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지(月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出水施設)에 관한 고찰

        오준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3

        본 연구는 월지의 서측 호안 일대에 존재했던 출수구(出水口)와 구거(溝渠)를 재조명하고, 서측 호안의 출수시설이 월지의 역사적 배수체계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출수구의 위치와 형태, 월지 북서측 구거와 서측 호안 출수구의 관계성,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와 성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1975년 발굴조사로 확인된 서측 호안의 출수구는 1922년 실측도면에 기록된 수낙구(水落口)와 동일시설로 판단된다. 따라서 1920년대 이전부터 월지의 서측 호안에는 별도의 출수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측 호안 출수구는 장방형 석재를 가공한 시설이며, 수위조절을 위한 4개의 배수공(排水孔)이 설치되어 있었다. 배수공을 통한 출수방식은 월지 북측 호안에서 조사된 출수시설과 동일하다. 1913년 제작된 지적도에서는 월지의 북서측 외곽으로 구거가 확인된다. 구거와 출수구는 근거리에 위치하며, 동일한 축선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구거와 출수구는 월지의 배수체계와 연관된 유기적 시설로 판단된다. 특히 월지 북서측 구거는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를 1910년대 이전으로 소급할 수 있는 단초다. 출수구의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은 구거를 통해 월지의 북서측 일대로 배출 되었다. 서측 호안 출수시설의 조성시기와 성격은 두 가지 측면에서 해석된다. 첫 번째는 월지가 농업용 저수지로 기록되었다는 점, 월지의 북서측 일대가 농경지로 이용되었다는 점에 근거한 ‘조선시대의 농업용 관개시설’이다. 두 번째는 출수구가 월지의 수제선(水際線)을 형성하는 하층 호안석축에 설치되었다는 점, 최상단 배수공의 높이가 월지의 만수위(滿水位)와 유사하다는 점에 근거한 ‘월지 조영 당시의 수위조절용 출수시설’이다. 관련 근거와 정황을 고려하면 후자의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highlights a drainage gate and a ditch, which existed around the whole area of the western shore of Wolji Pond(月池) and focuses on a possible connection between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and the historical drainage system of Wolji Pond. Specifically, it primarily considered locations and the form of a drainage 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western ditch of Wolji Pond and the drainage gate, and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the character of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The drainage gate found in excavation in 1975 is determined as the same facility as Surakgu(水落口) recorded on an actual measurement drawing, 1922.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re were already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western shore of Wolji Pond before the 1920s. The drainage gate constructed by processing rectangular stones has four drainage hole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The way of the drainage through the drainage holes is the same as that of the northern shore of Wolji Pond. From a cadastral map drawn in 1913, it is found that the ditch existed in northwest of Wolji Pond. The ditch was proximate to the drainage gate and shared the same axes. Hence, the ditch and the drainage gate are determined as a organic facility connected to the drainage system of Wolji Pond. In particular, the ditch existed in northwest of Wolji Pond is the basis for judging that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western shore were established before the 1910s. Water flowed in through drainage holes of the drainage gate is drained into the northwest of Wolji Pond, through the ditch. The establishment period and the intention of the drainage facility on the western shore can be interpreted in two aspects. First, they might be 'a agricultural irrigation facility in the Joseon era', given that Wolji Pond was recorded as a agricultural reservoir, and that the whole northwestern area of Wolji Pond was used as farm land areas. Second, they might be 'a drainage facility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in creating Wolji Pond', given that the drainage gate was annexed to the lower shore forming the waterline of Wolji Pond, and that the hight of drainage holes on top of the drainage gate was similar to the full water level of Wolji Pond. Considering the related grounds and circumstance, the latter possibility is high.

      • KCI등재

        동궁과 월지 주변 건물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월지 서편 A건물지를 중심으로-

        김경열(Kim, Gyeong-yeol)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경주 東宮과 月池(사적)는 신라 통일 직후인 문무왕 14년(674)과 19년(679)에 조성된 宮苑池와 王宮이다. 월지 주변에서 조사된 여러 건물군은 동궁의 위치 문제와 구조 등 많은 논란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동궁과 월지 주변에 위치한 여러건물군들의 구조는 어떠한지, 그것이 왜 왕궁인지, 그리고 이에 대해 충분한 고고학적 검토가 수반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 성과와 A건물지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성과를 분석하고 월지의 동・서・남・북편 건물군의 배치 구조와 기능, 더 나아가 월성과의 관계, 동궁의 위치비정 등에 대해 고고학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동궁과 월지 서편 A건물지 발굴조사에서는 7×4칸의 대형건물, 계단의 답도시설, 특징적인 기단토와 2m 높이의 대지성토, 건물지 입지 지대의 고대화 등 왕궁으로 볼 수 있을 만한 건축적 속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신라 왕경 내에서 확인되는 건물군 중 A건물지가 최상위 위계를 가진 건물임을 방증해준다. 따라서 현재 북궁, 남궁 등에 대한 왕궁의 위치 비정은 A건물지와 유사하거나, 한 단계 낮은 위계를 가진 건물지의 존재가 확인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월지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7세기 후반 이후의 권위 건물(군)이 입지해있는 점과 월성에서는 월지 주변의 건물에 상응하는 권위 건물이 부재하는 특징도 확인된다. 이는 신라 통일 후 월지를 중심으로 왕궁이 재편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물론 월지를 중심으로 입지한 서편과 남편 일대에는 7세기 후반 이전에 축조되었던 건물군도 확인되어 왕궁의 중심 공간 이동 전의 대지 이용 양상도 짐작할 수 있다. 동궁의 영역과 위치는 출토 유물과 문헌을 통해 월지 주변에 입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에서도 가능성이 높은 곳은 월지 동편으로 추정된다. 월지 동편에는 (추정)소형 연지와 더불어 권위 건물군이 입지하며, 그 건물군 북편에 휴식 및 교육시설로 추정되는 ‘가’지구 4호 건물지와 생활시설(수세식 화장실, 우물 등)이 위치한다. 따라서 잠정적으로 월지 동편 ‘나’지구에 위치한 권위 건물군을 동궁으로, ‘가’지구에 위치한 건물군은 동궁에 부속된 생활구역으로 추정하였다.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Historic Site) are royal garden and palace located in Gyeongju, were built in the 15th (674) and 19th (679) years of King Munmu, right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Several groups of buildings investigated on the west and south side of Wolji Pond caused a lot of controversies, such a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Donggung Pa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formed the structure of various groups of buildings is located around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why it is a royal palace, and whether sufficient archaeological review has been conducted. This paper analyz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f building site A and conducted an archaeological review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uilding groups in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side of Wolji,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with Wolseong. In the excavation of bui lding site A on the west sid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found the architectural attributes include such as a large building of 7×4 cells, a king`s walkway facility for stairs (Tapdo), a distinctive stylobate soils of the building, 2m-high land reclaiming, and the fill-up ground higher than others ground. This proves that building A is the highest-ranking building among the buildings found within the capital of Silla, and it can be thought as a royal pala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determine currently the North Palace and South Palace locations in Silla capital with confirmation of the existence of a building site similar hierarchy compare with Building A or one level lower hierarchy. In this context, it is also confirmed that authority buildings since the late 7th century are located in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of Wolji Pond. On the other hand, it doesnt discover any authority buildings in Wolseong.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royal palace was reorganized around Wolji Pond after the uni fication of Silla. Of course, it could assume a group of buildings was built before the late 7th century that located in the western and southern areas around Wolji pond, suggesting how the site was used before the move to the central place of the capital. And the range of Donggung Palace is presumed that be located around Wolji Pond through relics excavated from Wolji Pond and literature records. Among them, the most suitable place is assumed to be on the east side of Wolji. On the east of Wolji Pond, it has a group of authoritative buildings with a (presumed) small pond, and on the north of this group, there are building sites presumed to be educati onal facilities and living areas like a flush toilet, wells, etc. Therefore, it is provisionally assumed that Donggung Palace i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Wolji Pond as the group of authority buildings.

      • KCI등재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고려 기와와 그 의미

        이현태 신라사학회 2024 新羅史學報 Vol.- No.61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문화유산이 출토되었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瓦塼類이다. 와전류의 대부분은 7세기 후반~10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데, 日暉文 막새를 비롯한 고려 기와도 일부 확인된다. 1978년에 발간된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에 수록된 고려 기와는 그동안 황룡사에서 유입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했다. 하지만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 가운데는 발굴조사보고서에 실리지 않은 것도 있고 일제강점기에 출토된 것도 있어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는 대체로 월지의 서쪽 湖岸 또는 남쪽 호안과 인접한 지점에서 출토되었거나 월지 서편 건물군에서 출토되었음이 확인된다. 그런데 월지와 황룡사의 사이에 자리한 월지 동편의 가・나지구에서는 일휘문 막새가 출토된 적이 없으며, 월지에서 출토된 日暉・雲文 수막새는 황룡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는 형식이다. 이는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가 황룡사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원래 사용처가 월지 주변의 건물이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는 적어도 월지 주변의 일부 건물이 일휘문 막새가 등장하는 11세기 중엽까지 남아 있었음을 알려준다.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고려 기와 가운데 附椽瓦가 포함된 점도 주목되는데, 통일신라 때 월지 주변의 건물은 서까래와 附椽의 끝부분을 金銅 透彫 裝飾으로 마감・장식했기 때문에 椽木瓦 및 부연와는 출토된 적이 없다. 따라서 비록 1점에 불과하지만 고려시대의 부연와가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월지 주변에 남아 있던 건물을 유지・보수하는 방식을 짐작하게 한다. 아울러 권위건물로서의 전반적인 외형은 고려시대까지 이어졌다고 하더라도 건물을 장엄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여 건물 자체의 위상은 통일신라시대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A variety of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among which roof tiles and tile bricks (wajeon 瓦塼) comprise the largest proportion. Although the majority of these roof tiles and tile bricks date from the late seventh to the early tenth centuries-corresponding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several roof tiles from the Goryeo period (918-1392), such as roof-end tiles (maksae) with sun halo design (ilhwimun 日暉文), were also found. Based on the findings included in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of Anapji Pond, published in 1978, the common understanding thus far was that these Goryeo roof tiles were brought to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from the nearby Hwangnyongsa Temple. However, not all of the Goryeo roof tiles were featured in the 1978 excavation report, and some Goryeo roof tiles were also found during excavat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us, a more detailed review of the Goryeo roof tiles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s needed. Most of the site’s Goryeo roof tiles were discovered in the vicinity of the western or southern retaining walls (hoan 湖岸) of Wolji Pond or around the buildings situated on the pond’s western side. However, no roof-end tiles with sun halo design have been found in Zones A or B, located to the east of Wolji Pond between Wolji Pond and Hwangnyongsa Temple. Furthermore, no convex roof-end tiles (sumaksae) with sun halo design or cloud design (unmun 雲文), in the style of those excavated from Wolji Pond, have been found at Hwangnyongsa Temple Site.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being brought over from Hwangnyongsa Temple, the Goryeo roof tiles were used in the first place on the buildings around Wolji Pond. Furthermore, as roof-end tiles with sun halo design emerged in mid-eleventh century, we can know that at least some of the buildings around Wolji Pond remained in use until this time. In addition, the discovery of a rafter extension tile among the Goryeo roof tiles excavated from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s noteworthy. Because the ends of rafters and rafter extensions were finished/decorated with gilt-bronze openwork decoration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rafter tiles (yeonmogwa 椽木瓦) or rafter extension tiles (buyeonwa 附椽瓦) had not been found around the buildings of Wolji Pond. However, the single Goryeo-period rafter extension tile allows us to conjecture that the buildings in the vicinity of Wolji Pond continued to undergo maintenance and repair. Moreover, this change in the way the building was adorned suggests that the even if the building retained its external appearance as an authoritative structure, its status had declined in the Goryeo period.

      • KCI등재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둘러싼 논의와 쟁점

        이현태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the historic site known as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and its vicinity. As is well known, the most widely accepted view on the historic site has long been that the artificial reservoir named Anapji was also called Wolji during the Silla period, while Donggung Palace, built in 679, was the official residence of the crown princes of the Silla dynasty. Following the widespread adoption of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theory, the historic site known as the “Imhaejeon Site in Gyeongju” was renamed as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2011. Ironically, however, divergent opinions to that theory had already begun to emerge by the time the historic site was renamed, in accordance with a new theory established in the 1980s. This latter theory was largely based on the records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Sagi) and the text materials excavated in the area around the Wolji Pond. Unfortunately, the researchers who proposed this theory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remaining archaeological features found at the site in question. Another view, which emerged in 1991, held that the area around Wolji Pond was too large to become Donggung Palace, in other words the official residence of Silla’s crown princes, and particularly so when compared with the crown prince’s palace in the subsequent Goryeo and Joseon periods. This was followed by the still new idea that the term “Donggung” referred, as the name suggests, to the “Eastern Palace,” whose precincts contained the crown prince’s residence (Taejagung Palace). The central part of the sit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is represented by a building complex located to the west of the pond. Discussions aiming to connect the central buildings with the crown prince’s residence only began as recently as 2010. This issue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lthough few of them actually undertook a thorough review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se palatial buildings. Recently, however, some of the structural remains of these buildings were re-excavated together with the ‘Ga’ section situated to the east of Wolji Pond. Accordingly, the achievements of the latest studies and archaeological discoverie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fresh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required in the effort to identify th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should b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building that is marked by an absence of inner columns at its center, as well as the background to Wall No. 1, which was discovered due east of Wolji Pond. That is why it has been concluded that Building No. 1 located in the ‘Ga’ section to the east of Wolji Pond,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interior without columns, should be compared with Building ‘A’ located to the west of Wolji Pond, which may well have been related with Silla’s kings. In order to acquire a closer,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researchers will need - in addition to adopting archaeological approaches - to explore text materials connected with Wolji Pond and the buildings in its vicinity, such as the record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according to which the entire fifty rooms forming the palace’s internal quarters were swept away when Dongji Pond overflowed. 사적으로 지정된 ‘경주 동궁과 월지’ 및 그 주변 지역의 성격을 둘러싸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신라 때 안압지는 月池로 불렸고 그 주변 건물지가 바로 679년에 건립된 東宮, 즉 태자의 居所였다는 견해가 거의 통설처럼 여겨져 왔다. 이는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에 힘입어 ‘慶州 臨海殿址’였던 사적 지정명칭은 2011년 ‘慶州 東宮과 月池’로 바뀌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사적 지정명칭의 변경을 전후해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에 대한 반론이 본격화되었다. ‘동궁(태자궁)과 월지’설은 『삼국사기』의 기록과 월지 일대에서 출토된 문자 자료를 기반으로 1980년대에 성립하였다. 하지만 가장 기본인 ‘경주 동궁과 월지’ 내의 遺構 분석을 소홀히 한 문제가 있다. 특히 월지 일대를 동궁(태자궁)으로 파악하기에는 고려나 조선의 태자궁과 비교해 그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비판이 1991년에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동궁은 ‘동쪽의 궁궐’을 가리키며, 그 안에 태자궁이 포함되었다는 수정된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중심 건물은 월지 서편에 자리한 건물군이다. 하지만 월지 서편 건물군을 태자와 연관 지을 수 있느냐는 문제는 2010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 뒤 여러 연구자가 월지 서편 건물군의 성격에 관해 언급했지만, 건물의 특징을 면밀하게 검토한 경우는 많지 않다. 최근 월지 서편 건물군 가운데 일부 유구가 재발굴되었고, 월지 동편의 가지구도 발굴보고서가 모두 발간되었다. 따라서 최신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새롭게 논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이와 관련해 건물의 중앙부에 기둥이 생략된 內陣 減柱가 확인된 건물의 성격과 월지 동편에서 발굴된 1호 담장의 축조 배경을 밝히는 것이 ‘경주 동궁과 월지’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특히 내진 감주가 확인된 월지 동편 가지구의 1호 건물은 국왕의 공간일 가능성이 큰 월지 서편의 A건물과 동등한 차원에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고고학적인 접근과 더불어 東池가 넘쳐 內殿 50여 칸이 떠내려갔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처럼 월지 및 그 주변 건물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경주 동궁과 월지’의 실체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윤선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crown-prince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In general, the crown-prince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the Imhaejeon(臨海殿) that were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Anapji(雁鴨池) which was excavated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crown-prince and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Donggungah(東宮衙), Setaek(洗宅), Woljijeon(月池典), Wo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apji was Wolji(月池) in Silla dynasty, so Woljijeon and Woljiackjeon was recognized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But Anapji and Imhaejeon is too big for the crown-prince palace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So Anapji and Imhaejeon is no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is where has been excavated since 2007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y ruins of buildings built from pre-middle period to the latter period of Silla are concentrated 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olji at west side of the site. large buildings, the palace-wall, and East gate of palace appeared in the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is not Anapji and Imhaejeon on west side of Wolji but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해전에 와서 왕이 群臣에게 향연을 베푼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동궁’을 태자궁이 아니라 ‘동쪽의 궁’으로 보는 수정안이 나왔다. 그러나 애장왕 5년 ‘임해전’과 ‘동궁 만수방’이 병칭되는 기사나 월지 출토 ‘太子’ 및 ‘東宮官’ 관련 문자자료로 볼 때, 신라의 동궁은 임해전 일대의 월지궁과 독립되면서도 월지 인근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11월 이후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월지 동편 유적에서 월지의 동쪽 호안을 따라 남북으로 긴 宮墻이 95미터 이상 노출되었고, 동단 끝으로 발굴이 더욱 확대되면서 남북대로에 맞닿아 있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유구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월지 동편의 宮墻에서 동문지까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이 월지 동편 유적은 궁장의 중간에 가설된 門들을 통해 월지와도 분명히 소통 연결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앞서 신라 동궁의 입지조건들과도 상당히 부합된다. 월지 동편의 발굴 상황은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에 기록된 동궁의 궁문이나 내부구조와도 일치한다. 월지 동편 유적의 ‘동문지’는 문호목간의 ‘東門’이며, 그 서쪽 1호 담장지인 宮墻에 가설된 ‘3호 건물지’는 ‘開義門’으로 추정된다. ‘모퉁이 궁’이라는 뜻의 ‘隅宮’은 1호 담당지의 서편, 즉 1호 건물지가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곳의 발굴이 확대되면 우궁의 북쪽과 서쪽에 外垣과 그 각각에 隅宮의 北門과 西門이 노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隅宮은 그 내부 1호 건물지가 동향이라는 점에서, 월지 동북편의 모퉁이 空地를 활용한 동궁의 부속 공간이었다고 생각된다. 월지의 서편 건물지는 ‘임해전’으로 잘 알 수 있듯이, 왕궁의 後苑인 월지에 건설된 남북축선을 고려한 매우 권위적이며 의례적인 건물군이다. 이러한 임해전과 월지의 영역은 왕의 공간이며, 그곳을 궁장(또는 苑墻)으로 차단하고 왕궁의 동단 끝에 다시 태자의 공간으로서 동궁이 별도로 건설되었다. 이때 동궁에는 태자를 위해 작지만 독립된 정원시설까지 기획될 정도로 동궁(태자궁)의 격조와 장엄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신라의 ‘東宮官’은 예하 관부의 구성과 기능으로 볼 때, 당에서 태자를 보좌하던 관청들을 묶어 ‘東宮官’이라고 통칭하였던 사례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당의 동궁관 예하 관부가 동궁 내에 모두 존재하지 않았듯이 신라의 동궁관 관청들도 모두 동궁 내에 있지 않았다. 인왕동 왕경유적의 ‘東宮洗宅’처럼 하대에 들어 태자의 文翰機構가 확대되면서 동궁 밖에도 동궁관 관청이 늘어났다. 한편 月池典과 月池嶽典이 내성이 아니라 동궁관 예하인 것은 龍王典과 관련이 있다. 용왕제가 왕실의 영속을 비는 제사로서, 용왕이 만파식적을 내려준 바다를 표상하는 월지(안압지)에서 태자가 거행하였기 때문에, 월지를 관리했던 관청들과 용왕제를 담당했던 관청이 함께 동궁관 예하에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경주 東宮과 月池 유적 건물지 配置 및 空間區劃 검토

        김경열(Kim gyeong yeol)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는 문무왕 19년(679)에 조성된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궁원지로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월지 내부와 그 주변 건물지의 양상이 확인된 바 있다. 조사결과 월지를 중심으로 각각의 건물지가 정연하게 배치되어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러 군으로 구획되어 축조된 사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월지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가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지의 배치구조 및 양상과 다른 유적과의 관계를 알기는 현재로선 힘든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발굴조사 성과 검토를 진행하여 남편에 축조된 1군의 건물지(도면 내 붉은색 건물지)는 월지 축조(674)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A건물지 남편에 위치한 줄기초 건물지와 시기적으로 연동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을 근거로 동궁과 월지 주변에 축조된 건물지 및 부속시설의 중복양상을 통해 건물지의 선후관계를 상정하였다. 본 검토에서 새롭게 확인한 부분은 첫째, 담장 등 부속시설의 재검토를 통해서 월지 주변에 위치한 담장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이다. 따라서 기존에 제기된 월지 주변을 감싸는 ‘宮牆’을 상정하기보다는 각 시기별로 건물지 구역마다 상이한 담장의 이용양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 번째, 월지 동편에 위치한 ‘가’지구와 ‘나’지구 건물지에서의 서로 다른 특징을 확인한 점이다. 즉 가지와 나지구는 전체적으로 건물지의 중복현상에 있어 차이점이 뚜렷한 점, 대형 건물지 사이의 공간에 대한 소형 건물지 점유 양상 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의 의미는 가지구와 나지구의 구역분리 및 건물지 기능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점은 나지구에서는 대체로 소형건물지보다는 대형건물지가 주로 물리탐사에서 확인되었고, 가지구에서는 단독으로 위치한 소형건물지와 생활시설(우물, 화장실, 창고 등) 등이 많이 확인되는 점도 이를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Donggung (The Eastern Palace) and Wolji (The Moon Pond) (historical site no. 18)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a palace and pond from the Unified Silla, built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679). Through several excavations, the aspects of the inside of Wolji and the surrounding building sites has been fou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urrent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each building site is systematically arranged around the Wolji and these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 several sections. However, it is hard to kn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rangement and aspects of the building sites and other historical sites because the excavation research around the Wolji has not been conducted as a whole. In this thesis, using a review of the results of existing excavation research, it is newly confirmed that a group of building sites in the south part of Wolji was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Wolji (674). This work suggests that the date of construction of the group of building sites could be related to the date of construction of strip foundations in the south part of building site A, which located in the West side of the Wolji. Therefore, the seque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ites could be estimated through examining the overlapped building sites and attachment facilities around Donggung and Wolji based on the research. Two parts of this thesis are newly identified. The first is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 walls located around the Wolji might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re-examination of the attachment facilities. He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ne wall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different functions from one building site to another rather than, as was previously suggested, as ‘Gungjang_宮牆_the palace stone wall’ around the Wolji.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s in areas 가 and 나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Wolji. It was identified that these two areas, despite overlaps when considered as wholes,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occupancy patterns of the small buildings in the spaces between the larger ones. This suggests areas 가 and 나 were divided up differently for different functions.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physical research discovered large-scale building sites in area 나, while a number of independently situated small building sites and living facilities (wells, toilets and warehouses) were found in area 가.

      • KCI등재후보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김병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In general, academics understand the Anapji(雁鴨池) and Imhaejeon(臨海殿) which is Time difference of five years to build and have a lot of relics related to Donggung(東宮) to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Samguksaki(三國史記) Jikgwanji(職官志) Donggung satellite facility has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aek(洗宅), Gupjangjeon(給帳典), Walljijeon(月池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d they think Anapji's Silla Dynasty Name is Wallji(月池). Walljijeon and Walljiackjeon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gupjangjeon, pojoen, is the departments which support banquet from anapjia and imhaejeon. As a result anapji around one and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around which is setteled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is estimated as a Donggung area. Donggung was the place to conduct various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fications to become a prince of their own living space provided and reveal the authority of the Crown Prince(太子). Therefore Anapji and Imhaejeon can't be Donggung affiliated facilities and Anapji which represent sea can't be Wallji(月池). Therefore Walljijeon(月池典), Walljiackjeon(月池嶽典) and Gupjangjeon(給帳典), Sungbangjeon(僧房典), Pojeon(庖典) which is the disparate business should be excluded from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s. Meanwhile in and out of Wallsung(月城) has 44 center government offices and 115 inside castle and most of Uhyongsung's(御龍省) government office. On the according to the common view excluded 9places and Disparate departments we can suppose 3places Attached government offices. Then Anapji in areas ranging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仁旺洞王京遺蹟) is to wide to see Donggung areas. Donggung relics excavated from Anapji(雁鴨池) is the Dispose of i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destruction of Silla so we can't sure where it used. But 'Sinbundonggungseteck bronze plate(辛番東宮洗宅’銘 靑銅盌)' which is excavated from Inwangdong Wanggyeong ruins and considered as a Diagnostic District is clear linkages beetween Its buildings. Especially if we accept Letters engraved on the plate, this excavated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 as Donggung attached Seteckji(洗宅址). And Donggungah(東宮衙), uhyongsung(御龍省), seteck(洗宅) which is Donggung part government off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fetuses should be crowded.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Donggung is in southwest wallsung not anapji around.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5년간의 시차를 두고 건립되고 동궁 관련 명문 유물이 다수 출토된 안압지와 임해전을 동궁 부속 시설로 이해한다. 또한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동궁 부속 관서로 동궁아‧어룡성‧세택‧급장전‧월지전‧승방전‧포전‧월지악전‧용왕전 등이 있는데 안압지의 신라시대 명칭을 월지로 간주하고 월지전‧월지악전은 안압지 관리 부서로 그리고 급장전‧포전은 안압지와 임해전에서 개최된 연회를 지원하는 부서로 보았다. 그 결과 안압지 주변 일대는 물론 최근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 등이 수습된 인왕동 왕경 유적 일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이르렀다. 동궁은 태자의 권위를 드러내며 독자적인 주거 공간의 제공과 군왕에 어울리는 자질 향상을 위해 각종 교육을 실시하는 장소였다. 그러므로 왕실 유희처로 사용된 안압지와 임해전은 동궁 부속 시설로 볼 수 없으며 바다를 상징해 조영된 안압지의 명칭도 월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월지전‧월지악전 그리고 업무가 이질적인 급장전‧승방전‧포전 등은 동궁 부속 관서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한편 월성 안팎에는 44개소의 중앙 관서와 115개소의 내성 및 어룡성 소속 관서들 대부분이 위치했다. 반면 동궁은 통설에 따르면 9개소 또는 이질적 부서를 제외하면 3개소의 부속 관아를 상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안압지에서 인왕동 왕경 유적에 이르는 지역을 동궁 영역으로 추정하기에 지나치게 넓다. 그런데 안압지에서 출토된 동궁 관련 유물은 신라 멸망 이후 자연적 인위적 폐기의 결과에 따른 것이므로 본래 사용처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왕동 왕경 유적에서 정치된 상태로 출토되어 진단구로 여겨지는 「‘신번동궁세택’명 청동접시」는 동궁 관련 명문 유물 중 해당 건물지와의 연계성이 가장 분명하다. 특히 접시에 새겨진 명문을 인정할 경우, 이것이 출토된 건물지는 동궁 부속 洗宅址로 볼 수밖에 없다. 더불어 동궁 부속 관서가 분명하면서 태자에 대한 행정 지원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동궁아 어룡성 세택은 직능상 밀집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동궁은 연계성이 떨어지는 안압지와 그 주변이 아닌 월성 동남쪽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월지 출토 금동판불의 도상과 봉안 양상 재검토

        김하영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7 No.-

        신라 통일기 월지(月池)의 조영은 통일의 위상을 드러내는 동시에 왕경 도시 체계를 일신(一新)하는 작업이었다. 또한 유적에서 출토된 3만여 점의 유물은 문헌 자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신라 왕실 문화의 단면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간 축적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판불 10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현황 분석을 통해 판불 일괄의 출토 정황, 제작기법과 구조, 조성 시기에서 유사점을 확인하였다. 월지 발굴조사 후 문화재관리국에서 발간한 보고서 雁鴨池 에 따르면 보살판불 1구는 서편 1건물지, 나머지 9구는 남쪽섬과 동편 사이에서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발굴 당시 작성된 야장 기록을 활용하여 이 중 5구의 판불이 월지 내 R12구역에서 발견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모든 판불은 공통적으로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투조문의 광배와 하단에 촉이 확인된다. 유물은 삼존판불 2구와 보살판불 8구로 구성되는데, 세부 조형 차이에 따라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조형 차이가 드러나지만, 시기 분석을 바탕으로 유물들이 동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판불의 존명을 추정하기 위해 유물과 전체적인 도상이 유사한 7~8세기 사례를 거시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 전법륜인은 통인(通印) 양상이 확인되어 수인만으로 삼존판불의 존명을 확정할 수 없었다. 다만 ‘전법륜인상ㆍ양협시보살입상’의 삼존 구성은 아미타불에서 다수 확인됨을 근거로 삼존판불의 주존은 기존 인식대로 아미타불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내렸다. 보살판불은 주요 표식 없이 합장을 한 채 결가부좌하며 여러 구가 현전한다. 이에 대해서는 본존을 공양하는 일반 권속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상기한 판불 현황의 유사점을 근거로 유물이 서로 연관되었을 가능성, 도상 분석을 근거로 아미타삼존판불을 공양하는 보살판불 권속을 상정할 수 있다. 이에 유물 일괄이 함께 특정 조형물을 구현하였음을 전제로 봉안 양상을 새롭게 추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월지에서 함께 출토된 금동화불에 주목하였다. 판불과 화불의 도상은 동시기 아미타정토도의 요소와 대응하며, 동일한 판불 구성이 두 유형으로 현전하는 현상은 특정 석굴이나 불당 공간을 복수(複數)의 아미타정토도로 장엄하는 양상과 비교되었다. 이에 판불이 화불과 함께 아미타정토를 구현하며 월지 주변 내불당 공간을 장엄하는 목적으로 일괄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간 판불의 조형과 직접적으로 비교되는 예를 찾기 어려워 원 봉안 양상은 난제로 파악되었고, 유물은 대체로 개별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0구의 판불을 함께 바라보면 아미타정토를 구현하며 공간을 장엄하는 당시 국제적 흐름과 맞닿는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앞으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유물 간 연관관계를 고찰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왕궁 내 불교 신앙의 실체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e Construction of Wolji Pond(月池)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not only unveiled the significance of unification but also revolutionized the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Additionally, the excavation of over 30,000 artifacts from archaeological sites brings to life dimensions of Silla royal culture. This paper attempt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ten Gilt-Bronze Buddha Plaques(金銅板佛) excavated from Wolji Pond, building upon accumulated research finding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excavation contexts, production techniques, structures, and compositional periods of the artifacts. This paper verifies that five plaques were found in the same area using excavation records. All plaques were crafted using the lost-wax casting method, featuring a mandorla around the head and a point at the bottom. The Gilt-Bronze Buddha Plaques, consisting of two Buddha triad plaques and eight Bodhisattva plaqu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minor differences in their forms. Despite these variations, stylistic analysis supports the conclusion that all artifacts were produced around the late 7th century. To infer the name of the Buddha Triad Plaques, artifacts which overall forms similar to those from the 7th to 8th centuries were examined. Since composition of Dharmacakra mudra(轉法輪印) and two bodhisattva were primarily in Amitabha Buddha sculptur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main deity of the Buddha Triad Plaques is Amitabha Buddha. The Bodhisattva Plaques, depicting bodhisattvas seated with the Anjali Mudra(合掌印) gesture without distinct attributes, were postulated to represent common attendants based on similar cases. Drawing upon the aforementioned similarities in the plaque status, the possibility of interconnectedness among artifacts is explored. Further supported by iconographic analysis, the assumption of a lineage associated with the worship of Amitabha Triad Plaques is proposed. Under the premise of shared representation, another interpretation of enshirnement is suggested. In this context, attention is drawn to the Gilt-Bronze plaquette(金銅化佛) excavated from Wolji Pond. The iconography of both plaques and sculptures corresponds with elements of contemporaneous Amitabha Pure Land depictions(阿彌陀淨土). The identical arrangement of plaques in both configurations mirrors the grandeur observed in specific cave temples or temple spaces with multiple Amitabha Pure Land depictions. Hence, it is posited that the Buddha plaques, alongside plaquette. were collectively crafted to symbolize the Amitabha Pure Land and to exalt the space within and around Wolji Pond.

      • KCI등재

        세계유산으로서 동궁과 월지의 가치와 보존 - 동궁과 월지 복원사업과 법체계를 중심으로 -

        양정석(Yang Jeong Seok)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2000년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남산지구, 대릉원지구, 산성지구 등 5개의 지구로 구성된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경주의 경우 이전 일본의 교토와 나라와 같은 지역 단위 세계유산과는 달리 현존하는 고건축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다 보니 비교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고도 나라의 문화재 중 하나인 헤이조궁적 정도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곳에서의 조사와 연구, 그리고 복원과 정비과정은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복원정비사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본고에서는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복원정비사업 중 하나인 동궁과 월지 복원 사업에 대하여 연대기적인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복원, 재건, 또는 재현으로 불리는 이러한 사업에 대해 일본의 경우보다 훨씬 더 다양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논의의 중심에 한국의 문화재 보존 체계의 중심인 문화재보호법이 있으며, 이 문화재보호법이 세계유산 등재 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되면서부터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활용, 그 중에서도 복원정비를 전제로 한 활용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설정되었다고 하기는 이른 것 같다. 사실 세계유산센터나 위원회 역시 일본의 사례를 보더라도 복원정비에 대해서는 논리적으로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이제 새롭게 제정된 신라왕경법과 세계유산법을 통해 향후 동궁과 월지복원정비사업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차원의 복원 논의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2000, Gyeongju Historic Site, consisting of five districts, Wolseong, Hwangnyongsa, Namsan, Daerungwon and Sanseong, was listed as World Heritage sites. Unlike previous regional World Heritage sites such as Kyoto and Nara in Japan, Gyeongju does not have any existing ancient architecture. As a result, the only comparison was made to Heijo-gung, one of the cultural assets of ancient countries. Therefore, the research and research, and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 her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Gyeongju Historic Site. This high school conducted a chronological review of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Restoration Project, one of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of Gyeongju Historic Site. This confirmed that much more diverse discussions were held on these projects, called restoration, reconstruction, or reproduction, than in the case of Japan. In the proces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center of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system, wa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has undergone several changes since it had a cultural heritage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However, it seems too early to say that clear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for utilization, especially on the premise of restoration maintenance. In fact, it is hard to say that the World Heritage Center and the Commission also have a logical and clear standard for restoration, even in the case of Japan. It is hoped that the newly enacted Shilla Wanggyeong Act and the World Heritage Act will create a clearer standard for discussions on restoration at the Northeast Asian level as well as the restoration project of Donggung and Wolji.

      • KCI등재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김병곤(金炳坤)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1963년 ‘안압지’는 ‘臨海殿址’라는 명칭으로 사적 1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문화재청의 심의를 거쳐 현재 ‘경주 동궁과 월지’로 개칭되었다. 이의 근거는 각종 고고자료와 문헌자료를 연계하여 동궁과 월지궁을 동일시하고, 안압지는 동궁 부속 원지이며 당대 명칭을 월지로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자궁의 대표적 이칭인 東宮은 때로 春宮 또는 靑宮으로 표기된 바 있지만 ‘月’과 연계되어 명명한 경우는 없었다. 각종 사료를 보면 신라 멸망기까지 동궁 표기가 주를 이루었고 때로 춘궁이 사용되었다. 오히려 월지궁은 동궁과 구별되는 건물로 월성 방어 시설인 해자가 통일이후 조경 기능을 가진 인공 연못으로 개조되며 월지라 명명되었고 이러한 월지 북단 인근에 건립된 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사실 동양의 여러 국가에서 조영된 왕실 연못(소위 태액지)은 바다를 상징하므로 고유 명칭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北海 中海 南海 福海 등으로 명명되었다. 동시기의 백제 무왕이 ‘궁 남쪽에 건립한 연못’도 오늘날 ‘궁남지’라 통칭하지만 이는 당시 명칭이 아니며, 인접 조영된 전각을 망해루(또는 망해정)라고 명명한 것에서 바다를 상징해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라 안압지도 서측에 건립된 전각이 임해전으로 안압지가 海의 개념에 기반한 태액지임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더 나아가 안압지 발굴 조사 결과를 보면 어느 한 곳에서도 연못 전체를 볼 수 없어 좁은 공간에서도 넓은 바다를 연상하도록 조영되었다. 그러므로 신라시대 안압지는 ‘海’를 상징하였으므로 결코 ‘월지’로 명명될 수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