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의 경제활동은 출산율을 낮추는가?

        박성훈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2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on fertility rates. To accomplish this, data from 227 municipalities (excluding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in 2021 were utilized, with wages and marriage rates as mediators. Firstl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importance of the aforementioned mediators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wages, marriage rates) is presented. Nex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established,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testing using the bootstrap technique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has a direct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fertility rates, while wages have a negative impact and marriage rates have a positive impact. Secondly, wages do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fertility rates, thus the path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 wages → fertility rates is not confirmed. Thirdly, marriage rates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 fertility rates, indicating that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directly influences fertility rates through the mediation of marriage rates. In summary,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tself increases fertility rates, but it has a negative impact on fertility rates by lowering marriage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실증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21년 227개(세종특별자치시 제외) 시군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급여와 혼인율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에 언급한 선행변수(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와 매개변수(급여, 혼인율)와 출산율의 관계를 검토한 후,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기술통계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시행하며, 매개효과 분석은 부트스트랩 기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출산율에 직접적으로 양(+)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급여에 음(-), 혼인율에 양(+)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급여는 독립변수로써 출산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 급여 → 출산율의 경로는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혼인율은 독립변수로써 출산율에 양(+)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영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혼인율을 매개로 출산율에 음(-)의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자체는 출산율을 높이지만, 혼인율을 낮추어 출산율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유럽의 시간제 근로의 고용 및 실업 효과

        이명숙 ( Myung Sook Lee ),김영만 ( Young Man Kim ),이동임 ( Dong Im Lee ) 국제지역학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유럽의 시간제 고용의 변화에 미친 요인들을 검토하여, 이의 고용 및 실업효과와 나아가서 시간제의 근로조건을 분석한다. 지역별 특징을 보면 남부지역과 영국을 포함한 중북부 지방에서는 시간제 비율이 높고 노르딕 국가에서는 이 비율이 낮은 편이다. 시간제는 여성에게 두드러지는데 유럽의 중북부 지방의 국가에서는 자녀가 있는 여성들은 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로를 선택하고 있는 반면에, 프랑스를 포함한 남부유럽 국가에서는 시간제를 선택하는 여성의 비율도 낮고, 있다 해도 비자발적으로 시간제를 선택하고 있다. 시간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성경제활동 참여율의 증가, 서비스 산업의 확대, 제품 및 노동시장 조건, 임금 및 비임금 비용, 그리고 정부와 노동조합의 정책 및 노동규제 등이 있다. 최근 유럽의 시간제 고용의 증가의 대부분은 산업과 기업 내부에서 시간제 근로자의 이용 증가에 의한 것이며 서비스 부문의 확대에 기인한 산업의 구조조정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시간제의 노동시장 효과를 보면, 신규 시간제 일자리의 근로시간이 전일제와 비교하여 차이가 적다면 높은 생산성 때문에 경제 전반에 미치는 고용효과는 미미하지만, 네덜란드의 실례에서와 같이 추가로 만들어지는 시간제 일자리가 전일제보다 훨씬 짧다고 하면 일자리 나누기 효과가 더 커지기 때문에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실업 효과를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은 나라에서 시간제 고용의 확대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부추기게 되어, 실업 수준을 낮추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determinants of part-time employment which has been upward trends since 1980s, its effects on employment and unemployment and then the working conditions.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part-time work. That is, its proportion in southern part of Europe relatively is high while that in Nordic countries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most of part-time work is likely to concentrate in women. Factors that affect determinants of part-time employment are as follows: a rise in female participation rate, the bulk of part-time employment in the service sector, employer`s personnel policy, products and labour market condition, trade union and government policy, and wage and non-wage cost. These factors also affect work practice and employers` use of flexible working-time arrangement. t is likely that most of the recent increase in part-time employment in the EU have resulted from in the use of part-time workers within sectors and occupations and not simply because of changes in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the economy due to the expansion of service industry which already make high use of part-timers. Labour market effects through part-time work are that if the newly created jobs deviate only from full-time job then the employment effect for the entire economy will be minor because of higher productivity. If,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ally created part-time jobs are much shorter than full-time jobs as in the Netherlands, creation of a larger number of jobs is to be expected due to the stronger sharing of jobs. As far as unemployment effect is concerned, in countries with low female participation rates it is likely that an expansion of part-time work will encourage women to enter the labour market and thus do little to reduce recorded levels 0f unemployment.

      • KCI등재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정성호(Sungho Ch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연구 Vol.48 No.2

        최근 출산력 연구에서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경험적인 수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이후 한국의 초저출산 문제는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고, 출산력 제고는 가장 긴박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한국의 초저출산 현상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청년실업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사교육비의 부담, 양성평등 관념과 사회인구학적 변수로서 초혼연령이 출산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책들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 대한 검토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저출산 대책 역시 단편적으로 추진되어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기존의 정책을 재검토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정부의 구체적인 실천이 중요한 시점이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9 in 2008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age at first marriage, expansion of the gender equity, excessive cost of private education on fertility. The low fertility rate could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unfavorable conditions in society for having and raising children, and also as a lack of confidence in the future. Attention has also been cal led on the cost of child and on the heavy economic burdens laid on couples.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MNC Employees’ Job Engagement: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Factors

        박용석,수몬이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2 국제경영리뷰 Vol.26 No.1

        Flexible work arrangements (FWAs), especially remote work, are in the spotligh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use of FWAs will likely continue long even after the pandemic end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FWAs is also greater than e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WAs by analyzing the effect of FWAs on employees’ job engage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oles of institutional factors, labor market efficienc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WAs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used the “Generations of Talent Study” database collected by Sloan Center at Boston College, the World Economic Forum database, and the World Bank database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total sample included 7,701 employees working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nine countries, the US, China, India, Japan, Brazil, Mexico, the UK, the Netherlands and Sp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FWAs increased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the institutional factors, labor market efficienc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posi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FWAs on job eng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