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禮樂論과 한국 歷代王朝의 年號·諡號·廟號

        李敏弘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Yeonho(Era Names, 年號) and Myoho(Posthumous Title for King, 廟號) were important symbols that contain the dignity and independence of a country in the dynasties of the Middle Ages. In the Middle Ages, countries governed by the feudal lords were not allowed to designate Yeonho by themselves, but in accordance with Jeongsak(正朔) promulgated by the Central Plain Dynasties, so called emperor's countries, to follow their Yeonho. Otherwise, tough sanctions were imposed against those who refused to follow it. Therefore, Korean Dynasties had to follow Chinese Yeonho foro a long time. During about one thousand years throughout the era of Three Kingdoms of Korea, there were only two Myoho(Posthumous Title for King, 廟號) used - Taejo Daewang(太祖大王) in Goguryeo and Taejong Muyeolwang(太宗武烈王) of Silla - and the other kings were titled just as "King". For about one thousand years throughout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Korea haven't been almost able to use our own Gynyeon(紀年), but to follow Yeonho of the Central Plain Dynasties. After rebuilding the country under the name "Korean Empi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nho "Gwangmu" was newly established as the name of the era by the Emperor Gwangmu and then, after the Emperor Yung-hui ascended the throne following the Emperor Gwangmu, it was changed into Yung-hui(隆熙’). Although it left much to be desired because foreign power had influence on it, it was still good enough as we finally realized our national independence and pride and it was anyway obvious that we finally accomplished Chingje Gunwon(稱帝建元, to designate our king as "Emperor" and establish our own Yeonho). But posterity couldn't take advantage of this golden opportu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used Yeonho of the Japanese King for thirty years without particular resistance, abandoning Yeonho of the Central Plain Dynasties which we had used for about one thousand years. But we were not even aware of dishonor from such treatment, nor ashamed of that. After liberation, we used Dangi, or the Dangun era, honorably, and all of a sudden, abandoned it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about it. Then, it has been replaced with the Christian era from the West, considering it as the modern thing, and it has been widely used until today, even on the country's official documents. Tombstones erected throughout the fields and mountains of the country used to be full of Chinese Yeonho for centuries, and now, it has been replaced with the Western Yeonho - Christian era. This tacit and toadyish practices over the old and the new which have been diachronically continued as if it is such a progressive idea should not be considered to be natural, under the mask of convenience and customs. 年號와 廟號는 중세왕조에 있어서 국가의 존엄과 주체성이 내재된 중대한 표상이었다. 연호는 중세의 경우 제후국은 이를 시행할 수 없고, 중원의 소위 황제국 들이 반포한 ‘正朔’에 기준하여 그들 나라의 紀年(연호)을 사용해야 했으며, 이를 어기면 강력한 제제가 따랐다. 그리하여 우리 역대 왕조는 장구한 기간 동안 중국의 연호를 써왔다. 廟號 역시 삼국시대 천여 년 동안, 고구려의 ‘太祖大王’과 신라의 ‘太宗武烈王’ 밖에 없고, 나머지는 제왕들 모두 ㅇㅇ왕으로 칭했다. 고려 조선조 천여 년 동안 우리는 自體紀年을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중원 왕조들의 연호를 써왔다. 조선조 말엽 대한제국으로 再造된 후, 광무황제에 의해 연호 ‘光武’가 建元되고, 융희황제가 禪讓을 받아 즉위하여 ‘隆熙’로 개원했다. 명실상부한 稱帝建元이 실시되었지만, 외세가 작용했기 때문에 아쉬운 점이 있긴 하나, 민족자존과 긍지를 실천한 千載一遇의 기회를 후인들은 살리지 못했다. 일제강점기 동안 천여 년 간 사용해왔던 중원왕조의 연호를 버리고, 일본왕의 연호를 별 저항 없이 30여 년 간 사용하면서, 그것이 갖는 치욕도 인식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우리는 이를 부끄러워하지도 않았다. 해방 후 民族年號인 ‘단기’를 의연하게 사용하다가, 졸지에 별다를 고민도 없이 파기하고, 서양 연호인 ‘西紀’를 근대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했고, 지금도 당연한 것처럼 국가 공식문서에까지도 쓰고 있다. 산야의 편만한 墓碣銘에 수 세기동안 중국연호로 도배되었다가, 지금은 西洋年號인 서기가 범람하고 있다. 통시적으로 계속된 이 같은 암묵적 新舊 事大主義的 行態가, 便宜와 慣行에 편승하여 소위 진보라는 탈을 쓴 채, 자주성을 버린 이 같은 현상이 당연시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논쟁: 한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헌국회의 연호 논쟁

        서희경 ( Hee Kyung Suh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연호는 역사의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기호이다. 그러나 연호는 단순한 기호와 상징이 아니라 역사인식과 정체성을 표현하며, 특정 시기에는 국가건설 및 정통성 문제와 직접 관련되었다. 이 때문에 역사적 격변기인 19세기 말부터 연호 사용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1910년 일제의 강제병합 이후, 국가를 상실한 한국인은 ‘한민족’을 상징하는 연호로서 단군 기원을 사용했다. 그런데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단군 기원이 아닌 대한민국 기원을 채택했다. 한민족의 ‘민족’보다 민국이라는 ‘정체’를 앞세운 것이다. 해방 후에도 연호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과도입법의원과 신문은 단기와 서기, 일상은 단기와 대한제국의 연호를 병기했다. 1948년 정부 수립 후에도 연호의 혼란은 끝나지 않았다. 이승만 대통령과 정부는 1919년부터 기산한 대한민국 연호를 사용했다. 민국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임시정부의 민주공화국 수립 정신을 계승하고, 동시에 북한의 공산 독재체제를 비판하고자 했다. 그런데 다수의 제헌의원들은 단기 연호를 지지했다. 단기는 민족주의에 부합했고, 편의성도 뛰어났다. 사회 일반과 국가 행정에서 광범위하게 단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결국 제헌국회의 다수의견을 수용함으로써, 1961년까지 단기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연호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odern Korean era names and the political controversies over them. An era name is a sign to indicate the time of history. However, it is not a simple sign, but a kind of symbol that expresses historical view and identity. For this reason, great confusion arose in the use of era name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period of historical upheaval.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in 1910, Koreans who lost their nation used the era name of Dangun (檀君) as an symbol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n 1919,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dopted the era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rather than Dangun. It puts the ‘polity’ ahead of the ‘nation’ of the Korean people. Even after liberation of 1945, the confusion of era names continued.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1946-1948) and newspapers recorded the era name of Dangun and Christian era together. People used the era name of the Dangun and Korean Empire in daily life.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he confusion of era names did not end. President Syngman Rhee and the government used the era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counted from 1919. By using it, era nam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t was intended to deny North Korea’s historical legitimacy and criticize the communist dictatorship. However, majority of constitutional lawmakers supported the era name of Dangun. It was not only in line with nationalism, but also convenient. Therefore, it was used widely in society an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eventually accepted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The era name of Dangun was used until 1961. However, the issue of era name is an ongoing process.

      • KCI등재

        고구려의 稱元法과 年號운용

        이승호(Lee, Seung-ho)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8

        본 논문은 여러 금석문에 확인되는 고구려 연호의 정확한 시기 비정을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고구려의 칭원법을 검토한 다음 각 연호의 시기를 비정하고, 이를 통해 관찰되는 고구려의 연호 운용 방식을 검토하였다. 卽位年稱元法을 준칙으로 찬술된 『삼국사기』의 재위 기년과 달리 고대 삼국에서는 踰年稱元法을 따랐던 흔적이 확인되는데, 특히 고구려에서는 늦어도 연호가 사용되는 4세기 후반 무렵부터는 踰年稱元法을 따랐을 것으로 보인다.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현전하는 여러 금석문에 보이는 고구려 연호들의 시기를 비정해 본 결과, 延壽 1년은 장수왕 39년인 451년, 延嘉 7년은 안원왕 9년인 539년, 永康 7년은 양원왕 7년인 551년, 景▨ 4년은 평원왕 13년인 571년, 建興 5年은 영양왕 7년인 596년, ▨和 3년은 영양왕 17년인 606년으로 각각 비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를 바탕으로 고구려 연호의 改元시점과 방식을 살펴보면, 먼저 광개토왕대의 ‘永樂’ 연호는 왕의 치세 중간에 改元없이 전시기에 걸쳐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 장수왕 시대부터는 ‘延壽’ 연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왕의 재위 기간 중에 改元이 추진되기도 하였다. 특히 고구려 후기에 가면 새로 즉위한 왕이 선왕의 3년상이 끝나는 재위 3년 차에 혹은 踰年稱元法을 따를 경우 재위 2년 차가 되는 해에 改元을 단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양원왕 시대의 ‘永康’ 연호 사례처럼, 선왕이 정변과 같은 비상한 상황을 맞아 훙거하였을 경우 卽位年稱元法에 따라 곧바로 改元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The direction and conclusion of the study undertaken in this thesis are show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accurate time of the era name of Goguryeo as confirmed in a number of epigraph, the naming an era method of Goguryeo was reviewed firs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oguryeo followed the method[踰年稱元法] that the naming an era was made in the year after the preceding king passed away. And, second, the periods of each era name of Goguryeo that was shown on the epigraph are finalized as follows: first year of Youn-su(延壽) = 451, 7th year of Youn-ga(延嘉) = 539, 7th year of Young-gang(永康) = 551, 4th year of Kyung▨(景▨) = 571, 5th year of Kun-heung(建興) = 596, and 3rd year of ▨hwa(▨和) = 606.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operation and change era name method for the era name of Goguryeo on the basis of the deployment trend of the aforementioned era name, following facts could be observed. First, the Era Name Young-lak of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was us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its ruling without the change era name during the kings reign. However, from the rime of King Jangsu, as confirmed through the Era Name Youn-su, the change era name was attempted during the term of the king. Second, in the later period of Goguryeo, the new kings had the change era name in the third year of the reign after completing the 3-year mourning period of the preceding king, or if it follows the method [踰年稱元法] that the naming an era was made in the year after the preceding king passed away, the change era name was undertaken in the second year in the throne. Third, as in the case of the Era Name Young-su under the reign of King Yangwon, if the preceding king died under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olitical upheaval, the change era name took place immediately following the method to take the throne right after the death of the preceding king [卽位年稱元法]. And, fourth, as in the Era Name during Kyung▨ under the reign of King Pyeongwon or the Era Name ▨hw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yang, the change era name following the enormous building campaign in the nation or change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was undertaken.

      • KCI등재

        단기연호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김병기 ( Byung Kee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2 선도문화 Vol.12 No.-

        단기연호의 사용은 우리 민족 반만년 유구한 역사와 문화의 근거가 된다. 단기연호는 ``단군 기원``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러한 단기연호가 부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조선시기 유교적 명분론에 따라 명·청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대한제국이 성립되면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1910년 국권이 피탈된 후에는 단기연호가 ``同祖同族``의 의식과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는 개천절을 공식적인 기념일로 채택하고 해마다 성대한 경축식을 열었다. 이는 한민족은 모두 단군의 자손이라는 민족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임시정부에서는 ``대한민국``이라는 공식연호 외에 단기연호를 사용하였다. 해방 후 단기연호가 대한민국 공식연호로 되었다가 군사정권 이후 서기연호를 사용하면서 단기연호는 사용이 중지되었다. 자주독립과 통일국가를 지향하는 오늘날 단기연호의 사용이나 倂記는 시대적인 요청이라 할 수 있다. Use of Dhangi year-appellation is basis of history of our people for 5000 years and cultures. Dhangi year-appellation means originating from Dangun. We think that such Dhangi year-appellation should be restor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moral obligation in the time of Joseon Dynasty, the nation used the year-appellation of Ming and Qing and then an independent year-appellation as the Korea Empire was established. In 1910, after its national sovereignty was taken away, Dhangi year- appellation started to be used to promote the consciousness of same ancestors, same people and patriotism for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In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was adopted as a formal anniversary day and there has been a grand flourish of trumpets on that day. This was started from national consciousness that the Korean people are the descendants of Dangun. The provisional government used Dhangi year-appellation as well as ``the Republic of Korea`` year-appellation. After liberation, Dhangi year-appellation was the formal year-appel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fter the military regime, AD yearappellation started to be used and the use of Dhangi year-appellation was stopped. Today when we pursue an independent and united nation, using Dhangi year-appellation with AD year-appellation is a request of this period.

      • KCI등재

        연호 이주환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

        강민구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8

        본고는 경상남도 거창에서 일제의 침탈에 殉節로 저항하여 당시 커다란 반향을 일으킨 連湖 李柱煥[1854∼1919]의 문학 세계를 분석한 것이다. 『연호유고』의 제일 앞에는 宋在晟의 「連湖遺稿序」가 있고 제일 뒤에는 연호의 從姪 李德基의 「連湖遺稿跋」이 있다. 『연호유고』의 내지에는 ‘連湖實記’로 표기되어 있다. 이 책은 크게 연호의 저작과 연호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타인의 글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자는 부록으로 처리되어 있다. 연호의 저작은 10수의 시와 7편의 서간, 1편의 자서, 1편의 제문이 있으며, <雜著>에 「師門問答」과 「庚戌記事」가 들어 있다. 그러나 「경술기사」는 내용을 검토해 본 결과 연호의 작품이 아니므로 부록에 편입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연호의 현전하는 저작은 모두 20편이다. 宋在晟이 쓴 「연호유고서」는 1948년에 지어졌고 『연호유고』가 1962년에 발간되었으니 준비 및 제작 기간이 무려 14년이 걸린 셈이다. 송재성은 연호의 작품은 문집으로 엮어 후대에까지 남길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니, 작품자체만으로도 그의 사람됨을 알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명절과 烈의 실상이 있어 칭송하기에 충분하다고 하였다. 한편 「連湖遺稿跋」은 「연호유고서」보다 연호의 저작과 『연호유고』의 편찬 경위에 대한 기술이 다소 상세하다. 이 글에서는 연호가 시문 창작을 적게 한 것이 아니라 그의 글이 대부분 시의를 저촉하는 내용이기에 당시 사람들이 불에 태워버렸다고 하였다. 그리고 수습된 것이 겨우 열에 한둘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연호유고』에는 그의 작품 중 극히 일부가 겨우 수록되었다고 하겠다. 『연호유고』에 수록된 시는 모두 10수로 대단히 적지만 그나마 연호의 문학적 감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다행스럽다 하겠다. 그는 도학의 연원과 계승을 소재로 삼아 우리나라의 문화와 역사의 정통성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였고, 자신의 거처와 환경을 소재로 삼아 그것에 삶의 지향과 의미를 투사하였다. 그리고 애도시에서는 애상의 정서를, 맹세시에는 결연한 의지를, 절명시에는 비장미를 녹여 넣었다. 그의 산문도 10편에 불과하지만 간결하면서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선명히 표현하였다. 또 유려하면서 수사적인 특성을 겸비하고 있기에 그의 시와 함께 一團의 문학 세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이주환의 문학 작품은 소모적 감정의 유로를 자제하되 소재에 적절한 문학적 정서를 표출함으로써 특유의 문학적 미감을 형성하였다. 또 현학적 전고와 난삽한 표현을 배제하고 선명한 문법과 효과적인 수사법을 구사함으로써 가독력과 說服力을 높였다. 이는 이주환이 속한 당대 기호학맥 사인들의 문학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literary world of Yeonho(連湖) Lee ju-hwan(李柱 煥)(1854~1919), who caused a great repercussion at the time by dying in defense of his chastity,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Geochang, Gyeongsangnamdo. At the forefront of 『Yeonho-yugo(連湖遺稿)』, there is Song Jae-sung's 「Yeonhoyugoseo(連湖遺稿序)」, and at the back, there is 「Yeonhoyugoseobal(連湖遺稿跋)」 which was written by a male cousin's son Lee Deok-gi(李德基). It was written as ‘Yeonhosilgi(連湖實記)’ inside front cover of 『Yeonho-yugo(連湖遺稿)』. This book was largely composed of other people's writings about the literary works, the life and death of the Yeon-ho(連湖). And the latter was treated as an supplement. There were 10 poems, 7 letters, 1 author's preface, 1 funeral oration, and it contained 「Samun-mundab(師門問答)」 and 「Gyeongsul-gisa(庚戌記事)」 in < Miscellaneous writings(雜著) >.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Gyeongsul-gisa(庚戌記事)」, it is reasonable to include it as an supplement since it was not a work of Yeon-ho. Therefore, his current works are all 20 pieces. Song Jae-sung's 「Yeonhoyugoseo(連湖遺稿序)」 was written in 1948 and 『Yeonho-yugo(連湖遺稿)』 was published in 1962, so it took 14 years for preparation and production. Song Jae-sung said that the works of Yeon-ho were valuable enough to be left to next generations by making them into a collection, since, not only was the literary work itself worthy of being able to know his personality, but it was enough to praise it because of the fact of the integrity and the force. On the other hand, the 「Yeonhoyugoseobal(連湖遺稿跋)」 which was written by a male cousin's son Lee Deok-gi(李德基) was somewhat more detail than 「Yeonhoyugoseo(連湖遺稿序)」 about descriptions on the works of Yeon-ho and the compilation of 『Yeonho-yugo(連湖遺稿)』. In this article, Yeon-ho did not write the poetry less, but most of his writings were contrary to the meaning of the age, so the people at that time burned in the fire. And it is said that only about one or two in ten had been settled. In 『Yeonho-yugo(連湖遺稿)』, only a small part of his manuscripts were recorded. The number of poems in 『Yeonho-yugo(連湖遺稿)』 is very small at 10, but it is very fortunate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literary sensitivity of Yeon-ho. He expressed his pride in the legitimacy of Korea's culture and history by using the origin and succession of moral philosophy as materials, and he projected the orientation and significance of life on his habitation and environment. He melted the emotions of mourning in mourning poetry, a determined willingness in his oath poetry, and a tragic beauty in death poetry. Although his prose is only ten, he expressed simple but clearly what he wanted to convey. In addition, because his prose had a flowing and rhetorical characteristic, it could be said that his prose formed a literary world with his poetry. Lee ju-hwan's literary works created a unique literary aesthetic by expressing the appropriate literary sentiment in the material while refraining from the flow of consuming emotion. In addition, he avoided pedantic authentic precedents and difficulty expressions, and improved readability and persuasive power by using clear grammar and effective rhetoric. This was a common feature in the literature of Kiho School to which Lee ju-hwan belongs.

      • KCI등재

        연호문(連弧文)의 제도와 삼한경(三韓鏡)의 기술 계보

        이양수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1

        이 글은 중국 동경의 흐름 속에서 연호문의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반도 남부와 일본에서 삼한경(三韓鏡)-방제 경(倣製鏡)의 제작기술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연호문은 시문 방법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되는 데, 1식은 구획과는 일치하지 않으나 각 연호문의 복원 지름이 동일한 것이고, 2식은 연호문의 복원 지름이 동경의 구 획과 일치하는 사례가 있는 것이다. 3식은 아예 각 연호문이 동일하지 않고 완전한 호선(弧線)을 이루지 않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1식과 2식만 확인되며, 전국(戰國)시대에는 1식이 주류를 점하고 전한(前漢)시대부터 2식이 주류를 점하 게 된다. 특히 초엽문경과 성운문경의 연호문 주연을 비롯하여 연호문이 일반화되는 명대경(銘帶鏡)에 이르기까지 일 반적으로 연호문의 반지름은 동일 동경의 중앙에서 뉴좌 언저리의 길이와 일치한다. 이런 제작 전통은 한반도 남부의 대구 평리동, 영천 어은동 등지에서 출토된 대형 삼한경의 연호문에서도 확인된다. 즉 초기의 삼한경 제작자들은 중 국 중원에서 연호문을 제도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으며, 제작기술이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자료 이다. 이에 반해 영천 어은동에서 동반되어 출토된 삼한경 중에는 연호문을 그냥 무작위로 그려 넣은 3식의 사례도 함 께 확인된다. 그리고 3식은 이후 일본 방제경 제작의 주류를 이루게 되어, 연호문이 정확한 구획에 의해 그려지는 것 이 아니라 형태만을 모방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일본에서의 사례를 살펴보면 3식은 처음부터 등장하지만 1・2식 의 연호문을 가진 야요이시대 전중기의 방제경은 확인되지 않으며, 야요이시대 후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확인된다. 이 를 근거로 하면 일본의 경우 한반도의 삼한경이 야요이시대 전중기에 유입되고, 야요이시대 중기말경 석제 거푸집을 이용한 소형 방제경의 제작이 개시된다. 이후 토제 거푸집을 이용한 기술이 새롭게 대형 방제경의 제작에 도입되면서 1식과 2식의 연호문경 제작기술이 도입되는 등 동경 제작기술이 진일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이런 제도기술 의 이면에는 히라바루(平原) 분묘에서 출토된 동경의 명문에 기록된 ‘도씨(陶氏)’ 공인들의 이주와 같은 직접적인 기술 전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Chinese bronze mirror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o that end, we looked at how the drawing of linked-arc designs in bronze mirrors was done. The drawing technique is classified into three methods: Type 1 and type 2 were confirmed to have been used in China, but type 3 was used not in China, bu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Japan. Type 1 and type 2 are basically the same, with an identical restored diameter of the linked-arc design, and type 2 is found elsewhere in the bronze mirror, and type 1 are not. Type 3 features different diameters, and the linked-arc design does not form a complete circle. This shows that the manufacturer of the bronze mirror did not use several bumpy compasses, but rather a single one with a fixed center and protrusion, rather than one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s it is today. That is why, of course, a pair of compasses must have been used several times. In this regard, those who produced bronze mirror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days understood not only the Chinese techniques of the linked-arc design, but also the meaning contained within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kers of bronze mirrors in Japan did not understand the patterns and simply imitated them. From the late Yayoi period, Japan understood and produced works with the principle of drawing the linked arc desig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tomb of Hirabaru can be referenced. Perhaps it can be assumed that, behind these works, there was a direct transfer of technology, such as the migration of the makers of bronze mirror makers like the Do family (陶氏), whose names were found written on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the Hirabaru tomb.

      • KCI등재

        고려시대 遼 연호 借用 文物의 현황과 특징

        엄기표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Around the 10th to the Northeast Asia in chaotic political situation continues. The Korean Peninsula is the Korea Dynasty founded the de facto unification. China Northern parts of the Liao Dynasty unified several tribes. China's central regions the Song Dynasty was founded and slowly stabilised. Liao Dynasty China and the Song Dynasty's strained relationship lasts. Korea Dynasty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any aspects of the various countries. Korea Dynasty is its own era name a Chinese era name sometimes used, but that the majority established the loan. Taking a page the era name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dynamics. Liao Dynasty era name is currently a lot of thought a variety of culture are confirmed. Typically an epitaph, tile, gates, stone, crafts, and and all. These are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Dynasty and the Liao Dynasty to understand the basic data. Liao Dynasty is 993 to invade the Korea Dynasty in October. Then the era name of the Liao Dynasty to Korea Dynasty from the 994 in February. But the Liao Dynasty from the late 11th century's national power has weakened. Korea Dynasty is also borrow the era name of the Song Dynasty. Then Jin Dynasty was founded 1115 years. Stop borrowing from the Liao Dynasty era name in April 1116. The Liao Dynasty era name after trial does not come about. Era name in Korea Dynasty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culture to levels of government enforcement becomes the norm. The general principle, but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person is writing the era name was used. Korea Dynasty era name in the practical and strategic level, according to the political dynamics, the company borrowed. Korea Dynasty has the shared awareness to and awareness of the Asian and values, etc. The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era name in Korea Dynasty is a very systematic. These systematic administrative system is that associated with operations in the distance, countries can tell. 동북아시아는 10세기대에 들어와 혼란한 정국이 지속되었는데, 한반도는 고려가 명실상부한 통일왕조를 건국하고, 중국 대륙의 북방지역은 거란족이 여러 부족들을 통합하였으며, 중원 지역은 오대십국 이후 북송이 건국되면서 서서히 안정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국 대륙은 여전히 요와 북송의 팽팽한 긴장관계가 지속되었다. 그에 따라 고려는 여러 측면들을 고려하여 중국의 여러 나라들과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연호를 제정하여 사용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중국 연호를 차용하였다. 특히 고려는 10-12세기대 중국에서 여러 나라가 패권을 다투는 복잡한 정세 속에서 정치적인 역학 관계에 따라 특정 국가의 연호를 차용하였다. 이중에서 요나라 연호가 고려의 비문과 묘지명, 전적과 기문, 탑상과 석조, 각종 공예품과 와편 등 다양한 문물에서 확인되고 있다. 요나라 연호가 새겨진 문물은 고려와 요의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편년과 고려 사회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고려는 993년 10월 요나라의 1차 침공 이후 994년 2월부터 요나라 연호를 시행하며, 공식적인 외교관계에 따라 차용하거나 불용한다. 그런데 11세기 후반 경부터 요나라의 국력이 약화되자 고려는 간헐적으로 송의 연호를 차용하기도 하며, 1115년 금이 건국되자 1116년 4월 요나라 연호의 차용을 중지한다. 이후 고려에서 요나라 연호의 시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려시대 문물에 새겨진 연호는 그것이 기록된 사실이 있었던 시기에 정부 차원의 연호 시행이 기준이 되었으며, 기년을 표기한 방식도 일반적인 원칙은 있었지만 찬자나 서자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었다. 고려의 연호 시행은 기년을 파악하기 위한 것도 있었지만 당대의 정치적인 역학관계에 따라 실리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가 서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당시 중국을 중심한 범 동아시아권에 대한 인식과 가치 공유 등이 고려되었다. 또한 고려가 일률적이고 동시적으로 연호를 시행한 것으로 보아 국가 운영과 관련된 체계화된 행정 시스템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려 인종대 ‘年號’ 제정을 둘러싼 갈등

        서금석(Seo, Geum-Seok)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8

        본고는 고려 인종대에 드러난 신료들의 연호 제정 움직임과 그 갈등을 기존의 천하관의 관점에서 벗어나 바라보고자 했다. 궁극적으로 군왕으로서 태조 왕건과 광종의 연호 제정 의지는 인종에게서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인종의 자세가 급박하게 전개되어 갔던 12세기 국내외 정세에 직면해 이를 컨트롤하는데 한계를 보임으로써, 신료들 사이의 연호관이 개인적 혹은 집단적 이해에 의해 표출됨에 따라 서로 충돌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결국 고려는 인종대에 이르러 고려의 전통적인 연호관이 흔들렸으며, 제 세력들의 연호 제정에 대한 상반된 움직임과 견해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했다. 필자는 고려의 연호관이 흔들리는 시기를, 연호 제정 움직임과 이를 둘러싼 세력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충돌하였던 고려 인종대로 보았다. 귀족사회의 내분과 지역사회의 갈등이 동시에 폭발한 인종대가 이후 고려사회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음을 염두에 둘 때, 시대 구분에 있어서 고려 왕조의 위상 변화를 읽어내는 데 인종대는 소홀히 지나칠 수 없다. 요컨대, 인종대 제 세력 간의 연호 제정 움직임은 고려의 천하관과 직접 맞닿아 있지 않다. 오히려 연호를 통한 고려의 실리 외교의 한 방편이 국제사회의 변동과 함께 연동하여 흔들리는 국내 정치세력을 완만히 제어하지 못한 소산이었다고 본다. 이것이 고려시대 연호 제정 움직임에 직면한 제 정치 세력의 개입이 표면적으로 드러났던 인종대를 대상으로 삼았던 이유이기도 한다. This study reviewed establishment of the new era name and related conflicts among Goryeo subjects during King Injong’s reign, getting out of the existing world view. Unlike the first king of Goryeo, Taejo Wang Geon and King Gwangjong, King Injong showed little will to establish the new era name. With rapidly changing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situations in the 12th century, such attitude of King Injong showed the limits in control, causing conflic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era as the subjects’ different view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or group interest. Eventually, the traditional view of the era name of Goryeo was swaying during King Injong’s reign and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conflicting opinions related to that between power groups. The study regards the time when the view of the era name of Goryeo was swaying as the period of King Injong’s reign in which showed conflicts related to establishment of the new era name between power groups. Considering that the period of King Injong’s reign when internal conflicts in aristocracy and local community broke out at the same time and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change of Goryeo society, it is essential to read King Injong’s perio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Goryeo dynasty in periodization in history. In summary, the movement to institute the new era name among power groups during King Injong’s reign was not direct connected to the world view of Goryeo. It was rather the result of not controlling domestic political power under sway along with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s. It is why the study reviewed the period of King Injong’s reign when intervention of power groups was apparently revealed, facing with the movement to institute the new era name of Goryeo.

      • KCI등재

        高句麗 年號 開始에 대한 考古學的 論意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이 글은 고대사회에서 연호가 강력한 왕권과 그에 따른 정치행위의 일환으로서 제정되었다는 전제 하에 고구려에서 영락 연호에 앞서 연호가 제정되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고구려 연호 자료를 고고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벽돌이나 권운문 와당의 태령이나 영화 연호는 중국 동진대 연호이고, 영락은 광개토왕이 즉위하면서 제정한 연호이며, 불상 광배의 연가, 영강, ‘경’, 건흥 등은 6세기대의 연호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제작시기와 제작지에 대한 이견이 있었던 서봉총의 연수명 은합은 고구려 칠성산96호분 청동합과 기형적 유사성, 명문과 역사기록 등을 종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 원년인 331년에 제작된 것으로 비정하였다. 연수명 은합의 명문으로부터 고구려에서 가장 먼저 제정된 연호는 고국원왕의 연수연호이며, 연수는 4세기대 대왕으로 불렸던 강력한 왕의 정치적 행위로서 유월칭원법에 따라 제정된 것으로 유추하였다. 그리고 문헌기록과 금석문자료의 태왕호 용례와 초대형 적석총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나아가 광개토왕의 영락 연호와 결부시켜 4세기대 고구려에서는 1왕1연호 원칙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wo, one is the examination the written remains of the era name from archaeological site and the other is the archaeological inference of the beginning of the era name in Koguryo. As the result of the archaeological examination, the era name of ‘Taeryung(태령)’ and ‘Younghwa(영화)’ are the Eastern Jin of China, and the ‘Younga(연가)’, ‘Younggang(영강)’, ‘Gyoung(경)’ and ‘Kunheung(건흥)’ are dated A.D.6th century. It is called that the first era name is ‘Youngrak’ of the King Gwanggaeto in Koguryo. But through the archaeologically comparison between the silver covered ware inscribed ‘Younsu’ from the tomb Seobongchong and the covered ware excavated from the tomb Chilsungsan no.96, it is revealed that the silver covered ware inscribed ‘Younsu’ is dated A.D.331 and the first era name is the ‘Younsu’ in Koguryo. Therefore it suggest that the first era name in Koguryo is ‘Younsu’ and it begins at A.D.331 which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Gogukwon called the ‘Great King’.

      • KCI등재

        단기(檀紀) 연호(年號) 성립(成立)의 역사(歷史)的 배경(背景) -단군기년의식(檀君紀年意識)을 중심(中心)으로-

        김동환 ( Dong Hwan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2 선도문화 Vol.12 No.-

        연호란 한자문화권인 군주국가에서 주로 쓰던 전통적 기년법(紀年法)이다. 기년(紀年)이란 일정한 기원으로부터 계산한 연수(年數)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북아 3국이 공통된 의미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단군기원이란 단군 건국을 기년의 기준으로 삼아 시작하는 기년법으로, 단기연호 역시 이 기년법에 의해 정착된 우리 고유의 상징체계로 정리할 수 있다. 단기연호 성립의 역사적 배경은 단군과 관련한 기년 문제와 분리시킬 수 없다. 또한 단군을 기원으로 우리나라의 역년을 통시적으로 세우려는 민족적 심리를 단군기년의식(檀君紀年意識)이라 말 할 수 있다. 또한 단기연호의 성립은 어느 날 갑자기 자리 잡은 가치가 아니다. 우리 역사에서 보면, 단군기년의식의 지속적 전승에 따른 결과물이 단기 연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 한국은 중국의 연호를 따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 현상은 사대모화사상과 유교적 명분론이 우세하던 시기에는 더욱 심화되었으며, 거기에는 자신을 독자적 중심이 아닌 주변적 존재로 생각하는 소극적 정체인식이 인식이 수반되어 있었다. 조선 왕조는 중국에 대한 사대를 대외관계의 기본원칙으로 삼고 출발하였으므로 명과청의 연호를 사용해왔다. 따라서 단기 연호의 배경이 되는 단군기년의식의 역사적 전승은, 우리에게 연면히 이어온 민족 정체성의 실재를 확인시키는 중요한 근거이기도 하다. 단군기년의식은, 고려조로부터 나타난다. 고려시대 『삼국유사』나 『제왕운기』에서 이미 자리잡고 있으며, 조선조에 들어서도 지배층으로부터 민중기층까지 끊임없이 나타났다. 단군기년의식의 구체적 수록은, 중화적 역사의식을 완전히 벗어난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인식의 꾸준한 지속 속에서, 민족의 위난기인 한말 일제강점기에 단기연호로 자리 잡는 것이다. Era, the Chinese character is a culture that was used in calculating the traditional era. It is calculated from a certain origin, which means that training, Northeast Asia, three countries have a common understanding of meaning. Therefore, the origin of Tangun, the Tangun era that begins with the founding of the calculation based on, the short-term era also created by this calculation, Korea`s own culture can be summarized into the system. Fo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ed Tangun-era, Tangun can not be separated from issues of the era. In addition, the origin of Tangun in time to build a country of origin of the national sentiment is ``DANGUNGINYEONEUISIK(檀君紀年意識)``. And, the country made a surprise value is not established. We look at the history, A result of the continuing tradition of ``DANGUNGINYEONEUISIK(檀君紀年意識)``is the Tangun-era. Yesterday, Korea was used the China-era. Such phenomena, Sinocentrism in an era in which the dominant was deepened. Inside it, the center itself is not independent, marginal passive subjectivity that were thought to exist. Foreign relations of the Joseon Dynasty was Sinocentrism. The era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was used. Thus, the historical tradition of ``DANGUNGINYEONEUISIK(檀君紀年意識)``, the Koreans to verify the identity is also an important basis. For ``DANGUNGINYEONEUISIK(檀君紀年意識)``, comes from the Goryeo dynasty. Of the Goryeo Dynasty ``SAM-GUK-YU-SA(三國遺事)`` and ``JE-WANG-UN-GI帝王韻紀)`` will emerge from. And, in the Joseon Dynasty, the ruling classes and the lower classes were constantly up. A appeared of ``DANGUNGINYEONEUISIK(檀君紀年意識)``, the Chinese were to break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Korea showed that identity. In addition, these rituals, the Japanese came to the era of imperialism has emerged as the era of Tang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