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비디우스의 Heroides Ⅶ 분석 : 편지 쓰는 디도

        이선주(Li, Sun-Ju)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8 No.-

        Heroides는 엘레기 형식의 편지 모음집으로,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쳐 지금까지 계속해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오비디우스 초기 엘레기의 전개 방향뿐만 아니라, 카툴루스에서 갈루스와 프로페르티우스를 거치는 ‘로마엘레기’의 전개 및 수용이라는 문학사 측면에서도 세밀한 분석을 요구하는 작품이다. 그러나 Heroides의 사본 전승에 관한 문제가 여전히 논의 중인 사안이기에, 본 논문은 Doerrie와 Knox의 편집본 및 Kenney의 지적을 기준으로 삼아 Amores 2.18.21∼26행에서 오비디우스가 Heroides의 주인공으로서 직접 언급하는 작품이자, 기존 작품에 대한 오비디우스의 비평이라는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7편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비디우스는 Heroides VII에서 베르길리우스가 각색한 디도 이야기를 틀로 사용한다. 그러나 디도의 입장을 부각시키기 위해, 오비디우스는 역사 문헌에서 강조되는 디도의 전략적인 면을 되살리는 동시에 디도의 분노보다는 분노와 얽혀있는 자기 연민 혹은 위로를 교묘한 수사적 방식을 통해 전달한다. 한편 Heroides Ⅶ은 『아이네이스』를 변용하면서, 서사시 『아이네이스』의 가치관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 과정은, 엘레기적 특성에서 연원한 설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건조하지 않으며, 웃음(조롱)과 한탄으로 이루어진 논증을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논증 구조는 화자의 주관적 감정 표현으로써만 제한적으로 쓰여왔던 로마 엘레기의 내용을 한층 확장하며, 감정 속에 논리를 자연스럽게 수반시켜 전달한다. 또한 Heroides Ⅶ은 이 작품이 편지임을 상기시키는 묘비명에 상응하는 행을 앞뒤로 제시하여 Heroides Ⅶ의 내용을 한 시점, 편지를 쓰고 있는 바로 그 순간으로 고정하고, 이미 알려진 비극적 결말에 유예를 둔다. Heroides Ⅶ의 전개 과정에서, 감정과 논리는 용해되어 분노는 조절되고 주인공은 현실과의 경계에서 자기보존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모색한다. A collection of epistles in the elegy form sent by lovelorn women from myths and legends to their respective lovers, the Heroides have continued to garner attention since th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However, because the problem of the transmission of the manuscripts of the 21 works that constitute the Heroides continues to be controversial,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by analyzing Heroides VII, whose main character Dido Ovid directly mentions in Amores 2.18.21-26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Heroides and which best reveals the nature of the work as the poet’s critique of existing literature, with editions by H. Doerrie and P. E. Knox and E. J. Kenney’s comments as the standards. In Heroides VII, Ovid uses, as the frame, the story of Dido, queen of Carthage as adapted by Virgil. However, to highlight her position as an agent of her destiny, the poet simultaneously revives the queen as a strategist, as stressed in historical documents, and conveys, through ingenious rhetoric, not so much her anger as her self-pity and self-comfort in relation to that anger. In Heroides VII, the queen laments her lot without hating Aeneas and continues her speech and employs logical persuasion in this manner. At the same time, the elegy in Heroides VII modifies the Aeneid and questions the values of the epic. In addition, Heroides VII presents both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epigrammatic(epigraphic, legal) lines that remind the reader of the epistolarity of the work, thus fixing its contents to one particular point in time, the very moment at which the letter is being written, and defers the already known tragic conclusion. As the Heroides unfold, emotion and logic dissolve so that anger is controlled and the main character searches for the new state or phase of self-preservation within the bounds of reality.

      • KCI등재후보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와 그림 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민담 동화』의 변신 모티브 비교 연구

        이민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7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6 No.2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comparatively on metamorphosis motif represented in both Metamorphosen by Ovidius and Kinder- und Hausmärchen by Grimm Brot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works I try to examine how metamorphosis motifs are embodied in Greek mythology and German fairy tales.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deals mainly with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metamorphosis motifs in mythology and fairy tales. In the third chapter I explain the authors Ovidius and Grimm Brothers and their works. In this chapter I concentrate on exploring the meaning of metamorphosis motif. In fourth chapter I attempt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as a connecting link between two works. Here I categorize metamorphosis motifs represented in Greek mythology and German fairy tales. Through it I show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metamorphoses represented in Metamorphosen and Kinder- und Hausmärchen. Two works are evaluated as the imagination source and the treasure house of arts. 본 연구는 오비디우스의『변신 이야기』와 그림 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민담 동화』에 나타난 '변신 모티브'를 비교 연구한다.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변신 모티브’가 두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변신 모티브’의 개념이 규명하고, 3장에서는 오비디우스와 그림 형제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본 연구의 기본 토대이고 나아가 신화와 동화 속의 ‘변신 모티브’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작업이다. 4장에서는 두 작품의 연결고리인 ‘변신’을 살펴보고 오비디우스의『변신 이야기』와 그림 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민담 동화』의 ‘변신 모티브’를 유형화한다. 이를 통해『변신 이야기』와『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민담 동화』속의 ‘변신 모티브’의 차이점을 밝힌다. 두 작품은 상상력의 화수분이자 예술의 보물창고로 평가받고 있다. 두 작품은 시공을 초월하여 예술가들의 영감을 자극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위대한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 위대함의 근저에는 ‘변신 모티브’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무사(Musa), 카메나(Camena), 세이렌(Seiren) :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읽기

        안재원(Jaewon Ah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1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6

        이 논문은 로마의 문학이 그리스 문학에 대해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기여를 했던 군소 문법가들을 소개하는 글이다. 로마 문학이 경쟁력을 확보함에 있어서 문법학자들이 기여한 분야는 크게 세 영역이다. 첫째는 그리스 문학의 번역 분야이다. 둘째는 교육 분야이다. 셋째는 교육과 학문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번역과 교육 분야에 논의를 집중했는데,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를 사례 삼아 예증하였다. 로마의 문인들은 그리스의 시인들과는 대조적으로 그 대부분이 학교에서 문법 교육과 문학 훈련을 받았던 학자-시인(poeta doctus)들이었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오비디우스였기 때문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ce and Rome is usually described by the terms imitatio et aemulatio. Rome was really keen to imitate Greece. However, Romans could not satisfy with the imitation of Greece. The conquered began to emulate the conqueror. In the end of the Ist century AD, there existed some Romans claim that Rome has overcome Greece completely. One of them may be Quintilian, because he declares that "Homer in Greece, but Vergil in Rome" (Inst. Orat., 10.1. 85). Of course, his claim is disputable. However, it is evident that Quintilian's claim is tolerable in the sense that the Latin is no more a poor language (egestas linguae!, Lucretius De Rerum Natura, 1. 52) in his time. For thi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s are authors like Cicero, Vergil and Horace. With this, it is worthy also to see various endeavors of so called small contributors, named Grammarians who seem to have exercised some large influences over Roman authors. In this regard, there is no doubt about the fact that Ovid is a poeta doctus. In this paper, thus, I have concentrated on arguing of some grammarians who have exercised some influence over Ovid's poetry, as a case study for answering to the question of how the conquered defeated the victor.

      • KCI등재

        오비디우스와 크레티엥 드 트르와의 작품 속에 나타난 사랑의 독백과 애도의 몸짓들

        이미선 한국프랑스학회 200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8 No.-

        Cette étude a pour but d'étudier le monologue des amoureux et la scène du deuil comprenant des gestes plaintifs et des lamentations chez Ovide et chez Chrétien de Troyes. Au XIIe siècle apparaissaient des romans antiques tels que le Roman de Thèbes, adaptation en ancien français de la Thébaïde de Stace, et le Roman d'Énéas, de l'Énéide de Virgile. Mais dès le milieu du XIIe siècle, les ouvrages d'Ovide notamment les Métamorphoses ont commencé à fasciner tous les lettrés tant et si bien que certains de leurs épisodes ont été continuellement copiés, imités et remaniés. En raison de cette fascination et de cet engouement vis-à-vis des oeuvres d'Ovide, le XIIe siècle est apellé aetas ovidiana, c'est-à-dire l'âge ovidien. Cet enthousiasme viendrait peut-être du fait qu'Ovide a su toucher l'essentiel de la nature de l'homme, autrement dit, les sentiments des amoureux par une fine description de la psychologie. Or la subtilité de cette psychologie s'est révélée par excellence dans les monologues des amoureux face à l'incertitude et à l'angoisse dans l'amour ainsi que dans les lamentations lors du deuil du bien aimé. Chrétien de Troyes en tant qu'adepte du poète de génie latin, présente ses oeuvres de traduction d'Ovide à la préface de Cligès, ce qui lui aura permis d'aquérir l'art ovidien qui ne restera pas sans importance pour ses romans et pour des ouvrages de ses successeurs. Pour cette étude, nous avons d'abord choisi les monologues des amoureux dans certains épisodes comme Narcissus, Ceyx et Alcyone des Métamorphoses d'Ovide et dans le Cligès et l'Érec et Énide de Chrétien de Troyes. Les épisodes de Narcissus, de Ceyx et Alcyone offrent les premier exemples de la peinture des sentiments amoureux dont le plus caractéristique est le dialogue délibératif et fictif d'un personnage s'entretenant avec lui-même. Dans Cligès, Chrétien de Troyes nous a d'abord conté les aventures des parents de Cligès, puis celles du héros. Dès le premier regard, Alexandre et Sordamor, Fénice et Cligès s'éprennent l'un de l'autre sans se l'avouer. C'est au cours de ces sentiments non avoués que nous pouvons déceler les images et les comparaisons ovidiennes: la flèche d'Amour qui pénètre par l'oeil sans faire de plaie, touche et blesse le coeur causant incertitude, désir et angoisse d'amour. Nous avons ensuite choisi les scènes de lamentation lors du deuil du bien aimé de l'héroine dans certains épisodes tels que Pyramus et Thisbe, Narcissus, Bybliss, Myrrha et puis Ceyx et Alcyone, chez Ovide, et Cligès, Érec et Énide et Yvain chez Chrétien de Troyes. Prèsque toutes les scènes de deuil chez les deux auteurs ont de points communs: elle pleure, déchire les vêtement, elle s'arrache les cheveux, se frappe les épaules ou les poitrines, se tord les poings et en dernière étape, tente de se suicider. Durant de longues années du Moyen Age, certains éléments de l'expression du monologue amoureux et de la scène de deuil restent clichés de la littérature, et il faut souligner que Chrétien de Troyes, tout en suivant la mode ovidienne de son époque, ne l'a pas suivie aveuglement mais l'auteur a su garder son originalité. Dans le prologue du Érec et Énide, premier roman arthurien en France, Chrétien de Troyes manifeste un projet plus ambitieux: tout comme Ovide qui voulait une certaine immortalité de son renom et de son oeuvre dans l'épilogue des Métamorphoses, il affirme sa vocation d'auteur d'une véritable création prenant le bâton de relais de son maître. En ce sens, il est significatif que ce que son maître souhaitait à la dernière page de son ouvrage représentatif, lui, il le manifeste dans les toutes premières lignes de sa première oeuv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오디비우스로 배우는 라티움어 — Fabula docet

        김진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1

        This paper begins by presenting the importance and weight of Latin grammar in the classical studies, in conjunction with a brief sketch of the history of Latin grammar, which began in the 1st century BC under the influence of Greek grammar. The key point here consists of the concepts and terms that have been adopted in our newly published Latin grammar textbook Fabula docet. This paper then examines the Latin textbooks published in South Korea since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and the trend of Latin textbooks that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in Europe and America. Finally, we introduce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our newly published Latin grammar textbook Fabula docet, dealing with issues such teaching methods and extent of basic Latin grammar for students, and selection of Ovid’s stories concerning Greek and Roman myth. 이 논문은 우선 기원전 1세기 이래 로마가 희랍의 문법학을 수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 라티움어 문법의 역사를 검토하면서 문법의 중요성 등을 살펴본다. 여기서 요점은 우리가 우리의 새로운 문법책 fabula docet에서 사용하게 될 문법용어들과 개념들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해방 이후 출간된 라티움어 문법책들을 살펴보고, 최근 서양에서 유행하는 문법책들의 흐름도 검토한다. 이어 새로 출간된 문법서 fabula docet의 구성과 내용 등을 소개한다. 라티움어 기초 문법에 어떤 방식과 순서로 접근할 것인가, 기초 문법에서 다룰 문법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등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고전기 산문을 토대로 구성된 라티움어문법을 전달하는데 오비디우스의 운문이 어려움을 주겠지만, 그럼에도오비디우스의 신화이야기가 학습적 매력을 가졌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페어리 여왕』 제 1권, ‘방황의 숲’에 차용된 오비디우스 여담의 기능

        전양선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5 중세르네상스 영문학 Vol.23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unction of Ovidian digressions, focusing on the Wandering Wood in which Redcrosse Knight defeats the hybrid monster, Error. Spenser’s Ovidian digressions have long been treated as classicizing ornaments or decorative deviations from the main narrative of The Faerie Queene. However, Spenser uses these engagements with Ovidian digression to illuminate the means toward the allegorized virtues that the titular knights in each book of The Faerie Queene are struggling to achieve. In the Renaissance, when Spenser was writing, Ovid’s Metamorphoses was regarded as a romanc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its proliferating plots and characters and its narrative use of entrelacement and digressions. Contemporary readers recognized this multiplicity and variety as the source of poetic pleasure, and contemporary writers looked to Ovid as a poetic model to emulate. Drawing on Renaissance imitation theory, Spenser incorporates Ovid’s Metamorphoses into his own epic-romance, The Faerie Queene, simultaneously borrowing and transforming Ovidian digressions, both replicating Ovid’s art and rewriting it in moral terms. For example, Spenser actively expands the Ovidian trope of the labyrinth and complicating its aesthetic and moral implications through the Wandering Wood, itself a form of Ovidian digression. It is important, I argue, to recognize the Wandering Wood as a complex rhetorical space Spenser constructs with varying Ovidian allusions. In this space, Redcrosse faces a trial through which his reading ability is put to the test. The wisdom and spiritual maturity of Redcross Knight must be earned on the digressive way through error.

      • KCI등재

        클레망 마로의 오비디우스 "변신" 번역 소고

        손주경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0 No.-

        À une époque où l'on réclame l'illustration de la langue française, Marot tente de traduire les Métamorphoses d'Ovide avec l'intention de transférer aux lecteurs français l'esprit imprimé de l'auteur latin ainsi que la supériorité du style de celui-ci. Cet essai de traduction est fondé sur son jugement que le texte d'Ovide peut servir à éclairer la mentalité de son temps qui vise à trouver l'harmonie dans la diversité et la richesse dans la variété. C'est pour cette raison qu'on critique le respect absolu du traducteur à l'égard d'Ovide et sa fidélité servile sur le plan de la traduction. L'analyse nous présente pourtant le Marot libéral. Cela ne veut pas dire qu'il ne traduit le texte qu'en s'appuyant sur son propre interprétation qui risque de trahir la ‘sentence’ de l'auteur. Il est évident que Marot montre sa fidélité aux lexiques et aux expressions du texte original. Mais il ajoute, s'il lui paraît nécessaire, quelques expressions en faveur du lecteur français. D'où vient la critique sur l'absence de la conscience traductrice chez Marot. Cependant il faut retenir que cette absence est due à sa manière de traduire qu'il opte d'après son jugement sur la qualtité et la valeur de chaque texte. D'ailleurs, il essaie de bien saisir le sens du texte d'origine. S'y trouve la poétique de la traduction de Marot à qui n'ont jamais manqué la volonté et la conscience de la traduction. Il est un traducteur, mais qui garde sa propre vision de la poésie sur laquelle est fondée son activité de traduction. Il est un traducteur qui souhaite attribuer la créativité poétique au texte d'arrivée. Cette poétique nous fait percevoir que la traduction des Métamorphoses fonctionne comme un laboratoire poétique chez Marot

      • KCI등재

        번역의식과 시적비전의 상관성 - 오비디우스 번역가 클레망 마로의 “작가의 영예”에 관한 고찰 -

        손주경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Dès son premier recueil, Clément Marot ose de garder “l'honneur de l'Autheur” qui peut témoigner de sa volonté de présenter une oeuvre, miroir de son alter ego. Cette volonté poétique se trouve également dans sa traduction des Métamorphoses d'Ovide dont le style et la matière lui paraissent comme un des modèles à suivre. Celui que nous pouvons trouver dans cette traduciton, ce n'est pourtant pas le Marot traducteur, mais le Marot poète, puisque le traducteur fait allusion à son désir d'établir la réciprocité entre la conscience de la traduction et la vision du poète. Il n'a aucune intention de rester servile face à l'auteur dont le texte devient son objet de traduire. Il essaie plutôt de donner au lecteur l'image d'un traducteur qui est capable de démontrer ses idées poétiques dans son activité de la traduction : transférer à sa traduction la parole poétique sur la présence de son moi. En reniant tant la voix d'épopée de Virgile que le style archaïque et ornemental, il transforme sa traduction en un espace où s'illumine l'esprit poétique visant aussi la liberté que la richesse de son regard. L'augmentation des vers, l'ajout des mots, et le dynamisme du style sont des signes de cette réinterpretation du texte ancien. Et cette intervention du traducteur au texte original est fondée sur la nécessité d'influer ses idées au texte traduit. Non seulement elle compense l'univers poétique du texte original, mais aussi elle diffuse et enfle les idées du poète qui est Marot. De cette manière, cet écrivain du début de la Renaissance transforme le texte traduit en oeuvre dominée par le plaisir poétique, plaisir qui tient compte de la présence du lecteur. En investissant au texte d'Ovide le dynamisme de la parole, et en rechechant des mots capables de transformer le monde, le traducteur Marot nous présente un autre Marot qui lit le monde avec sa propre vision poétique reflétant enfin l'honneur du poète. 근대 프랑스 시 형성에 있어서 클레망 마로가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인 가운데 한 명으로 지목될 수 있다면, 그 이유를 그의 언어 운용에서 찾을 수 있다. 분명 그는 대수사학파 시인들의 인위적으로 공들인 시어에 비한다면 지극히 평이하다는 인상을 갖게 만드는 언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생기를 상실한 이전의 시어와는 다른 소박하면서도 친근한 언어사용은 그가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 시어의 발달에 상당히 공헌한 것도 사실이다. 물론, 그의 평범한 언어 사용이 초래한 결함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언급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과 타인 사이의 평화로운 관계 형성을 이 시인이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이런 언어사용이 그가 이룬 시적혁신, 즉 시적 글쓰기의 기쁨을 독자와 공유한다는 목적의 실현에 기여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게다가 그의 독특한 시적 비전은 이런 언어 사용에 기반을 두고 형성된 것이기도 하다. 그는 무엇보다도 평범한 어휘의 사용을 통해 시적 ‘주관성’의 확립을 지향한 시인이었다. 1530년에 간행된 첫 시집 '클레망의 유년시절 L'Adolescence clémentine' 서문에서 이미 시인은 “작가의 영예”를 지켜야 한다는 의지를 공공연히 드러낸다. (동료들이여) 나의 이 보잘 것 없는 유년시절을 세상에 내놓도록 누가 더 부추겼는지 알지는 못한다. 헌데 거리에서 외쳐대고 책으로 출간된 그대들의 끊이지 않는 간청이나 불만들을 나는 듣게 되었고, 그것들의 상당부분은 정확하지도 않고 제대로 인쇄되지 않았다. 그것들은 <작가>의 영예보다는 서적상에게나 더 이로울 뿐이다. 마로에게서 “작가의 영예”에 관한 주장을 들을 수 있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자신의 작품을 읽을 독자의 반응에 매우 민감했던 그에게는 과거의 시인들이나 동시대 시인들에 비해 자신이 더 뛰어난 작가임을 강조하고 그것을 증명하려는 욕망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에게는 ‘저자의 작품(oeuvre de l'autheur)’, 즉 작가의 분신일 수 있는 작품을 세상에 소개하려는 의지가 있었던 것이다. 그가 중세 서정시의 영역을 개척했다고 평가되는 프랑수아 비용의 작품을 직접 편집하여 출간한 이유도 이런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자신의 삶을 시적소재로 삼은 비용은 마로에게는 주체적 시인의 전범으로 보였고, 따라서 비용 편집자로서의 마로는 비용의 표현을 낳은 ‘정신’을 독자에게 제시하려고 시도한다. 독자성을 상실한 채 궁정인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개성 없는 작품을 생산하기 보다는 시를 유희의 수단으로 간주하던 시기에 시인을 사회적 종속에서 구해낼 수 있는 작품, 시인으로서의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을 창작하는 것이 그에게는 더 중요했던 것이다. 그는 타인의 의도에 따르는 공적인 목소리를 되풀이하는 작가보다는 예술가로서의 자율성을 구가할 수 있는 존재로 남기를 바란 것이다. 자율적인 읽기와 자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자, 지배적인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는 자가 마로가 구현하려는 시인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은 그의 번역 작품에서도 발견된다. 알려져 있다시피 마로의 '시편 Psaumes'(1542) 번역은 개혁종교의 사상을 널리 전파하려는 종교적이면서도 정치적인 의도에 기인한다. 그러나 그는 이 번역을 통해 자신의 이름마저도 널리 알리고 싶어 했던 것처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