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이주와 집거지 형성 비교 연구 -올드커머와 뉴커머를 중심으로-

        지충남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0 No.2

        이 연구는 재일한인 디아스포라를 대표하는 올드커머와 뉴커머의 이주, 에스닉 (ethnic) 커뮤니티인 집거지 형성과정을 비교하는데 있다. 올드커머의 역사는 억압, 착 취, 차별과 박해의 표본이다. 일제의 수탈로 인한 농촌경제의 붕괴, 전쟁동원을 위한 강제징용과 징집은 올드커머로 하여금 자발적·강제적 이주를 유발하였다. 뉴커머는 경제, 교육, 결혼 등을 목적으로 한 자발적 이주자이다. 이들의 배출과 흡입요인은 경제 적, 군사적, 지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특히 올드커머의 이주는 일제 의 근대화 및 식민지 지배라는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재일한인의 집거지 형성과 관련하여 올드커머와 뉴커머의 집거지 특성은 생활 및 민족공동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올드커머와 뉴커머는 대도시 및 그 주변에 정주 하고 있으며, 니이가타현의 경우 뉴커머 결혼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었다. 올드커 머의 주거환경은 하천부지, 쓰레기매립지, 저습지로 그 형태는 판잣집, 움막, 폐창고 등 매우 열악한 구조였지만, 뉴커머는 주택, 아파트, 연립, 합숙소 등에서 기거하고 있 었다. 이들이 집거지를 형성할 수 있었던 핵심요인은 취업, 학업, 숙식, 교통의 편리성, 낮은 일본어 활용도, 정보습득의 용이성 등이었다. 올드커머 세대의 감소는 주거 영역 의 축소, 뉴커머의 영역은 한류, 지속적인 뉴커머의 유입 등으로 확대 추세에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재일한인의 대표적 집거지는 신주쿠 오쿠보, 신오쿠보, 그리고 오사카 이쿠노구에 조성된 코리아타운이다.

      • KCI등재

        제일한국인 뉴커머 형성과정과 집주지역의 특징

        정진성 ( Chinsung Ch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0

        재일한국인은 다른 재외동포와는 구별되는 역사적 특수성을 지니며, 우리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점해왔다. 4~5세대에 이르도록 한국국적, 또는 조선적(무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사실이나, 남북통일의 중요한 한 단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지난 10년 길게는 20년 동안, 일본에는 일제시기에 형성되어 한국-조선적으로 분리된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이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재일한국인 집단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작명된 ‘뉴커머’가 그들이다. 이들은 한일협정으로 해방 후 20년의 공백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주가 시작된 후,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집단을 이루기 시작했으며, 도쿄(東京) 주변의 오쿠보(大久保)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집주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재일한국인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역사, 사회, 인류학 등에서 간간히 이루어져 왔지만, 뉴커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최근 오쿠보 지역과 같은 집주지역의 공간적 형성이라는 시각에서 새로운 연구주제로 다루어지는 정도이다. 본 연구는 합법적 이주와 불법체류 노동자를 포함하여 뉴커머 재일한국인 전반에 대한 전체 윤곽을 잡은 후, 오쿠보의 코리아타운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드커머와는 달리, 뉴커머 집단은 대부분의 소수민족집단의 일반성을 다분히 띄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한국국적과 조선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올드커머와 뉴커머 간의 관계설정이 재일한국인 전체의 양상을 점차 변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Koreans in Japan have been a significant part of whole Korean history. They have some historical peculiarities,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4th or 5th generations still keep Korean nationality, and they could play some important role for national reunification. Separately from those old group of Koreans in Japan, new Korean minority group has been formed sinc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of 1965. They are called “new comers” in Japan, They began to form a significant minority group in Japan since the end of the 1980s, and “Korea Town” also began to appear in some places such as Okubo. Researches on Koreans in Japan have been focused on “old comers” in the field of sociology, history, anthropology, etc., but the community of new comers began to be approached from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s newly developed urban minority areas. This paper tries to capture overall situation of new comers including both irregular workers and Iegal immigrants, and then analyse one Korean town in Okubo. This paper found that this new comers`s group have mo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minority, and proposes that how they make the relations with old comers would change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s in Japan.

      • KCI등재

        재일코리안의 음식 세계와 정체성

        아사쿠라 도시오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Zainichi Koreans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Japanese society) became to have diverse composition with the deepening of the generational depth of so-called oldcomers and the arrival of newcomers and Chinese Koreans in Japan since the 1990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Zainichi Koreans and accompanied identity diversification through food culture. First, I introduced previous research on the food culture of Zainichi Koreans. Especially, I extracted 21 articles about food from the dictionary of Zainichi Koreans, and discussed the diversity of food culture according to the hometown of Zainichi Koreans. Also, I overviewed the research conducted by Dae-sung Jeong(pioneer of Korean food culture research in Japa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study of Zainichi Koreans’ food culture written in Japanese, particularly related to identity. Next, regrading Yakiniku and kimchi for representative foods of oldcomers, and kimbap and jjajangmyeon for those of newcomers, I traced the chronological change of these dishes from two aspects: Korean food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of Korea, and Korean food in the life history of Zainichi Koreans. Finally, I discussed the food and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through these cases. 재일코리안, 즉 일본 사회에 거주하는 한반도 출신자는 소위 말하는 올드커머의 세대 심화와 90년대 이후의 뉴커머라 불리는 중국 조선족 등의 일본 유입을 통해 다양한 구성을 갖게 되었다. 이 글은 재일코리안의 시대적 변천과 그에 수반되는 정체성의 다양화를 음식문화를 통해서 고찰했다. 먼저 재일코리안의 식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재일코리안 사전에 게재된 음식에 관한 21개의 항목을 추출하여, 재일코리안의 출신지역에 따른 식문화의 다양성을 짚어 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한국 식문화 연구의 개척자인 정대성의 식문화 연구와 한국 국립민속박물관의 조사연구, 일본어로 쓰인 재일코리안의 식문화 연구 등을, 특별히 정체성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했다. 그러고 나서 올드커머를 대표하는 음식으로서 야키니쿠와 김치를, 뉴커머를 대표하는 음식으로서 김밥과 자장면을 대상으로 삼아, 일본 속 한국의 문화표상으로서 한국요리와 재일코리안의 생활사 속 한국요리라고 하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그 음식들의 시대적 변천 양상을 추적했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토대로 재일코리안의 음식과 정체성에 대해 고찰했다.

      • KCI등재후보

        재일한국/조선인 사회의 갈등과 과제: 올드커머와 뉴커머 관계를 중심으로

        유혁수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비평 Vol.- No.10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the “old-comers” and the “new-comers” in the zainichi Korean society, which recently has shown significant demographic diversity. While the number of “old-comers,” which consisted most of the zainichi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every year as many naturalize to Japanese citizenship (estimated as 345,000), the number of “new-comer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 1980s and now reached 160,000, among which 60,000 now hold permanent residency. In addition, as the revision of Nationality Law in 1984 adopted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lines in determining child’s nationality, an estimated 100,000 children of Korean descents possess Japanese nationality, calling for an urgent change in zainichi society. However, the zainichi society lacks any swift and effective measures to counter the variety of issues it faces today, as the merging of old and new comers are being delayed. This study takes the premise that Mindan must take on self-renovating measures in order to deal with the diversifying zainichi Korean/Chosen society, and provides several concrete suggestions as to what can be done while adapting to this newly-changing internal social dynamics.

      • KCI등재

        일본의 다문화교육의 전개와 문제점

        박영준(Young-Jun Par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9

        본 논문은 일본의 다문화교육의 전개와 그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논구한 것이다. 그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올드커머의 학생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교육에서의 문제이다. 둘째는 일본 공교육의 범주가 아니어서 대학 진학이나 취직 등에 제한을 받는 특별한 학교로서 일본사회에 자리 잡고 있는 일조교의 문제이다. 셋째는 차별과 인권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 원인은 일본의 동화정책에 기인한다. 뉴커머의 교육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일본의 학교교육은 그 학교에 적을 둔 아이들에게만 제공되기 때문에 외국인 아이들은 그들 가족과 일본사회와의 통역사가 되어 생활을 유지해야만 하는 문제이다. 둘째, 뉴커머의 모어(母語)나 모문화의 지원에 대한 국가의 방향성이 특히 제시되지 않는 점이다. 그 원인은 일본사회로의 동화정책에 기인한다. 따라서 동조?협조?융화 등을 중시하는 일본학교가 다루기 쉬운 아이들을 만들기 위한 지도가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국제이해교육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일본정부의 국민교육이 세계 속의 일본인을 육성하는 데에 문제가 있다. 그것은 학교교육의 기본을 동화교육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국제이해교육이 영어나 영어권의 문화이해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외국인 아동들의 실태에 대응하지 못한 점이다. 문제해결의 하나의 방안으로 추진된 다문화교육에서 올드커머와 뉴커머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뉴커머 아이들의 미취학의 문제이다. 둘째는 언어의 문제이다. 학교는 일본어지도와 생활적응지도를 뉴커머를 대상으로 실시했지만. 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문화교육이란 이문화 집단 간의 소통과 공존을 위해서 다수집단과 소수집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비판적 성찰을 통해 더 나은 삶, 더 나은 세계를 추구하는 교육이다. 이것은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에도 부합되는 것이다. 소통과 공존을 통해서 차별의식이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나은 삶을 함께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다문화교육은 재일 외국인 학생에게도 일본학생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다수자인 일본학생들이 자신도 모르게 저지르는 편견이나 차별로 인해 인권을 유린하거나 침해함으로서 소수자인 재일외국인 학생들이 느끼는 아픔을 공유할 때 진정한 다문화공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는 마땅히 일본인, 일본정부도 포함되어야만 한다.

      • KCI등재후보

        재일동포의 법적 지위 및 사회적 위상

        유혁수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비평 Vol.- No.12

        The “1991 Memorandum of the Japanese–South Korean Agreement” (hereafter the 1991 Memorandum) and the Special Exemption Law of Immigration Control guaranteed special legal status, including a special permanent residence with simplified procedure, relaxation of deportation requirements, and the extension of reentry permit period, to Koreans and their descendants who resided in Japan before August 15, 1945. However, the 1991 Memorandum did not resolve all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society in Japan faced at that time. With the increase of Korean naturalization and marriage with Japanese, the shift from patrilineal jus sanguinis to bilineal system, and the growth of newcomer Koreans etc., the Korean society in Japan has experienced diverse and big changes and is now faced with new challenge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Korean society in Japan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gal status and social position of Koreans in Japan mainly after the 1991 Memorandum, and foresees the fu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Japan. First, we investigate how much the social-economic position of Koreans had improved during Japan’s economic growth of the 1960s and 1970s, based on a series of studies on foreigners in Japan in terms of occupation and social position. Second, we address that the Japanese legal system for aliens still has some important problems to be dealt with despite that the legal status of Koreans has improved radically by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nventions by Japan and following the 1991 Memorandum. Finally, we raise three scenarios on the fu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Japan: 1) Entering the mainstream Japanese society as Korean-Japanese by acquiring Japanese nationality; 2) Disregarding the constraints of nation-states and become a “free soul” in the globalized East Asia; and 3) Gradually immerse into the Japanese society with ambiguous and unclearidentity. Unfortunately, the most probable scenario would be the final one.

      • KCI등재후보

        일본 오사카 재일한인의 현지 사회적응 양상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선봉규 ( Sun Bonk Ky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이 연구는 일본 오사카 이쿠노쿠에 거주하고 있는 재일한인의 이주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 정착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수준의 사회적 네트워크들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 필자는 오사카 이쿠노쿠를 방문하여 확보한 면접조사 자료와 관련 기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오사카 이쿠노쿠지역은 재일한인의 민족집거지를 상징하는 곳이다. 1980년대 이후에는 한국에서 새로운 이주자들이 유입되어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거주하는 공동체로 변모하면서 한편으로는 갈등적 관계를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교류와 소통을 이루고 있다. 특히 재일한인은 디아스포라적 위치에서 거주국 사회의 차별, 배제정책과 주류민족의 편견 등을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적응, 정착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네트워크들을 형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재일한인들은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들을 통해 낯선 곳에서 느끼는 심리적 혼란을 함께 공유하고, 자신의 언어와 문화, 역사를 유지ㆍ계승하고, 모국과의 연계를 끊임없이 시도하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 강화해나가고 있다. 향후에 재일한인들은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 적응하기 위해 공동체 구성원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들을 해소하는데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aspect of Diaspora life and local adaptation mechanism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living at Ikuno-ku, Osaka Korean town focusing on the problem of local social adaptation mechanism of alienation meanwhile the stud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s, I analyse interview data from local visit. Ikuno-ku, Osaka region is a place that symbolizes of ethnic Korean residents in Japan. After the 1980s, new migrants from Korea introduce as living with a variety of actors and transform into a community where on the one hand they maintain a conflictual relationship and on the other hand they form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Korean resident in Japan living at Ikuno-ku, Osaka is trying to form different types of stable adaptation mechanism. Korean residents in Japan possess adaptation mechanism with remains a national identity, form the necessary mechanisms for inheritance, and interact with members of the community or plan a joint program.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community members of Korean should try to resolve the active invisible conflict to adapt and to settle in a stable community.

      • KCI등재

        일본으로 결혼이주한 한국인 여성들의 초국적 삶과 민족정체성의 재구성

        이순미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1

        This article deals with adaptation of Korean women in marriage migration living in Hokkaido in Japan in social and economic manners and their efforts to establish hybrid identity, based on the relations with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Japan. Unlike the discourse that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are victims of economic strategy or patriarchal system, migration is a strong social desire for them, but they experience the discontinuity and contradiction with the past and agony of segregation. Women marriage migrants without any institution to help them live in the residing country have to depend upon the sense of belonging to “Korea.” In this case, “Korea” is a meaningful place to the women marriage migrants, rather than the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Korea’s “familism” was material resources for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to fight to strengthen the sense of belonging. Women marriage migrants started to run their own business equipped with their national identity, with expectation to their functions of maintenance of lower class families and reproduction. Fortunately, their adaptation efforts to the target economy and society seemed to attract public attention due to new opportunities generated from Korean Wave after 2002. However, the businesses related to Korean wave still have difficulties in permanently stabilizing the sense of belonging in social and economic manners due to their small business scale. In addition, conflicts among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Japan with respect to competitive businesses related to Korean Wave, prejudice against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as immoral to purity of Korean ethnicity and strong and “homeland-oriented” nationalism in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Japan, which is dominated by the experience of colonialism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exclude naturalized citizens, especially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as risky factors to national identity. Against this background,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have made efforts to adapt to the main Japanese society because they failed to obtain recognition from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Japan. However, to become a part of the Japanese society, they should accept a social position as a stranger, which is determined by the Japanese society. As a result, Korean women marriage migrants fail to reach their expected position, exist as hybrid states and have experienced inner segregation. 이 글은 일본 북해도에 거주하는 한국인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적응 활동과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재일한인 동포사회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이들의 혼성적 정체성의 구성과정을 살펴보았다. 결혼이주여성들은 경제적 전략이나 가부장제의 희생자라는 담론적 구성과 달리 이주가 강력한 사회적 열망으로 자리하고 있었으나, 거주국 일본사회의 동화압력에 직면하여 과거와의 불연속과 부조화를 경험하고 분리와 탈구의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거주국 사회에 뿌리내리고 살 수 있는 장치들을 제공받지 못한 이주여성들은 ‘한국’이라는 1차적 귀속감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의 ‘한국’은 민족정체성이라기보다는 여성들의 몸에 각인된 ‘의미의 공간’이다. 특히 한국의 ‘가족주의’는 여성이 귀속감을 획득하기 위한 인정투쟁의 핵심적 자원이 되었다. 여성들은 하층가족 유지 및 재생산이라는 역할 기대 속에서 자신들의 민족정체성을 무기로 한 영세 자영업에 뛰어들었고, 다행히 2002년 이후 ‘한류’라는 기회구조의 형성으로 이러한 사회경제적 적응 노력이 어느 정도 빛을 보는 듯하다. 그러나 이들의 한류사업은 그 영세성 때문에 사회경제적 귀속을 항구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어려운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에 경쟁적 한류사업을 둘러싼 재일한인 동포사회와의 갈등, 민족의 순결을 위반한 부도덕한 몸으로 재현되는 배제의 논리와 더불어 식민지배의 경험과 남북분단의 현실이 지배하는 재일한인 동포사회의 강력한 ‘조국’ 지향적 민족주의는 귀화자와 뉴커머,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을 민족정체성의 위협요소로 간주하여 배제한다. 게다가 뉴커머 결혼이주여성들이 한류사업 속에서 형성하는 민족정체성이 올드커머들의 민족담론 속에서 전통과 단절된 ‘상품화된 위조된 정체성’으로 낙인찍히고 ‘진정성’을 의심받는 문제도 있다. 결국, 결혼이주여성들은 동포사회로부터 동족으로 인정받지 못함으로써 더욱 거주국 일본사회에 순응적이고자 하지만 일본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본이 지정해주는 타자의 위치를 수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상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혼성적인 존재로 남아 주체의 내적 분절을 경험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전후 재일한인 관련 신문기사의 주제와 동향에 관한 연구

        정영미(Young-mi J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오늘날 재일한인에 대한 일본내 인식과 사회적 여론 형성은 과거 대중매체에서 그들을 어떤 모습으로 보도했었는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는 전후 발행된 아사히신문에서 재일한인에 관한 기사를 추출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주제와 동향을 분석하여 의제설정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45년 8월 15일부터 1969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아사히신문에서 재일한인 관련 신문기사 1,192건을 수집하였고, 기사 제목을 번역한 뒤 불용어를 제외하고 9,842개의 키워드를 자동 추출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문제’로 총 365건의 재일한인 신문기사의 제목에 사용되었고, 그 외에 조선인 , 귀환 , 조선대학교 , 북한 등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상위 출현 100개 키워드를 대상으로 동시출현정보를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키워드들 간에 직접적인 관계는 총 2,782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와 조선대학교 가 127개의 신문기사에서 동시 출현하여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5년 주기별 신문에서 다루고 있는 재일한인사회의 주요 이슈와 그 추이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도구는 SPSS v23, KrKwic, UCINET6 등이다. Today, the perception of Koran-Japanese in Japan and the formation of social public opinion have been influenced by how they have reported them in the mass media in the past.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agenda setting for Korean-Japanese in Japan is presented, this study extracted articles about Korean-Japanese in Asahi Shimbun published after the war, conducted a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analyzed the main topic and trends of its. In the Asahi Shimbun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from August 15, 1945 to December 31, 1969, 1,192 Korean-Japanese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9,842 keywords were automatically extracted after translating the title of article and excluding stop 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were problems , which were used in the total of 365 Korean-Japanese newspaper titles. Secondly, they appeared in the order of Chosun-in , return , Chosun University , and North Korea .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top 100 emerging keywords. As a resul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was found to be 2,782 times. problems and Chosun University appeared in 127 newspaper articles at the same time. We also analyzed the major issues and changes in the Korean-Japanese in the 5-year cycle. The analysis tools used in this paper are SPSS v23, KrKwic, and UCINET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