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거미의 생태를 통해 예술적 형상화에 대한 논의

        김혜숙,이성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1 No.-

        Any forest where various living animals live. A forest is their living space. Among them spiders are ease to find in trees and bushes. The knowledge about living things relate to subjects matters in art helps to understand artworks more deeply with artists' autobiographic narratives. We hereby discuss three things. First of all, I deal with spider's specific character and a spider's web along with an artist’s openness for own experience on creativity. Second, We talk about artworks of Alexander Calder, Louise Bourgeois, Tomas Saraceno and Chiharu Shiota. Their artworks represent and suggest remarkable poetic interests, and imaginary space. The mobile works of Alexander Calder's <spider> which moves smooth and gentle, Louise Bourgeois' s <Maman> represents mother's love which the size is big and fuze and look like move toward somewhere, Tomas Saraceno's three dimensional spider's web installation piece made by cloth knots which represents the relation of universe and our selves, and Chiharu Hiota’s installation piece made by threads which represents the women’s absence and oppression. Third, We talk about ecological inspiration and artistic formation relate to an artist’s creative thinking and openness for own experiences. A spider is easy to find everywhere and an individual artist responds, expresses and interprets them differently upon an artist's personal imagination, methods, mediums, vision, and influencing of various contemporary art culture. 숲은 다양한 생명체들이 서식하고 숨 쉬고 있는 생활공간이다. 그 중에서 거미는 숲에서, 나무에서, 풀숲에서 쉽게 발견되는 생명체이다. 나무에서, 풀숲에서 쉽게 발견되는 거미의 은유적 표현은 예술가의 상상력과 표현방법, 매체, 개인적인 시각에 의해 그리고 동시대 미술문화에 의해 영향 받으며 각기 다르게 표현되고 해석된다. 미술품감상에 있어 생명체에 대한 지식은 그것을 주제로 한 작품을 좀 더 이해하고 감상·비평하는 데 있어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예술가는 경험, 관찰을 통해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면서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며 이러한 것들이 내재적, 외재적 동기로 작용한다. 창의성에 있어 경험의 개방성으로는 공상, 미학, 느낌, 활동, 아이디어, 가치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거미와 거미줄을 주제로 한 미술품을 중심으로 예술가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은유적 표현, 예술적 형상화, 경험의 매개, 학교 미술수업에서의 활용 방안 등과 관련지어 살펴본다. 예술가는 실제 대상을 관찰하고 지각하고 느끼고 인지하며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토대로 창의적 사고와 재료의 물성을 활용하여 작업한다. 여기에는 동시대의 문화와 환경이 개인의 문화 등과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친다. 예술가들의 작품은 시적인 감흥과 상상적인 공간을 재현하며 제시한다.

      • KCI등재
      • 은유적 자서전으로 본 케이트 쇼팬의 『각성』

        박경운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2 현대영미소설 Vol.9 No.2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Kate Chopin's The Awakening (1899) have mainly concentrated on the ending of the novel -- Edna Pontellier's suicide and related issues -- because the ending engendered in traditional readers cultural shock and confusions over feminist questions as it deals with issues like women's freedom, independence, and sexual emancipation in the very late 19th century. After the publicaion of the work, The Awakening remained mired in a critical underground for more than 60 years until a Norwegian scholar called Per Seyersted reedited and republished it in 1969. This paper examines Edna Pontellier's search for her true self as it mirrors Kate Chopin's own search for her artistic beliefs and what she tries to convey in the text. The paper will interpret the ending of the novel in terms of an autobiographical perspective reflecting the author's life as a woman artist on Edna's life and death. Although Edna's whole life might not be the direct and consistent reflection of Chopin's specific biographical facts, Edna can be read as an artistic and cultural alter ego of Chopin: the woman writer who poses some serious questions on women's independence, defies restrictive and dualistic conventions, and asserts her own subjective and individual demands against the socially and culturally unfavorable environment. Therefor, Edna's final resolution -- her climactic suicide -- can be taken as a metaphorical parallel for Chopin's courageous publication of the work -- an artistic suicide amidst a public that for 60 years would neglect the novel.

      • KCI등재
      • KCI등재

        근대문학과 ‘평양’

        김양희(Kim, yang-hee)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근대문학에서 재현되는 평양의 표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로 평양은 과거의 역사를 지닌 고도이면서, 한편으로는 근대주체의 ‘희망’을 표상하는 지역이다. 이 희망이란, 전통/모더니티가 공존하는데서 발생하는 데, 평양은 유서깊은 역사적 고도이면서, 근대도시로서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둘째로, 대동강은 평양 태생의 문인들이 자신의 예술관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예술적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감정’의 원천으로 작동한다. 대동강은 고도 평양의 자연풍광을 대표하면서, 예술가적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원천, 예술가적인 감정을 가능케 하는 근원지로 기능해왔다. 셋째, 1930년대의 문학작품에서 평양은 여행자의 시선에 의해 재현된다. 식민지 조선 지식인의 평양 인식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는 이태준의<패강랭>(1938)을 들 수 있다. 평양에 대한 그의 안타까움은 심미화된 대상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제목에 대동강의 옛 이름인 패강을 붙였다는 것 은 평양이라는 도시에서 근대도시성 보다는 전통성에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모던일본』은1939년과 1940년에 두번의 조선판을 내고 있는데 이중 1939년판은 평양에 대한 글들이 많이 실려 있다. 두 편의 소설에 등장하는 평양은 식민 정책의 문학적 재현이라고 할만큼 제국의 시선이 많이 드러나있다. 근대 초기부터 일본인에 만들어지고 유통된 평양의 인식과 표상이 고스란히 답습되고 있는바, 식민지 조선의 평양은 일본인 남성들에 의해 섹슈얼리티의 대상(기생)와 명승지라는 낭만적 여행의 전유물이거나, 전적지戰迹地, 박물관, 무한한미래(공업도시로서의 평양)등 제국적 시선의 대상물로서 존재한다. This paper has the objective to check the symbol and meaning of Pyongyang reproduced in the modern literature. First, Pyongyang is the ancient city of the past history, and is the region presenting the hope of North Korea’s Juche idea on the one hand. this hope occurs by coexisting with the tradition/modernity, Pyongyang is established as the historic ancient city and the space keeping the possibility of the modern city at the same time. Second, Daedonggang is operated as the source of emotion causing the artistic impulse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ir own artistic viewpoints of literary persons born in Pyongyang. Daedonggang(Daedong-river) was functioning as the source capacitates the sourceful, artistic emotion causing the artistic inspiration representing the natural sceneries of the ancient city, Pyongyang. Third, Pyongyang is reproduced by the tourists eyes in the literary works of 1930s. The work ‘Paegangrang’ by Lee Tae Joon (1938) may be taken where the perception of Pyongyang has well been unfolded by Intellectuals of colony Chosun. His impatience with Pyongyang has been derived from the absence of aesthetic object. It shows that the tradition rather than the modern urbanism in the city called Pyongyang has been noted in light of naming the old name Paegang of Daedonggang(Daedong-river) in the subject. Meanwhile, there had been two times of Chosun edition in『Modern Japan』of 1939 and 1940, many writings for Pyongyang have been included in the edition of 1939 out of these. The imperial eyes to be called as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colonial policy have been unfolded substantially in Pyongyang appeared in two novels. The perception and symbol of Pyongyang made and circulated by the Japanese from the early part of modern times are imitated as it was, Pyongyang, the colony Chosun exists as the object of imperial eyes such as the object (Korean geisha) of sexuality by Japanese males and the scenic resort to be called the exclusive property of romantic tourist or the battlefield, museum, unlimited future (Pyongyang as the industrial city),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