지 않은 유니폼으로 형태는 대부분이 앞치마로 나타났다. 관광객설문조사를 통한 인식조사 결과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유니폼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고, 유니폼 아이템은 앞치마, 티셔츠, 팬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포지역의 연상 형용사 이미지는 ‘자연적인’으로 나타났고, 유니폼 디자인 모티브는 역사문화자원인 갓 바위, 특산물자원인 세발낙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목포지역 유니폼 디자인 컨셉은 역사와 예술이 있는 항구도시를 로맨틱하게 해석하고자 ‘The Sea of Romance(낭만바다)’로 설정하였다. 유니폼 디자인은 갓 바위와 세발낙지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요식업 유니폼을 디자인하였다. 아이템은 상의는 티셔츠 혹은 와이셔츠, 하의는 팬츠와 앞치마로 구성하였고, 소재는 환편 니트, T/C, T/R,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여 기능성과 실용성을 부가하였다. 색상은 모티브인 갓바위, 세발낙지를 연상시키는 White/Gray/Brown 계열을 주조색으로, Black/ Yellow/Blue/Brown 계열을 보조색으로 사용하였다. 문양은 갓 바위와 세발낙지의 흡판을 사방패턴으로 전개하여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포시의 정책에 맞는 문화자원을 기초로 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여 지역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development of restaurant uniform of Mokpo area applying cultural resources through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of this area restaurant uniform designs.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uniform designs. The practical research includ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cent uniform designs of thirty spots in Mokpo area and preferen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finally suggested four restaurant uniform designs and two original samples. It was founded that the most workers in this area wore ready made apron as uniform and also restaurant uniform designs had lack of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y needed t-shirts, pants and apron items as a uniform with natural images such as Gotbawi and small octopus motives. According to this results, design concept is set ‘The Sea of Romance’ for Mokpo area using design motives of Gotbawi and small octopus. The items of uniform are top, such as T-shirts and Y-shirts, pants, apron and headdress in White/ Gray/ Brown as main colors, Black/ Yellow/ Blue as sub colors. For functionality, materials are used circular knit, T/C, T/R, polyester with Gotbawi and small octopus four-way patterns.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elped improve the Mokpo local images and economic situation, by proposing individual uniform designs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김유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Consumers have tended to make brand oriented purchase behaviors rather than products or service itself. Corporations have promoted their identities as corporate identity to consumers by differentiated brand concepts. It is reflected in the uniform design and it plays a role for the identity and value of uniforms with the functions of uniforms in itself.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develop uniform design for integrating identity by projecting and designing uniforms based on the actual cases to improve symbolic identity of brands and develop uniforms for with wearer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brand image and uniform design have been multidisciplinary researched for prior search for uniform design. Through it, CI of corporations has been symbolically represented by the basic requirements. And also, the direction of design has been provided for wearers' roles and functions effectively. Starting with the requests of design from businesses,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agreement of family firms, submission of business plan, contracts of assignment, and presentation of business in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were carried into practice. So the presentation of design was made through preparatory stage for the survey of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wearers' design preference. And also, the uniform design with aesthetics reflecting the symbolism of CI and brand image, the functionality for business ability and wearers' satisfaction, and promotion for brands has been develop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actualizing service by developing uniform design suitable for the corporate identity and be the basic reference for uniform design as the convergence & integration study associated with corporations. 최근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보다 브랜드 이미지를 구입하는 브랜드 지향적 구매 행위를 보인다. 기업은 차별화된 브랜드 컨셉을 개발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통합적 이미지로 홍보하고 있으며 유니폼 디자인에까지 반영되어 유니폼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정체성과 가치를 확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 향상, 착용자의 기능성, 심미성이 조화된 유니폼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유니폼을 기획, 디자인함으로써 기업의 이미지 통합에 활용되는 유니폼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선행조사를 위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유니폼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다학제적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기본 요건을 정리함으로써 기업의 CI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착용자들의 역할과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D업체의 디자인 의뢰를 시작으로 산학협력 가족기업 협약. 사업계획서 제출 및 과제계약, 유니폼 디자인 개발 사업 설명회를 실시하였고 환경특성 및 착용자 디자인 선호도 설문조사를 위한 준비단계를 거쳐 디자인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CI와 브랜드 이미지의 상징성,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 착용자 만족도 향상, 브랜드 홍보를 위한 심미성을 반영한 유니폼 디자인을 실증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디자인 개발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유니폼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서비스를 실현하는데도움이 되고 기업과 연계한 융복합 연구로 향후 유니폼 디자인 연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브랜드 구축을 위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 개발 Ⅰ -강진지역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나현숙,배수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development of restaurant uniform of Gangjin-gun applying cultural resources through investigation of present situation of restaurant uniforms of this area. This will be achie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uniform designs. The literatur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resources in Gangjin, focusing on prior studies on local brands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design status of 30 restaurants and a survey of restaurant workers.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1, 2017 to August 30, 2017, and a total of 51 questionnaires for those in the restaurant business were used for analysis. Later, three uniform designs and prototype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It was founded that the most workers in this area wore ready made apron as uniform and also restaurant uniform designs had lack of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of restaurant workers showed that practical uniforms with excellent job activities and washing skills were needed, and uniform designs were needed to enhance the image of the region. Aprons, T-shirts and pants appeared as suitable uniform items. When reminding each region, the image that comes to mind was “traditional,” while the motif of uniform design appeared in Gangjin Bay Ecological Park and celadon. According to this results, design concept is built ‘Breath of Tradition’ for Gangjin using design motives of Gangjinbay Ecopark and Goryeo Cheongja. The items of uniform are top(shirt, blouse), pants, apron and headdress in Black/ Brown/ Green as main colors, Gray/ Yellow as sub colors. For functionality, materials are used circular knit, T/C, polyester with cloud and crane pattern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local image and building a competitive local brand by presenting the design of the restaurant uniform based on the cultural resources of Gangjin area, which is the town of celad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강진군 요식업 유니폼디자인을 위해 현황조사와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강진지역문화자원 특성을 반영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을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지역브랜드 및 문화자원 관련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강진지역 문화자원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실증연구는 30곳의 요식업소 디자인 현황조사와 요식업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이었으며, 요식업 종사자 대상의 설문지는 총 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3벌의 유니폼 디자인및 시제품을 제시하였다. 유니폼 디자인 현황조사 결과, 조사대상 지역 요식업소 유니폼은 기성품 앞치마 형태가 대부분으로, 지역문화자원 모티브는 활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식업 종사자의 인식조사 결과는 직무활동과 세탁성이 우수한 실용적인 유니폼과,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유니폼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적합한 유니폼 아이템으로 앞치마, 티셔츠, 팬츠로 나타났다. 각 지역을 연상했을 때 떠오르는 이미지는 ‘전통적인’으로 나타났고, 유니폼 디자인 모티브는 강진만 생태공원, 청자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강진군 유니폼 디자인 컨셉은 ‘전통의 숨결’로, 디자인 모티브는 인공경관자원인 강진만 생태공원과 특산물자원인 청자를 활용하여상의, 바지, 앞치마, 머리쓰개로 구성하였다. 소재는환편 니트, T/C,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여 기능성과 실용성을 부가하였다. 색은 Black/Brown/Green 계열을 주조색으로, Gray/Yellow 계열을 보조색으로 사용하였다. 문양은 청자의 운문과 학문을 사방패턴으로 전개하여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청자의 고장인 강진지역의 문화자원을 기초로 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 제시를 통해 지역 이미지 제고와 경쟁력 있는 지역브랜드구축에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서울 장애인 콜택시 운전원 유니폼 개선을 위한 디자인 연구

        변나리,주보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택시 유니폼은 승객에게 소속 집단의 이미지를 전달하며 인식시킬 수 있는 표현적 상징 매체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택시 유니폼에 관한 연구는 타 업종의 유니폼 연구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택시 유니폼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디자인 및 샘플 개발은 서울시설공단에서 시행되는 서울시 장애인 콜택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 제작 사업의 일환이다. 유니폼의 역할 및 특성, 국내·외 택시 유니폼 사례를 살펴본 다음, 서울시설공단과 운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직접 면담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운전원들의 유니폼 불만족 요소로 소재가 가장 높았고, 디자인 선호도는 기본적이고 실용성이 강조된 스타일이 가장 높았다. 색상의 경우는 현 유니폼 색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무채색 계열과 검정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운전원들의 근무의욕 향상과 동시에 승객인 장애인에게도 편안함, 신뢰감, 미적 감각 등을 줄 수 있는 유니폼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인 택시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 나가는 데에 좋은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Taxi drivers' uniforms take an important role as a symbolic medium that can deliver the image of this group to the passengers effectively. However, the study on the uniforms for taxi drivers i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for other occup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s of increasing the usage of taxi drivers' uniforms in the future. The design and sample development for this study is a part of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s uniform design development and prototype production for the call taxi for the disabled in Seoul. After looking through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forms and the case studies of taxi drivers' unifor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and the taxi drivers to identify the issues and the ways of improve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st dissatisfying factor for the taxi drivers was the fabric of the uniforms. As for the design of the uniforms, they preferred basic and versatile styles. As for color, they preferred toned down colors, which are not too far off from the current uniform col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Seoul Metropolitan City to make uniforms that can encourage the taxi drivers to work harder and give comfort, trust, and beauty to the disabled passengers.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 good case study that can start a continuous study on taxi drivers' uniform design.

      • KCI등재

        유니폼의 C.I 적용 현황 및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임송미(Song Mi Lim),이미숙(Mi Su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차별화된 도시 정체성과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적 특성과 문화를 토대로 한 C.I 즉, 심볼마크, 로고, 도시 전용색, 도시브랜드 슬로건 등을 개발하여 도시가 지향하는 미래상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대표적 공공기관인 시청 민원실 직원의 유니폼 착용실태 조사와 조형성 분석을 통해 지자체 C.I가 시청 민원실 유니폼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C.I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범위는 지자체중에서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지 않은 부산시를 제외한 6개 지자체의 시청유니폼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과 도시 아이덴티티, C.I 응용요소로서의 유니폼,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유니폼 사례, 색채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였고, 실증연구에서는 지자체 C.I와 시청 민원실 직원의 유니폼 현황을 착용실태와 조형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유니폼 디자인에의 지자체 C.I 적용 현황,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형용사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폼의 착용실태를 보면, 서울시와 대구시는 남·녀 모두 착용하고 있고,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는 여직원만 착용하고 있다. 6개 지자체 모두 하복과 동복을 구비하고 있고, 유니폼 디자인은 근무자와 관리자의 합의를 통해 기능성, 심미성, 경제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서 선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매형태는 서울시, 인천시, 대전시, 울산시는 유니폼 전문업체에서 납품을 받고 있는 것에 반해, 광주시는 기성복을 구입해서 착용하고 있고, 대구시는 자체 개발한 디자인을 착용하고 있다. 둘째, 유니폼의 조형적 특성을 보면, 서울시와 대구시의 남직원 유니폼은 테일러드 칼라의 재킷과 셔츠, 팬츠의 쓰리피스형식이며, 6개 지자체의 여직원 유니폼은 블라우스나 셔츠에 A라인 스커트 또는 팬츠의 투피스형식이다. 남직원 유니폼의 경우, 서울시는 신뢰감과 안정된 느낌을 주는 dk톤의 PB계열 재킷과 팬츠, Wh계열 셔츠, B계열 넥타이를 착용하고 있으며, 대구시는 PB계열 재킷과 Wh계열 셔츠, mGy 팬츠를 착용하고 있다. 여직원 유니폼의 경우, 서울시는 PB(dk), Y(p), Y(ltg)가 배색된 블라우스와 PB(dk)계열 스커트(팬츠), B(b)계열 리본을 착용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PB(dk), Wh, B(b)가 배색된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팬츠)를 착용하고 있고, 대구시는 ltGy/RP(s)의 도트문양이 있는 ltGy계열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팬츠)에 RP(s)계열 리본을 착용하고 있다. 광주시는 PB(d), PB(lt), RP(ltg)계열 도트문양이 있는 B(p)계열 티셔츠를, 대전시는 B(p)계열 스트라이프 문양이 있는 블라우스를 착용하고 있으며, 울산시는 PB(dk)계열 블라우스와 ltGy계열 스커트를 착용하고 있다. 셋째, 지자체 C.I의 유니폼 적용현황을 보면, 서울시는 캐릭터인 ``해치``를 형상화한 뺏지를 유니폼에 부착하고 있으며, 대구시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인 ``컬러풀 대구``의 모티브와 색채를 유니폼 블라우스의 문양에 활용하여 화려한 도시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반면, 그 외 4개 지자체는 유니폼에 지자체 C.I를 적용하고 있지 않았다. 넷째, 도시브랜드 슬로건에 나타난 형용사와 유니폼의 색채이미지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울산시는 일치하고 있는 반면, 서울시, 인천시, 대구시, 광주시, 대전시는 거의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공 디자인으로서의 유니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도시의 문화와 C.I를 적용한 유니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local governments develop C.I including a symbol mark, a logo, city color, a city slogan, and a brand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to build unique city identity and image and actively use it as a communication tool which delivers a future prospect and image a city orient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I of the local governments is applied to uniform design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by examining the situation of uniform wearing and analyzing formativeness in public service center staff, and analyze image congruency of uniform with color.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six local governments except Busan which did not wear uniform. For the methods of study, literature study considered public design, city identity, uniform as C.I Application Element, uniform cases as visual communication, and Color image. Empirical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of C.I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staff uniform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with its focu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earing and formativeness and analyzed C.I appli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adjectives appearing in city brand slogans, and congruency between uniform color.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for the wearing condition uniform in city hall public center staff, Seoul and Daegu used uniform in both male and female staff, whereas Incheon, Gwangju, Daejeon, and Ulsan used it only in female staff. All of six local governments had both winter and summer uniform. Uniform design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economics under a mutual agreement by workers and managers. For a purchase type, while Seoul, Incheon, Daejeon, and Ulsan was supplied by professional uniform enterprises, Gwangju purchased a ready-to-wear, and Daegu developed and wore its own design. Second,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niform, male staff uniform in Seoul and Daegu had three-piece style consisting of tailored collar jacket, shirt, and pants, but female staff uniform of six local governments was two-piece style consisting of blouse or shirt and A-line skirt or pants. For male staff uniform, Seoul used PB(dk) jacket and pants, Wh shirt, and B necktie which delivered the sense of trust and stability and Daegu used PB jacket, Wh shirt, and mGy pants. For female staff uniform, Seoul used PB(dk) and Y(b), Y(ltg) blouse, PB(dk) skirt(pants), and B(b) ribbon; Incheon used PB(dk), Wh and B(b) blouse, and ItGy skirt(pants); Daegu used ItGy/RP(s) blouse with a dot pattern, ItGy skirt(pants), and RP(s) ribbon. Gwangju used PB(d), PB(lt), RP(ltg) T-shirt with a dot pattern; Daejeon used B(p) blouse with a stripe pattern; and Ulsan used PB(dk) blouse and ItGy skirt. Third, for the application of C.I to uniform by the local governments, Seoul put a badge which shapes its character, ``Haechi`` on uniform, Daegu used motive and color of ``Colorful Daegu`` which is its city brand slogan for blouse pattern to express a colorful city image. On the other hand, the rest four local governments did not apply C.I to their uniform. Finally, congruency between adjective appearing in a city brand slogan and color image of uniform was analyzed. While Ulsan was congruent, Seoul, Incheon, Daegu, Gwangju, and Daejeon was not congru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niform as public design and develop uniform which applies city culture and C.I.

      • KCI등재

        유통기업 D체인의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

        김유경(Kim, Yu K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국내 유통시장 개방 이후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고용창출 산업으로 발전하였고 양적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유니폼은 고객 유치, 서비스 강화, 이미지 전략으로서 판매 촉진 수단이자 소비자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유통기업 D 체인은 이미지 제고 및 서비스의 질적 차별화 전략 계획을 수립하여 전국가맹점 근무자의 유니폼을 개선하고자 디자인을 의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폼 디자인 요구 특성에 따른 디자인 기획, 프로토타입 제작 및 착의평가에 필요한 소재, 생산 및 유통 협업 과정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으로서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둘째, 프랜차이즈의 개념과 유통기업 D체인의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셋째, D체인을 위한 유니폼 디자인의 요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넷째, 연구설계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기획, 프로토타입을 제작 및 착의평가를 실시하였고 프랜차이즈 기업과 아웃소싱 외부 협력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유니폼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니폼 디자인 개발 협업 체계를 구축하였다. 둘째, 심층 면접에 의한 디자인 기획, 착의평가, 소재 기획, 착용자의 요구를 반영 A, B, C타입의 실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셋째, 최종 품평회를 통해 대량 생산을 위한 C.I 컬러 배색, 착용성 향상을 위한 소재의 신축성을 추가하여 A타입을 전국 가맹점 근무자 유니폼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본 과제는 디자인 프로토타입 제작, 시착 및 착의평가, 초도 물량 생산을 위한 사이즈 별 신청 내역 수합 및 생산공정 기획까지의 과정이며 사후 VOC 취합, A/S에 의한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착용성 평가체계 관련 후속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Since the opening of Korean distribution market, the franchise system has developed into a job creating industry and is predicted to see quantitative growth. Uniforms are a way to increase sales by securing customers and improving services, and as an image strategy. In addition, uniforms also deliver the symbolic image of a company to consumers. The distribution company D chain requested a new uniform design for the employees in its franchises all over the country, as a strategic plan for improving the company image and differentiating the services in terms of qual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and practical empirical data for design planning, materials for prototype production and appearance evaluation,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llaboration processes according to uniform design features.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section presents the background, purpose, research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y. Second, the concept of franchises 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company D chain is described. Third, to analyze the features needed for the uniform design of D chain, research models from previous stud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establish hypotheses for the research questions. Fourth,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design planning, prototype production and appearance evaluation to develop a design for the uniform, and suggests a design in collaboration with the franchise company and an external subcontract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llaborative system for designing uniforms was established. Second, an actual prototype of three different types (A, B, C) was produced after design planning, appearance evaluation, material planning, and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wearer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hird, after a final design evaluation meeting, the C.I color scheme was confirmed for mass production and more stretchable materials were selected to improve wearability. As a result, Type A was selected as the final design of the uniform for the franchise employee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of producing a design prototype, sampling and appearance evaluation, collecting the number of order per size for initial production, and production process planning. There will be further research on collecting VOC(Voice of Customer) and establishing an assessment system for the wearability of the prototype and the design through an after-sales service.

      • KCI등재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감성 디자인 방법 모델 연구

        양유가(Weijia Yang),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본 연구는 유니폼의 감성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사회가 발전하고 진보함에 따라 물리적 기능은 더 이상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제품에 대한 수요는 감성적 기능으로 확대되어 감성차원의 다양한 수요를 통하여 제품과의 융합으로 사용자의 정서적 경험을 만족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유니폼의 사용경험과 감성적 경험을 확장시켜 사용자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물리적, 감성적 기능에 대한 이중 수요를 만족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니폼의 주요 사용자인 유아 교사의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감성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헌 연구법, 비교 연구법, 설문조사 및 인터뷰 방식으로 현재 중국 유아 교사의 일반적인 업무활동과 사용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감성 디자인의 세 가지 차원을 유니폼 디자인에 적용하여 유니폼의 감성 디자인 방법 모델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디자인 방법 모델은 유니폼 디자인에 새로운 사고방식과 발전 방향을 제공하고 특정 집단을 위한 유니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유니폼 디자인과 선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principles of emotional design and design methods for uniforms. With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material function can no longer meet people's demand for products, but expand to the spiritual function, through the spiritual level of demand to integrate more emotions into the product, to meet the user's emotional experience. This research can expand the operational and emotional experience of uniforms, help users improve their work efficiency, and satisfy both their material and spiritual needs. This study takes preschool teachers as an example, preschool teachers as user subjects based on user experience and using user's emotional design methodology as suppor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 comparative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the general job content and user needs of current Chinese preschool teachers were summarized, and the three layers of emotional design were corresponded to the uniform design, and the methodological model of emotional design of uniforms was expected to be obtained. This method model can provide new idea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uniform design, help uniforms for specific groups of people to establish advantages in the market competition with serious homogenization, and provide reference for uniform design and s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