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상사법적 쟁점

        김영주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4

        Remote sensing is a mean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distant objects without directly being in contact with them.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satellites in the 20th century allowed remote sensing to progress to a global scale and to be utilized for broader goals, especially commercial ones. As remote sensing imaging and distribution technology advances, commercial users will be choosing from arrays of precise, geographically-accurate imagery. The imagery will be less expensive and delivered in digital formats that are easier to use and duplicate. Undoubtedly, as the accessibilit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will be used in unsanctioned military or terrorist operations also increases. Satellite remote sensing has evolved from being an activity restricted to a limited number of states, which operated remote sensing satellites and benefited from the resulting data, to a present environment characterized not only by an increasing number of states operating remote sensing satellites and benefiting from their products, but also by the active role played by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private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legal issues surrounding satellite remote sensing, especially focusing commercial legal issues. This paper analyzes relevant international and national rules and policies with respect to satellite remote sensing. Also, this discusses some legal issues of commercialization in satellite remote sensing systems by comparing international and national regimes. Ultimately, it supposes that new legisl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is necessary for effective operational management and appropriate regul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systems in Korea. 위성원격탐사(satellite remote sensing)란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지구 표면을 탐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위성원격탐사는 지구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도학이나 GIS와는 다르며, 원격탐사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통해, 지구정보들을 문명화 과정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 인류에게는 필수적인 우주활동으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위성원격탐사를 단순한 우주활동의 일부로 파악할 것인지 아니면 우주산업을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육성할 것인지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으나, 우주시대를 인류의 당면과제로 인식하는 시각에 따른다면, 후자의 관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3년 나로과학위성(STSAT-2C)을 성공발사한 바 있고, 2018년에는 한국형 시험발사체인 누리호 시험발사도 성공시킨 바가 있다. 현재 지구원격탐사를 목적으로 천리안 위성 역시 운용 중이며, 향후 소형 관측위성의 발사도 충분히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위성원격탐사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상품화 하는 과정도 우리나라 민간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신산업 분야라 할 것이다. 따라서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탐사국으로서의 종합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한 세계적인 입법 추세에 비추어, 제도적인 정비 구축으로서 관련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한 개념적 정의와 기술적 특징들을 검토해 보았고, UN원격탐사원칙을 비롯한 미국 및 일본에서의 위성원격탐사 입법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이후,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한 상사법적 문제들로서,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산업규제와 데이터 정책, 데이터에 접근과 상품화, 데이터 이용거래와 관련한 법률관계 등을 논의해 보았다. 향후 과제로서 본 논문에서 검토한 원격탐사산업에 대한 규제정책의 설정, 위성데이터에의 접근정책, 데이터의 상품화 단계에서 비롯되는 법률관계들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이를 제도적으로 반영하여 구체적으로 규제할 것인지 아니면 시장에 일임할 것인지에 대한 입장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법제 정비방안

        김영주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2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7 No.1

        현재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법제 정비를 시도한 국가로는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일본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10년 최초의 해양ㆍ기상관측 위성으로서 ‘천리안 위성’을 발사한 위성원격탐사국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는 하나, 아직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상기의 법적 쟁점에 대해서는 크게 논의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법제 정비의 몇 가지 제안을 다음과 같이 피력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도 위성원격탐사 관련 법제를 제정하여야 한다. 입법방식으로는 위성원격탐사만을 규율하는 단일법의 형태로 제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위성원격탐사 사업 운영에 대해서는 미국, 독일, 일본과 같은 인ㆍ허가 제도의 방식으로 구축하는 것이 프랑스와 같은 신고제도 보다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운용규제 대상이 되는 사업범위와 관련하여, 위성원격탐사 시스템 전반을 규율하는 미국이나 캐나다의 방식 보다는 독일이나 일본과 같이 시스템의 개별적 설비나 위성데이터의 분해능에 따라 규제대상을 차등하는 방식이 옳다고 본다. 넷째, 위성데이터의 거래제한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특유한 지정학적 안보 상황이 내재한다는 점에서, 독일식의 민감도 검사 보다는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직접적인 Shutter Control 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한 산업 육성의 활용책을 법제 정비의 지표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Remote sensing of the Earth by satellite is being determined by international regulation and some perspective national provisions or policies of currently around 5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Germany, France, and Japan. Whereas some of the international law of remote sensing activities were adopted in the 1980s and are thus of age, national laws are of more recent times and reflect the trend of commercial use of remote sensing data. The major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on some legal issues surrounding remote sensing activities. The paper analyzes national law and policies relating to satellite remote sensing. Also, it also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gulations of satellite remote sensing operations and satellite data in Korea.

      • KCI등재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영주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1

        The regul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is generally included with the scope of statutes governing outer space activities. But not all states opted for dedicated satellite remote sensing regulation. The decision whether to do so depends in part on the specific capabilities of national satellite remote sensing programs. Five states that have dedicated statutes governing operations with remote sensing data are the United States, with its developed Landsat regime (the Land Remote Sensing Policy Act of 1992, LRSPA), Canada, with its Remote Sensing Systems Act, Germany, with its Satellite Data Securities Protection Act (SatDSiG), France, with its Law on Space Operations (LOS), Japan, with its Act on Ensuring Appropriate Handling of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The major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some legal issues surrounding remote sensing activities by comparative review. The paper analyzes international conventions or soft law and national law and policies relating to satellite remote sensing. It also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gulations of satellite remote sensing operations and satellite data. 본 논문에서는 위성원격탐사의 제도적 정비와 향후 입법 과정에서의 사전 참고로서 이와 관련한 법적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해서는 광범위한 법적 논점들이 제기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운용규제와 위성데이터의 거래규제 문제들에 논의의 중심을 두고, 우리법상의 본격적인 입법론적 방안을 위한 선행 연구로서, 비교법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위성원격탐사와 관련한 국제우주법 체제를 우주조약 체제와 UN원격탐사원칙으로 구분하여 개관하였고,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주요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입법 연혁에 따라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일본의 순서로 각 법규들의 성립 배경과 구체적인 입법적 구조 및 주요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후, 비교법적 검토를 토대로, 위성원격탐사 법제 정비와 관련한 몇 가지 논점들을 상정하여, 시사점 내지 개별적인 의견 등을 제시하였다. 2020년 현재까지 ‘국내 입법’으로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법제 정비를 시도한 국가들로는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일본이 유일하다. 이들 국가들은 자체적인 위성운용시스템과 위성데이터보호에 관한 입법적 체계를 마련하여, 위성원격탐사에 관한 법률적 규율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부터 ‘천리안 위성’을 운용하며 해양ㆍ기상 관측을 행하고 있는 위성원격탐사 수행국이라 할 수 있는데, 아직 그와 관련한 법제는 몇 가지의 정부 훈령을 제외하고는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위성데이터의 활용 플랫폼이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고, 소형 관측위성의 개발도 고려할 수 있는 지금,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는 향후 큰 폭으로 상승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도 관측위성시스템과 위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입법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안보와 정보보안의 측면에서도 위성데이터에 대한 일정한 보급규제가 제도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美國의 地上遠隔探査 統制制度

        서영득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5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0 No.1

        'Land Remote Sensing' is defined as the science (and to some extent, art)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Earth's surface without actually being in contact with it. Narrowly speaking, this is done by sensing and recording reflected or emitted energy and processing, analyzing, and applying that information. Remote sensing technology was initially developed with certain purposes in mind ie. military and environmental observation. However, after 1970s, as these high-technologies were taught to private industries, remote sensing began to be more commercialized. Recently, we are witnessing a 0.61-mete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on a free market. While privatization of land remote sensing has enabled one to use this information for disaster prevention, map creation, resource exploration and more, it can also create serious threat to a sensed nation's national security, if such high resolution images fall into a hostile group ie. terrorists. 지상원격탐사(Land Remote Sensing)란 멀리 떨어져 있는 지상지하 대상물의 특성과 현상을 접촉하지 않고 관측하여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이라 정의되고 있으며 보다 좁은 의미로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우주공간으로부터 지표를 관측탐사하여 영상 등 정보를 얻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원격탐사기술은 원래 군사 및 정보 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엄격히 제한되어 발전되어왔으나 1970년대 이후 점차 그 기술이 민간에 이전되어 상업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최근에는 지상원격탐사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업위성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업체까지 등장하여 최고 0.61m 해상도의 정밀위성영상을 시장에 유통시키게 되었다. 지상원격탐사의 민영화와 상업화 경향은 위성영상을 재해예방, 지도제작, 자원탐사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정밀위성영상이 피탐사국에 공격의도를 갖고 있는 국가나 단체 등에 입수될 경우 피탐사국의 국가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지상원격탐사기술의 최선진국인 미국은 이미 1990년대 초반부터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지상원격탐사산업을 통제하기 위한 입법적 보완책을 마련하여 왔으며 현재 국가안보를 이유로 지상원격탐사산업을 규제할 수 있는 여러 제도들을 갖추고 있다. 미국은 지상원격탐사정책법에 의하여 연방해양대기국에 유보된 허가권의 행사를 통하여 0.5m 이상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촬영을 막고 촬영 후 24시간 동안 위성영상의 유통을 금하고 있으며, 1994년에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지상원격탐사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한 ‘Shutter Control'제도를 규정한 대통령령 제23호를 제정한바 있다. 위 대통령령은 2003. ’U.S. Commercial Remote Sensing Policy‘로 대체되어 한층 강화되고 구체적인 규율 내용을 갖게 되었다. 새로운 미국의 지상원격탐사통제제도는 지상원격탐사허가를 내줌에 있어 국방장관과 국무장관이 그 기준을 정하도록 하고,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지상원격탐사금지 및 위성영상 유통제한 제도를 두고 있으며, 유사시 국가안보를 이유로 미국 정부가 민간지상원격탐사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미국과 같은 우주선진국조차 지상원격탐사가 국가안보에 대하여 갖는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그 통제를 위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는 점은 분단 상황에 놓인 우리에게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우주개발진흥법에도 미국을 비롯한 우주선진국들의 지상원격탐사 통제제도를 참작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Weltraumnutzung durch Satelliten

        Gilbert H. Gorni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4 No.-

        원격탐사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외국의 주권이 존중되어야 한다. 각 국가들이 권한 없는 외부적 침입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자연법에서부터 인정이 된다. 이 원칙은 국제법상 간섭금지원칙으로 인정되었다. 영공은 한 나라의 주권에 속하는 것이므로 항공에서 외국의 허가 없이 그 밑에 있는 외국을 원격탐사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런데 원격탐사가 주권의 범위 내에 있는 영공에서가 아니라 우주공간에서부터 이루어진다면,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허가는 사실상 모든 국가로부터 받아야하기 때문에 의미가 없게 될 것이다. 1986. 12. 03의 원격탐사원칙들은 무제한의 원격탐사에 대한 권리를 승인하고 있다. 이 원칙은 탐사실행국이 탐사되는 대상국가로부터 사전동의를 받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지도 않으며, 탐사대상 국가에게 사전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의무도 부과하지 않는다. 원칙카탈록 ?원칙에 따라 특정한 경우 탐사대상국은 탐사실시국에게 협의를 요구할 수 있다. 원칙카탈록 제?원칙은 탐사결과 자연재해를 막을 수 있는 위험이 밝혀지는 경우 탐사실행국이 탐사대상국에게 이에 대한 가종된 정보와 분석적 정보들을 제공하도록 의무를 지우고 있다. 탐사실행국의 책임은 원칙카탈록 ⅩⅣ원칙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 규정은 우주공간협약 제Ⅵ조상의 책임규정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각 국가들은 사영업자들이 국가적 업무의 실행에서 손해를 직접 야기한 것이 아니라면, 사영업자들을 위한 책임을 진다. 원자료의 가공 후에 탐사대상국은 ? 제1문에 따라 자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격탐사에 참여한 여러 국가들 중 한 국가의 소유로 존재하는 분석적 정보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 제1문에 따라 개발도상국의 특별한 욕구와 이익이 고려되어야 한다. 원자료에 대한 접근에 대해서는 이견 없이 인정되지만 분석자료의 접근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는데, 탐사실행국은 이를 자본과 노하우로 보고 엄격히 거부하고 있으며 지적재산권으로 보고 있다.

      • 다중 UAV의 원격탐사 영역분할을 위한 Bargaining 기반 협상 전략

        설재휘 ( Jaehwi Seol ),손형일 ( Hyoung Il S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최근 ICT(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투입 자원을 최소화 하면서 생산량을 최대화하는 새로운 농업 기술로 정밀 농업이 있다. 정밀농업은 위성 또는 항공기의 정보기술로부터 농작물의 상태와 토양의 건강을 파악해 투입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정밀 농업에서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인 원격탐사에서 UAV(Unmanned Aerial Vehicle)는 계획된 경로에 대해 낮은 고도에서부터 비교적 높은 고도로 비행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탐사 이미지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UAV의 관심과 활용이 높아지면서 단일 UAV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작업들에 대해 관심 또한 높아졌다. 특히, UAV를 이용한 원격탐사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많은 기체가 필요하지 않지만 탐사하고자 하는 지역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다수의 UAV를 활용하는 것이 탐사 시간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UAV를 이용하여 원격탐사를 수행할 때 각 UAV의 작업공간(즉, 탐사 영역)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하기 위해 Rubinstein’s alternate offers protocol를 기반으로 한 협상 전략을 제안한다. Rubinstein’s bargaining model은 크기가 1인 파이를 2명이서 나눌 때 어떻게 나누는 것이 효과적인가를 보여준다. 2개체의 단차원적인 경우는 각 차례로 자신이 원하는 양을 제안한다. 응답자는 제안자의 값을 받아들일지 말지 의사결정을 한다. 거절할 경우 협상비용으로 할인율을 적용해 다음 값을 제안한다. 3개체의 경우는 제안 순서의 중요성이 커지게 된다. 제안자는 다른 사람에게 몫을 제안하고, 응답자는 이에 따른 결정을 진행한다. 다음 차례의 제안자는 거절한 사람 중 가장 낮은 할당량을 제안받은 개체가 제안을 시작한다. 합의가 진행됨에 따라 서로가 원하는 몫에 가까워지면 모두가 수락해 합의가 종료된다. 이를 원격탐사 영역 분할에 적용할 경우 각 UAV가 탐사할 영역을 각각 n각형으로 정의한 후k개의 합의점을 설정한다. 협상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 원격탐사 영역을 분할한다. 제안한 탐사 영역분할 알고리즘은 3D 로봇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현 및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KCI등재

        CCD 카메라를 이용한 지상원격탐사 기술 개발

        김응남(Kim Eung Nam)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2D

        현재, 대규모 지역에 대한 환경문제를 감시하는 기술로서 위성원격탐사 기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이는 위성원격탐사 기술이 비교적 넓은 지역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도로, 댐, 공항 등과 같은 대규모적인 토목공사 후의 녹화지대나 녹화 법면의 식생감시 등 비교적 좁은 영역을 정밀하게 조사할 수 있는 원격탐사 기법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의 CCD 카메라와 새롭게 개발된 특수한 카메라 장치 등을 사용한 지상형 원격탐사ㆍ저고도 원격탐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가지 지상형 원격탐사 장비간의 상호비교 실험에 사용된 필터의 투과 특성을 조사할 수 있었고, 식생지수를 추출하는 화상형 분광반사계로서 근적외선 디지털 카메라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식생지수의 일중 변화현상을 실험을 통해 조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개발된 지상형 원격탐사 장비를 통해 산불 발생지역에서의 식생지수의 변화현상을 조사할 수 있었다. Recently, in the case of observing the global environment, satellite remote sensing technology has been important. It's because satellite remote sensing is valuable for assessing relatively large areas. But now, small scale remote sensing techniques are needed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detail investigation of plant tree areas which afforest land after the large scale construction of roads, dams and airport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nd propose a lower altitude sensing technique which can be used in ground remote sensing by using a CCD camera.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We recognized the transference characteristics of filters which were used in comparative tests about the four ground remote sensing devices. We also found that the near-IR camera could be used for an imaging spectral radiometer in the extraction of the vegetation index.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vegetation index has varied hour by hour during the day of the experiment. Finally, we brought about an increase phase of the NDVI in a forest fire, which caused considerable damage, by developing new ground remote sensing technology.

      • KCI등재

        해양환경관측을 위한 원격탐사의 활용과 그 전망

        유신재 ( Sin Jae Yoo ),정종철 ( Jong Chul Je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199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5 No.3

        본 소고의 목적은 광범위한 시·공간적인 규모에서 일어나는 해양환경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한 원격탐사기술의 활용을 전망하는 것이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해양원격탐사의 기술과 발전방향을 고찰하여 바람직한 해양원격탐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양원격탐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현안문제 해결과 수요자 위주의 관점에서 종합적 계획을 세워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양환경변화는 그 변화과정이 가지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규모에 맞추어 관측이 되어야 한다. 해양과 연안해역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적절히 관측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이용 가능한 센서의 활용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조사목적에 적합한 관측주기와 관측범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탑재대(platform)의 종류도 다양화되어야 할 것이다. 현장관측치에 의한 보정과 검증 과정은 해양원격탐사 자료의 바른 해석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단계로 부이 시스템이나 기회성 선박을 적극 활용하는 종합관측망의 일부로 개발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perspectives on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for observ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changes on various spatia-temporal scales. Currently available remote sensing technologies are reviewed and future direction is suggested. For better utilization of remote sensing, a comprehensive plan should be developed by a demand-side and problem-solving approach. Marine environmental changes should be observed on proper spatio-temporal scales where the processes occur. For appropriate observation and monitoring of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in coastal regions, more sensors must be utilized. Platforms other than satellites should also be utilized to expand the spatio-temporal scales of observation. Calibration/validation activities, required for accurate interpret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could utilize buoys and ship-of-opportunity sensors. It is desirable that such systems be developed as a part of an integrated monitoring network.

      • KCI등재SCOPUS

        최신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지구환경 모니터링 및 예측

        박선영 ( Seonyoung Park ),송아람 ( Ahram Song ),이양원 ( Yangwon Lee ),임정호 ( Jungho 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인공위성의 발전과 함께 초소형 위성, 레이더 위성 등 이전보다 높은 시공간 해상도와 분광 해상도를 제공하는 위성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전에는 국가 단위의 위성개발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민간기업에서도 위성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들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본 특별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되는 최신 원격탐사 기법 기반의 지구환경 분석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추후 위성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연구자들에게 도메인에 대한 연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 특별호에서는 최신 원격탐사 기법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구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연구들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최근 원격탐사 분야의 기술 동향을 안내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원격탐사 분야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원격탐사, 전기탐사, 전자기탐사 및 시추공영상의 융합적 분석을 통한 서산지역 방조제 누수구역 판별

        홍성인,이동익,백광현,유영철,임국묵,유재형,Hong, Seong-In,Lee, Dongik,Baek, Gwanghyun,Yoo, Youngcheol,Lim, Kookmook,Yu, Jaehy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전기전도도탐사(전자기탐사), 시추공 영상촬영법을 융합하여 효과적인 제방의 안정성 및 누수 평가 방법을 서산 A지구 방조제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Landsat ETM+열적외선 밴드를 사용하여 방조제 부근에서 다른 온도의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양상을 통해 누수의 존재, 규모 및 기간을 유추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를 방조제를 따라 실시하여 평균비저항 값 83.197 ${\Omega}$-m이하를 보이는 이상대의 수평적 수직적 분포를 확인하였다. 간조와 만조 시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석을 통해 배경치의 영향을 최소화한 수평적 이상대 분포를 확인하였다. 시추공영상촬영을 통해 파쇄대의 수직적 분포양상과 기존 탐사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체 제방의 연장 중 41.7%에서 세 수평적 이상대 탐사법의 중첩구간이 확인되었으며, 시추공에서 확인된 수직적 파쇄양상을 고려할 때 누수구간이 제방단면의 중심부를 따라 상당부분 수평적으로 연장이 되어 방대한 양의 누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네 탐사법의 융합적 접근은 각 탐사방법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부각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수평적 및 수직적인 누수구간과 기간의 확인 및 판별이 가능하고, 시추공에서 확인된 수직적 파쇄양상의 수평적 연장성을 예측하는데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roduces integrated approach on detection of a leakage in a sea wall based on remote sensing, electric resistivity survey, electromagnetic survey, and borehole survey for the Seosan A-Region sea wall. The satellite temperature distribution from Landsat ETM+ data identifies water leakage distribution and period by analyzing temperature mixing patterns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Electric resistivity survey provides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nomaly distributions over the sea wall showing below average electric resistivity. Electromagnetic survey(electrical conductivity survey) reveals the potential possible leakage areas with minimal background impact by comparing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between high and low tides.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confirmed the locations of anomalies identified from the other survey methods and distributions of vertical fracture zones. The integrated approach identified 41.7% of the sea wall being the most probable area vulnerable to water leakage and effectively approximated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water leakage. The integrated analysis of remote sensing, electric resistivity survey, electromagnetic survey and borehole survey is considered to be an optimal method in identifying water leakage distribution, period, and extent of fractures knowledged from the boreh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