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서(曆書)속의 신앙 원리의 활용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무속학회 2011 한국무속학 Vol.0 No.22

        역서(曆書)는 날짜를 알려주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전근대사회의 역서는 관측을 통한 과학의 산물이지만 체험을 통한 신앙적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미래에 대한 불길한 조짐을 질서정연하고, 통제할 수 있는 대상으로 치환하기 위한 방법이 담겨져 있다. 역서의 근간이 되는 일진(日辰)에 따른 의(宜)와 불의(不宜)의 구분, 역서의 두 번째 장에 수록된 그 해를 주관하는 24방위의 신령을 밝힌 연신방위도(年神方位圖), 특정한 의례를 행할 때에 일진과 방위에 대한 정보가 담긴 주당도(周堂圖)가 그것이다. 역서를 활용하던 시절에는 이런 내용은 주된 생활 원리이자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네 삶에도 다양하게 기능한다. 이중 주당도는 의례적, 종교적 원리로 지금껏 활용되고 있다. 역서에 수록된 이러한 내용이 민간에서는 어떻게 활용되었을까? 역서에는 역법의 원리가 담겨 있지만 이를 실제로 이용하는 민속 현장에서는 제 나름대로 응용해서 활용하였다. 이 둘 사이에는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는 역서라는 원리를 활용하는 민간의 지식 생산의 과정과 그 내용을 보여준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위기의 순간에 행하는 의례는 일상이 아니라 특별한 순간이다. 이러한 순간은 특별함 그 자체로도 위험을 유발한다. 벽사진경, 재액초복이라 하듯이 액을 물리치고 복을 구해야 한다는 관념을 지닌 민중들에게 이러한 위험은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 이러한 강렬한 욕구 탓에 주당은 역서의 주당도와 달리 민간에서는 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살과 동토 등의 탈이 원인이 된 상황을 주당으로 인지하기도 하고, 산이나 물과 같이 성(聖) 그 자체인 것을 범했을 때 나는 신벌(神罰)과 탈을 모두 주당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삶에 가장 위협적이고, 위험한 순간을 질서와 조화로운 세계로 만들려는 민간의 문화논리이다. 이것은 원리를 활용한 응용의 미학으로 민속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민속은 민중들 스스로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생활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앙적 울타리와 원리를 만들어 낸 것으로,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Almanacs are more than a collection of numbers to inform dates. In a pre-modern society, they were the scientific products through observations but contained many elements of faith through experiences. They also contained ways to replace ominous signs of future with orderly and controllable objects along with Yeonshinbangwuido, which includes the content of naturalness and unnaturalness that are the foundation of almanacs and the divine spirits of 24 directions to govern the year, and Judangdo, which offers information about luck on a day and direction set for a special ceremony. They are important means to take a peek at what they needed in their lives in the past. How were those contents in almanacs utilized by people? While almanacs contained the principles of calendar, people applied and utilized them in their own ways on the folk scene.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y show the process and content of people’s knowledge creation through the principles in almanacs. Ceremonies held in the moment of life crisis invisible to the eyes present a special moment rather than daily life, and such a special moment can cause danger with its specialness itself. To people who believed that misfortune should be dispelled and that fortune should be pursued as in Byeoksajingyeong and Jaeaekchobok, such a danger must be eliminated. Such a powerful desire made Judang more diverse among people than the Judangdo in almanacs. People would perceive a situation caused by trouble such as Sal and Dongto through Judang and even the divine punishment and trouble in case of sacredness itself such as mountain and water being violated all through Judang. It was their cultural logic to turn the most threatening and dangerous moments in life into a world of order and harmony. It was the aesthetics of application based on principle and shows a process of folk knowledge being created. Folk customs are people’s faith framework and principle made with the life principles surrounding them and are regard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s.

      • KCI등재

        조선시대 양반가문 소장 曆書類의 현황과 가치

        정성희(Jeong Seong-Hee)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6

        이 글은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역서 소장 현황 및 가치를 살펴보는 것으로서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 관료국가가 발달해온 만큼 시간의 통일, 즉 曆(calendar)의 통일을 위해 힘써온 시대로 이는 현존하는 많은 역서(曆書)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역서의 발전은 여러 가지 배경 요인이 있지만, 이는 동아시아의 천문관이라 할 수 있는 觀象授時의 영향을 받아 역서의 편찬을 제왕의 중요한 임무로 여긴 탓이 크다. 한국사에서 조선시대는 I년 日辰의 계산, 24절기의 入氣 시각과 달의 위상 등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역서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던 시기였다. 조선시대 역서는 오늘날 대량으로 발행되어 I년이 지나면 버려지는 달력과는 다르며 우수한 과학기술과 문화적 역량의 산물이었다. 조선초기 불과 4천건 정도만 발행되어 특권층의 향유물이었던 역서는 18세기 말 이후 1만 5천축 이상 발행되어 지방 양반과 서민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조선시대 역서나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역서는 조선시대 달력 발행이 국가적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본 글에서 조사 대상으로 삼은 안동 순흥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를 비롯한 약 170여건에 달하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조선시대 천문학의 발달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달력 문화의 소산이다. 조선시대 역서들은 이미 규장각이나 장서각에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으나, 수량으로 보면, 전국의 양반 가문 문중에서 소장한 역서가 가장 많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오랜 기간 수집한 양반 가문 역서 가운데 가장 분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전 은진송씨와 안동 순홍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이다. 이 가문 외에는 전체적으로 책수가 많다고 볼 수 없지만, 발행 연도의 중복이 비교적 적고 풍산유씨 종택 소장의 大統曆 같은 경우는 귀중본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난 것도 있다. 현재 전통시대 역서는 1594년 대통력부터 1950년대의 양력까지 다양하지만, 역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역서는 조선후기 역서인 시헌서이다. 시헌서는 조선후기 일반적으로 사용된 상용력으로 가장 많이 발행된 역서이다. 기존의 규장각이나 장서각 소장 역서들은 대개 원 사용자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적이 없는 깨끗한 것들이 많은 반면, 조선시대 양반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역서들은 대체로 원소장자를 알 수 있고, 필사 혹은 일기 등을 적어 놓은 것이 많아 일기류로서도 가치가 있다. 일기를 적어놓은 대표적인 역서를 소개해보면,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대통력을 들 수 있다. 이 역서를 사용한 인물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었던 鄭經世(1563-1633)이다.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역서를 보면, 정경세가 역서를 일기 혹은 오늘날의 수첩처럼 사용했음이 드러난다. 1607년에 정경세는 대구부사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정경세가 사용한 역서를 보면 그날그날의 일기나 날씨, 대구부사로 가는 길에 숙박했던 곳, 지인 등의 왕래 등이 적혀 있어 역서로서의 가치 외에도 당시의 생활상 혹은 날씨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도 의미가 있다. 현재 전국에 흩어져 있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완전히 조사된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역서 자료 외에도 모두 조사하여 자료 목록화 한다면 그 양은 더욱 많아질 것이며 조선시대 역서의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연구자 혼자서 단기간 할 수 있는 작업은 아니다. 향후 연구자들이 조선시대 역서의 자료적 가치에 관심을 갖고 자료가 유실되고 파산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라 본다. From the old dynasties of Korea as well of China the unification of almanac system had been pursued as the way of the centric governance. Even the duty of the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ovement of stars and the changes of weather was laid on the shoulders of sovereign power. The development of books of calender means the advancement of the scientific observ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the contemporary. In this sense Joseon period is the time of the marvelous advancement of the calender system including the calculation of one year, proper arrangement of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 into the lunar calender in the history of Korea. Compared with the mass production and temporary consumption of calenders in these days, calender books or related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 were the essential product of cultural and scientific advancement of the time. While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bout four thousands copies of calenders and they were occupied only by the noble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 late 18th century, the product of books of calender increased over fifteen thousands copies, being used by noble families as well as partly by common people.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contained by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present loc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library of the royal family, Jangseogak, present locat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oves that to print the books of calender was a national project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research of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in the Joseon period has rarely been done despite the most collectors was from noble familie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llection of book of calender collected by the descendant of noble families and raise a question to catalog and arrange the materials systematically for the initial step of related studies. The collection of Sunheung An Family in Andong, ranged one hundred and seventy copies, are micro-filmed in the purpose of conservation and easy access to the materials for related students. But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nd arranging of the materials still are waiting to be done. Furthermore, there are a lot of books of calender scattered in the national-wide. Those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under public project and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category system. The conservation of the precious materials depends on the public interest and systematic endeavor to collect, catalog and make it to easy of access to researchers.

      • KCI등재

        역서(曆書)의 네트워크: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김혁 ( Hyo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曆書는 조선시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다. 이 글에서는 역서를 발간자인 國王과 수요자인 臣民과의 관계를 직접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의 장소로 간주한다. 당시 수직적 신분 위계에 속하였던 수요자들의 역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의 권력이 기원하는 곳과 일상생활에 침투하여 전개되는 양상을 해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역서는 조선국왕에게 兩價적인 함의가 있었다. 중국과의 책봉관계를 인정하는 상징물인 동시에, 자신의 주권 하에 있는 時空間을 조직하는 정치도구였다. 특히 정치 도구로서 역서를 이용하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는, 중국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현실에 맞는 독자적인 측후를 반영한 鄕曆을 계속 발간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드러난다. 이와 같이 조선 국왕이 역서를 맺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그는 관료제의 기반이 되는 통일성과 소통을 위한 국가의 표준적인 시간체계를 제공하고, 독자적인 시공간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까지 국왕은 농민들에게 正時를 알려준다는 觀象授時의 이념아래 역서의 발간량을 계속 증대시켰다. 그 결과 역서의 생산량은 초기에 비해 60배나 되었다. 이때 역서는 본래의 자리로부터 흘러넘쳐 (overflowing) 발간자인 국왕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수직적인 신분 위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역서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과 여러 사회적 신분 위계들 사이에서 역서를 사이에 두고 나타난 同床異夢을 확인하였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대두된 이런 다양한 네트워크의 불일치는 역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던 중앙집권화를 위한 국왕의 마술로부터 백성들이 점차 벗어나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역서의 성격도 ``국왕의 역서``(王曆)로부터 ``백성의 역서``(民曆)로 점차 변모하여 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역서를 통해 농민을 ``農時`` 아래에 묶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가 사실상 좌절된 것을 뜻하며, 농민은 그 네트워크의 자리에서 새로운 주인으로 등장한다. 그런 점에서 국왕의 농민에 대한 이념적 영향력이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Calender books in Joseon Dynasty consist of two parts: (1)``the study of calender(yeokhak 曆學)`` and (2)``the annotation of calendar(yeokju 曆註)``. Yeokhak refers to the first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sakmang), the first and the last quater of the moon (sanghahyun),the twenty-four solar terms (yisipsa julki), solar and lunar eclipses (ylyeolsik) and so on. Yeokju is a study of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陰陽書), identifying misfortune and fortune as well as taboo in daily lives during the year. Yeokhak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susi(授時), one of the examples of the rule of monarchy. susi is the abbreviation of kwansangsusi(觀象授時), which means that the ruler provides his people with a proper knowledge of agriculture by casting a horoscope. Since the ancient time, it was strongly believed that the ruler needs to offer an accurate timetable for agriculture in order to buttress his authorit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social life of calendar books was shared by all the people - from the king to ordinary peasants. Ritualistically, the king in Joseon Dynasty granted his ministers the Chinese calendar which he had received from the emperor of China. Nevertheless, the king attempted to monopolize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calendar books. This is the very evidence that he actively intervened in regulating time for his rule. Agriculture was not the only reason the king attempted to predominate over time. By controlling time, the king also tried to intervene in daily events of ordinary people by linking them to his own time. yeokju served for this purpose. It covered a wide scope of everyday lives such as marriage, trade, and movement. By doing so, yeokju incorporated the lives of the king, officials, noble classes, and peasants in to the frame of the sovereign time. Today the linkage between yeokhak and yeokju is considered to be arbitrary. Such linkage seems to be irrational and outdated. The magic of calendar books, which had been still effect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ell in to a decline in the late period. As Jung Yakyong(丁若鏞), the famous scho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pointed out, calendar books failed to function in domain of offering correct time, agricultural calender(農曆), and the choice of an auspicious day(擇日). They were nothing but cheap, trivial gifts that people used only once in a while. Although some scholars still emphasize their one-time significance, calendar books were as trivial as scratchbacks or nailclippers. Nevertheless, it is intriguing that the supply of calendar books expanded from one per 400 households in the early Joseon to one per 6 households in the 19th century. Such expansion had little to do with the functional utility of calendar books. Rather, it resulted from the mixture of different ideas and intentions. On the one hand, the king attempted to buttress the rule of monarchy while actualizing the expansion of calendar books through the market device. Given the time sensitive nature of calendar books, the king had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books as quickly as possible, encouraging market trade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his time system situated the use of calendar book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life styles. The rapid spreading of a Confucian ritual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made the productive amount of the calendar.

      • KCI등재

        투고논문 : 여헌(旅軒) 『역학도설(易學圖說)』의 역서관(易書觀)에 관한 연구

        유흔우 ( Heun Woo Yoo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이 논문은 여헌의 『역학도설(易學圖說)』이 가지고 있는 역서관(易書觀)을 연구한 것이다. 여헌의 역서관은 "역서천지모상설(易書天地模像說)"로 요약할 수 있다. 거기에는 두 가지 함의가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주역』의 괘효(卦爻)가 천지(天地)·만변(萬變)·만사(萬事)·만물(萬物)이 존재하는 "원인(原因)"과 변화의 "이치(理)"를 모상(模像)한 것이기 때문에 천지·만변·만사·만물의 도리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주역』을 통해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천지·만변·만사·만물을 안다는 의미이다. 여헌은 특히 이 후자를 "사업(事業)"이라고 하는데, 그의 『역학도설』은 그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된 것이었다. 여헌의 역서관에는 『역전(易傳)』의 인식론과 방법론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는데, 여헌은 특히 "원인(故)과 이치(理)의 결합", "일반(一般)과 개별(個別)의 통일", "유장(類長)"을 중시한다. 그 과정에서 일종의 감성인식이라고 할 수 있는 "관찰(觀察)"과 유비추리(類比推理)에서의 연역법(演繹法)을 중시하고 있다. 여헌은 이상과 같은 역서관과 사유 방식에 따라 『역학도설』을 『주역』의 발생론(發生論), 부호론(符號論), 사론(辭論), 대전론(大傳論), 역학론(易學論) 등등뿐만 아니라 음율(音律), 역법(曆法), 천문지리(天文地理), 의학(醫學), 수학(數學) 등등까지를 모두 망라하는 책으로 만들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그의 "역도일원모형론(易道一原模型論)"의 전형을 찾아 볼 수 있다. 여헌의 역서관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모형론(模型論)적 역학관(易學觀)이 가지고 있는 특징의 일단을 엿볼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Chang Hyungwang`s viewpoint on the book of "Changes(『易』)",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His viewpoint presented in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can be briefly described as the opinion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a model of the sky and the earth, represented as nature(易書天地模像說). His opinion has two important meaning. On the one hand, this implies that the hexagrams in the book of "Changes(『易』)" are entirely covered and accordant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 This implic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hexagrams of "Changes(『易』)" are the symbols to imitate truly the images of nature, including the fundamental causes and reasons for all the existence and various changes in nature. On the other hand, this viewpoint means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the effective materials to get the knowledge of nature in the epistemological sense. Chang Hyungwang put an emphasis on the latter meaning so that he called the study on "Changes(『易』)" as `Task(事業)`.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is the one of `Task(事業)` planed from his point of view. A sort of epistemological thoughts and methodology of "Changes(『易』)" is synthetically reflected in his specific view on "Changes(『易』)",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cause and reason, the unity of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so on.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he regarded the observation and the deductive reasoning by analogy as an important part for studying "Changes(『易』)". Accroding to his viewpoint of "Changes(『易』)", Chang Hyungwang wrote his boo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as a sort of encyclopedia exhaustively encompassed most of the existing sources of traditional thoughts in "Change", including the origins of "Change", the theories of symbols, the studies of explanations in the hexagrams of "Changes(『易』)", the methodological study of "Changes(『易』)" as well as other categories of studies, that are musicology, astronomy, oriental medicine and so on. From this feature in his book, he seriously thoughts that the truth in "Change" could be united as the one for every different principles in all the area of na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易』)", analyzing his viewpoint in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 KCI등재후보

        旅軒 『易學圖說』의 易書觀에 관한 연구

        유흔우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This paper is a study about Chang Hyungwang's viewpoint on the book of "Changes(『易』)",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His viewpoint presented in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can be briefly described as the opinion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a model of the sky and the earth, represented as nature(易書天地模像說). His opinion has two important meaning. On the one hand, this implies that the hexagrams in the book of "Changes(『易』)" are entirely covered and accordant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 This implic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hexagrams of "Changes(『易』)" are the symbols to imitate truly the images of nature, including the fundamental causes and reasons for all the existence and various changes in nature. On the other hand, this viewpoint means that the book of "Changes(『易』)" is the effective materials to get the knowledge of nature in the epistemological sense. Chang Hyungwang put an emphasis on the latter meaning so that he called the study on "Changes(『易』)" as 'Task(事業)'. His wor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is the one of 'Task(事業)' planed from his point of view. A sort of epistemological thoughts and methodology of "Changes(『易』)" is synthetically reflected in his specific view on "Changes(『易』)",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cause and reason, the unity of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so on. In the course of examination, he regarded the observation and the deductive reasoning by analogy as an important part for studying "Changes(『易』)". Accroding to his viewpoint of "Changes(『易』)", Chang Hyungwang wrote his book,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as a sort of encyclopedia exhaustively encompassed most of the existing sources of traditional thoughts in "Change", including the origins of "Change", the theories of symbols, the studies of explanations in the hexagrams of "Changes(『易』)", the methodological study of "Changes(『易』)" as well as other categories of studies, that are musicology, astronomy, oriental medicine and so on. From this feature in his book, he seriously thoughts that the truth in "Change" could be united as the one for every different principles in all the area of na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易』)", analyzing his viewpoint in "Diagrams And Explanations On Change(『易學圖說』)". 이 논문은 여헌의 『역학도설(易學圖說)』이 가지고 있는 역서관(易書觀)을 연구한 것이다. 여헌의 역서관은 “역서천지모상설(易書天地模像說)”로 요약할 수 있다. 거기에는 두 가지 함의가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주역』의 괘효(卦爻)가 천지(天地)․만변(萬變)․만사(萬事)․만물(萬物)이 존재하는 “원인(原因)”과 변화의 “이치(理)”를 모상(模像)한 것이기 때문에 천지․만변․만사․만물의 도리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주역』을 통해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천지․만변․만사․만물을 안다는 의미이다. 여헌은 특히 이 후자를 “사업(事業)”이라고 하는데, 그의 『역학도설』은 그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된 것이었다. 여헌의 역서관에는 『역전(易傳)』의 인식론과 방법론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는데, 여헌은 특히 “원인(故)과 이치(理)의 결합”, “일반(一般)과 개별(個別)의 통일”, “유장(類長)”을 중시한다. 그 과정에서 일종의 감성인식이라고 할 수 있는 “관찰(觀察)”과 유비추리(類比推理)에서의 연역법(演繹法)을 중시하고 있다. 여헌은 이상과 같은 역서관과 사유 방식에 따라 『역학도설』을 『주역』의 발생론(發生論), 부호론(符號論), 사론(辭論), 대전론(大傳論), 역학론(易學論) 등등뿐만 아니라 음율(音律), 역법(曆法), 천문지리(天文地理), 의학(醫學), 수학(數學) 등등까지를 모두 망라하는 책으로 만들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그의 “역도일원모형론(易道一原模型論)”의 전형을 찾아 볼 수 있다. 여헌의 역서관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모형론(模型論)적 역학관(易學觀)이 가지고 있는 특징의 일단을 엿볼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역서(曆書)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왕권의 상징에서 대중적 실용서로-

        김태우 국립민속박물관 2017 민속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제왕지학이라고 인식되었던 천문학의 구체적인 발현 형태인 역서가 점차 대중화되면서 왕권의 상징성은 퇴색하고 실용서로서 민간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던 정황과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초기에는 국왕과 조정이 천문에 대한 지식과 역서를 전유하고 독점함으로써 왕권에 대한 절대적 권위를 드러내고 백성들에게는 관상수시의 사상과 은혜를 지속적으로 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역서는 역주가 지니는 점술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제왕지서로서의 상징성과 국왕들의 절대적 지지로 인해 지속적으로 그 존재를 인정받을 수 있었으며 민간에까지 두루 활용되었다. 그러나 유학자들로 하여금 이 역주의 점술적 성격은 꾸준하게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한편, 조선 후기에는 역서의 보급이 대폭 늘어나면서 민간에서는 월력장 등이 유행하였고 풍흉에 대한 점복과 택일․택방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역서가 보편적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의례 영역에서는 의례 문서 작성과 택일 시 역서가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8세기 역서류(譯書類) 문헌과 왕실(王室) 문헌의 음운변화(音韻變化) -ㄷ口개음화(蓋音化)와 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를 중심으로-

        김주필 ( Kim Joo-ph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2

        18세기 中期와 後期의 譯書類 文獻인 『朴通事新釋諺解』와 『重刊老乞大諺解』, 王室 文獻인 英祖의 『어졔』·『경셰문답』과 正祖의 『倫音』을 대상으로 口蓋音化와 圓脣母音化의 例들을 검토한 결과, 口蓋音化는 譯書類 文獻에서 51.65%와 96.92%로, 王室 文獻에서 8.66%와 88.90%로, 圓脣母音化는 譯書類 文獻에서 23.73%와 5.73%로, 王室 文獻에서 1.19%와 15.07%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고유어(文法形態素와 形態素 境界, 語彙形態素의 語頭와 非語頭)와 漢字語 등 세부 환경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譯書類 문헌과 王室 문헌의 社會的 特性에 기인하는 有意味한 差異가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문헌 부류에 따라 口蓋音化와 圓脣母音化의 확산 과정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國語 音韻變化의 과정에 대한 연구는 社會言語學的 觀點에서 言語 變化의 普遍性과 特殊性을 밝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rveys the frequency of the phonological changes of non-palatal consonants into palatal ones before ‘i’ or ‘y’, and those of non-round vowels into round ones after labial stops in the middle and late eighteenth century. The examples were taken from translation works, Pag-tong-sa-sin-seok-eon-hae(朴通事新釋諺解, 1764) and Jung-gan- no-geol-dae-eon-hae(重刊老乞大諺解, 1795) and royal literatures, Eo-je(어졔, 1760s), Gyeong-se-mun-dab(경셰문답, 1760s) of King Yeongjo's reign and Yun-eum(倫音, 1780s~1790s) of King Jeongjo's reign. T-palatalization rate is 51.65% and 96.92% in the translation works, and 8.66% and 88.90% in the royal literature, respectively. The rate of the changes of non-round vowels into round ones was 23.73% and 5.73% in the translation works, and 1.19% and 15.07% in the royal literature, respectively. The rate remain more or less the same in the particular environments of pure-Korean(grammatical morphemes, morpheme boundaries, initial syllable in a lexical words, and non-initial syllable in a lexical words) and sino-Korea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honological changes between the translation works and the royal literature accord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each sources. It also shows that the diffusion processes of both phonological changes differ in differently categorized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research of Korean phonological changes under the socio-linguistic perspective, consider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surveyed. And the research of the processes of the Korean phonological changes should be done in such a way that it can reveal both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language changes.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민간역서와 달력 시간의 혼종성

        김미화 ( Jin Meihua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0

        같은 달력을 쓴다는 것은 같은 시간질서에 따르고 시간과 관련된 문화적 상징을 공유하는 것이다. 전통시대의 달력은 ‘역서’ 형태였고, 그것의 간행은 국가가 독점했다. 태양력 도입 이후에도 식민지기에 총독부는 전통적인 책자 형태의 역서를 독점간행했다. 해방 이후 역서 출판이 자유화되면서 남한에서는 다양한 민간역서가 대거 등장했다가, 1960년대부터는 명문당과 남산당 두 출판사가 시장을 거의 점유했다. 이들 민간역서는 제사나 택일 등과 관련한 전통적 ‘음력’의 수요에 부응하면서, 매 순간에 다른 의미가 매겨지는 질적 시간관을 온존시켰다. 시계 시간이 획일화되면서 정밀해진 것과 달리, 현대 한국에서 달력 시간은 비동시적인 것들의 공존, 다차원의 혼종성을 보인다. To use the same calendar is to follow the same temporal order and share cultural symbols of temporality. The calendar of the traditional period was created in almanac form, and the state monopolized its publication. Even after the inception of the Gregorian (solar) calendar, the General Government exclusively published official almanacs of traditional desig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ban on the private publication of almanacs was lifted, which led to the popularity of various privately published almanacs emerging in the country. But starting from 1960s, two publishers, Myeongmundang and Namsandang, cornered the market in almanac sales and distribution. The popular almanacs met the needs of those people wishing to perform traditional lunar calendar-related ancestral rites. The almanacs also remained viable for crucial day-selections while preserving a qualitative conception of time. Unlike the uniformity and precision of clock-based perceptions of time, calendar time still allows non-simultaneous things to coexist, and produces multidimensional hybridity in modern Korea.

      • KCI등재

        조선시대 관상감의 曆書 편찬과 인쇄

        박권수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4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process of calendar publica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change of printing method used by Gwansang’gam 觀象監 (The Office for Observation of Natural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opy number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Duksung University of calendars printed in Joseon had increased rapidly up to 380,000 copies after 18th century. With this rapid increase, the printing method for calendar publication was changed. I will explain that many kind of calendar was published and different printing methods were used. I also get in to shape of the process for calendar publishing required more than 1 year in Gwansang’gam. With this explanation, I will show that the wood printing method was used for Ilgwa’ryok 日課曆 (Civil calendar) after 1724 from metal type printing used before. While other calendars like ephemeris for Chiljeon 七政 (Seven heavenly bodies, that is Sun, Moon, and Five planets) and Cheonse’ryok 千歲曆 (Calendars for thousand years) were still printed with metal types until 19th century. I will describe the details of technical aspects of this calendar public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曆書(冊曆)의 간행 과정과 인쇄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관상감에서 여러 종류의 역서를 간행하였다. 역서는 종류에 따라서, 그리고 시기에 따라서 다양한 인쇄의 방법이 사용되었고 또한 복잡하게 변화하였다. 특히 18세기에 접어들면 역서의 인쇄와 배포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유포되었던 日課曆의 발행부수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증가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일과력의 경우 1724년(경종4)을 전후로 활자에서 목판으로 전환되어 인쇄가 이루어졌는데, 목판 인쇄와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들을 질문하고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논문에서는 역서 인쇄의 기술적 문제를 살펴보는 것과 더불어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이루어진 역서 간행의 전체적 과정을 일람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향후 조선시대 인쇄문화 전반에서 역서가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이 어떠하였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