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관한 재고찰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본고는 움라우트의 ‘개재자음 제약’을 위반한 예들을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기존에 예외로 처리되어 온 예들을 정밀히 분석함으로써,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개재자음 제약의 성격을 밝히고, 아울러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 및 해당 규칙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세부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중부방언의 경우, 개재자음이 없어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중부 방언의 경우, 중자음을 개재하고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셋째, ‘ㅈ, ㅊ’을 개재한 ‘쇼쥬>쇠주’, ‘단츄>댄추’와 같은 예를 고려할 때,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는 기저 층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움라우트 규칙은 수의적 규칙이다. 때문에, 해당 규칙을 지배하는 절대적 제약이란 있을 수 없다. ‘개재자음 제약’ 또한 ‘위반 불가능한 제약’이 아니며, 이것은 어디까지나 ‘위반 가능한 제약’으로서 하나의 ‘경향’을 반영할 뿐이다. 다섯째,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일련의 제약들은 표면형에 대한 제약인 ‘표면 적형 제약’이다. 이 같은 제약들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움라우트 규칙 적용상의 변이가 출현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exception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of the umlaut rul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It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and determined the application level of the rule. Besides, it discussed various conditioning factors of the umlaut rul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ly, umlaut can occur without an intervenient consonant in the Central dialect. Secondly, umlaut can occur even if the central consonants intervene between assimilated vowel and assimilator in the Central dialect. Thirdly, considering the examples such as syoʦyu>söʦu "soju", tanʦʰyu>tɛnʦʰu "button", it is supposed that the level to which the umlaut rule apply is the underlying level. Fourthly, the umlaut rule is an optional rule. Thus, it cannot exist that the absolute constraint which governs the umlaut rule.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is not an "inviolable constraint" but a "violable constraint" which merely reflects a "tendency". Fifthly, a set of constraints which are involved in umlaut are the "Surface Wellformedness Constraints". The vari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umlaut rule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among the constraints.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국어 움라우트 현상 분석

        조성문 ( Cho Sung-mo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변화를 정밀하게 고찰하고, 그 결과를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의 제약 등급의 변화로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대에 들어 활발히 전개된 움라우트 현상은 그 기제에 대해 엇갈린 논의들이 있지만, 그것은 시대와 방언에 따른 범위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움라우트가 동화 현상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어 이제 중부방언 및 국어어문규정에서도 그 현상을 어느 정도 인정해야 한다는 논의를 진행하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부방언에서도 움라우트 현상의 예들이 조건에 상관없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어문규정에서 다루고 있는 움라우트는 이 현상이 동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의미적 기준에 의해서 구분을 짓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동화 현상이 일반적인 것이 되어서 굳어져 있는데 일부 단어만 동화를 인정하고 나머지는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그 규정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되어 있다.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규정은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본다. 움라우트는 ‘ㅣ’ 모음 역행 동화 현상, 즉 말 그대로 발음에 관한 동화 현상인데도 불구하고 의미적인 기준으로 예외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규정 역시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재자음 제약이 지닌 성격을 밝혀 움라우트 현상의 적용 조건을 보다 명확하게 하려는 것이다. 그것을 종합하여 최적성이론의 제약과 등급의 변화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일반 언어학적 보편성과 개별 언어학적 특수성을 모두 설명하였다. 특히 충실성 제약인 Ident-IO(F)와 유표성 제약인 IC-vowel[back], *UMLAUT-coronal의 상호 작용에 의해 중부방언과 남부방언의 움라우트변화 양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이 제약들의 등급이 변화해서 마지막 단계로 다다르게 되었다는 것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of the ‘umlaut’ phenomenon in Korean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Especially, it examined the exception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of the umlaut rul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It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and determined the application level. Besides, it discussed various conditioning factors of the umlaut rule.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umlaut can occur without an intervenient consonant in the Central dialect. Secondly, umlaut can occur even if the central consonants intervene between an assimilated vowel and its assimilator in the Central dialect. This is because examples of umlaut phenomena in central dialects are found regardless of conditions. The umlaut, which is cover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rules, distinguishes this by semantic criteria even though it is an assimilation phenomenon. Already a fairy tale phenomenon has become common and hardened, but some words only assimilate assimilation and the rest are not accepted in principle. Therefore, this regulation seems to have a more serious problem. Because Umlaut is a fairy tale about pronunciation, but an exception is made as a semantic criterion. Therefore, these regulations should be amended. Thirdly, considering the examples, it is supposed that the umlaut rule applies in every Korean dialect. Thus,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a marked constraint, which governs the umlaut.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is ‘Identical cluster-vowel[back]’. It is not an ‘inviolable constraint’ but a ‘violable constraint’ which merely reflects a ‘tendency’. Finally, a set of constraints which are involved in umlaut are ‘Identical cluster-vowel[back], *Umlaut-coronal, Ident-IO(F)’. The vari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umlaut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among the constraints.

      • KCI등재

        이문구 소설에 반영된 충남방언과 실제 충남방언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본 충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징 - <우리 동네>를 중심으로 -

        이현주 ( Lee¸ Hyun-j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이문구는 한국 소설사에 있어서 문학 작품에 방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작가 중 하나로, 그의 작품에는 고향 방언인 충남방언이 적극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문학 작품 속에 반영된 방언은 문학적 장치의 차원에서 ‘선택’되고 ‘창출’된 문학어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방언과는 간극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작품 속의 충남방언과 실제 충남방언 사이의 간극을 통해 소위 전형적이라고 여겨지는 충남방언의 면모를 확인함과 동시에 충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형태소 내부에서의 움라우트는 국어 여러 방언에서의 모습과 대부분 일치하나 작품에서 나타나는 움라우트 정도에 비해 실제 충남방언 자료에서 나타나는 움라우트의 정도가 다소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움라우트 확대 현상이 일어난 경우, 또는 형태소 경계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작가가 작품에 움라우트 실현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은 작가의 수사 기교의 일종이며 작가의 인식 속에 움라우트 현상은 충남방언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로 생각되었음을 드러낸다. 그렇지만 현재 많은 충남방언에서 움라우트는 더 이상 공시적인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어>으’ 고모음화는 작품에서 비어두 위치에서까지 비교적 적극적으로 실현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충남방언에서는 대체로 어두 위치의 장음에서 주로 일어나며, 어두 위치의 단음이나 비어두에서는 소극적인 양상을 보인다. ‘에>이’ 고모음화와 ‘오>우’ 고모음화의 경우도 비슷하여, 작가가 여러 유형의 고모음화 실현형을 충남방언의 전형으로 생각하였기에 작품에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현재 충남방언에서의 고모음화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모음조화의 경우 충남방언의 특징 중 하나인 소위 ‘모음조화 파괴 현상’을 작품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 현상은 충남 북부지역과 충남 남부지역이 차이를 보이는데, 작가는 모음조화 파괴가 적극적인 충남 북부지역의 양상을 반영하였으며 이것 역시 전형적인 충남방언의 특징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Lee Moon-Gu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in Korean fiction history, he actively used dialects in his literary works, and the Chungnam dialect, the dialect of his hometown, is actively reflected in his works. The dialect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 however, is a literary language ‘selected’ and ‘created’ as a literary device, so there is bound to be a difference between the real dialect and the one reflected in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al Chungnam dialect and the one in the work in, then check the countenance of the so-called typical Chungnam dialect while analyzing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nam dialect through that. The umlauts inside morphemes are mostly consistent with various Korean dialects but compared to the degree of umlauts in the work, the level of umlauts in the actual Chungnam dialect is rather weak. The artist’s active reflection of umlauts makes one think that it is a kind of rhetoric technique of the author, in the artist’s perception, the umlaut phenomenon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Chungnam dialect. This is true in the case of umlaut expansion and morpheme boundaries.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umlauts are no longer synchronic phenomenon in Chungnam dialect. Unlike the use of the ‘어>으’ high-vowelization actively in his work, even all the way to the internal position, in the Chungnam dialect, it occurs mainly in the long sound in the word-initial and shows passively in the short sound or in the internal position. It was similar in the cases of the ‘에>이’ and ‘오>우’ high-vowelization. It is actively reflected in the author’s work as he had the perception that the use of various types of high-vowelizations was typical for the Chungnam dialect. Currently, high-vowelization in the Chungnam dialect show various appearanc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the case of vowel harmony, he actively us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dialect, the so-called ‘vowel harmony break phenomenon’. This phenomenon is different in the north compared to the south of Chungnam. The artist reflected the more active aspects of vowel harmony break, which is from the northern region of Chungnam. This is also thought to be because he perceived it to be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Chungnam dialect.

      • KCI등재후보

        이문구의 소설과 움라우트

        강희숙 우리말글학회 2004 우리말 글 Vol.31 No.-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umlaut in the three relay novels of Lee Mungu. Observing and analysing of the realization of umlaut is carried out on the two aspects on a large scale. At first, I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umlaut in the works of Lee Mungu as reflecting the systematic features of Chungnam regional dialects. As a result, the productive realization and the various expanding of umlaut is identified. Secondly, I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umlaut in the works of Lee Mungu as a phonological variation concern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and social class of a character, the linguistic styles concerning the degree of familiarity between the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their relative ages and ranks, the function of their conversation.(Chosun University)

      • KCI등재

        공시적 /o/, /u/ 움라우트의 성격과 'ㅚ/oy/', 'ㅟ/uy/'의 變化 : 경북방언을 대상으로 on Kyeongbuk Dialect

        신승용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1

        This thesis aims for investigating into changing of falling diphthong 'ㅚ[oy], ㅟ[uy]' through researching a synchronic /o, u/ umlaut of Kyeongbuk dialect. In Kyeongbuk dialect that monophthong /o, u/ is absent, monophthong /o, u/ is alternated with /wE, wi/ when /o, u/ is assimilated to following /i, y/. This fact shows the possibility that /o, u/ was alternated with /wE, wi/ as /o, u/ was umlauted, even when 'ㅚ, ㅟ' had been falling diphthong /oy, uy/. As the Iwe, wi! formed to the /o, u/ umlaut is extended the distribution, the falling diphthong 'ㅚ/oy/, ㅟ/uy/' is merged with /we, wi/. For that reason, the falling diphthong 'ㅚ/oy/, ㅟ/uy/' was changed /we, wi/ directly without through monophthong /o, u/ in Kyeongbuk dialect. And monophthong /o, u/ had never been a unite of phoneme at vowel system in Kyeongbuk dialect.

      • KCI등재

        국어 형태ㆍ음운사에서의 하향성 활음 /y/ 첨가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김한별 한국방언학회 2018 방언학 Vol.0 No.28

        This article analyzes the off-glide /y/ insertion in the Korean historical morphology and phonology from the phonological point of view. The off-glide /y/ insertion includes the following four phenomena: (A) phonologically motivated changes, such as “close” and “distant” umlaut; (B) morphologically motivated changes like chimay 치매 ‘skirt’-kind nouns and porayda 래다 ‘to hope’-kind verb stems; (C) some sporadic changes whose motivations are unknown yet; and (D) phonetically motivated yŏ~yŏy ㅕ~ㅖ variation. Among these four phenomena, (A) and (B) share some common phonolog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y are related to both [+frontal] segments and vowel /a/ and have spread from the peripheral to the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se characteristics, I have tried four phonological analysis on the insertion: firstly, these changes are affected by [+frontal] featu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ly, while (A) is influenced by [+frontal] on the nuclei of the following syllable, (B) by the feature on the onset of the relevant syllable; thirdly, in both cases /a/ is preferred as the nuclear vowel, but whereas the former comes from an articulatory phonetic principle, the latter from the syllable structure and the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and finally,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has an significant role even in (B). 본고의 목적은 국어의 형태ㆍ음운사에서 하향성 활음 /y/가 첨가되는 변화를 음운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 변화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가) ‘근거리’ 움라우트와 ‘원거리’ 움라우트 등 음운론적 요인에 의한 것과, (나) ‘치매’류 체언과 ‘래다’류 용언 어간의 변화 등 형태론적 요인에 의한 것, (다) 그 외 요인을 알 수 없는 산발적 변화가 있다. 또한, (라) 음성적 요인에 의한 ‘ㅕ~ㅖ’ 변이도 이들 범주와 함께 논의해 볼 만한 현상이다. 특정한 환경을 명시하기 어려운 (다)와 [+전설성] 자질의 중복에 따른 청취상의 혼란인 (라)를 제외하면, (가)와 (나)는 [+전설성] 분절음 및 /ㅏ/ 모음이 주요하게 관여한다는 음운론적 특징과, 국토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확산되었다는 지리적 특징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가), (나)에 대하여 네 가지 음운론적 해석을 할 수 있다. 첫째, 이 변화는 [+전설성] 자질에 직ㆍ간접적 영향을 받는다. 둘째, (가)는 후행 음절 중성의 [+전설성] 자질에, (나)는 해당 음절 초성의 [+전설성] 자질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가)는 조음 음성학적 원리에 따라, (나)는 음절 구조와 필수 굴곡 원리에 따라 /y/와 결합하는 핵모음으로는 /ㅏ/가 선호된다. 넷째, (나)가 전개되는 데에도 음운론적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KCI등재

        담화표지와 움라우트의 불투명성

        이희두 ( Hee Doo Lee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Discourse marker ``ㅣ`` was frequently used in order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a speaker and a hearer so that the efficients of discourses were increased. This marker had been developed from a subject marker ``ㅣ`` by way of grammaticization during the time of Middle Korean and then its status was changed to a latent vowel. If this marker was affiliated to the end of the noun stems which had a vowel at final position, the final vowel of this noun was changed to a falling diphthong owing to the vowel system at that time. The modern dialectal variants as ``바대``(海), ``치매``(裳), ``나래``(國), etc were formed by the above historical process diachronically. Nowadays these variants have becomed to have front vowel forms so that the opacity of Umlaut has emerged. After being monothongized historically the discourse marker ``ㅣ`` was developed to the feature [frontness] as the falling diphthongs disappeared from the vowel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dialectal variants as 잼자리(잠자리), 배깥(바깥), 새닥다리(사다리), 맹건(망건), 쬐그만(조그만) etc appeared also. I suggested that these variants have appeared by affiliating the discourse marker [frontness] feature to the initial position of each stems. As a results these two opaque types of Umlaut were not purely phonological phenomena.

      • KCI등재

        봉화 지역어의 세대별 실현 양상과 청소년층의 방언 전환 - 움라우트와 고모음화를 중심으로 -

        배혜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8

        This paper, compared the dialect usage patterns of elderly speakers and younger speakers in Bonghwa. Furthermore, in what situation the dialect type code switching in the language of the younge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utterance of the elderly and adolescents in Bonghwa centering on Umlaut, ㅔ→ㅣ vowel rising, ㅗ→ㅜ vowel rising, younger speakers in the Bonghwa used less dialect than older speakers. However, through the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lso consciousness of the dialect type and used it in their usual speaking. Younger speakers showed some vocabulary changing dialect metaphorically according to the speaking situation, or contextually changing dialect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topics, and background,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speaking event.

      • KCI등재

        전북 ·충남 접경 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 -완주·논산지역어를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Umlaut in Jeonbuk Wanju Dialect and Chungnam Nonsan Dialect, and makes a comparison between two dialects. In the previous generation, Umlaut in Wanju Dialect was lively like other Southern dialects in Korea, but lately appears to be weakening. Umlaut in Nonsan Dialect and Geumsan Dialect, meanwhile, were lively compared with other Southern dialects in Chungnam, but currently Umlaut in Nonsan Dialect has lost strength, so that is approaching adjacent dialects in Chungnam. To conclude, while Umlaut in Wanju Dialect has decreased but still appears in some degree, Umlaut in Nonsan Dialect is nearly being lost. 이 논문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경계에 있는 두 지역어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어에서 일어나는 움라우트 현상을 정밀하게 기술하고, 전북방언과 충남방언의비교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충남방언을 다룬 기존 논의에서는 충남의 남부 지역중에서도 금산과 논산을 전북방언의 영향이 짙은 지역으로 한데 묶어서 논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충남의 남부 지역이 어떻게, 어느 정도 전북과 가까운지는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완주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은 이전 세대에는 다른남부방언과 마찬가지로 활발하였는데, 최근에 그 세력이 상당히 약화되어 여전히활발한 움라우트 실현형을 보이고 있는 남부방언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알 수 있었다. 논산과 금산은 충청남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다른 지역어에 비해움라우트 현상이 활발한 편이었지만 현재 그 세력이 거의 소멸되어 논산지역어는 인접한 전북방언, 즉 완주지역어에 가깝기보다는 인접한 충남의 지역어들과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완주지역어와 논산지역어의 움라우트 양상을 비교해 보았을 때, 완주지역어는 움라우트 현상이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 실현이 되고 있는 반면, 논산지역어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현재 거의 소멸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