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과 월트 휘트먼 비교연구

        오영진 ( Oh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설로만 제기되었던 김수영 문학과 월트 휘트먼 문학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몇 가지 신빙성 있는 단서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시도가 없었던 이유는 양 시인의 작품 세계가 선명히 다르기 때문이다. 휘트먼은 풍요로운 미국의 자연풍경을 찬미하고, 시민들을 향해 사랑과 자유를 노래한 외향적인 시인인 반면, 김수영은 설움과 고독을 주된 정조로 주로 자신의 일상을 정직하게 반성하는 시를 주로 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수영이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장하며 실천해온 `자유`나 `육체성`에 대한 강조, 보편세계를 지향하는 `사랑`이라는 주제의식에서는 휘트먼의 영향이 분명히 감지된다. 증언에 의하면 김수영은 그가 읽은 독서목록의 작가들을 최대한 자신의 방식으로 소화하려고 노력한 작가이다. 때문에 김수영은 휘트먼적 주제를 자신의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소화했다고 볼 수가 있다. 본고는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 문학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이 끼친 영향과 그 변용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통상 휘트먼 문학의 특징이라고 정리된 몇 가지 주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을 읽어본다. 첫째,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의 설정문제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에 끼쳤을 월트 휘트먼의 영향력을 추리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쟁점들은 `너무 헐렁한 양복`이어서 누구나 맞춰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을 보였다고 본다. 하지만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개성으로 이 두 요소가 김수영 문학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둘째, 분명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주로 자연찬미나 이웃에 대한 사랑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월트 휘트먼에 비해 김수영은 고독이나 설움 같은 현대적인 주제에 열중한 면이 있었다. 반면, `사랑`이라는 주제가 수평적인 이미 저리로 펼쳐지는 양상에서는 양자 간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카탈로그 식 열거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리듬이나 수사적 효과를 위해 도입된 것이 아닌 `사랑`이라는 내용이 형식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수영의 경우도 「사랑의 변주곡」이나 「풀의 영상」, 「거대한 뿌리」 등의 비교적 후기의 걸작들이 이와 비슷한 수법과 주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양자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추적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김수영이 월트 휘트먼적이라고 평가하는 데에는 모자람이 없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on literature, which has been strongly hypothesized. Despite of some reliable clue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ttempts to make this clear because their works seem to be different distinctly each other. As Whitman was an extroverted poet who glorified rich scenery of nature in America and sang love and freedom, Kim Su-young wrote poems which reflected everyday honestly, filled with sorrow and solitude. Kim Su-young, however, had constantly empathized and practiced `freedom` and `corporeity` from earlier works and an inquiry into the universality of `love`, which exactly showed an influence of Whitman to him. Some evidences show that Kim Su-young sought to absorb the authors he read. And Whitman was also possibly absorbed into Kim Su-young`s works, modified with the times and conditions in his unique way. This paper plans to examine influence of Whitman and modified aspect to Kim Su-young`s works as read works of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together. For that, this paper reads Kim Su-young through Whitman`s thought. Firstly, I payed attention to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the first person narrative-that is a saint persona and on corporeity. Each point seems like "loose clothing" so it looks like every answers possible though, it is worth underlying both first person narrative(a saint persona) and corporeity which were the unique aspect of Whitman present in Kim Su-young`s work at the same time. Secondly, I attempt to reveal apparent similarity and distinction. Comparing with Walt Whitman`s work which mainly expressed admiration to the nature and love-thy-neighbour actively, Kim Su-young`s works focused on the modern problems like solitude and sorrow. However, the way of expressing `love`, which is the main theme and is presented horizontal imagery, is apparently similar to each other. Catalog technic is a unique style of Whitman, and it is not simply for a rhythm or rhetorical effect but for an embodiment of `love`. In case of Kim Su-young`s late works, `Sarang-eh Byen-ju-gok`(Love Variation), `Pul-eh Young-sang` (Image of Grass), `Geo-dae-han Puri`(Great root), also show an identical technic and theme. This paper has limitations to look deep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empirically. B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from Whitman to Kim Su-young would come up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월트 휘트먼의 작품에 나타난 해양 풍경

        심진호(Shim, Jin-Ho),이병철(Lee, Byung-Chu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5

        고향 롱 아일랜드(Long Island)의 풍요로운 해양 환경 속에서 성장했기에 월트 휘트먼(Walt Whitman)은 바다와 섬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많은 시를 창출해낼 수 있었다. 1855년에 출간된 첫 시집 『풀잎』(Leaves of Grass)에서부터 바다는 휘트먼의 중심 주제로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더욱이 풍성한 해양 풍경을 보여주는 『풀잎』의 많은 시들은 미국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롱 아일랜드의 원래 이름이자 동시에 일평생 휘트먼을 변함없이 매료시킨 ‘포마녹’(Paumanok)과 불가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휘트먼은 시와 산문을 통해 포마녹의 지리적 범위를 그가 가장 오랜 기간 거주했던 브루클린까지 아우르고 있다는 점은 중요하다. “나는 때때로 나 자신이 롱 아일랜드의 일부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나는 소년과 성인으로서 브루클린과 몬턱 포인트에 이르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살아오고 있다”는 그의 말은 이런 사실을 단적으로 입증해준다. 자신을 포마녹과 동일시하면서 휘트먼은 그 섬에서 어린 시절 그가 했던 일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풀잎』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풀잎』을 통해 「포마녹에서 출발하여」(“Starting from Paumanok”), 「새처럼 날아 포마녹에서 출발하여」(“From Paumanok Starting I Fly Like a Bird”), 「포마녹」(“Paumanok”) 등 포마녹을 시적 제재로 다룬 시를 찾기는 어렵지 않다. 더욱이 「바다의 표류」(“Sea-Drift”)라는 타이틀에 수록된 대부분의 시는 포마녹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휘트먼은 바다라는 “유동적이고 신비한 주제”와 포마녹의 고유한 장소성을 결합시킴으로써 그의 상상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었다. 「바다의 표류」의 시들은 이제 막 여정에 오른 미숙한 시인이 더욱 성숙한 시인으로 변모하는 성장 과정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시인이 얻게 된 모든 것을 연결 짓는 “광대한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비전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진정한 상호 관계를 토대로 하고 있기에 생태학적 사유와 상통한다. “광대한 유사성”을 발현시킴으로써 휘트먼은 포마녹이라는 지리적 경계를 초월하여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를 지속가능한 장소로 변형하길 염원했다. 이런 맥락에서 휘트먼이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질병, 생태계 파괴, 범죄 등 환경오염과 사회문제가 만연해 있는 뉴욕을 디스토피아적 공간을 상기시키는 “고모라”로 간주한 것은 그의 도시생태학적 상상력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풀잎』을 통해 휘트먼이 뉴욕이라는 단어를 지양하고 포마녹에서 연유한 “토착적인” 어떤 것을 담아내고 있다고 끊임없이 역설한 “나의 도시 매나하타”(Mannahatta my city)는 다름 아닌 탈경계적이고 생태학적 사유를 포괄하는 그의 “광대한 유사성”의 요체인 것이다. 이렇듯 해양 풍경과 불가분적 연관성을 지니며 시인에게 “광대한 유사성”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촉발시키는 포마녹은 휘트먼의 상상력의 정수가 되고 있다. Since he grew up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his hometown Long Island, Walt Whitman could write many poems inspired by the sea and the island. From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Leaves of Grass published in 1855, the sea is remarkably used as Whitman"s primary subject matter. His numerous poems on maritime landscapes are inevitably related to the setting of Paumanok, the aboriginal name of Long Island, with which Whitman is invariably fascinated throughout his entire life. It is important that the poet in his works includes the geographical range of Paumanok up to Brooklyn in which he lived for the longest period by stating “I have lived in nearly all parts, from Brooklyn to Montauk Point.” Identifying himself with Paumanok, Whitman reveals that his doings in the island are woven all through Leaves of Grass. Consequently,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e poems on Paumanok such as “Starting from Paumanok,” “From Paumanok Starting I Fly Like a Bird, “Paumanok,” etc. Furthermore, most of his poems which the poet published under the name of “Sea-Drift”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Paumanok. Whitman was able to expand his vision by incorporating the “fluid and mystic theme” of the sea with the indigenous placeness of Paumanok. The poems in “Sea-Drift” cluster explicitly show the poet"s growth process from an outsetting bard to a mature poet. His accomplished vision of “vast similitude” which interlocks all is parallel to the ecological thought as it is based on a true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Whitman with a new vision of “vast similitude” desires to transform New York where he live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to a sustainable city, transcending the geographical limit of Paumanok. In Leaves of Grass, his invariable preference for calling “Mannahatta my city” over “Gomorrah” New York, which signifies a dystopian place, is believed to be the fruit of Whitman"s new vision. Indivisibly related to the maritime landscapes, Paumanok, which inspires Whitman to have the “vast similitude,” acts as the essence of the poet"s imagination.

      • 이효석의 「풀잎」에 나타난 월트 휘트먼의 사상

        양균원(Kyoonwon Yang),방민호(토론자)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Vol.- No.-

        이효석의 단편 「풀잎」은 월트 휘트먼의 시집 『풀잎』과 제목이 같다. 또한 이 작품은 부제에서 휘트먼의 존재가 “인류의 행복”이라고 밝히고 있고 본문에서 그의 시 세 구절을 낭독하고 있기도 하다. 이 글은 휘트먼이 이효석에게 끼친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첫째, 이효석 단편의 두 주인공인 준보와 옥실의 사랑의 방식을 살피고 둘째, 준보가 낭독한 휘트먼의 시 세 구절을 보다 넓은 원문의 맥락에서 그 본의를 들춰 비교한 후 셋째, 새 사랑의 방식의 관점에서 「풀잎」과 『풀잎』의 차이를 따져본다. 이효석의 「풀잎」은 휘트먼의 『풀잎』에 고무되어 새 사랑의 방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주인공들이 휘트먼의 사랑에서처럼 자연의 강건함과 자유로움을 누리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부분적 실패는 이효석이, 일제 강점기의 억압적 분위기에서, 사랑 외의 것들로서 삶에 필수적인 것들, 예컨대 자유와 평등의 가치 등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휘트먼의 사랑이 우주 만물들 간의 강하고 평등한 연대를 확인해주는 동안에 이효석의 사랑은 혼전 성관계와 여성에 대해 주어져온 관습적 편견을 극복하는 데 온 힘을 소진하고 있다. "Leaves of Grass," a short story of Hyosuk Lee's, with the same title as that of Walt Whitman's collection of poetry, is subtitled "Mankind has the happiness to have Walt Whitman." and contains three citations from Whitma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way Whitman has influence upon Lee by examining 1) the characteristics of love affairs of Joonbo and Shil, two protagonists of Lee's story. 2) three translated citations from Whitman from a wider original context, 3) "The Song of Myself" by Whitman, and 4) the differences, which Whitman's and Lee's protagonists reveal in their pursuit of love. Lee's "Leaves of Grass" embodies a new way of loving as encouraged by Whitman, but does not appear to achieve the enjoyment of Whitman's love as free and strong as nature. This partial failure seems to result from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Lee could not exert his full strength to consider other necessities than love, such as people's freedom and equality, in the milieu of the oppressive censorship during the Japan's occupation. While Whitman's love affirms the strong connection among all the elements of the universe, giving the ordinary the strength to become a democratic member of society. Lee's confines its momentum to the overcoming of the traditional prejudice against women and premarital sex relations.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육체적 몸”으로의 접촉: 월트 휘트먼의 시각적 촉각성

        심진호 ( Jin Ho Shim ),이병철 ( Byung Chul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휘트먼(Walt Whitman)에게 접촉의 감각인 촉각은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일평생 그의 상상력의 원천이 되었다. 시인은 자연을 포함한 만물과의 육체적, 정신적 접촉을 통한 일체감을 보여주는 많은 시와 산문을 발표했다. 무엇보다 휘트먼은 “누구든지 이 책을 만지는 자는 사람을 만지는 것이다”라며 자신의 시가 “전체 육체적 몸”(whole corporeal body)과의 접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피력한다. 이것은 시인이 그의 대표 시집 『풀잎』(Leaves of Grass)을 통해 “몸”(body), “접촉”(contact), “키스” (kiss), “교감”(rapport), “점착성”(adhesiveness), “만지다”(touch), “껴안다”(press) 등 촉각성(tactility)을 상기시키는 시어를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는 사실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인간의 나체, 특히 남성의 나체에 대한 휘트먼의 경외심은 『풀잎』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나는 전율하는 몸을 노래한다」라는 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시인은 남성 신체의 “강하고 감미로운 특성”을 “가장 좋은 시”에 비유함으로써 마치 욕망의 시선을 지니고 남성의 나체를 만지는 듯 보인다. 이런 시인의 남성의 몸에 대한 형상화는 유사 촉각성, 즉 시각적 촉각성으로 다가온다. 『풀잎』에 형상화된 몸과 육체성이 불러일으키는 시각적 촉각성은 휘트먼이 활동했던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장르와 매체를 초월하여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고취시키고 있다. 특히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접촉을 열망한 휘트먼의 시각적 촉각성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실적인 이미지를 창출한 화가는 단연 동시대 미국 화가인 에이킨스(Thomas Eakins)라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1885년 에이킨스가 그린 『수영』(The Swimming Hole)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수영』에서 그리스 조각상을 상기시킬 정도로 건강한 몸을 지니고 당당한 자세로 서있는 남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남성들의 모습은 장르와 매체의 차이를 초월하여 휘트먼의 시 「나 자신의 노래」(“Song of Myself”)의 11번째 섹션과 강렬한 유비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풀잎』에 형상화된 “육체적 몸”을 매개로 한 촉각성은 “보이지 않는 의사”로서의 역할을 암시한다. 19세기 미국 주요 작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남북전쟁에 종군 간호사로 참전했던 휘트먼은 고통으로 신음하는 부상병들에게 육체적이며 동시에 정신적 치유의 촉매제로 기능하는 ‘어루만지는 자석 같은 손길’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풀잎』에서 접촉의 감각을 유발시키는 신체 기관인 손을 포함한 “전체 육체적 몸”과 같은 직접적인 촉각이 아니라 일종의 유사 촉각성을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시적 소재는 밤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시인은 밤과의 접촉을 통해 인간이 모든 육체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더 부드러워지고”, “유연해지고”, 궁극적으로 “제 상태로 깨어나게” 되는 정화의 치유 의미를 발견한다. 이렇듯 휘트먼은 초기 시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전체 육체적 몸’을 매개로 하여 “바라보고,” “만지고,” “접촉”하는 것이 소통과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비전을 시적 상상력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Among the entire nineteenth century writers, Whitman is believed to be a unique poet who adopted the sense of touch as a primary motif. From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hitman reveals his strong tactile desire by means of contacting and touching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His invariable affection for touching is vividly apparent in his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poems entitled Leaves of Grass. He claims that we should touch the “body of books,” not merely reading his poems with ey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words referring to tactility such as “body”, “contact”, “kiss”, “rapport”, “adhesiveness”, “touch”, “press”, etc. in his poetry and prose. These words are indivisibly related to the sense of sight, which he believes overwhelms other senses. His visual representation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strongly evokes tactility, which means visual tactility. Whitman`s desire for touching is clearly revealed with “an unseen hand” in the eleventh section of “Song of Myself.” Above all, his visual tactility is best embodied in his contemporary painter, Thomas Eakins, transcending the bounds of genres and media. Eakins creates a tactile image in a painting entitled The Swimming Hole of 1885 which accords with Whitman`s desire for touching through “an unseen hand.”Whitman perceptively notes the power of healing touch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by direct contact with all nature including human beings. He emphasizes that the “magnetic touch of hands” acting as the invisible physician is the most powerful remedy. Most of all, in Whitman`s imagination, contacting with the night leads to the healing and communication of human beings as it functions as the best healing agent transcending the limits of all the physicians and the priests. Accordingly, for Whitman, the true healer means a man with the “magnetic touch of hands” helping the sick to heal, not merely to cure.

      • KCI등재

        “육체적 몸”으로의 접촉: 월트 휘트먼의 시각적 촉각성

        심진호,이병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Among the entire nineteenth century writers, Whitman is believed to be a unique poet who adopted the sense of touch as a primary motif. From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hitman reveals his strong tactile desire by means of contacting and touching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His invariable affection for touching is vividly apparent in his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poems entitled Leaves of Grass. He claims that we should touch the “body of books,” not merely reading his poems with ey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words referring to tactility such as “body”, “contact”, “kiss”, “rapport”, “adhesiveness”, “touch”, “press”, etc. in his poetry and prose. These words are indivisibly related to the sense of sight, which he believes overwhelms other senses. His visual representation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strongly evokes tactility, which means visual tactility. Whitman's desire for touching is clearly revealed with “an unseen hand” in the eleventh section of “Song of Myself.” Above all, his visual tactility is best embodied in his contemporary painter, Thomas Eakins, transcending the bounds of genres and media. Eakins creates a tactile image in a painting entitled The Swimming Hole of 1885 which accords with Whitman's desire for touching through “an unseen hand.”Whitman perceptively notes the power of healing touch with the “whole corporeal body” by direct contact with all nature including human beings. He emphasizes that the “magnetic touch of hands” acting as the invisible physician is the most powerful remedy. Most of all, in Whitman's imagination, contacting with the night leads to the healing and communication of human beings as it functions as the best healing agent transcending the limits of all the physicians and the priests. Accordingly, for Whitman, the true healer means a man with the “magnetic touch of hands” helping the sick to heal, not merely to cure. 휘트먼(Walt Whitman)에게 접촉의 감각인 촉각은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일평생 그의 상상력의 원천이 되었다. 시인은 자연을 포함한 만물과의 육체적, 정신적 접촉을 통한 일체감을 보여주는 많은 시와 산문을 발표했다. 무엇보다 휘트먼은 “누구든지 이 책을 만지는 자는 사람을 만지는 것이다”라며 자신의 시가 “전체 육체적 몸”(whole corporeal body)과의 접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피력한다. 이것은 시인이 그의 대표 시집 『풀잎』(Leaves of Grass)을 통해 “몸”(body), “접촉”(contact), “키스” (kiss), “교감”(rapport), “점착성”(adhesiveness), “만지다”(touch), “껴안다”(press) 등 촉각성(tactility)을 상기시키는 시어를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는 사실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인간의 나체, 특히 남성의 나체에 대한 휘트먼의 경외심은 『풀잎』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나는 전율하는 몸을 노래한다」라는 시는 그 대표적 예이다. 시인은 남성 신체의 “강하고 감미로운 특성”을 “가장 좋은 시”에 비유함으로써 마치 욕망의 시선을 지니고 남성의 나체를 만지는 듯 보인다. 이런 시인의 남성의 몸에 대한 형상화는 유사 촉각성, 즉 시각적 촉각성으로 다가온다. 『풀잎』에 형상화된 몸과 육체성이 불러일으키는 시각적 촉각성은 휘트먼이 활동했던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장르와 매체를 초월하여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고취시키고 있다. 특히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접촉을 열망한 휘트먼의 시각적 촉각성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실적인 이미지를 창출한 화가는 단연 동시대 미국 화가인 에이킨스(Thomas Eakins)라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1885년 에이킨스가 그린 『수영』(The Swimming Hole)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수영』에서 그리스 조각상을 상기시킬 정도로 건강한 몸을 지니고 당당한 자세로 서있는 남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남성들의 모습은 장르와 매체의 차이를 초월하여 휘트먼의 시 「나 자신의 노래」(“Song of Myself”)의 11번째 섹션과 강렬한 유비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풀잎』에 형상화된 “육체적 몸”을 매개로 한 촉각성은 “보이지 않는 의사”로서의 역할을 암시한다. 19세기 미국 주요 작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남북전쟁에 종군 간호사로 참전했던 휘트먼은 고통으로 신음하는 부상병들에게 육체적이며 동시에 정신적 치유의 촉매제로 기능하는 ‘어루만지는 자석 같은 손길’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풀잎』에서 접촉의 감각을 유발시키는 신체 기관인 손을 포함한 “전체 육체적 몸”과 같은 직접적인 촉각이 아니라 일종의 유사 촉각성을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시적 소재는 밤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시인은 밤과의 접촉을 통해 인간이 모든 육체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더 부드러워지고”, “유연해지고”, 궁극적으로 “제 상태로 깨어나게” 되는 정화의 치유 의미를 발견한다. 이렇듯 휘트먼은 초기 시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전체 육체적 몸’을 매개로 하여 “바라보고,” “만지고,” “접촉”하는 것이 소통과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비전을 시적 상상력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 KCI등재

        “과학과 현대”의 시: 월트 휘트먼과 속도기계

        심진호(Jin-Ho Sh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월트 휘트먼(1819~1892)은 시와 산문을 통해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증기선과 기관차와 같은 19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속도기계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여준다. 산문 『표본이 되는 날들』에서 휘트먼은 당시 최고로 빠른 여객선이었던 증기선을 “살아있는 시”로 간주한다. 또한 「겨울의 기관차에게」(“To a Locomotive in Winter”)라는 시에서 휘트먼은 “끊임없이 재빠르게 질주하는” 기관차를 “현대의 본보기―움직임과 힘의 상징―대륙의 맥박이여”라고 칭송한다. 이렇게 그는 당대에 가장 빠른 속도기계였던 증기선과 기관차를 “빠른 움직임”을 구현하는 “현대의 본보기”로 간주한다. 자신의 시를 통해 속도기계를 재현하려는 휘트먼의 열망은 그의 독특한 시적 스타일와 기법의 발전으로 나아갔다. 속도, 에너지와 움직임을 도입하여 그의 독창적인 글쓰기 방식을 담아내고 있는 휘트먼의 대표 시집 『풀잎』은 속도와 가속화에 의해 야기된 새로운 파노라마적 지각체험을 보여준다. 휘트먼이 체득한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시각은 현대적 시각기계인 영화로 이어지는 연속성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많은 예술가들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Throughout his entire poetry and prose, Walt Whitman invariably shows his strong attachment to the speed machines such as the steamer and locomotive of America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Specimen Days, Whitman compares the fastest passenger steamers of the day with “living poems.” In a poem entitled “To a Locomotive in Winter,” Whitman regards the locomotive as his eternal muse by stating “Type of the modern―emblem of motion and power―pulse of the continent.” He considers the steamer and locomotive as the “rapidity of movement” because they were the swiftest speed machines in Whitman s time. Whitman s desire for representing the speed machines in his work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is poetic styles and techniqu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e new panoramic experience of perception derived from the speed and acceleration in Whitman’s representative poetry collection Leaves of Grass. The new avant-gardist perspective that Whitman realized through the speed machines suggests the advent of film like the modern sight machine and has timelessly inspired a lot of artists in the world.

      • KCI등재

        월트 휘트먼의 산타 스피리타의 노래

        김영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월트 휘트먼의 '풀잎'에서 나타나는 여성주의적 영성과 산타 스피리타의 노래를 분석하는데 있다. 휘트먼은 주로 남성적이고 육체적이며 반기독교적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성차별과 인종차별 같은 모든 차별에 반대하였고, 특히 그가 모든 시에서 여성들의 사랑과 자유를 추구하고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추구하였기에, 일종의 여성주의적 시인으로 볼 수 있다. 황홀경에 빠질 때, 휘트먼은 자신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우주만물의 소리를 듣고 이를 분석하여 '풀잎'에 실었는데, 현대 여성주의자인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그런 원시적 목소리들을 플라톤의 개념을 빌어서 “코라”라고 소개한다. 휘트먼은 종종 바다를 어머니로 부르고 신적 존재로 그리면서, 육체적 어머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속삭이고, 울부짖고, 슬퍼하고 또는 아름다운 벨칸토 목소리로 노래하는 영적 어머니/성령, 즉 코라를 설명한다. 더 나아가 휘트먼은 그의 산타 스피리타가 성령의 다른 이름으로 그에게 여신의 의미를 갖는 여성적 하나님임을 암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feminist spirituality and the song of Santa Spirita observed in Walt Whitman’s Leaves of Grass. Notwithstanding his reputation as a masculine, physical, and anti-Christian poet, he was a kind of the feminist in his poems, seeking love and freedom, presuming the equal rights of women, and opposing to discrimination like sexism and racism. Falling into ecstasies, he listened to and analyzed at all the sounds of the world, and was inspired. Whitman included not only the poet’s voice but also the voices of man and the universe in Leaves of Grass. Julia Kristeva who was known as a feminist calls these voices the chora. Whitman often saw the ocean as a mother who was not a biological mother but a spiritual mother/Holy Spirit whose voice sang, whispered, and cried with mournful, hoarse, and angry voices or beautiful bel canto voices. Whitman named her Santa Spirita, another name for the Holy Spirit, and she became his goddess.

      • KCI등재

        김말봉의 대중소설 『찔레꽃』의 사상 —휘트먼과 아리시마 다케오, 그리고 아나키즘

        서정자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Kim Mal-Bong has long used “Jjillekkot” as a metaphor for human happiness. The song 〈Jjillekkot〉 appear in novels 『Millim(Jungle)』 and 『Jjillekkot(The Brier Flower)』. “People pay all the price, but what they hold in their hands is often a lonely empty branch, Jjillekkot, really hard to get! ” Kim said. An Jung-Soon, the heroine of Jjillekkot, walks the path of motherhood through all kinds of difficulties. Even though Kim was a Protestant believer, she used the Catholic Virgin image, and portrayed the main character Ahn Jung-soon as the Virgin Mary and a Jjillekkot. The Virgin Mary and An Jung-Soon are the epitome of motherhood, yet endure sadness. People who misunderstand, despise and trample An Jung-Soon rely on her motherhood. Kim doesn’t just describe An Jung-Soon’s difficulties. Whitman affirmed and accepted discrimination due to conflicting values and institutions: good and evil, men and women, white and black, rich and poor. In Kim’s novels, characters separated and oppressed by social regulation reveal Whitman’s ideas, which are also symbols of Jjillekkot. Kim did not bring ideology to the fore in popular novels, but showed them through various characters. For example, Kyung-goo conceived of an agricultural community in Gangwon- do, showing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legitimate sons and bastard sons, reconstruction of rural communities, resolv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unity of religious consciousness. And with his voice, the writer criticized patriarchalism and male supremacy. I thought that Walt Whitman’s innovative ideas and Arishima Takeo’s ide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im. Based on Whitman’s ideas, I investigated the ideas of Jjillekkot. Ahn Jung-soon is a person who specifically showed Jjillekkot’s thoughts. Ahn is Jjillekkot, depicted as the Virgin Mary, which represents Kim’s tragic perception of life. Kim showed Jjillekkot as a symbol of life. Even if the flowers fall off and become empty branches, the wounded flowers become the salvation of life like the Virgin Mary or motherhood. 작가는 오랜 시간 ‘찔레꽃’을 인간의 행복에 비유하여 사유해온 듯하며 그렇기에 소설 『밀림』에서도 『찔레꽃』에도 「찔레꽃」 노래가 등장하며 작가의 말에서도 “사람은 모든 대가(對價)를 다 밧첫슴에도 불구하고 손에 쥔 것은 왕왕이 쓸쓸한뷘 가지뿐일 때가 많음에랴! 참으로 꺽기 어려운 찔레꼿!”이라 하였다. 『찔레꽃』 의 주인공 안정순은 가시에 찔리면서도 모성의 전형처럼 주어진 길을 걸어간다. 작가는 자신의 개신교 신앙을 넘어 가톨릭의 성모상을 등장시키고 주인공 안정순을 이 성모상과 함께 찔레꽃의 상징으로 그렸다. 성모와 안정순은 모성의 전형이면서도 가시 돋친 빈 가지의 슬픔을 감내하는 존재들이다. 어렵게 피어난 꽃은 어느새 하르르 지고 안정순을 향하여 사랑하고 오해하며 멸시하고 짓밟던 사람의 부끄러운 얼굴들이 정순의 모성에 기대어 있다. 작가는 안정순의 가시밭길만을 그리고 있지 않다. 휘트먼이 선과 악,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부자와 빈민 등 분리 대립된 가치와 제도로 인한 차별과 핍박을 모두 긍정하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듯이 소설에서 제도에 의해 분리되고 억압받는 각양각색의 인물들은 휘트먼의 사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맡아 찔레꽃의 상징에 응한다. 작가는 대중소설에 사상성을 전면에 내세우기보다 다양한 인물에 잠입시켜 흥미를 유지하면서 사상성을 성공적으로 담아냈다. 강원도에 농업공동체를 구상하고 실천해 나아가려는 경구의 기획을 중심으로 적서차별 철폐와 농촌공동체의 재건, 빈부격차의 해소, 죽음의 묘사에서 종교의식의 합일 등을 보여주고 가부장주의와 남성우월주의를 비판하면서 남녀평등을 웅변으로 부르짖기도 하였다. 본고는 휘트먼의 혁신적사상을 받아들인 아리시마 다케오의 사상적 역정이 김말봉의 휘트먼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휘트먼의 사상과 함께 참고하여 『찔레꽃』의 사상을 규명해보았다. 찔레꽃의 사상을 육화해 보여준 존재 안정순은 작가의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을 나타내며 동시에 성모마리아 이미지로 그린 찔레꽃이다. 신 구교의 경계를 넘어 찔레꽃을 삶의 상징으로 제시한 작가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돈과 사랑을 좇는 꽃들이 모두 진 빈 가지의 성모 이미지 또는 모성이야말로 우리 삶의 구원이라는 사상이다.

      • KCI등재

        월트 휘트먼의 신비주의: 자아의 내면을 통한 여정

        김영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2

        본 논문은 휘트먼의 『풀잎』에 나타난 신비주의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신비주의는 황홀경, 열락과 같은 초월체험과 초월의식으로, 자아소멸이나 자아가 확대되는 현상이다. 휘트먼의 신비주의 영성의 단계는 신/우주와 일체가 제시된다. 본 논문에서 휘트먼의 신비주의를 소리와 관련하여 5단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첫째 신비상태의 진입으로 내안의 영혼/신을 인식하기, 둘째 영혼을 통해 내면에 거하는 신의 사랑과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하기, 셋째 외부의 우주적이고 신적인 존재와의 접촉과 자아정화 하기, 넷째 신과 합일되어 시공간의 경계를 넘는 영혼 비행과 각성하기, 다섯째 신비상태에서 깨어나기로 세분된다. 「나의 노래」가 신비주의 교본처럼 정확하게 신비주의 체험 과정들을 보여주는 시로 여겨짐을 고려해볼 때에, 윌리엄 제임스,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리차드 벅, 폴 틸리히의 등의 사상을 바탕으로 『풀잎』을 분석해보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ysticism in Walt Whitman’s Leaves of Grass and to compare with the theories of mystics scholars such as William James, Friedrich Schleiermacher, Richard Bucke, and Paul Tillich. Mysticism is a transcendent consciousness to experience the ecstasy and transcendence, which destroys the self or expands the ego. The mystical aspect of Whitman’s spirituality was expressed in his poetry as being one with the God/the Universe who was alive in his inner soul that Whitman called his soul. “Song of Myself” was found to be a dramatic representation of his mystical experiences. This paper analyzes “Song of Myself” and other poems in Leaves of Grass and identifies each step involved with mystical experiences. The first stage is to enter into a mystical state and meet his own soul. The second stage is to be awakened to his own self. The third stage is to purify his self. The fourth stage is a union with the Absolute. The fifth stage is to emerge from the mystical state. “Song of Myself” shows mystic experience processes exactly as a bible of mysticism.

      • KCI등재

        <풀잎>에 나타난 노마디즘 : 바다에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심진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0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3

        대표시집 풀잎을 통해 월트 휘트먼은 새로운 자아를 찾아 떠나는“열린 길”로 여행하기를 염원한다. 시인은 영토화된 육지를 벗어나 바다의 영역으로 탈주해 끊임없이 탈영토화를 향한 탈주 욕망을 드러낸다. 시인은 당대의 증기선을 포함하여 범선, 연안선, 스쿠너선, 해선등을 망라한 여러 종류의 선박에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지속적으로피력하며 자신의 시적 영감의 원천으로 삼았다. 요컨대 바다는 “세계의 모든 항구로 가는 선원이 되는” 삶을 열망했던 휘트먼의 노마드적욕망의 본질적 공간이다. 정주적 삶에서 탈주해 항해자로서 새로운 자아를 찾는 시인의 모습은 질 들뢰즈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정의되고 확장된 개념인 노마디즘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휘트먼의 노마드적 사유는 인간과 비인간을 망라한 주변부 타자들에 대한 공감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들뢰즈와 가타리가 강조한 창조적 종류의 ‘되기’로 확장된다. 시인에게 내재된 본질적인 동물성에서연유한 그의 ‘동물-되기’는 19세기 작가들에게 쉽게 찾아 볼 수 없는노마드적 사유의 진수라 할 수 있다. 시인의 ‘동물-되기’는 단순한 모방이나 동일시가 아니라 동물들에 공감하여 그들의 속도와 힘을 지님으로써 탈인간적인 것으로의 실재적 변모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동물성을 함의하는 그의 “야성적 포효”는 견고한 자아에서 탈주한 휘트먼의 탈중심적인 새로운 관계망을 암시한다. 풀잎에 충만한 “야성적포효”에서 파생된 탈규범적인 “금지된 목소리들”을 휘트먼의 노마드적 사유의 산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