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의 공급지에 관한 연구

        안웅산(Ung San Ahn),황상구(Sang Koo Hwang)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제주도 북동부 지역에서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은, 그 용암의 공급지가 거문오름 분석구로 추정되었지만, 그 공급지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현생 화산지역에서 형성되고 있는 세계 도처의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이 어디에서 공급되었는지를 유추해 보았다. 제주도 북동부 지역에서 암상, 형상과 고도를 바탕으로 용암류역도를 작성하고, 각 용암류역에 나타나는 용암동굴의 분포와 상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 용암류역 내에서 주간동굴선, 복합동굴망과 단일동굴선으로 구분된다. 주간동굴선은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동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로 연결되며, 여기에 벵뒤굴 복합동굴망이 있고 김녕빌레못굴~게웃샘굴로 연결되는 단일동굴선이 있다. 또한 거문오름 분석구에서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되는 약 2 ㎞ 협곡은 기존 용암동굴의 붕괴도랑으로 해석되며 그 위치와 방향성에 의하면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주간동굴선 상류 일부분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용암류역도, 용암동굴 분포, 붕괴도랑 방향성 등을 고려할 때,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류는 거문오름 분석구에서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are commonly said to have a potential source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We inferred the source of lava flows with the Manjanggul lava tube, based on many studies about lava tubes within lava flows of active volcano in the world. We made a lava flow field map from lithofacies, features and latitude of lava surfac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and then examined closely the distribution and mutual relation of lava tubes in each lava flow field. As result,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is divided into a series of master tubes(Utsanjeungul, Bukoreumgul, Daerimdonggul, Manjanggul, Gimnyeonggul, Yongcheondonggul and Dangcheomuldonggul lava tube), a complicated networks of small tubes(Bengdwigul lava tube), and a series of unitary tubes(Gimyeongbilemotgul~Gaeusaemgul lava tube) in Geomunoreum lava flows. Particularly a canyon, 2㎞ in length to NNE direction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is interpreted to be collapse trench of lava tube roof that belongs to an upflow part of the master tube in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Accordingly, the source of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is the Geomunoreum scoria cone.

      • 제주도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제주도 북제주군 협재리 건지굴 중심-

        소대화 ( Dea Wha Soh ) 한국동굴학회 2005 동굴 Vol.67 No.-

        본 논문은 제주도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근처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용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 현상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동굴내부의 생태계와 연관된 분석을 병행 시도하였다. 용암동굴(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틈새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하여 고화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가 발생하여 오히려 견고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서 구조재료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시멘트의 역할과 같으며, 따라서 퇴화의 일반적 경향에 반하여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구조적 견고함의 진행성을 나타내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이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의 경우에서 해안가의 패사 층에 연접되어 분포된 다른 유사 동굴에서도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The lava-calcification which was found in Geunjisul located in Jeju-do (Korea) was investigated to analyse the cause of calcification through the internal factor of cave structure and surroundings in company with relevant ecological system. The volcanic cave is degenerated after formation from volcano lava extravasation, however, the cave became more stronger with solidification and petrification by the reinforced structure of calcification as the cement in concrete buildings unprecedentedly if the lava-calcification occurred in the cave. Such a Progressive Phenomena of lava-calcification was verified in progress first in Geonjigul located at Hyubjae-ri, but those would be found in other simiiar case of caves distributed and connected with seaside of shelly sand beach.

      • KCI등재

        논문 : 지구물리 탐사에 의해 발견된 제주도 용암동굴의 특징과 의미

        전용문 ( Yong Mun Jeon ),기진석 ( Jin Seok Ki ),고수연 ( Su Yeon Koh ),김련 ( Lyoun Kim ),류춘길 ( Choon Kil Ryu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4

        제주도에서 기존에 알려진 동굴 이외에 새로운 지하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서 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탐사, GPR탐사, ZHF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결과 여러 지점에서 동굴로 추정되는 이상대가 발견되었고, 이상대의 위치와 규모가 일치하는 27개 지점을 선별하여 시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상대의 대부분은 용암의 상하부에 형성된 클링커층이거나 용암 사이에 협재된 고토양층이었으며, 5곳에서만 동굴이 발견되었다. 클링커층과 고토양층은 용암과 다른 암석의 물리적 특징으로 인해 이상체로 반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동굴이 확인된 5개 지점 중 2공은 기존에 알려진 용천동굴을 관통하였고, 3공에서 새로운 동굴이 확인되었다. 용천동굴을 관통한 시추공은 시추당시 동굴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구간이었으나 용천동굴이 관통됨에 따라 기존 측량도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한편 시추조사로 새롭게 발견된 석회장식 용암동굴은 길이가 약 180 m이며, 상류방향으로 당처물동굴(약 110 m)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굴내부에는 용암곡석, 용암제방, 밧줄구조 등이 발달해 있으며, 탄산염 동굴생성물로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동굴산호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특히 동굴에서 발견되는 탄산염 동굴생성물은 식물 뿌리를 따라 유입된 지표수에 의해 성장하여 독특한 형태를 띠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Geophysical exploration using electric resistivity,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nd impedance high-frequency (ZHF) surveys was conducted in Gujwa-eup, Jeju City, Jeju Island, an island in the Korea Strait, to confirm the existence of new caves near known caves. The exploration revealed a number of anomaly zones, presumed to be caves; 27 sites at suitable locations and depth ranges were selected for drilling and further surveys. However, contrary to predictions, most of the anomaly zones were clinker layers or paleosols intercalated with lavas. Only five boreholes intersected caves. The clinker layers and paleosols were possibly detected as anomalies owing to their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other rocks. Two of the five cave-finding boreholes penetrated Yongcheon Cave; a new cave was found at the other. The two boreholes that penetrated Yongcheon Cave were drilled in areas where the cave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and thus helped correct an error in the cave distribution map. The cave newly discovered in this boring exploration is 180 m long, and it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part of Dangcheomul Cave (110 m). The cave contains well-developed lava helictites, lava levees, and ropy structures; carbonate speleothems such as soda straws, stalagmites, columns, and curtain shawls are also well preserved. Notably, the unique shape of the carbonate speleothemsis attributed to their growth in relation to the cavern water that flowed into the cave along plant roots.

      • KCI등재

        제주도 용암동굴의 보존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김범훈(Beom Hoon Kim),김태호(Tae Ho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6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제주도 용암동굴을 대상으로 그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용암동굴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동굴 입구의 관리 소홀은 동굴 훼손으로 이어지므로 과학적이며 철저한 입구 관리가 필요하다. 동굴 지상의 토지이용과 식생에 대한 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경작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제거된 사구는 동굴생성물 발달에 중요하므로 복구해야 하며, 천장 붕괴를 일으킬 수 있는 심근성 식물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동굴 지상의 위해 요소를 줄이기 위하여 동굴 위 문화재보호구역을 공유지로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주도로와 중산간도로가 통과하고 있는 동굴은 함몰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체도로를 신설하고, 동굴 통과지점에는 안내판을 설치해야 한다. 지역주민을 동굴 보존프로그램에 참여시켜 동굴 위 문화재보호구역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모든 용암동굴에서 낙반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동굴 안정성 진단이 시급하며, 위험구역의 동태 파악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또한 동굴 대기환경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자료 축적을 토대로 대기환경 변화를 분석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공개 동굴의 조명시설은 녹색오염이 최소화되도록 조명등 개선작업이 필요하며, 관람객 출입에 의한 훼손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람객의 수도 규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va tube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in Jeju Island, and then makes the several suggestions for conserving and managing them. The cave entrances should be scientifically and strictly manag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and to preserve the interior ecosystem, of the lava tubes. The land use and vegetation of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should be also systematically managed; the destroyed sand dunes must be recovered for the development of speleothem in the lava tubes, and the plants with deep roots must be removed for the prevention of ceiling collapse. The provincial authorities should manage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as a public land to remove the factors threatening the stability of the lava tubes. Since the roads crossing the ground surface are likely to cause the collapse of the lava tubes, new roads bypassing the caves need to be constructed, and warning signs should be also installed at the traverse points. A monitoring system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 over the lava tubes could be effectively established by encouraging residents to participate the conservation program of lava tubes. Since the falling blocks from ceilings have been usually observed in the lava tubes, it is urgent to examine their stability. In particular, the dangerous sections must be continuously monitored for taking a quick measure against the collapse. The air environments of lava tubes need to be scientifically analyzed based upon the long-term observations. The lighting equipments must be improved to minimize the green pollution in the lava tubes open to the public. The numbers of visitors should be also controll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and contamination of lava tubes caused by a large number of visitors.

      • 용암석회질화가 수반된 위종동 건지굴

        소대화 ( Dea Wha Soh ),홍영자 ( Young Ja Hong ),소현재 ( Hyun Jae Soh ) 한국동굴학회 2007 동굴 Vol.77 No.-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인근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응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의 위종동(僞鐘洞)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태와 환경 및 동굴해안접경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주위에 흔히 분포되어있는 스코리아에 대해 분석응용을 하였다. 용암(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의 위종동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공극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 고화, 융합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의 발생으로 오히려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역할과 같이 견고하게 진행되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김진환,백용,이종현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2

        There are many lava caves on Jeju Island that were created by volcanic eruptions. Roads and residential facilities have been built above these lava caves, and the number of such structures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ssess the safety of facilities, such as roads, built above lava caves, but currently there is no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lava caves and their surrounding facilities. This study proposes revising and creating Jeju Island ordinan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af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major facilities on the island, where many lava caves are located. By revising the current ordinance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caves and enacting an ordinance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upper ground of natural caves,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ground subsidence in Jeju Island can be reduced. 화산 폭발로 형성된 제주도에는 용암동굴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전역에서 관찰되는 용암동굴상부에는 도로 및 주거시설 등이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제주도의 개발에 의하여 용암동굴 위의 도로및 주거시설의 수는 증가할 것이다. 용암동굴 위에 분포하는 도로 등 시설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여러 가지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용암동굴과 그 주변 시설의 안전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행정적인제도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용암동굴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에서 안전한 건설공사 및주요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마련을 위해 제주도 조례에 대한 개정 및 신규 제정을 제안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천연동굴 보존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의 일부 내용에 대한 개정과 천연동굴상부지반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제주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함몰 가능성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국의 동굴 자원과 동굴 연구

        김석주 ( Shi Zhu Jin ) 한국동굴학회 2009 동굴 Vol.95 No.-

        본 연구는 중국의 동굴 자원과 동굴에 관한 연구에 대해 요약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석회암동굴은 주로 카르스트지형이 집중된 열대와 아열대를 아우르는 서남지역에 집중되었다. 최근에는 북부 지역에서도 상당한 규모의 석회암동굴이 발견되고 있다. 둘째, 중국은 화산지형이 넓게 분되었지만 대부분 사화산으로서 용암동굴이 상대적으로 적다. 주로 해남도(海南島)에 분포되어 있다. 셋째, 중국에서는 최근에 와서 주로 동굴의 발육과 진화, 동굴 석순의 고환경기록, 동굴생물, 관광개발, 동굴환경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hina`s caves and cave resources in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a`s melting karst caves are mainly distributed in southwest widely distributed. Recently in Beijing and other northern areas found in many caves. First, China`s Karst caves are mainly distributed in karst-flung southwest. Recently in Beijing and other northern areas found in many caves. Second, although China is widespread volcanic landscapes, but most of the extinct volcano, the lava caves less so. Are mainly distributed in Hainan Island, north-east there are some distribution. Third, China`s recent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cave, analysis of the paleo-environment records of cave stalagmites, cave biology, cave tourism development, environmental aspects of cave research more active.

      •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제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오제호(Oh Je Ho)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육연구 Vol.- No.15

        2007년 제주도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라는 제목으로 한국 최초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는 곧 제주도의 화산지형과 용암동굴이 세계적으로 심미적 가치와 함께 학술적 가치를 지녔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를 중심으로 초등학생들에게 과학교육의 체험의 장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에 대하여 야외 학습 절차를 활용한 야외 학습 코스를 개발하였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개념과 일치하는 내용을 관찰할 수 있는 학습 지점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지점에서 관찰한 초등학교 지구과학 분야의 지질 현상 및 탐구 내용을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각 관찰 지점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료는 지역적인 제한점은 있으나 야외 학습장의 선정, 야외 학습 준비를 위한 과정 등 야외 학습을 계획하고자 하는 교사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여러 활동지는 야외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단편적인 지식 습득이 아닌 구체적 활동을 통해 추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Jeju island was registered in The World Natural Heritage list with a title of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2007. It indicates that topography of volcano of Jeju island and its lava tube was values as having scientific values as well as esthetic values worldw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onnect to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registered in The World Natural Heritage list.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developed the field learning course using the field learning procedures in relation to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registered in The World Natural Heritage list and selected the learning site to observe the contents which correspond with learning concepts proposed in the curriculum. And based on selection of exploration contents and geological phenomena of the earth science area of elementary school observed at the selected site w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to be applied at each observation spot. It is conceivable that data developed by the present study has regional limits but they are expected to be employed usefully by teachers who are to plan field learning including selection of the field learning place, and the process for preparing field learning etc, and a number of activity paper will be helpful to solve abstract questions through concrete activities rather than acquiring fragmentary knowledge for the children who intend to do field learning. However, verification procedures are necessary si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not applied directly to the students.

      • KCI등재

        한라산 구린굴의 천장 함몰로 인한 병문천의 유로 변경

        김태호(Taeho Kim),안중기(Junggi An)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4

        한라산 북사면에 소재하는 구린굴의 천장이 함몰되고, 동굴 지상을 흐르던 병문천이 동굴 안으로 유입되면서 442m 길이의 구린굴 가운데 73m 구간이 하천 유로로 바뀌었다. 구린굴 유로의 폭과 높이는 각각 447㎝ 및 501㎝이며, 벽면은 용암선반이 발달한 전형적인 용암동굴의 모습을 보이나 바닥에는 기반암 하도 특유의 마식지형이 나타난다. 거북등 모양의 절리가 발달한 동굴 천장의 암반 두께는 30~60㎝에 불과하며, 이런 장소에서는 천장이 함몰하기 쉬워 유로 구간에는 전부 4개 지점에 윈도우가 발달한다. 구린굴 유로가 출현하기 이전의 지상 유로는 병문천의 지류로서 제4함몰 윈도우 지점을 지나 표고 653m 지점에서 구린굴 동쪽 유역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본류에 합류하였다. 그러나 구린굴 지상 유로의 하상에 윈도우가 형성되면서 지상 유로는 구린굴 유로로 대체되고, 새로운 유로는 표고 660m 지점에서 본류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후 구린굴 상류 쪽으로 병문천 유역이 확대되면서 구린굴을 통과하는 유로가 본류로 바뀌었다. 그러나 홍수류가 발생하면 구린굴 지상 유로에도 유수가 발생하므로 병문천은 제4함몰 윈도우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분기 하천의 형태를 이룬다. 제주도 용암동굴의 천장에서는 낙반 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제주도의 수계발달에 미치는 용암동굴의 영향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Gurin Cave, 442 m long, is a lava tube developed on the northern slope of Mount Halla. Seventy-three meters of its lower reach became a river channel since Byeongmun River flowed into a window after roof collapse took place. The subterranean channel has a width of 447 ㎝ and a height of 501 ㎝, respectively. Its banks show welldeveloped lava shelves of a typical lava tube, while its floor has sculpted forms which characterize a bed of a bedrock stream. The reach is likely to be collapsed and then has four collapsed windows since its roof has the densely developed testudinal joints and consists of thin lavas with a thickness of 30 to 60 ㎝. Before the subterranean channel appeared, a ground channel flowed over the cave and joined into a main channel of Byeongmun River at 653 m in altitude. However, the subterranean channel substituted the ground channel since a bed of the ground channel collapsed into the cave. The new channel, flowing through the cave, joined into a main channel at 660 m in altitude. As the drainage area of Byeongmun River expanded upstream the cave, the new channel changed into a main channel. Since floodwater flows down the ground channel as well as the subterranean channel, a distributary stream has temporarily appeared at the collapsed window. Lava tubes are likely to have an affect on the development of river system in Jeju Island, in that the caves have constantly shown roof-fall.

      • KCI등재

        제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진동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송재용 ( Jae-yong Song ),이근춘 ( Geun-chun Lee ),안웅산 ( Ung-san Ahn ),임현묵 ( Hyun-muk Lim ),서용석 ( Yong-seok Seo ) 대한지질공학회 2020 지질공학 Vol.30 No.3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각종 개발과정 중 발생되는 지반진동이 용암동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용암동굴의 효율적인 관리보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 거문오름동굴계 분포지역에서 암질별 RMR과 Q-system 암반분류를 통해 지반상태를 평가하였고, 시추공 내에서 발파를 수행하여 만장굴 및 용천동굴에서 진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암반분류 결과와 진동속도를 분석한 결과 암질이 좋을수록 진동의 영향이 크고, 암질이 불량할수록 진동영향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반 불균질성 등의 이유로 선형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았다. 진동시험 결과를 토대로 진동속도(PPV)와 진동레벨(dB(V))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생활진동규제기준(진동레벨 주간 65 dB(V), 야간 60 dB(V))을 만족하려면 진동속도가 주간 0.371 cm/s, 야간 0.285 cm/s인 것으로 계산된다. 야간 진동기준이 더 보수적인 값이므로 허용진동기준은 0.285 cm/s 이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연구지역에서의 발파진동추정식 결정을 위하여 자승근 환산거리 및 삼승근 환산거리에 대해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결정계수(R2)가 0.76 이상으로 나타나 양호한 신뢰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출된 발파진동추정식의 자승근 관계식을 적용하여 문화재 진동기준치인 0.2 cm/s를 만족하는 장약량을 산정하였고, 동굴에서 50 m 이격된 경우 2.88 kg, 100 m 이격된 경우 11.52 kg으로 계산되었다. The effects of ground vibration on lava tubes during construction were studied to aid design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measures for lava tubes. Ground conditions were assessed by RMR (Rock mass rating) and Q-system classifications for the Geomunoreum lava tubes, and vibration velocity was measured during in situ blasting tests in the Manjanggul and Yongcheondonggul lava tubes.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rock quality, the greater the effect of vibration, although there is no clear linear relationship due to ground heterogeneity. A relationship derived between vibration velocity (PPV) and intensity (dB(V)) on the basis of blasting tests indicates that a vibration level of < 0.285 cm/sec meets the regulatory limit of 0.371 cm/sec and 65 dB(V) during daytime, and 0.285 cm/sec and 60 dB(V) during night. For blasting vibrations, square- and cube-root scaled distances are linearly correlated, with R<sup>2</sup> ≥ 0.76. On the basis of this correlation, explosive-charge weights meeting the 0.2 cm/sec vibration criterion for cultural heritage were estimated to be 2.88 kg at 50 m distance, and 11.52 kg at 100 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