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봉진,홍상욱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노인들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 70대 노인 239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남자노인이 113명(47.3%), 여자노인이 126명(52.7%)이며, 학력 은 남녀모두 고졸이상이 가장 많았다. 건강상태는 남녀모두 보통인 경우가 많으며, 한 달 평균소득은 남녀 모두 50-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은 자아존중감 3.24, 생활만족도 3.14, 여가활동이 2.79로 나타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점수 3보다 높은 수중이었으며, 여가활동은 평균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았으며, 여가활동은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녀노인 모두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노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에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으로서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개인의 기대와 충족도의 일치에서 오는 생활에 대한 행복감과 만족감으로서의 생활만족을 위해 노년기의 바람직한 여가활동은 노년기의 중요한 활동자원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여가 분야에서 인공지능(AI) 도입의 현재와 미래

        김영재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다양한 인공지능에 대한 알고리즘과 놀이, 게임 분야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배경으로 인공지능 시대를 눈앞에 둔 한국의 여가 분야에 대한 큰 패러다임에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문헌연구에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앞으로 인공지 능 기술의 발전은 우리들의 여가활동에도 영향을 줄 것이며, 이에 대한 변화에 능동적,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I와 여가의 관계를 기존의 개발된 기술력을 사례로 현황과 미래를 예측해보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하여 AI와 여가의 관계에 대하여 전망하였다. 첫 번째 현재 발전하는 AI의 기술력과 다른 분야들의 네트워크를 통하 여 새롭게 연결되어 맞춤형 여가활동 정보를 생성 할 수 있다. 두 번째, 인공지능을 통한 플랫폼 서비스의 혁신이 가져온 개인화(Personalization)된 여가활동 AI 추천 시스템 활용은 많은 사람들에게 맞춤형 여가의 산업에 대한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세 번째 AI 기술력의 인지적 능력으로 새로운 신규 여가 프로그램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 로 AI의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행동에 대한 창의적인 동작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여가 전문가로부터 모션활동 정보를 추출하여 여가활동 참여자들이 효율적으로 동작을 따라 하며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여가활동은 기존의 여가활동 참여자들에게 큰 혼란을 줄 수 있다. 특히 기계가 만든 활동에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대한 부분에 관한 내용이 적용되는지까지 세밀하게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theoretical contents of divers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plays and games in order to predict the direction of a big paradigm of the leisure field in Korea, which is on the brink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develop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influence our leisure activities too in future, and that’s why we need to cope with the change actively and aggressively. This study forecasted the present and future relationship between AI and leisure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cases of developed technology. The study results regarding the predicted relationship between AI and leisure are as follows. First, a new linkage through a network between evolving AI technology and other fields can create customized leisure activity information. Second, the use of personalized leisure activity AI recommendation system brought by the innovation of AI-based platform service will develop the customized leisure industry for many people. Thir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new leisure programs using cognitive capabilities of AI technology. Lastly, AI technology will help in developing creative motions of human behavior. Then motion activity information extracted by leisure experts will enable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to follow and enjoy motions more efficiently. On the other hand, these new leisure activities may highly confuse existing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It is, therefore, required to pay close attention to seeing if eve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related contents are applied to activities made by machine.

      • KCI등재

        중국연변지역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에 대한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철상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유형의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통해서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의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6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의 일반적특성,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분석결과 모든 주요 변인 간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횟수는 4회 이하, 자발적참여, 12시간 미만의 참여시간이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여가활동유형은 공통적으로 스포츠 부분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취미교양 부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한국 청소년 대상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중국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였다.

      • 여가활동을 이용한 자연치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성기,윤기선 한국여가복지학회 2021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여가활동과 병행하여 자연치유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여가활동과 자연치유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여가활동을 이용한 자연치유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가활동을 하는 대상을 토대로 실증조사는 2021년 2월1일∼3월 15일(45일간) 실시하여, 최종 240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성별은 여자, 거주지는 서울, 연령은 60대, 월소득은 200만원이하, 연간 여가활동비용은 10만원이하, 동거상태는 가족, 직업은 생산직, 학력은 대학(전문학사)졸업, 연간참여횟수는 1-2회, 동반자는 단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첫째, 신체적, 사교적, 문화적, 자연적, 정신적 여가활동은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미각적, 신체적 자연치유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신체적, 사교적, 문화적, 자연적, 정신적 여가활동은 공가, 물, 햇빛, 신앙, 마음, 생활습관 등의 자연치유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연에 의한 자연치유는 오감에 의한 자연치유보다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종합하면 여가활동은 자연치유를 높이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여가활동을 주관하는 기관과 진행업체는 자연치유 활성화를 시켜 여가활동의 참여자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여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자연치유와 여가활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여가활동을 통한 자연치유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막연한 여가활동보다는 보다 나은 삶의 만족은 건강에 있다고 보고 여가활동을 이용한 자연치유를 병행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In recent years, as more and more people are doing natural healing in parallel with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natural healing, and conducted a study on ways to activate natural healing using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subjects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15 (45 days), 2021, and the final 240 copi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 gender is female, residence is Seoul, age is 60s, monthly income is 2 million won or less, annual leisure activity cost is 100,000 won or less, living together is family, occupation is productive, education is university Bachelor s degree) graduation,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per year was 1-2 times, and the number of companions was found to be the most group.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social, cultural, natural and mental leisure activities enhance visual, auditory, olfactory, gustatory, and physical natural heal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social, cultural, natural, and mental leisure activities enhance natural healing such as public space, water, sunlight, faith, mind, and lifestyl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natural healing by nature had a higher effect than natural healing by the five senses. Taken together, leisure activities can be viewed as activities that enhance natural healing. It is understood that the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 charge of leisure activities can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leisure activities by activating natural healing. As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interest in leisure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 way to increase natural healing and leisure activities is to activate natural healing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considers that better life satisfaction is in health rather than vague leisure activities, and suggests a way to combine natural healing using leisure activities.

      • 작업치료 관점에서 살펴본 노인여가활동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이가현 ( Lee Ga-hyeon ),이혜진 ( Lee Hye-jin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6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가활동의 전반적 현황에 대한 고찰, 문제점 도출, 한국의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검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노인 여가활동의 발전방향을 작업치료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인 여가활동의 현황 및 작업치료 분석을 기반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노인 여가활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하루 생활시간 중 여가시간은 1/3정도를 차지하였다. 여가의 참여 목적은 즐거움, 건강, 마음의 안정과 휴식이었고, 선호 유형은 사회 및 기타활동이 가장 높았다. 국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는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영향이 있거나,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노인여가활동의 문제점은 노인여가활동에 대한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현재 부족하고, 도시와 농촌의 여가활동의 차이가 크며 노인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네트워크가 부족하다고 분석되었다.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추후 발전을 위해서 여가문화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어야 하며, 다양한 평생학습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다양화를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결론 한국의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질 높은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노인여가활동에 관한 관심도는 증대하였지만, 아직까지 여가활동과 관련한 지역사회 시스템이나 다양한 영역의 활성화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한 연구 및 조사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노인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한국 노인들의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 높은 삶의 질과 건강을 영위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작업치료 등의 서비스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s about the present situation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And to recognize a direc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for the elderly actuality of our country. Methods : We reviewed literature of Leisure activities in Korea. And We found Leisure activity`s current situation problem for the Elderly o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Than, We offer future directions of Korean Leisure activity for the Elderly. Results : Korean Elderly`s Leisure activity in living time is occupied one thirds. The purpose of Leisure is fun, health, rest and peace of mind. Best reference of Leisure activity is "Social and other activity". In Korea literature, Leisure activity for Elderly has meaningful influence or high relation in Life satisfaction. The problem i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is that The leisure activity has low diversity and People`s low recognition. For promotion of Leisure activity for Elderly, Improve social recognition. Make diverse Senior program, and Need support of Community. Conclusion : Nowaday, we are focus on Elderly`s quality of life. But Korea`s actual system is insufficient. We need more study for Leisure activity promotion appropriate in Korea. For elderly`s high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in community and home environment, Diverse service includ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need to activate.

      • KCI등재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분석 : 1인미디어 활용자의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황윤미,윤소영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4 No.3

        온라인상에서의 개인 출판물, 개인 방송물을 뜻하는 1인미디어는 인터넷시대의 새로운 형태의 소통수단이자 여가활용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1인미디어 사용자의 특성 및 여가인식, 그리고 1인미디어로 표현되는 여가활동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경향을 형성하게 된 요인들과 영향들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가사례 온라인 공모전’ 응모작사례(670점)와 ‘여가인식조사’자료(56점)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자신의 여가활동을 1인미디어로 표현하는 활동은 20․30대, 여성의 참여율이 가장 높았으며, 1인미디어 사용자는 여가를 대부분 여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인미디어에 나타난 여가활동은 개인중심 여가활동, 관광지향형 여가활동, 체험형 여가활동의 경향이 강했으며, 이러한 여가활동은 동반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여성 노인의 건강 지위, 사회적 지위와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조경욱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노인복지연구 Vol.0 No.27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aged women's leisure activities by surveying aged women residing in the Jeonbuk province. Specifically, the study inspects the effects that social supports factors have on the extent to which old women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by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First, the majority of old women spend their free time doing passiv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reading the newspaper, or chatting with friends or neighbors. Second, the lower old women's age is, the more schooling they received, and the higher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rength they have, the more frequently they join leisure activities. Third, social supports most greatly influen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ged women in leisure activities. It indicates that social supports and networ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der to encourage old women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First, current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newly approached from gender-cognitive perspectives when developing policies to promote old women's leisure activities. Second, easily accessible leisure an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in oder to allow elderly women in poor health or from the low-income brackets to take part in leisure activities. Third, a network of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 oder for social supports and networks like families, neighbors, and friend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women in leisure activities. 본 연구는 전북지역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성노인의 연령, 학력, 경제 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지위, 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지 등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뒤,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사회적지지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04년 10월 중에 전북지역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지역표집과 집락표집을 병행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는 445명의 응답자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TV나 신문보기, 친구나 이웃과의 담소, 집안일 보기 등 소극적인 활동이며, 지역사회활동, 노인대학 및 노인교육, 봉사활동 등 자기개발형 혹은 사회참여형 여가활동 참여 비율이 매우 낮다. 둘째, 여성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 상태와 건강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여가활동 참여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가운데 사회적 지지도가 가장 설명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를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노인들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위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1)여성노인의 여가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있어서는 남성중심적인 여가활동을 성인지적인 관점으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2)여가활동에 제약이 있는 저소득층 노인이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들이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인들의 여가시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여가 및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3)가족, 이웃, 친구 등의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가 여성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로 유도하는 매개체가 되도록 연대와 참여를 통한 네트워크형 여가활동 만들기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상여가의 유형을 통한 노년기 만족도 고찰

        이명규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은퇴 노년기 여가활동 실태와 여가활동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인구학적 요소들과 여가활동에 대한 적응이(APORLA) 은퇴 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시켰다. 여가활동 참여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추출된 20가지의 여가 활동들을 Compton, Edginton과 Hason(1980) 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7가지 타입으로 분류 하였으며 안정성, 지속성, 그리고 예측성을 위한 신뢰도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수집된 데이터를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원배치 분산분석, 카이검정, 가변수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감소, 지속, 증가의 순으로 여가 활동유형(APORLA)을 나누었을 때 7가지 모든 여가 타입에서 지속성이 가장 뚜렷한 유형으로 나왔다. 전체 은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7가지 여가 타입의 APORLA와 사회 인구학적 요소를 가지고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여가 활동의 적응 유형요소들이 사회 인구학적 요소들 보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영향력을 보였고 3 가지의 APORLA의 유형 중 야외 활동의 감소가 은퇴 생활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보였으나 야외 활동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여가타입에서는 모두 지속형을 보였다. 이것은 은퇴 후 여가활동의 지속성이 은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은퇴 생활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 사회 인구학적 요소 중 교육이 여가활동의 적응 유형(APORLA)과 가장 많은 상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것은 교육을 통한 여가적응유형의 전면적 변화와 은퇴 생활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향방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청각장애대학생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권순우 ( Soon W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 및 여가활동 제약 요인을 규명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여가활동 지원 방안과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별면담과 심층면접을 통해 여가활동의 실태와 제약 및 지원방안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청각장애대학생 4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여가활동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들의 여가활동을 제약하는 요소로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간적 제약, 경제적 제약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약 요소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친구 또는 수화통역사의 도움을 받으며 해결하였고, 시간적 제약은 주말을 통해 해결하였으며, 경제적인 제약은 씀씀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대학생들의 여가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휴식적인 만족, 신체적인 만족, 사회적인 만족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활동 참여로 인하여 공부할시간이 부족하여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이 다소 미친다고 하였다. 넷째, 여가활동 지원 방안으로 ①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확충, ② 고비용의 여가생활에 대한 비용부담 절감, ③ 여가활동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 부여, ④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 ⑤ 여가활동을 위하여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 선정, ⑥ 장애인 저소득 가정에게 여가활동을 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recre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constraints to recre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reby providing measures for appropriate support of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oundational data required to develop recreational activities program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re participating in various recreational activities and enjoying university life by spending their time on recreational activities. Second,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and time and economic constraints were determined as main factors to limit recre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difficulty of communication was overcome by aid of friends or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ile time constraint was resolved through doing activities in weekend and economic constraint was overcome through spending frugally. Third, recreational, physical,and social satisfactions were determined as the main factors to continue their recreational activities. However, subjects concerned the negative effect of recreational activities on their study due to the lack of study time. Fourth, as support measures for recreational activities, 1) expansion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participated regularly, 2) reduction in high cost for recreational activities, 3) providing a wide range of recreational activities, 4) providing programs that can be shared by non-disable and disable persons together, 5) selection of places that can be accessed easily for recreational activities, and 6) financial assistance to recreational activities for low income families.

      •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 국제보건미용학회 2019 국제보건미용학회 학술컨퍼런스 Vol.2019 No.06

        최근 일과 개인의 삶의 균형을 맞추는 여가문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활동이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확보를 위해 여가문화에 대한 복지대책을 중요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 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으로 종사자들의 조직태도를 높이고 노동생산 성증가와 이직률 등을 낮추어 우수한 인재확보와 서비스질 향상으로 미용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권), 부산(경남권)지역의 미용서비스 종사자 4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 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 유무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 지원을 받는 경우 직무만족과 조직몰 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가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구성 개념들 간에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 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여가활동 지원만족 은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 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금껏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들은 직장인의 개인 여가활동과 집단 여가 활동 등으로 다양한 부분에서 조사연구 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에서 여가활동을 지 원하여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로써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 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의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영향관계가 검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결과를 얻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미용서비스 산업은 기계의 힘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인적자원의 산업으로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하나의 상품이 되므로 종사자의 직무에 대 한 직무태도는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 하여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가 높아져 고객만족과 경영성 과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