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미콘 슬러지를 이용한 불소제거

        강민구(Min Koo Kang),신관우(Gwan Woo Shin),이상일(Sang Ill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칼슘염을 함유한 레미콘 슬러지를 이용하여 불소함유폐수를 물에 난용성인 CaF₂ 화합물 형태로 침전시켜 처리하는데 있어 pH, 레미콘슬러지 주입량, Seed물질 주입량, 교반속도, 교반시간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있다. 실험결과 레미콘 슬러지를 이용한 대상폐수의 CaF₂ 침전 반응에서 함수율 및 불소의 제거효율 등을 고려할 경우 최적의 pH 6, 레미콘 슬러지 주입량은 10 g/L, Seed 물질 주입량은 2 g/L, 교반속도은 100 rpm, 교반시간은 60 min으로 관찰되었다. 이 때 Seed 물질의 주입은 불소제거효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침전물의 형성이 되는 반응을 촉진시키고 플럭형성을 원활하게 하여 고액 분리가 잘 되어 함수율이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of pH, concrete sludge, seed dosage, mixing intensity, operation time in treating fluoride-containing wastewater as CaF₂ using the ready-mixed concrete sludge. Considering fluoride removal, water content, that pH 6, concrete sludge dosage of 10 g/L, Seed dosage (CaF₂) of 2 g/L, mixing intensity of 100 rpm and operation time of 60 min were found to be optimum. Correspondingly, removal of fluoride and water content was about 85% and 64%, respectively. Increase in amount of seed dosage did not affect fluoride removal efficiency. but the result that the water content is decreased was shown up in occur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well.

      • KCI등재

        제천의 의병장 이강년(李康秊)의 위정척사(衛正斥邪) 의식과 문학에 대한 연구

        姜玟求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雲岡 李康秊[1858~1908]은 군사 운용과 전술의 전문가인 무관으로서 민비 시해 사건과 단발령을 계기로 倡義 擧兵한 의병장이다. 그는 경상북도 문경 태생이지만 제천으로 柳麟錫[1842~1915]을 찾아가 그의 문인이 되는 동시에 유인석 의병 부대의 유격대장으로 활약하였다. 또 李恒老[1792~1868]의 『華西集』 간행에도 적극 관여하는 등 학문 연찬에도 힘을 썼으니, 그의 강력한 무장 항쟁은 위정척사론의 이념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강년은 의병장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다수의 詩文을 남기고 있고 그것들의 상당수는 그의 투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聞國變世禍, 漸至板蕩, 不勝憤激, 仍賦一律.」은 거병 즈음의 근심과 두려움, 육체적 고통과 투쟁의 의지가 진솔하게 토로된 작품이다. 「被擒時口號」는 적에게 체포되는 절망적 상황에서도 의연한 결기를 보여준다. 또 「囚在日憲兵所口號」는 헌병소에 구금되어 있으면서 쓴 시로, 구차히 살아남지 않을 것이며 죽어서도 항쟁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준다. 「告訣八域同志」는 옥중에서 전국의 동지들에게 영결을 고하는 글로, 거병의 계기, 무장 항쟁 기간, 戰績, 체포당한 경위, 사형에 직면한 심정, 투쟁의 이념을 기술하고 있다. 이 글에서 이강년은 반역자들이 충신과 선량한 사람들을 무고하게 살해하는 상황에서 양심의 격동을 참을 수 없었던 것이 거병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13년간 2차례 기병하였고 전투 횟수는 30여회, 전적은 왜적 100여명을 죽인 것이라고 하였다. 이강년은 인륜이 사라진 상황에 대하여 심각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양심에 격동되어 거병하였으며, 존화양이의 의리를 위해 殉死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은 동지들에게 綱常을 돈독히 하라고 당부하였다. 이것이 이강년이 지닌 위정척사 의식이다. 『雲岡遺稿』에는 15편의 檄文類가 전한다. 그의 격문은 선명한 위정척사의 이념을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것들은 군사와 무기, 군자금 조달을 독려하는 격문, 伊藤博文을 통렬히 꾸짖는 격문, 일제의 앞잡이로 온갖 간악한 짓을 일삼는 一進會를 준엄히 꾸짖은 효유문, 각국의 영사관에 일제의 침탈을 고발하고 조국 해방의 타당성을 알리는 통고문, 군대의 기율을 알려 경계하는 글이다. 그중에서 募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격문으로서 전형성 갖는다. Ungang(雲岡) Lee Kang-nyeon(李康秊)[1858~1908] was an expert in military operations and tactics as a military officer and he was a the righteous Armies general who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for Queen Min’s assassination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lthough he was born in Mungyeong, Gyeongsangbuk-do, he went to Jecheon to visit Yoo In-seok (柳麟錫)[1842~1915] to become his literary man and also served as a captain of Yoo In-seok’s righteous army. He also worked hard at study including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Lee Hang-ro(李恒老)[1792~1868]’s 『Hwaseojib(華西集)』, so Lee Kang-nyeon’s strong armed resistance was bas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Lee Kang-nyeon leaves a large number of poetry and prose as a rare case for the righteous Armies general, and many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his struggle. 「He heard the nation change and the world dizzy, so gradually became confused, and he did not stand the enragement and wrote a poem(聞國變世禍, 漸至板蕩, 不勝憤激, 仍賦一律.)」 is a work in which worries, fears, physical pain and the will of struggle are truly expressed around the time of raising an army. 「Poetry when he was arrested by an enemy(被擒時口號)」 shows a resolute impetuousness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being arrested by an enemy. In addition, 「Poetry while he was imprisoned in Japanese military police station(囚在日憲兵所口號)」 is a poem written while in a military police station, it shows his determined will to struggle even if he dies and not to survive wretchedly. 「Tell all over the country comrades before his death(告訣八域同志)」 is written in the prison to bid his last farewell to comrades from all over the country, it describes the cause of raising an army, the period of armed struggle, the record of struggle, the arrested situation, the feeling faced by the death penalty, and the ideology of struggle. In this article, he said that the cause of raising an army was that he could not stand the turbulence of conscience at a time when traitors were killing faithful and good people for no reason. He also said that he raised an army twice in 13 years, fought about 30 times, and killed more than 100 Japanese invaders. Lee Kang-nyeon had a serious sense of crisis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humanity had disappeared, and he raised an army by being turbulent of conscience. Also, he was proud of dying for his country for the loyalty of Johnhwa Yangi(Rever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 尊華攘夷) and he asked the remaining comrades to strengthen moral principles. This is the his consciousness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In 『Ungang-yugo(雲岡遺稿)』, 15 manifestos are presented. His manifestos are based on clear ideology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They are the manifestos of encouraging military, weapons and military funds, of scolding Ito Hirobumi(伊藤博文) severely, the persuasion of criticizing sharply Iljinhoe(一進會) which had done all kinds of atrocities as informer of Japan, the notification of accusing Japanese invasion and informing the validity of liberation to consular offices of each country, and the article of informing the discipline of the army. Among them, for the purpose of recruiting the army has typicality as a manifesto.

      • 질산화 반응조에서 유기물 부하에 따른 암모니아 제거 특성

        강민구,김금용,김승하,류홍덕,이상일,Kang, Min-Koo,Kim, Keum-Yong,Kim, Seung-Ha,Ryu, Hong-Duck,Lee, Sang-Ill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9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DEPHANOX공정을 변형한 두 개의 질산화 반응조를 둔 M-DEPHANOX 공정과 기존 변형된 질산화 반응조를 RBC로 대체한 형태로 단일 질산화 반응조로 운전된 M-DEPHANOX 공정을 운전하였다. 그리고 두 공정의 제거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질소, 인 및 유기물 제거율과 질산화 반응조의 유기물 부하에 따른 $NH_3$-N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NH_3$-N 제거율은 M-DEPHANOX공정이 91.8%, M-eBNR 공정은 96.9%로서 두 공정 모두 높게 나타났다. TCOD와 SCOD 제거율은 M-DEPHANOX공정은 84.1와 78.2%, M-eBNR공정은 83.4%와 75.6%이었다. 또한 유기물이 $NH_3$-N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은 M-eBNR 공정의 질산화 반응조에서는 1차 침전조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M-eBNR 공정의 $NH_3$-N 제거율은 도시하수의 유입성상이 달라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nitrogen, organic, phosphorus and $NH_3$-N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organic loading, comparing M-DEPHANOX process which has two nitrification reactor with M-eBNR process which has one nitrification re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NH_3$-N removal efficiency of M-DEPHANOX and M-eBNR resulted in average level of 91.8%, 96.9%, respectively. M-DEPHANOX and M-eBNR processes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y in view of $NH_3$-N removal efficiency. Comparing organic removal efficiency by M-DEPHANOX and M-eBNR processes,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in terms of TCOD, SCOD was 84.1%, 78.2% and 83.4%, 75.6%. Also, the results that observed about $NH_3$-N removal efficiency regarding organic loading revealed that nitrification reactor of RBC type are little influenced by flowing organic without precipitating at settling tank. Therefore, although inflow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wastewater changes, M-eBNR process appeared to remove $NH_3$-N reliably.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민사조정(民事調停) 활성화(活性化) 방안(方案)에 관한 실무노트

        강민구 ( Min Koo Kang ) 법조협회 2005 法曹 Vol.54 No.11

        21세기에 접어들어 사회 모든 분야에 이른바 정보화의 바람이 세차게 불고 있다. 법원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종 정보제공 시스템이 정교하게 구비되면서 각 구성원 모두 종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바람에 더하여 민사사건에 있어 ``조정의 활성화``라는 명제는 이제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2001. 초부터 시작된 ``신민사모델``의 요체도 결국 ``조정 활성화``라 할 것이다. 더구나 각 재판장의 조정 성과가 민사송무 전산프로그램에 의해 마치 확대경으로 특정 사물을 보듯이 고스란히 나타나게 되어 있어 그로 인한 성과율 제고라는 순기능 외에 ``통계를 위한 조정``, ``조정 자체를 위한 조정``이라는 역기능마저 때때로 보인다. 대법원 방침이 법원 전체의 업무경감과 당사자의 실질적 이익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순기능적인 조정을 강조하는 것임에도 그것이 일선의 재판장들에게는 부단한 압박감으로 작용하는 것도 현실임을 부인할 수가 없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그 시행 과정에서의 부작용은 없을 수 없다고 하지만,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변론주의 아래의 민사소송 절차에서 지나친 조정의 강조는 또 다른 불만을 잉태하게 된다. 이에 필자는 이 글에서 학술적 논거를 제시해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지양하고, 조정 강조 시대에 접한 각 재판장들이 더 이상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민사재판 업무 영역에서 보다 더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으로 조정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 방향에 맞추어 2005. 6.을 기준으로 한 실무관행을 중심으로 민사사건 처리에 있어 조정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필자 나름대로의 개인적 견해를 피력해 보았다. 필자의 주관적인 민사합의 재판부 경험을 가지고 이 글에서의 여러 견해 표명을 하는 것은 상당히 조심스러운 점이 있지만, 그래도 조금은 일선에서의 민사재판 업무처리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보여 지극히 개인적인 주장을 하고, 실무사례를 소개하였다. 일선 각 재판장의 취사선택을 기대해 본다. 다만, 분명히 집고 넘어가야 할 점은, 조정 그 자체를 위한 형식적 조정 시도, 정당한 권리자에게 필요 이상의 양보와 눈물을 강요하는 조정은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보면, 오늘날 민사소송절차에서의 조정은 거스를 수 없는 실무의 큰 흐름이 되었다. 특히, 판결로서는 도저히 구체적 타당성을 도출할 수 없는 복잡한 새로운 유형의 민사사건이야말로 바로 조정이 꽃을 피울 수 있는 그런 분야라고 본다. 또한 형사사건의 심리에 있어서도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의 맺힌 한을 적절하게 풀 수 있는 방안을 민사사건의 조정사례를 통해 하나의 방법론으로 획득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것은 결국, 조정 제도가 민사사건 처리 절차에서 완전하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① 각 재판부 재판장의 강한 실천의지와 ② 인내력을 가지고 당사자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는 자세, ③ 사전의 철저한 기록파악에 있다고 본다. 앞에서 본 방법론을 원용하면, 대부분의 재판부의 경우 전체 사건의 1/3 정도를 조정절차로 해결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실질조정률은 약 50%대에 접근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야 법조계에서도 법원의 조정 등 전반적인 업무처리 방향과 관련하여 수시로 법원과의 간담회 등을 통하여 의견교환을 하고, 이를 통해 상호 협력과 이해 증진의 바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시대의 현토(懸吐)에 대한 인식

        姜玟求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5

        ‘懸吐’는 ‘懸讀’의 속칭이며 ‘懸讀’를 ‘口訣’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그것이 없으면 글의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口訣과 釋義은 薛聰의 이두에서 기원하며, 鄭夢周와 權近이 경전의 구결을 만들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종이 『소학』과 사서와 오경의 口訣을 정하게 하였는데 마무리짓지 못하고 세조의 명으로 다시 사서오경의 구결을 만들게 되었다. 이것이 선조 조에는 경전의 언해 사업으로 발전하여 官本諺解가 만들어진다. 그것과 함께 조선에서 중시된 경전 현토와 언해는 柳崇祖ㆍ李滉ㆍ李珥 등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柳崇祖[1452~1512]가 경서 언해를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하며 그의 칠서언해가 유포 활용되었다. 그리고 퇴계의 『經書釋義』는 諸家의 訓義를 다방면으로 인용하면서 절충해 만든 것이라고 한다. 또, 율곡의 사서언해는 경전 언해를 제작하라는 선조의 명을 받은 柳希春이 율곡을 추천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논어언해』와 『맹자언해』는 임진년에 소실되고, 『대학언해』ㆍ『중용언해』만 남아 있다가 등사본 등을 수집하여 인행한 것이다. 그런데 그들 언해에 대한 신뢰와 회의가 병존하였으니, 당색에 따른 정치적 이념이 상당 정도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인은 율곡의 사서언해를 높이 평가하고 퇴계의 『경서석의』를 상대적으로 미진한 것으로 평가절하 하였고, 남인은 퇴계의 『경서석의』를 존숭하고 율곡의 사서언해를 배타하였다. 口訣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비유될 정도로 한문 공부에서 긴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현토 없는 한문책이 오히려 이상하게 여겨졌다. 효종은 중국 사람들이 현토를 하지 않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였다. 또 정조는 어렸을 때 『춘추』를 課讀하여 불과 20일 만에 완독하였는데, 이때 공부한 책에는 현토가 되어 있었다. 현토는 경학이나 理學 텍스트의 정확한 해독 뿐 아니라 불경이나 문장의 정확한 해독에 대한 담론에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현토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존재하였다. 成俔[1439∼1504]은 중국 사람들은 말과 문자가 일치하기에 배우기 쉽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아서 독음이 따로 있고 뜻이 따로 있으며 구결까지 있기에 배우기가 어렵다고 하였고, 盧守愼[1515~1590]은 사서의 구두에 우리말로 토를 다는 것을 쓰지 못하게 하라고 선조에게 건의하였다. 權得己[1570~1622]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전 공부의 문제점 중 하나로 현토 공부를 거론하며, 한문이 중국에서 전래되었기에 중국이나 조선이나 한문을 읽는 방법은 같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趙翼[1579~1655]은 科擧에서 현토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풍조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李喆輔[1691~1770]는 토를 따라 글을 읽으면 사고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토가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하였으며, 李裕元[1814~1888]은 經傳에 모두 諺解가 있어 공부하기가 중국보다 갑절이나 힘이 들고, 이 때문에 학업의 성취가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은 한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현토를 만들었고, 국가적 차원에서 관본언해가 인행되었으며 유학의 종장들에 의하여 경전의 언해가 만들어졌다. 당색에 따라 퇴계와 율곡의 경전언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서 자칫 정쟁의 일부로 전이된 점도 있으나, 각각 자신들의 宗師가 만든 언해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경전 등의 현토와 언해가 점차로 정확하게 되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Hyunto(懸吐)’ is the common name of ‘Hyundok(懸讀)’, and the reason why ‘Hyundok(懸讀)’ is also called ‘Gugyeol(口訣)’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riting without it. It is said that Gugyeol(口訣) and Commentary(釋義)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Idu(吏讀) of Seolchong(薛聰), and Jeong Mong-ju(鄭夢周) and Kwon-Geun(權近) made the Gugyeol of scriptures. In the Joseon Dynasty, King Sejong made the Gugyeol of 『Sohak』, Four Books(四書) and Five Classics(五經) decide, but failed to complete it, and the Gugyeol of Nine Chinese Classics was created again under the command of King Sejo. This was developed into the work of the Eonhae(諺解) business of the scriptures in King Seonjo’s reign, and the Gwanbon-Eonhae(官本諺解) was created. Along with this, the Hyunto of scriptures, which was valued in Joseon, was created by Yu Sung-jo(柳崇祖), Lee-Hwang(李滉) and Lee-Yi(李珥). Yu Sung-jo(柳崇祖)[1452~1512] is said to have made the Eonhae of scriptures for the first time, and his Chilseo-Eonhae was spread and utilized. Toegye’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經書釋義) 』 is said to have been made by quoting and compromising the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of the various masters in many ways. Yu Hui-chun was commanded by King Seonjo to produce the Eonhae of scriptures, so he recommended Yulgok, and this was how Yulgok’s Saseo-Eonhae was made. 『The Analects of Confucius Eonhae』 and 『Mencius Eonhae』 were disappeared in 1592, and only 『Dae-hak Eonhae』 and 『Jung-yong Eonhae』 were left, and were published by collecting duplicate copies. Since confidence and skepticism coexisted in their Eonhae, so it is understood that political ideology based on a partisan coloring worked to a considerable extent. Seo-in praised Yulgok’s Saseo-Eonhae, and devalued Toegye’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 as being relatively incomplete, while Nam-in respected Toegye’s 『The Commentary of scriptures』 and excluded Yulgok’s Saseo-Eonhae. Gugyeol has become important means of studying Chinese classics, to the point of being likened to ‘a finger pointing to the moon’. Therefore, the books of Chinese classics without the Hyunto was considered rather strange. King Hyojong thought it was strange that the Chinese people did not write the Hyunto. Also, when Jeongjo was a child, he read completely 『Chunchu』 in only 20 days, and Hyunto had been written in the book he studied at that time. The Hyunto was used a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natural sciences texts as well as a major means of discourse on the correct deciphering of Buddhist scriptures and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view of the Hyunto. Seong-Hyeon(成俔)[1439∼1504] said that Chinese people were easy to learn because the language and letters match, but we were not, so it was difficult to learn because there were a separate reading sound, a separate meaning, and even a Gugyeol. Noh Su-sin(盧守愼)[1515~1590] suggested to King Seonjo not to use Hyunto in Korean on the punctuation of Four Books(四書). As one of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ople’s study of scriptures, Kwon Deuk-gi(權得己)[1570~1622] mentioned the study of the Hyunto, and because Chinese classics were introduced from China, he asserted that the method of reading Chinese classics should be the same in China or Joseon. In particular, Jo-Ik(趙翼)[1579~1655] strongly criticized the trend of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the Hyunto in state examination. Lee Cheol-bo(李喆輔)[1691~1770] said that reading the text along the Hyunto does not require thinking, so the Hyunto interferes with learning. Lee Yu-won(李裕元)[1814~1888] argued that it is twice as difficult to study as China because there are Eonhae in all of scriptures,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one’s studies. Joseon Dynasty created the Hyunto to efficiently learn Chinese classics, the Gwanbon-Eonhae was pu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Eonhae of scriptures was made by scholars of Confucianism. The assessment of the Eonhae of scriptures of Toegye and Yulgok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artisan coloring, so it has been spread as part of a political struggle, although,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Hyunto and the Eonhae gradually became accurate by each striving to expansively inherit the Eonhae made by their own teacher.

      • KCI등재

        개미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과 표현

        姜玟求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개미는 매우 작은 곤충이기에 미약한 자신의 존재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논리를 전개할 때 차용되는 자연물이었다. 한편 개미는 지극히 작지만 제 몸의 크기를 뛰어넘는 힘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大小와 强弱을 단순히 결부하는 것은 편견에 불과하다는 논거로도 활용되었다. 미물인 개미가 제 주제도 모르고 强大한 상대에 덤비며, 그것이 추구하는 목표도 하찮고 추잡한 것에 불과하다는 부정적 평가와 시각이 존재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미물이지만 큰 힘을 내는 존재라는 긍정적 시각과 평가도 있었다. 한문학에서 ‘槐安國’·‘槐國’은 허구 세계를 의미하고 ‘槐安夢’·‘槐夢’은 인생이란 꿈을 꾸는 것과 같고 부귀 득실은 無常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 士人들은 科場에서 경쟁적으로 답안을 작성하는 수험생들의 모습을 ‘개미의 전쟁’이라고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한문학에서는 특히 ‘개미의 전쟁’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의식이 강하였다. 개미의 전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개미가 종족과 영역을 지키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는 것으로부터 군신의 의리를 알고 나라를 지키고 임금을 보위하기 위하여 목숨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윤리적 가치를 추출하는 것이다. 부정적 인식은 ‘분쟁’ 자체에 대한 거부감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개미가 미물이기에 그것들의 전쟁을 하찮은 짓으로 간주하였다. 개미의 처지에서는 생사가 걸린 일이지만, 인간의 눈으로 볼 때는 하찮기 그지없고 의미도 없다. 그와 같은 의식을 확장한다면 사람의 전쟁도 매한가지이다. 인간의 전쟁도 인간계 너머에서는 하찮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엄밀히 생각해 본다면 인간의 윤리와 가치를 개미에게 투사하여 역으로 증명해 내려는 시도일 수도 있다. 한편 옛날 사람들에게 개미가 싸우는 광경은 하나의 소일거리였다. 무료한 한때를 개미 싸움을 보면서 보냈고 그것을 시의 소재로 삼기도 하였다. 이런 경우 개미의 싸움에 대한 가치나 의미에 대한 평론은 유로하지 않았다. As ants are very tiny insects, it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ly-referred natural objects to set out a logical argument saying that it’s important to exactly know one’s humble place. However, it’s been also often referred as a ground for an argument that tying largeness- and-smallness and strongness-and- weakness is just the prejudice since it was found that ants are able to lift objects that are much bigger than they ar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egative perspective and thoughts, on the one hand, that small and insignificant ants dare to challenge big and strong opponents, not knowing themselves, and what they seek to achieve is just trivial and vulgar.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also positive perspective and thoughts that they have great potentials in spite of their small body. In Sino-Korean Literature, ‘Goeanguk(槐安國, the Imaginary Kingdom of Ants)’, also called Gueguk(槐國), was used to refer to a fictional world, and ‘Goeanmong(槐安夢, a Fond Dream), also called ’Goemong(槐夢)’, was used to imply that life is just like a dream and that obtainment and loss of wealth and honor are all meaningless. In old times, scholars also referred to examinees competitively writing answers at the exam venue as ‘the battle of ants’ in the metaphorical sense. Especially in Sino-Korean Literature, the intention to give meaning to ant wars was strongly shown. The positive perspective on the ant wars was to extract ethical values - to know the fidelity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defend the country, and willingly die for the king - from the ants fiercely fighting against the enemy to protect those species and territory.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perspective was expressed as the repulsion against strife itself. It, also, considered ants’ wars as mere trifles because they are just small and insignificant creatures. Although it’s such a life-and-death matter for ants, it looks just trivial and meaningless to humans. When extending this viewpoint, human wars also could be regarded in the same way. If it’s seen from beyond the world of human beings, it could be looked just trivial. But technically, it could be an attempt to reversely prove human ethics and values by projecting those to ants. To people in old days, watching ants fighting each other was a kind of a good time killer. They spent time watching them, and people were sometimes inspired by those to write poems as well. And in that case, they didn’t express reviews about the values or meaning of ants’ batt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전쟁(戰爭)과 한문학(漢文學) 조선(朝鮮) 유서(類書)의 무기(武器)·防禦具에 대한 기록과 그 의미

        강민구 ( Min Koo Kang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0

        This paper analyzes contents associated with weapons·protective equipment which were recorded in representativ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investigates the meaning. The author of 『Jibongyuseol(芝峯類說)』 that was full-scal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f the Joseon Dynasty, Lee Su-kwang(李수光, 1563~1628), experience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en he turned 30 years of age. He arranged the item related with weapons in 『Jibongyuseol(芝峯類說)』 with meeting the essential requirements in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Jibongyuseol(芝峯類說)』, <Byoung jeong bu(兵政部)>, 「Weapon(兵器)」is mostly composed with items about the origin of weapons and protective equipment, a gunfire that was the most noteworthy weapon at that time and a firelock. Also, it suggests the opinion about necessity of tank which was not used in Korea. And it briefly describes admiral Lee Soon-shin``s Geobukseon and warships that had led war to victory. Lee-Ik(李瀷, 1681~1763) did not provide another section about armaments in 『Seonghosaseol(星湖僿說)』, his enormous interest about military affairs and politics can be mostly seen in <Manmulmun(萬物門)>. He had a serious consciousness of crisis in poor defense level of the Joseon Dynasty. And he logically proposed the possession or development of weapons that could handle the external aggression. The interesting ideas about development of new weapons like a firearm, protective equipment and a tank were not only Lee-Ik``s creative plan but also opinion that be made together with his friends. Jo Jae-sam(趙在三, 1808~1866)``s 『Songnamjapji(松南雜識)』 <Mubiryu(武備類)> included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weapons·protective equipment, compared with 『Jibongyuseol(芝峯類說)』 or 『Seonghosaseol(星湖僿說)』 its items are considerable. He comparatively described weapons·protective equipment in detail, but he also introduced the folk tales or anecdotes, so it made realism high. He knew that the destiny of the Joseon Dynasty was in an extremely precarious position. Such feeling of danger made him effort to recording armaments.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ed from the origin of weapon·protective equipment to imaginary things that could not be made by current technology. Joseon or Ming Dynasty which were harassed by war all desired the development of new weapons that could overwhelm an enemy.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f the Joseon Dynasty would not stop recording existing weapons, furthermore the reason that it suggested the production of new weapons is an expression of aspiration with possessing and developing the potent means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