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릉도의 역사로서 ‘우산국’ 재조명

        김호동(Kim Ho-dong)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09 독도연구 Vol.- No.7

        신라의 지증왕 13년(512) 때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을 전하는『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은 고대 삼국 성립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우산국에 관해 언급된 유일한 기록이다. 이 자료를 갖고 흔히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로 인해 울릉도와 독도는 신라 땅이 되었고, 나아가 한국 땅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현종조까지 ‘우산국’ 자료가 나온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기존 통설을 부정하고, 우산국은 울릉도와 독도를 포함한 환동해 권역의 전략적 요충지에 고대로부터 정착해온 원주민에 의해 건국되고 삼국시대와 고려 현종조에 걸쳐 존재하였던 강력한 해상왕국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바라볼 때 울릉도의 역사는 1883년 개척령에 의해 시작되는 것 이 아니라 한국사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강인하고 지속적인 왕조인 우산국이 존재하였고, 우산국이 멸망한 후 고려와 조선시대 울릉도를 찾아 들어간 사람들이 그 전설을 되뇌이며 울릉도를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가꾸기 위한 노력을 통해 우산국의 영화를 재현하려고 했다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울릉도는 공도정책에 의해 버려진 섬이 아닌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진 강인한 정신성과 불굴의 투지와 모험정신으로 뭉친 사람들이 일구어낸 역사가 깃들인 땅으로 되살아날 수 있을 것 이다. 이것이 울릉도가 주체가 되는 우산국의 역사 읽기이다. Usankuk subjugation by the General Yisabu during King Jijeung 13(AD 512) in Silla Dynasty in the record of『Sarnkuk-Saki(三國史記;Three Kingdom History』and 『Samkuk-Usa(三國遺事;Descended History of Three Kingdom』is the only description about Usankuk from the Early Three Kingdom Era to the Unified Silla Dynasty. Many people are easy to recognize the faαthat General Yisabu’s subjugation resulted Ulleungdo and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Silla and now became Korean territory. But, there is record about ‘Usankuk(counσy)’ until Koryo(Korea) Dynasty King Hyeonjong. This research deny the existing theory until and tried to reveal the recognition on Usankuk which include Ulleungdo and Dokdo as a strong marine Kingdom which was established from old age until Three Kingdom Era and Koryo Dynasty King Hyeonjong by the natives of the residents in East Sea Rim area.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Ulleungdo was not started from 1883 by the Ordinance of Exploration but had existed from old Usan Kingdom in the history of Korea than any other region with strong spirit and persisting kingdom. And 1 emphasize the people of Usankuk remembered the legend of past history and tried to explore their ground unti1 Koryo and Choseon Kingdom to recover their living life after the collapse by the Silla Kingdom. In this point of view, Ulleungdo was not the wasted island by the vacancy policy of Choseon Dynasty but the island of ol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 by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with strong fighting spirit and adventure to revive their dream. This is another historic meaning on Ulleungdo as subject.

      • 신라의 于山國 정벌과 통치

        채미하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8 No.-

        본 논문에서는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한 이유와 우산국이 신라에 歸服한 이후 신라의 우산국 통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는 독자적으로 발전해 온 정치체인 우산국을 정벌하기 위해 오랜 기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한 이유는 지증왕이 그 전 시기와는 다른 지배체제 정비를 통해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우산국이 지니고 있는 경제적인 측면 역시 정벌 이유의 하나였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가지어피≒해표피=반어피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신라의 우산국 정벌은 신라의 실직․하슬라 지역에 대한 진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우산국이 신라에 귀복한 이후 이 지역에 대한 신라의 통치 역시 실직․하슬라 지역 지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신라는 일찍부터 실직․하슬라 지역을 지배하였고 통일 이후에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실직․하슬라, 명주 지역은 신라 하대 김주원과 그 후손에 의해 일정 정도 지배되었다. 우산국은 신라에 귀복된 이후 자치권을 행사하면서 신라에 토산물을 바쳤다. 이것은 신라와 탐라와의 관계에서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우산국은 신라 멸망 전에 고려에 귀복하였는데, 이것은 명주 지역의 정세 변동과 연동한 것이었다. 따라서 신라 하대 어느 시기부터 우산국은 명주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고 신라의 통치력은 우산국에 미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ason of the Usanguk conquest as well as the reign of Shilla over Usanguk after Usanguk submitted to Shilla. Shilla prepared for a long time to conquest Usanguk, the political organization that had developed independently. As such, the reason Shilla conquered Usanguk is because King Jijeung built an independent perspective of the world through political reform that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Also, the economical aspect of Usanguk was also said to be another reason for the conquest. The most representative of it is known to be Gajieopi (Haepyopi or Baneopi) (sealskin).Shilla's conquest over Usanguk was closely related to Shilla's advance to the area of Siljik or Haseula. Also, Shilla's reign over this area after Usanguk's submission to Shilla was indivisibly related to Shilla's domination of Shiljik or Haseula area. Shilla took control of Shiljik or Haseula earlier on and this continued after the unification as well. However, the area of Shiljik (Haseula), and Myeongju were dominated partly by Kim Ju-won and his descendants in the Late Shilla era. After the submission to Shilla, Usanuk offered local products to Shilla while exerting its right of autonomy. This is also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Tamra (currently Jeju Is.). However Usanguk submitted to Goryeo before the collapse of Shilla, and this was linked to the political change in Myeongju area. Therefore, this shows not only that Usanguk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Myeonju area, but also that the control of Shilla did not reach to Usanguk.

      • KCI등재

        우산국 관련 설화의 특징과 성립 시기

        박찬흥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6

        The Story of Usanguk is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Sajabawi Rock’, ‘Tale of Bipasan Mountain and Hakpo Village’, ‘Tale of Napalbong and Tugubong Peak’ and ‘Gooksu Mountain and Hakpo, Sajabawi Rock and Napaldeung’. These folktales are based on the times when Usanguk was submissed to Silla in the early 6th century.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means that the cause of Usanguk and Tsushima was allied through marriage and attacked Silla, and it was destroyed by Silla. Inside Usanguk, there were forces in favor of the Silla attack, and the opposing forces. ‘Gooksu Mountain and Hakpo, Sajabawi Rock and Napaldeung’ is the same as the plot. ‘Sajabawi Rock’ depicts the two battles between Usanguk army and the Silla army in a relatively detailed way. If the records of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re records of Silla center, the story of ‘Sajabawi Rock’ is a story reflected in the center of Usanguk. The fact that Usanguk won in the first battle reflected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Silla could not easily subdue Usanguk. The fables such as ‘Sajabawi Rock’ and ‘Tale of Bipasan Mountain and Hakpo Village’ illustrate the origins of place names such as Sajabawi Rock, Bipasan Mountain, Hakpo Village, Tugubong Peak, Napalbong Peak. Originally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rocks and peaks, it was named, but it seems to have been made of a new place-name narrative with the addition of the elements of the narrative of ‘Legend of the King Woohae and Pungminyeo’. Most of these names are distributed in Namyangri area. Perhaps this was the central area of Usanguk, where the battle of Silla and Usanguk had taken place in the early 6th century. For that reason, a story about the rocks and peaks of this place, based on the case where Silla submits Usanguk, would have been mad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contents of these tales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se folk tales ar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at Silla is the Usanguk submission, and may have been made for the first time by people on the East Coast who moved to Ulleungdo early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at time, various contents have been added and modified. In particular, it seems that concrete names have been added since 1882, when Ulleungdo was pioneered, and changed into narratives related to place names. 울릉도에 남아 전하는 우산국 관련 설화는 ‘우해왕과 풍미녀’․‘사자바위’․‘비파산과 학포’․‘나팔봉과 투구봉’과 ‘국수산과 학포, 사자암과 나팔등’ 등의 설화이다. 모두 6세기 초 우산국이 신라에 복속되었을 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산국과 풍미녀’ 설화는 우산국과 대마도의 왜가 혼인을 통해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했고, 그 과정에서 우산국 내부에서 신라 공격에 찬성하는 우해왕 중심 세력과, 우해왕의 신라 침략에 반대하는 세력이 대립하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국수산과 학포, 사자암과 나팔등’ 설화도 큰 줄거리는 같다. ‘사자바위’ 설화에는 우산국 군대와 신라의 이사부 군대 사이에 벌어졌던 두 번의 전투가 비교적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이 신라 중심의 기록이라면, ‘사자바위’ 설화는 우산국 중심의 관점이 투영된 口傳설화이다. 첫 전투에서 우산국이 승리했다는 내용도 신라군이 쉽게 우산국을 복속시키지 못했던 당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사자바위’ 설화와 함께 ‘비파산과 학포’, ‘나팔봉과 투구봉’, ‘투구산(봉)과 남양’, ‘학포와 학의 머리’ 설화 등은 사자바위, 투구봉, 비파산, 학포 등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원래 바위나 봉우리의 생김새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었지만, ‘우해왕과 풍미녀’ 설화의 요소가 추가되어 새로운 지명 유래 설화로 만들어진 듯하다. 이들 지명은 거의 모두 울릉군 서면 남양리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남양리 일대는 울릉도 고대 취락의 중심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아마도 이곳이 우산국의 중심 지역이었고 신라 군대와의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울릉도 사람들은 이곳의 바위와 봉우리 등에 대해 신라의 우산국 복속을 배경으로 한 설화를 공유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 설화들의 내용이 6세기 초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사부에 의해 우산국이 멸망되었다는 내용의 설화들은, 고려 현종 때 우산국이 멸망된 이후 고려 말 조선 초 왜구의 활동이 반영되어 대마도의 왜와 울릉도의 우산국이 함께 신라를 노략질했다는 이야기로 만들어진 듯하다. 즉 신라의 우산국 복속을 토대로, 아마도 조선 초기에 처음 울릉도에 왕래․이주했던 동해안 지역 사람들을 중심으로 처음 그 원형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후 내용이 추가․변형되었고, 특히 1882년 개척 이후 구체적인 명칭이 추가되거나 지명과 관련된 내용의 설화로 변화되었던 것 같다.

      • 국가로서의 우산국

        권오엽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29 No.-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우산국은 우한한 도이의 나라였다. 그러나 그것은 신라 중심의 이야기로 우산국의 실체를 설명하는 용어가 아니다. 우산국을 설명하는 용어도 마찬가지다. 우산국의 입장에서 보면 그런 용어들은 신라를 설명하는 용어였다. 우산국은 신라의 침범을 1회 이상 격퇴시킨 나라다. 말하자면 신라는 우산국과의 전쟁에서 1회 이상 패한 일이 있는 나라다. 그래서 무위로는 정벌하기 어려우니 계책을 써야 한다며, 나무로 만든 사자로 위협하는 계책을 사용한 것이다. 우산국을 정벌한 이사부는 신라의 왕족이며 최고의 관리였다. 그래서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하는 일은 거국적인 사업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 신라의 침략을 우산국이 1회 이상 격퇴했다는 것은, 우산국이 신라에 대적할 수 있는 독자적인 나라였다는 것이다. 우산국이 나무로 만든 사자를 두려워하며 항복했다는 것은 사자를 매개로 하는 문화, 즉 불교문화를 인식했다는 것이다. 원래 사자는 우산국은 물론, 삼국과 중국에도 없고, 인도에나 있는 맹수였다. 그래서 우산국 사람들은 볼 수 없었고, 본 일이 없기 때문에 무서워하거나 두려워할 까닭이 없다. 그런데도 두려워하며 항복했다는 것은, 사자를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인데, 그것은 외국과의 교류를 통한 인식 이외에는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삼국이나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사자를 경험했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이 인식하는 사자는 공상의 맹수로 영혼을 운반하는 신의 사자, 불법을 수호하는 성수, 주술적 능력을 발휘하는 맹수였다. 우산국 사람들은 이사부가 보이는 목우사자를 보고 그런 사자, 불교를 수호하는 성수로서의 사자를 연상한 것이다. 그 사자를 이사부가 전선에 싣고 와서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사부의 말에 따르지 않으면 사자가 무서운 재앙을 내릴 것으로 여기고 항복한 것이다. 무위로 신라의 침략을 격퇴시킬 수 있는 우산국이었지만 사자를 매개로 계책을 간파하지 못한 것이다. 그처럼 사자를 매개로 하는 불교문화를 이해하는 우산국이었다면, 우산국은 『삼국사기』가 말하는 우한한 도이의 나라라 할 수 없다. 오히려 주변국과 교류하며 불교문화를 수입하는 독자적인 나라, 신라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수호하고 있던 국가로 보아야 한다. 그래서 우산국은 울릉도만이 아니라 주변의 섬, 울릉도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암도를 포함하는 영역을 영토로 하는 나라로 보아야 한다. 지증왕이 우산국과 울릉도를 같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정벌의 대상을 울릉도가 아닌 우산국으로 말한 것으로도 알 수 있는 일이다. 『三國史記』の記錄によると于山國は愚悍な島夷の國になっている。新羅に服屬すべ き國として語られている。しかしそれは新羅中心の話で、于山國に對する配慮が欠けた 記錄に過ぎない。于山國の說明に用いられた用語もやはり新羅中心語なので、その言葉 らを逆の立場、卽ち于山國の立場から讀み直すと新羅を迎てて對等に戰っていた于山國 の面影が浮かんでくる。新羅は于山國の征伐が單なる威では難しいことを知り、木で作っ た獅子を見せながら脅かす計略を取り、于山國を服屬させようとした。 これはその征伐が二回以上行われたこと、于山國が一回以上新羅を擊退したことを 示唆する。また新羅の王族であり最高級の官吏である異斯夫の責任で征伐が行われたこ とは、それが擧國的な攻擊であったことを意味する。それを迎て對戰して、退いたのが 于山國であることを考えると、于山國こそ獨自的な國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その國威 は威による攻擊は退けたが獅子像を見せる脅かしに屈したことからも伺える。威で服屬 させなかったということは、國が團結して充實な國力で抗戰していた于山國の國力の反 證である。また獅子を恐れたことは于山國の文化と國際交流の樣子を物語てくれる。 獅子というものは于山國はもちろん高句麗、百濟、新羅にもない。中國にもなく印 度にある猛獸であった。それを于山國が經驗することはあり得ない。それで怖がるはず もない。なのにそれを怖がり服屬したということは、于山國が國際交流などの方法を通 じて、文化や宗敎などを通じてそれを間接的に經驗したことになる。獅子というものは 空想の動物や靈魂を運搬する神の使者、佛法を守護する聖獸、または呪術的能力を發揮 する動物として知られていた。于山國は獅子の外形をみて以上のことを思いだし、それ を怖がったのでろう。つまり、威の侵略には耐えたが、獅子を媒介する文化的計略に騙 されたわけである。それは文化の差による敗北であったといえる。 于山國がそれくらい新羅と對戰できたのを考えると、于山國こそ强力な國家で、獨 自的くに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只、鬱陵島のみを以て成り立つ國ではなく、周邊の諸 島を統合していた國であったと思われる。その統合の過程をへていたので國をも名乘っ ていたはずである。その一定の領域が獨自の秩序で統治されていたとみられる。新羅の 侵略に對抗していたことが何よりの證據である。その實情を認めたので新羅も國を付け__ て于山國と呼んでいたと思われる。その統合した周邊の島の中に獨島も含まれていたは ずである。 日本は獨島を竹島と呼びながら自國領であることをこじつけている。『三國史記』 の于山國の記錄に獨島のことが言及されていないことを言い譯にしてそこには獨島が含 まれていないと主張している。17世紀に鬱陵島/竹島が朝鮮の領土であることを認めたこ ともあるが、そのとき認めた領域には獨島は含まれていないということだ。しかし『三 國史記』などの記錄の于山國に獨島が含まれたことが明確である以上そのような主張は 成り立たない。

      • 이사부, 우산국 복속의 역사적 의미

        김호동 한국이사부학회 2016 이사부와 동해 Vol.11 No.-

        흔히 512년 이후에 울릉도와 독도는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고 한다. ‘우산국이 귀복하여 해마다 토산물을 바치기로 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우산국은 신라의 영토에 편입된 것은 아니다. 만약 신라의 땅이 되었다면 『삼국사기』 지리지에 신라의 땅으로 울릉도나 독도, 아니면 우산국의 기록이 나와야만 한다. 도리어 울릉도가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땅이 분명한 이상 우산국 성립부터 한국사의 영역 속에 포함시켜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설득력을 갖고 있다. 탐라국․우산국․가야 등의 역 사를 포괄하는 고대사를 그려내야 할 시점이다. 우산국이 강성해지자 신라에 조공을 바치는 대신 우산국이 아슬라주와 실직주 등이 침범함으로써 신라지역이 큰 피해를 입음으로써 512년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신라의 지증왕으로서는 동해안 제해권을 확보하지 않는 한 삼척, 강릉 등의 지역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것이며, 이로 인해 결국 우산국의 정벌에 나서게 되었을 것이다. 지증왕대의 우산국 정벌은 이후 법흥왕과 진흥왕대에 이르러 함경도지역까지 진출하는 교두보의 확보라는 면에서 남다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동해안 지역의 경제력 확보, 제해권의 확보를 통해 고구려에 대한 서해안과 동해안의 양동작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신라에 귀복하여 신라와 연합 동맹을 구축하면서 공물을 바치는 복속국가로 존재하면서 보다 높은 신라의 문화를 받아들인 우산국체제는 후삼국을 거쳐서 고려 시대까지 이어졌다. 11세기 초반의 동여진 해적들이 동해안을 통해 고려를 침공하기 시작하였다. 동여진 해적의 내침을 막는 것이 심각한 현안으로 인식하고, 이를 막기 위한 군사 정책을 수립하며 동해안 방면 축성과 수군, 함대 배치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현종 3년 이후 고려 침공에 어려움을 겪은 동여진 해적들은 이후 공격 목표를 현종 9년~13년까지 우산국, 일본으로 돌려 많은 피해를 입힌다. 동여진의 침략으로 인해 우산국은 더 이상 자립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그 주민의 대다수가 고려에 망명하여 고려 군현에 편적될 정도였고, 농기구의 지원의 명목이지만 고려의 관리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 과정에서‘우산국’이란 명칭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더 이상 등장하지 않았다. They often say that Ulleungdo and Dokdo became territory of Silla since 512. Considering the record of 'the kingdom of Woosan promised to offer local products every year', the kingdom of Woosan was not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tory. If it had become the land of Silla, record of Ulleungdo, Dokdo or Woosan kingdom had to appear as Silla's territory in 『Samguk Sagi』 Jiriji. As far as it is historically clear that Ulleungdo is our land, it is more persuasive to include establishment of the Woosan kingdom into Korean history for explanation. It is the high time to describe ancient history covering that of Tamraguk, Woosan kingdom and Gaya. As the Woosan kingdom became strong, it invaded Aseullaju and Siljikjju instead of rendering tribute to Silla; and, Silla got a great damage and therefore, it seems that Isabu started conquest of the Woosan kingdom. Silla's King Jijeung must have judged that he could not stably maintain Samcheok and Gangneung area without securing maritime power of the eastern coast and therefore, he must have go on a conquest of the Woosan kingdom.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a bridgehead to advance even to Hamgyeongdo area during the King Beopheung and Jinheung period, it is understood that conquest of the Woosan kingdom during the King Jijeung had a special meaning. Through securing economical power and a bridgehead in the eastern coast area, it was possible for Silla to conduct a demonstration operation against Goguryeo in the western and eastern coast. Being subjected to Silla, establishing alliance with Silla and existing as a subjected country to render tribute, the Woosan kingdom accepted more advanced culture of Silla and the kingdom system continued up to Goryeo age passing through Husamguk. In the early 11th century, Dongyeojin pirates started to invade Goryeo through the eastern cost. Recognizing that it was serious to prevent invasion of Dongyeojin pirates, Goryeo established military policy and concentrated on an establishment of fortification in the eastern coast as well as arrangement of the naval forces and the fleet. That's why Dongyeojin pirates who met difficulties in invasion to Goryeo since the 3rd year of King Hyeonjong and they cahnged their attack target to the kingdom of Woosan and Japan to cause great ldamage during the 9th to 13th year of King Hyeonjong. Due to invasion of Dongyeojin, the kingdom of Woosan could no more stand on its own feet, most residents fled the country to Goryeo, the kingdom was most incorporated into Goryeo gunhyeon, and therefore, it had to accept Goryeo's officials under the name of support of farming tools. In such process, the name of 'Woosan kingdom' disappeared from the stage of history without any more appearance.

      • KCI등재

        신라 지증왕대 동해안 지배와 우산국 정복

        임평섭(Lim, Pyeong-Seob)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지증왕대 이루어진 우산국 정복은 신라의 첫 번째 해양을 통한 대외원정이었다. 이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은 우산국 정복을 주도한 이사부에 초점을 맞추거나 울릉도나 독도 점유권의 역사성을 강조하는 논지들이 주로 논의되었다. 하지만 우산국 정복은 5세기 이래 신라의 변화가 반영되어 이루어진 중장기적인 사건의 결과였다. 이는 동해안에 대한 신라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우산국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이 지증왕대 강조된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함께 수운에 대한 통제와 관련한 조치들이다. 이러한 변화는 동해안 세력과 교류를 통해 독자적인 생활을 유지하던 우산국의 상황과 대치되었다. 이에 우산국은 동해와 동해안에서 신라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결국 신라는 방어적인 전략에서 나아가 적극적인 확장을 통해 우산국에 대한 정복을 단행하였다. 이와 같은 사안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신라의 관점에서 전하고 있는 사료에 대한 해석을 재검토하고, 당시의 정황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그 양상을 균형 있게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신라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나아가 신라와 관계한 동해안 재지집단, 우산국의 상호 관계를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라에게 있어서 우산국 정복은 동해안에 대한 통제권을 안정시켰으며, 우산국은 정치경제적 고립을 벗어나 육지와의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를 지닌 사건이었다. Conquest of Usanguk in the reign of King Jijeung was first military expedition to foreign country through the sea in Silla dynasty. In regard to this,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Isabu who led conquest of Usanguk or dealt with point to emphasize historical legitimacy of control over Ulleungdo or Dokdo. However, conquest of Usanguk was a result of mid and long term event. Silla strengthened military defence for the East sea coast. As a result, the area became stabilized gradually. The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5th century made in the process brought surplus products. Accordingly, move and exchange of products to the capital city increased. This was led by marine activity with the medium of the East sea. To continue this, Silla strengthened control over supporting groups in the East sea coast. This change collided with situation of Usanguk that had continued independent life through exchanges with groups in the East sea coast. Usanguk plundered the East sea coast to reduce influences of Silla on the Est sea coast. Silla aimed at expanding to the sea to conquer Usanguk going beyond existing defensive strategy.

      • KCI등재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중대의 지방통치

        한준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울릉도는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독자적인 해양문화를 형성했다.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가 나왔는데, 6세기 중반부터 10세기를 하한선으로 하는 토기편년이 제시되었다. 대체로 신라 중·하대와 궤를 같이 한다. 우산국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나타난다. 고구려 등 한반도 북부의 국가들과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중국측 기록에는 3세기 무렵부터 등장한다. 사료를 보면 우산국은 전래된 대륙문화를 토대로 하여 일정한 수준의 문화를 향유하며 정치체를 형성하였고 남으로는 왜 등과 교류를 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5세기 후반의 국력신장을 바탕으로 지증왕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정복 이후 직접적인 지방통치를 시도하였고, 행정실무를 수행하는 촌주를 설치하였다. 직접지배에 따른 지역민의 반발과 반신라적 정서를 차단한 것이다. 외형적으로 기존 사회정서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신라의 통치력을 침투시킨 것이다. 문헌에 보이는 석불, 석탑, 쇠종은 이 곳에 불교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데 지역민의 삶과 신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8∼9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불상의 존재는 그러한 가능성을 높여준다. 신앙은 지역민과 병사들에게 결속과 안정을 제공했다. 신라는 사찰을 세우고 불교를 포교하며 그들을 신라인으로 동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찰이 존재했던 곳이 우산국의 치소(治所)였을 것인데, 현재의울릉도 서북부 현포지역으로 추정된다. 기와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고대사회에서 기와는 관청에서만 소비된다는 점에서 근거는 충분하다. 서북쪽의 현포, 북동쪽의 천부, 남서쪽의 남양은 모촌(母村)으로 추정되며,주변으로 자촌(子村)이 분화되어 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전개된 한반도 정세와 일본의 동향은 변화를 촉발했다. 신라가 당군을 몰아내면서 나당연합이 나당전쟁으로 변질되어, 배후세력인 일본은신라에게 위협이 되었다. 성덕왕대 당과 발해가 전쟁을 하면서 당과 신라가 우호관계로 전환되자, 발해는 일본과 친선관계를 조성하여 견제하였으므로 이들의 밀착을 방관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경덕왕대 일본은 신라정벌계획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동해에 위치한 우산국은 군사적 해양거점으로 운용되었다. 발해의 일본사행로는 ‘함경도-동해연안-울릉도-독도-오키섬-산인’으로 연결되는 항로가 기본 루트였다. 이는 대양항해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동시에, 울릉도와독도 등 명확한 조타목표가 존재하여 항해의 효율성도 높았다. 주요항로가 울릉도를 조타목표로 했으므로 신라는 능동적으로 대응했다. 선박통행을 감시하거나 군사력을 이용하여 상호 교섭을 차단하였다. 동시에 고립된 해양공간으로 외부의 침략에 취약한 이 곳을 지키기 위한 대비책도 시행하였는데 신라본토의 통치질서와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우산국은 지리상 고립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영역으로서 중·하대 지방통치체제 내에 존속하며 동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 In Ulreungdo(울릉도), people have been residing since at least the BronzeAge, and they created an independent marine culture. Meanwhile, meaningfuloutcomes were produced from archeological research, and earthenwarechronicles that ranged from the mid-sixth century to the tenth century wereproposed. Overall, there is a similar type of appearance to that from themiddle and later Silla periods. The perception of Usanguk(于山國) appear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Usanguk(于山國) is believed to have made exchanges with countries in the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Goguryeo(高句麗), and this country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from around the third century. In looking intohistoric literature, Usanguk(于山國) formed its political system while enjoying acertain level of culture based on Chinese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Then, it was involved in exchanges to the south with Japan. Around this period, Silla conquered Usanguk(于山國) by sending Isabu(異斯夫)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智證王) as part of the extension of Silla’snational power around the fifth century. Silla attempted direct control overlocal regions after the conquest, and established administrative villages inwhich the village head stayed and carried out administrative affairs. This wasa means to block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and their anti-Silla emotionsfollowing direct rule. In this way, Silla was able to penetrate that area withtheir ruling power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externally. The stone Buddha, stone pagodas, and steel bells mentioned in literatureshow that Buddhism existed in this area; this affected greatly the lives andfaith of local residents. The existence of a bronze Buddha statue that is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between the eight to ninth centuriesraised such a possibility. Faith offered unity and stability to local residents andsoldi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and propagation of166 … 한국학논총 (41)Buddhism, Silla tried to assimilate the residents as people of Silla. Also, the location of such Buddhist temples must have been the rulingcenter of Usanguk(于山國), and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northwesternHyeonpo(현포) area of current Ulreungdo(울릉도). This is proven by theexcavation of remains such as the pieces of traditional roof tiles because rooftiles were only used for government offices in this ancient society. Hyeonpo(현포) in the northwest, Cheonbu(천부) in the northeast, and Namyang(남양) inthe southwest are estimated to be the main villages with minor villages spreadaround them. Meanwhile,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rend ofJapan, which had emerged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prompted changes. As Silla expelled soldiers of Tang(唐), the alliance betweenSilla and Tang deteriorated into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while Japan,which was the de facto power, became a threat to Silla. As the relationshipbetween Tang and Silla became friendly along with the beginning of a warbetween Tang and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Balhae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in order to keep them incheck. As a result, Silla could not overlook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Balhae and Japan any more. In particular, Japan pursued a plan of conquesttowards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경덕왕). Accordingly,Usanguk,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Sea, was used as a strategic, marinemilitary point. Concerning a diplomatic visit to Japan by Balhae, the basic sea route wasthat from Hamgyeongdo(함경도)–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동해)–Ulreungdo–Oki Island(오키섬)–Sanin(산인). This reduced the risk of sailingon the open sea while also increasing sailing efficiency owing to the existenceof clear navigational goals such as Ulreungdo and Dokdo. Since the main searoute used Ulreungdo for navigation, Silla resp...

      • 異斯夫의 新羅領土擴張과 于山國

        김희만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이 글에서는 이사부의 신라영토확장과 우산국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 를 기반으로 몇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우선, 이사부 관련자료를 그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보다 치밀하게 검토한 바, 그 출생년대는 이를 전하는 기사가 찾아지지 않으므로 추정하기 어렵지만, 그 사망년대에 대해서는 관련자료 를 적극 검토하여, 이사부는 562년 가야 정벌과 관련된 기사 이후 그 추적이 어 려우며, 당시의 나이(대략 77세)를 고려할 때 자연사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추정해 보았다. 다음으로, 『國史』의 편찬과 연관하여 그 편찬 목적과 의의에 대하여 검토해 보 았다. 그 결과 국가와 왕실의 위엄을 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뿐만 아니라, 그 자 체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건설의 문화적 기념탑이라는 논의에 동의하면서, 더 나아 가 지증왕․법흥왕․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관련하여 중국문화의 수용과 그 변화 내 용을 담지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관련자료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증좌로 지 증왕대 이후 중국과 밀접한 정치․사회적 변화가 『國史』의 편찬과 연관이 있었으 며, 그 결과가 『三國史記』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추론해 보았다. 그 다음으로, 신라의 영토확장과정과 우산국에서는 기왕에 신라에서 소국을 어 떻게 편제하였으며, 특히, 실직과 우산국의 편제 방식이 다른 점을 중심으로 검토 해 보았다. 그 결과 실직은 소국으로서 신라사회와 다양한 접촉을 보여주고 있으 며, 그에 반해 하슬라는 실직을 거점으로 편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반해 우산국은 朝貢을 통한 편제 방식이 보이고 있으므로 그러한 사례를 분 석하여 이에 의미를 부여해 보았다. 끝으로, 우산국 정복 관련자료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지금까지 『三 國史記』관련자료만을 신뢰하여 그에 근거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으나, 『三國遺事』에 보이는 기사를 중심으로 다른 의미를 부여해보았다. 그 결과 『三國史記』에 보 이는 우산국 기사는 導論的 성격이 강한 의미로 해석하여, 『三國遺事』의 우산국 정복 결과 하슬라주 군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여 새로운 의견으로 제시 해 보았다. The thesis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by Isabu and the State of Usan. The thorough research on Isabu s life and activities was dependent on the relevant document on Isabu and as for the birth year, it was difficult to be estim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relevant document was not found and as for the death year, there was few document after the document on Isabu s conquest of Gaya in 562 and considering his age at that time (about 77 years old), it was assumed that he died of natural causes. Next, the thesis reviews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publication of the 『Kuksa-national history』. The review results that the publication intended to show off the dign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and it was the cultural monument representing the building of the centralized aristocratic state. Further more,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teduring the eras of King of Jijeung, King of Bupheungand King of Jinhung,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Chinese culture and holding its changes was reviewed through the relevant documents. The corroborative evidence is that after King Jijeung,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at had a close relation with China were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the 『Kuksa-National History』 and it was estimated that its result was reflected in 『Samguk sagi』. Next, in the course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and the State of Usan, it was reviewed how Shilla organized small states and especially how Siljik and the State of Usan were organized differently. The result shows that Siljik had various contacts with the society of Shilla as a small state but Hasulla was organized centered around Siljik. The State of Usan was controlled with the system of tribute. Each case was analyzed and the applicable meaning was assigned. Lastly, the necessity to re-visit the documents on the conquest of the State of Usan was raised. So far, the materials in relation to 『Samguk sagi』have received the sole trust for the analysis but the thesis assigned different meanings to the articles from 『Samguk yusa』. The result shows that the article on the State of Usan was interpreted as the introductive discourse and the possibility of the appointment as the king of the state of Hasulla as a result of the conquest of the State of Usan from 『Samguk yusa』 was reviewed and raised as a new opinion.

      • KCI등재

        신라의 우산국 복속과 연륙항로

        최희준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7

        본 논문은 신라와 우산국 사이의 연륙항로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 결과물이다. 먼저 우산국의 건국은 5세기 중후반에 강원도와 경상북도 해안 일대의 濊人 중 일부가 바다를 건너 울릉도에 정착한 뒤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우산국인들은 어로와 경작을 통해서 기본적인 경제생활을 영위하였고, 한반도 동해안 지역의 재지세력과 교역을 통해서 부족한 식량과 물자를 수급하였다. 그러던 중 신라가 6세기 이후 동해안 지역에 대한 통치 방식을 기존의 간접지배에서 직접통치로 전면 전환함으로써 우산국과 갈등을 야기하였고, 그 결과 신라는 512년 군사를 내어 우산국을 정벌하고 우산국의 항복을 받아냈다. 512년 이후 신라와 우산국의 관계는 宗屬關係로 규정할 수 있다. 우산국은 독립국으로서 매년 신라에 토산품을 공물로 헌상하였고, 신라로부터 다양한 물품과 문화를 수입·수용하였다. 양국의 이 같은 교류는 신라-우산국 연륙항로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 항로의 신라측 입·출항지는 죽변항이나 구산항과 같이 오늘날 울진 지역의 포구였고, 우산국측 입·출항지는 울릉도 북부의 현포항에 비정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prepared to clarify the sea route between Silla and Usan-guk in detail. First, Usanguk was identified as a country founded by some of the Don-Ye(東濊) from the coast of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in the mid-to-late fifth century after they crossed the sea and settled on Ulleungdo Island. They led essential economic lives through fishing and cultivation and supplied insufficient food and supplies through trade with local forces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cross the sea. Meanwhile, Silla, which dominated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completely changed its rule style over the region from the existing indirect rule to direct rule after the 6th century. Usanguk which was trading with the ruling forces on the east coast, had a conflict with Silla, and as a result, Silla conquered Usanguk in 512 with military forces, and Usanguk surrendered to Silla. After 512,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Usanguk can be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zerain and the subordinate country(宗屬關係). Every year, Usanguk dedicated indigenous products to Silla as a tribute and imported and accepted various goods and cultures from Silla. Such intercourse between the two countries took place through the sea route of Silla-Usanguk. The entry and departure point for Silla on this sea route was a port in today's Uljin area, such as Jukbyeon Port(竹邊港) and Gusan Port(邱山港). And the entry and departure point toward Usanguk can be fixed at Hyeonpo Port(玄圃港) in the northern part of Ulleungdo Island.

      • 울릉도의 고대 유적유물과 고고학적으로 본 우산국

        노혁진 한국이사부학회 2014 이사부와 동해 Vol.8 No.-

        우산국의 고고학적 실체규명은 한국고고학의 중요한 미해결 과제의 하나이다.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행중인 울릉도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하여 우산국의 실체에 대한 외연을 좁혀가고 있으나 향후 조사연구를 통하여 해결해야할 핵심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지금까지 울릉도에서 고고학적으로 확실하게 밝혀진 모든 유적과 유물은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이후에 해당하는 신라고분과 신라토기 등이며, 당연히 존재했던 요지와 취락주거지 등의 흔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목표지향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조사가 시행되지 않은 데서 비롯한 것이다. 현재까지 이사부정복이전의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과 유물로 거론된 바 있는 추정고인돌과 타제어망추와 지석 및 무믄토기편 들만으로는 신라복속 이전시기의 고고학적 해석이 어려우며, 따라서 신라복속이전시기에 해당하는 선사시대와 5세기대까지의 고고학적 증거를 찾아내는 조사는 우산국연구의 필수불가결한 과제로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고분들도 울타리로 구획한 극소수외에는 대부분 방치되어 있으며, 일주도로와 활주로건설에 따른 위락지개발과 경작지 확대과정에서 급속도로 파괴인멸될 처지에 놓여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라고분들의 보호대책은 우산국의 고고학적 규명을 위한 조사와 병행해서 추진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유관행정기관과 조사연구자와 긴밀하고 항시적인 협조가 이루어 져야한다. 울릉도의 유적보존과 고고학적 연구는 우산국의 실체를 규명하는 학술적 의의뿐만 아니라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토시비를 종식시키는 총체적인 작업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기적으로 시급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파악된 토기산포지를 중심으로 주거지나 요지 등의 지하유구를 찾기위한 체계적이고 연차적인 시발굴을 실시하여 신라복속이전의 독자적인 유적과 유물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우산국의 성격과 형성과정 및 주민 등 총체적인 고고학적 사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The identification of the archaeological fact on Usanguk is one of the important unsolved tasks in Korean archeology. Through the archaeological study on Ulleungdo Island that is still in process since the 1950s, the true nature of Usanguk is slowly being revealed, but there still are numerous crucial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through future studies. All relics and ruins that are clearly found and revealed archaeologically in Ulleungdo until now include old tombs and earthenware of Shilla that corresponds to the time after Isabu's conquest over Usanguk. The kiln sites and traces of dwellings of colony that surely existed are not discovered for now and this is due to lack of goal-oriented systematic study. Dolmen and other relics and remains that are said to be from the period before Isabu conquest are insufficient for the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period before Shilla submission. Therefore, study discovering the archaeological evidence of prehistoric times period and the 5th century, which are the period before submission to Shilla, is indispensable project for study on Usanguk. Most ancient tombs of Shilla found until present are left by themselves except an extremely small amount that is comparted with a fence and they are in the situation where they might be destroyed rapidly due to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and road development. therefore, protection measures for ancient tombs of Shilla must be combined with study on archaeological identification of Usanguk, and close and open cooperation is needed between the related administration agency and the researchers. As the preservation of relics in Ulleungdo and archaeological study not only have academical implication in terms of identifying the true facts on Usanguk, but these are related to the overall task on terminating the territorial conflict on Dokdo with Japan as well. On top of that, this is an urgent matter, therefore, systematic and continuous excavation to discover dwellings or kiln sites based on earthenware dispersed area that are found until now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discover relics and remains representing times prior to submission to Shilla. And based on these, the overall archaeological fac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Usanguk and more, must b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