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 논의 진전을 위한 방향 모색

        이하나 효원사학회 2023 역사와 세계 Vol.- No.63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위기감이 교육의 근본적인 변혁을 촉구하는 가운데, ‘역량’은 그러한 사회 변화와 삶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으로서 재규명되고 있다.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차원에서 역사교육 또한 이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나, 특히 초등 역사교육에서는 역량 논의가 사실상 부재했다. 따라서 향후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 논의가 진전되기 위한 기반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 교육에서 역량 논의의 내력과 한계를 점검하고, 역량의 재해석을 제기하였다. 학교 교육에 역량이 도입된 이래 누적된 역량 담론의 틀에서 형성된 현재 우리나라 역량 개념은 본질적 문제의식을 담았던 초기의 연구에 비추어 외부적 논리에 입각한 교육 목표의 설정, 역량과의 관계에서 지식의 소외, 삶 자체에 관한 근본적 고민의 배제 측면에서 맹점을 지닌다. 초등 교육에서 역량 논의 역시 대체로 역량에 관한 이해나 이론적 질문이 배제된 채 방법론적 관심에 치우쳐 전개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국제 사회의 교육 담론이나 초등학생이 겪는 문제를 인식한 연구가 등장하고 있어 ‘역량’이 재정립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삶과 유리된 논의는 교육적 의미를 갖기 어렵고, 역량은 총체성에 따라 범주화된 개별 목표가 아닌 ‘과정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며, 교과교육에서 역량이 실질적 역할을 발휘해야 함을 고려하여 초등 맥락에서 역량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을 별도로 논하는 일은 역사가 초등학생의 삶과 자기 형성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의 지점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고유한 상(像)을 모색한다는 의의가 있다. 그 기반으로서 초등 역사교육을 이루는 두 축인 초등 사회과와 역사과의 역량 논의 검토를 통해 각각 ‘사회적 삶 및 삶과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한 역사적 방식의 문제해결’, ‘역사 지식과 삶의 연결을 위한 역량의 자원으로서 교과 내용의 고민’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은 ‘학생들의 구체적 현재의 삶과 역사를 연결하여 자신이 가진 역사적 자원(지식,기능,가치·태도 등)을 역동적이고 유기적으로 활용하며 다양한 질문들에 대한 역사적 답을 생성해보는 과정의 실현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역량을 기른다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질적으로 전이 및 변화해가는 양상을 통해 이해해야 하며, 역사교육은 삶 속에서 만나는 사회적·역사적 현상과 문제에 관한 역사적 접근, 역사적 자원의 형성, 역량 발휘의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역량 발휘의 동력으로서 정서의 측면과 인간 자체에 주목하는 존재(being)의 문제까지 고민한다면, 현재를 깊고 넓게 이해하고 삶의 문제에 응답하는 총체적인 힘으로서 역량을 논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싱가포르 중등학교 역사 탐구 기반 평가의 운영과 시사점: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 문항을 중심으로

        김수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 적용을 앞둔 시점에서 ‘탐구’에 기반한 수업과 평가를 위해 국외 사례 연구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역사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사 탐구’의 의미와 절차를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 탐구 기반 평가’가 중등학교 졸업자격시험이라 할 수 있는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우선 중등학교 고학년 역사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역사 과목은 어떻게 반영되는가?, 다음으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고학년 역사교육과정에서 역사 탐구란 무엇이며, 역사 탐구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중등학교 졸업자격시험인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의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에서 역사 탐구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으로 싱가포르 중등학교 2013 고학년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에 기반한 수업과 평가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에서는 탐구 질문에 대해 다양한 사료를 기반으로 신뢰성을 평가하고, 비교, 비판, 해석하면서, 과거 사람들의 관점에서 자신의 결론을 내리는 역사 탐구의 경험이 ‘GCE O-레벨’, ‘GCE N(A)-레벨’ 문항에서 단계별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역사지식의 본질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역사교육의 가치가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문항에서 일관되게 구현되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둘째, 학생이 ‘역사 하기’를 통해 역사학 고유의 본질적 사고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도록 내용을 줄이고 사료 기반 사례 연구의 지점과 과정은 교육과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조화된 논술형 문항은 형식면에서 우리나라의 서·논술형 문항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쟁점에 대해 평가하고 판단하도록 하는 문항은 역사적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탐구의 결과로서 역사 글쓰기 수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overseas case study of inquiry-based teaching and assessment, as a preparation for school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cedures of ‘history inquiry’ emphasized in Singapore secondary school history curriculum and to obtain some implications by exploring how ‘history inquiry-based assessment’, which is based on ‘history inquiry’, is presented in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the secondary school gradua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the purpos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First, how is the history curriculum administered in the upper grades of secondary school and how is the history subject applied in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historical inquiry in the history curriculum for upper grades of secondary schools in Singapore, and how is historical inquiry implemented? Third, how is history inquiry evaluated in the humanities(history selection) of the ‘GCE O-level’ and ‘GCE N(A)-level’ examinations, the secondary school gradua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where the Singapore secondary school 2013 upper grade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 humanities (history selection) questions at GCE O-level and GCE N(A)-level were analyzed. The obtaine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based on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was measured based on various sources for the exploratory questions, and an experience of historical inquiry that draws conclus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s of people in the past through comparison,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was implemented step by step in the Singapore GCE O-level and GCE N(A)-level questions. Therefore, the implication was drawn that the value of history education, which i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bout the essence of historical knowledge, is consistently implemented in curriculum, textbooks, and assessment questions. Second, for the students to explore deeply the essential thinking process unique to history through ‘doing history’,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content and reflection of curriculum-based case studies are required. Questions that lead to assessment and judgment on issues suggest the need for history writing classes as a result of inquiry that enables students to answer historical questions.

      • KCI등재

        역사 문해력의 개념과 역사교육과정 적용 - 미국, 영국, 호주 교육과정을 사례로 -

        박선경(Park, Seon-kyeong)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이 글은 현재까지 역사 교육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historical literacy)을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을 살펴보고 이런 관점이 미국, 영국, 호주의 역사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은 크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의 보유, 역사가의 탐구 과정 수행, 역사의식 함양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전통적 관점에서 역사 문해력은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역사 교육 연구가 진행되면서 역사 문해력을 역사 탐구 수행 과정에서 동반되는 역사적 사고나 역사의식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국가들의 경우 문해력을 역사 교육의 목적이나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역량 중 하나로 규정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영국, 호주 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역사 문해력은 공통적으로 역사 탐구 과정에서 작용하는 사고나 기능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미국의 교육과정이었다. 영국의 교육과정에는 역사 지식과 역사 탐구 수행 능력을 강조하는 역사 문해력의 관점이 동시에 반영되어 있었다. 호주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총론에서 제시된 범교과 차원의 문해력을 역사 교과에 통합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이때의 역사 문해력은 역사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구성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다. 현재까지 역사 문해력이 학교 역사 교육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과 변화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역사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 문해력도 대부분 역사 텍스트 읽고 쓰기에 집중되어 역사적 사고 및 역사의식 함양과 관련된 역사 문해력의 요소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는 역사 문해력 개념이 추상적 성격을 가지며, 이를 보는 관점이 다양하다는데 기인한다. 그러나 역사 문해력의 성격을 구체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은 역사 문해력 학습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제시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veral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in the previous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up to now and to look into how these perspectives ar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so far, historical literacy has been largely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having knowledge on historical facts, performing the inquiry process by historians, and cultivating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historical literacy has meant knowing lots of historical facts. However, as studies on historical literacy have been gradually conducted, new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are drawing attention as historical thinking or historical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e countries that have sought the increase of historical literacy as a goal of history education and have reflected it in the curriculum ar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ese countries define literacy as one of the purposes of history education or the capabilities to teach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storical literac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 three countries commonly referred to thinking or skill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is perspective is emphasized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curriculum.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history curriculu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as knowledge of historical facts and the ability to conduct historical inquiry were compromised. In Australia, literacy has been presented as a general capability at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and it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text and construct meaning. In Australia, teachers have incorporated general literacy into a specific curriculum and have taught it to students.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literacy and active theoretical discussions in recent studies o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obvious impacts and changes that affect history education. As historical literacy that is ev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mostly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historical texts, it could not extend the discussion to present elements of historical literacy associated with historical thinking and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curriculum. Because, it might be difficult to define the concept clearly due to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overlapped in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present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consistent effort to clarify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will ha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the content of education on historical literacy and suggesting specific learning method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역사 체험에 기반한 초등 역사교육의 의의와 방향 설정

        김봉석(Kim, Bong Se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1

        초등학생은 일상생활에서 역사를 빈번하게 체험한다. 특히 최근 역사 열풍이라 불릴 정도로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과 통로를 통해 역사를 체험하며, 역사인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체험하는 역사에서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내용을 추출하고 선정하는 내용선정의 개념틀을‘역사 체험’으로 개념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생의 생활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이후 초등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체험하는 역사의 양상을 살펴본 후 실제 수업 사례를 상정하여 학교학습과의 상호소통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체험하는 역사 중에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역사 체험이라는 개념틀로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역사교육과정에 학생들의 생활 경험과 밀접한 내용을 포함시키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현실에 기반한 실제적인 학습내용의 설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공교육의 역사교육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학생들이 체험하는 역사에 대한 학습을 제안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시론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학습방안까지는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를 기대한다.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ten experience history in their daily lives. Especially, there is history frenzy recently. Students experience history through various ways. Therefore, the proportion of history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outside the school accounts for historical awarenes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academia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history that elementary students encountered in their lives as a concept of ‘history experience’. Research progr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diagnose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the necessity of selecting life - oriented learning contents of students was derived. After that, I looked at the aspect of history experience that elementary students encountered in life and then conceptualized it. In addition, after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history experience as a content of learning, I proposed the practical use of history experience by assuming the actual class case. Through this, the meaning of historical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resented. Limitations and points to be considered are then explain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lusive contents of elementary history curriculum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life experiences. Second, practical learning content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learning about history experience of students who did not notice is proposed in history education of public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ed theoretical research. It cannot deal with specific learning methods. In the future, concrete strategies and actualities are needed to include students’ history experience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 KCI등재

        중국(中國)의 현행(現行) 역사과(歷史科) 과정표준(課程標準) 연구(硏究)-『전일제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의 실험고(實驗稿)와 수정고(修訂稿)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복현 중국사학회 2017 中國史硏究 Vol.110 No.-

        中國在1992年中學課程也擴大實行了義務敎育。 因此, 敎育對象大幅擴大, 敎育的內容也必須發生變化. 在這種社會背景下, 於1999年6月在北京擧辦了“第3次全國敎育工作會議”, 表達了對敎學課程的體系和構造及內容進行調整和改革, 確立新的基礎敎育課程體系的意志. 到2001年7月, 頒布了『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准(實驗稿)』, 幷在義務敎育過程中作爲歷史科課程改革的基礎. 此後, 中國敎育部組成了課程標准的修訂小委員會, 從2007年開始著手修訂工作, 到2011年再次頒布了『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准(修訂稿)』. 修訂稿根據改進了實驗稿施行10年中出現的一系列問題的目的, 修改了不少內容. 修訂稿與實驗稿相比, 比較明顯的特點如下. 其一, 是社會主義和愛國主義的强化. 比較一下兩者的前言, 實驗稿說以唯物主義和科學敎育理論爲指導思想, 但在修訂稿說在唯物史觀的指導下,弘揚以愛國主義爲核心的民族精神和以改革創新爲核心的時代精神. 其二, 糾正了在實驗稿中指出的一些不井然有序的問題. 試驗稿的古代史和近代史上,在前面提示內容標准, 後面有各主題的內容, 但在修訂稿把相應內容排列在相應時期. ?外, 還大幅增加了王朝興衰中的不足之處. 其三, 在敎育對象中學生的水平上,省略或改善了認爲有些難以理解或者陳腐的部分. 例如, 爲了區分歷史和傳說而省略了“堯、舜、禹的傳說”, 還有把“漢武帝大統一和對他的評價”部分, 改爲“漢武帝的統治”等內容. 其四, 在敎學課程中改進了缺乏彈性和選擇性的缺陷. 修訂稿通史的提出內容標准的同時, 大幅削減了該項目. 如此, 將實驗稿中的許多內容刪掉, 從而擴大了敎學課程的彈性和選擇性. 其五, 新增了一些實驗稿中不足之處而試圖提高完決性. 比如, 在修訂稿中一律刪除了受到不符合中國實情的評價而代替筆試考試的方法, 而對評價的設計和實施以及結果的解釋與反饋等各階段, 進行了詳細的規定. ?外, 在“課程資源開發與利用”中, 除了旣有的內容以外, “選擇和利用歷史課程資源的原則”上, 重新提出目標性、思想性、精選性及可行性等原則是最好的例子. 像這樣, 實驗稿符合中學生的水平, 努力了轉變死記硬背的學習方式而克服專業化和成人化傾向. 修訂稿是檢驗施行實驗稿的過程中出現的整體問題而收集幷頒布的改善方案後頒布的.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일본초등역사교육에서 나타난 '국가주의'

        김보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4

        이 글의 목적은, 만주사변과 중일전쟁등 침략전쟁의 시기였던 1930년대 일본의 초등 역사교육에서 '국가주의'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었으며, 역사수업에서 실제로 어떻게 가르쳐졌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전시기(戰時期)에 '전쟁'은 미화되어 '팔굉일우(八紘一宇)'의 정신과 '국체의 자각'을 위한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필수적인 것이라고 선전되었고 역사과는 '국가주의'를 주입시키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었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자들은 '국가주의'를 고취시키기 위해 초등역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전쟁'을 미화하기 위한 이론을 만들고 역사수업의 방법등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교과의 편성 및 교과서와 역사과의 수업등도 이러한 '전쟁'의 미화와 '국가주의' 정신에 투철한 국민을 만드는데 일조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있었다. This paper inspected how 'Nationalism' was understood in the Japanese elemtary history-education and how it was actually taught in history class in 1930's which 'the Manchurian Incident'(1931) and 'the Chinese- Japanese War' (1937) occured. The curriculum of history was organized by "KookMinKwa(國民科)" with ethics, Japanese and Geography in the period of 4th State books[KookJungJe4Ki(國定第4期)] .The history textbook was the best tools to imbue the students with patriotism. The students sometimes learned history by teacher who had trained in a military way in an uncomfortable atmosphere. The teacher induced the students to think 'Nationalism' as a indispensable request of wartime. In wartime, 'the War' was beautified and the history-education was used for infusing 'Nationalism' to students inJapan. In this period, the Japanese history-educator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history-education for implanting 'Nationalism' to students. They discussed the theory and the method of teaching history for justifying' the War'.

      • KCI등재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구성 사례의 검토

        김성자(Sungj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사 교사들이 구성한 교사 교육과정의 사례를 바탕으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과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물과 석⋅박사 학위 논문, 단행본에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의 사례를 수집한 뒤, 사례들에 나타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식,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에 따른 교사 교육과정의 구성 형태, 학생의 역사 이해를 고려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은, 교과서를 재조직하는 방식, 역사 교과서의 서사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보다는 교사 자신의 수업철학이나 신념 등을 바탕으로 교사 나름대로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둘째, 역사 교사들은 역사 교과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였고, 역사 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라 교육과정의 모습도 크게 달라졌다. 셋째, 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학생을 고려하는 방식은, 특정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삭제⋅추가하거나 내용 조직 방식을 수정하는 방식,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게 된 학생들의 선행 역사 지식, 역사 인식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학생들의 삶에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이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역사 이해와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based on examples of the teacher curriculum constructed by history teacher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examples of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from research papers, dissertations, and book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n the subject of history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history teacher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teacher s curriculum design method, the form of teacher’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subject and considering the student 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cases. Results First, the history teacher constructed the curriculum in the following way. Reorganizing textbooks,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critical analysis of the narrative of history textbooks, constructing a teacher curriculum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creating a teacher s own curriculum based on teaching philosophy or belief. Second, history teachers formed a curriculum based on their own perceptions of history subjects. Third, when history teachers constructed the curriculum, they considered students in the following way. A method of deleting or adding content or modifying the content organiz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on a specific topic, a method of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prior historical knowledge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gain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utside the classroom, a way to construct the curriculum focusing on meaningful content in the lives of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with a focu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reflection on the teacher curriculum.

      • KCI등재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접점과 간극

        백은진(Baek,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논의가 활발한 민주주의 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기존의 역사교과교육연구들은 주로 민주 시민 양성이 사회과 교육이나 도덕과 교육의 목표이자 과제라고 규정하며 이와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역사교과의 특수성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 사회의 변화는 역사교육계에도 민주 시민 양성에 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역사교육의 목적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에 있음을 강조하는 흐름을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은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역사교 육의 과제로 교수 내용, 교수 방법 등 여러 측면의 변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사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역사적 교훈의 의의를 강조하는 맥락에 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경향들에는 역사적 교훈을 강조함과 동시에 비역사적․ 탈맥락적 이해로서의 현재주의가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교육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역사학의 방법론적 특수성을 놓치지 말아야 할 필요성과 과제를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democratic education which is active in history education. First, the existing history education researches have mainly emphasized the specificity of the history subject. They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the goal and task of social studies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however, have increased the interest in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have led to a trend to emphasize tha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addition, these studies raise the necessity of various aspects such as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s the tasks of history education which contribute to democracy. This tendency i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lesson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these research trends emphasize historical lessons as well as presentism as a de-contextual or non-historical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 the ne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while posing the necessity and task to not miss the methodological specificity of history.

      • KCI등재후보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권경숙(Kwon, Kyung-Sook),배지희(Bae, Ji-Hee),곽승주(Kwak, Seung-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실제로 유치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역사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역사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사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기에 적합한 유아역사교육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전국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357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인식, 현황 및 요구를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부분의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역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유아역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유아역사교육의 방법은 전통놀이를 통한 교육, 문화 유적지 답사, 동화책 활용 등이 적합하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유아역사교육의 실시 현황에 대해 알아본 결과 역사적 지식과 교육방법을 잘 모르거나 역사교육을 위한 자료 및 준비 부족의 이유로 유치원에서 역사교육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역사교육은 특정 생활주제를 다룰 때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치원 교사들은 효과적인 유아역사교육을 위해 역사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 역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교사 직무연수 등을 희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as well as needs experienced by these teachers as they strive to provide appropriate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throughout various areas in Korea. A total of 357 questionnaires from kindergarten teacher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ecause history education fosters pride of the nation in young children’s mind. The teachers mentioned that traditional plays, field trips to historical places, and using children’s history books were appropriat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They felt that they were not able to provide appropriate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ue to their lack of adequate knowledge in history and teaching strategies as well as lack of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for history education. They strongly expressed the needs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for and programs of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They also required in-service training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역사박물관 학예사의 박물관 교육 운영과 실천

        안주홍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본고에서는 역사박물관 학예사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천하는 전 과정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들의 인식과 실천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공과 경력, 개인적 신념 및 경험・흥미, 상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해서 박물관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을 ‘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공과 경력에 따른 차이로 박물관 교육목표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의 큰 틀을 ‘역사교육’안에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수적인 지식을 역사내용지식과 소장 자료에 대한 이해였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역사내용지식은 단순한 역사지식이 아닌 역사학의 기본개념과 원리, 그리고 역사의 학문적 구조와 역사가의 태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었고, 전시물외에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 자료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려고 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기초로, ‘주제중심 학습’과 ‘인물학습’으로 구성했고,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 ‘제작학습’, ‘체험학습’을 적절하게 혼합해서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경력과 전공・박물관 상황적 요인, 개인적 경험과 신념에 따라 이들의 실천 양상은 차이가 있었고, 실제 기획의도와 다르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력과 전공, 박물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몇 가지 박물관 교육학예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다.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박물관의 특성과 경력, 전공을 고려해야 한다. 초임자와 경력자를 구분하고, 교육학 전공자와 아닌 자, 역사계 전공자와 아닌 자,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 박물관의 규모에 따라 교육담당학예사의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 첫째, 초임 학예사들에게는 각 박물관 차원에서 소장 자료 교육이 따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임자들은 자신의 이론적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 왔던 박물관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므로 박물관 차원에서 이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경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 박물관 내부에서 박물관의 정체성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교육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전공자라 하더라도 초임자라면 한 박물관에서 5년 이상 프로그램을 꾸준히 발전시켜온 경력자의 사례를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간접 경험으로 간접 경력을 더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는 학예사는 자주 박물관을 바꾸기 보다는 한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교육프로그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역사학전공자들의 경력은 역사교육전공자의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보완해주기도 한다. 실제 경력자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니지만, 실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교육방법을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이론적 바탕이 없기 때문에 자신감을 표출하지 못했다. 이를 근거로, 굳이 교육학 전공자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닌 사람들도 전문성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자문단을 구성해서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urators of history museums perceived museums and museum education and how curators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urators' perception and practice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urators.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ndividual faith, experience, interest, and museum situation, are revealed in the museum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m. The study participants thought of museum education as a par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purposes they perceived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majors and careers. As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e framework of museum education within ‘history education,’ they regarded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seum collection as necessary knowledge.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they thought of as important included the basic concept and principle of history, academic structure of history, and attitude of historians, not just historic knowledge.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wa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materials the museum possessed as well as exhibits. To realize educational purpose of museums, they wanted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constructed the eduction into ‘themecentered learning’ and ‘figure learning’ based on ‘learners’ development stage’ and used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here ‘lecture method,’ ‘manufacturing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are appropriately mixed. However. their practice aspe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areer, major, museum situa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faith and there were cases that were practiced differently from actual planning intention. Despite the practical efforts of them, they felt difficulties according to career, major, and museum situation. These give some implication about education for museum education curators. In the process of museum re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and career and major of cur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education for curators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f they are beginners or experienced curators, if their major is education or historyrelated or others, if the museum is national or private museum, and if the museum is large or small. First, the beginners should receive separate education for museum collection from the museum. The beginners want to realize the museum education that they have been thinking based on theoretical experience. Therefore, if museums need to suggest new theoretical experience to them, the museums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that enables curators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within the museums. Second, Even if beginner majored in pedagogy, there is a need to share the cases of experienced curators who have steadily developed the programs in one museum for more than 5 years. Through such indirect experiences, they can accumulate indirect career. And education curators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 program for a long time in one museum rather than changing their museum. Also, the museums should make an environment where curators always can receive educational and contentwise advices by constructing an education program advisory panel to steadily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ators who did not major in education rather than persisting with only education majors.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open an education theory reeducation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