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봉진,홍상욱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노인들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 70대 노인 239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남자노인이 113명(47.3%), 여자노인이 126명(52.7%)이며, 학력 은 남녀모두 고졸이상이 가장 많았다. 건강상태는 남녀모두 보통인 경우가 많으며, 한 달 평균소득은 남녀 모두 50-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은 자아존중감 3.24, 생활만족도 3.14, 여가활동이 2.79로 나타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점수 3보다 높은 수중이었으며, 여가활동은 평균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았으며, 여가활동은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녀노인 모두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노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에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으로서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개인의 기대와 충족도의 일치에서 오는 생활에 대한 행복감과 만족감으로서의 생활만족을 위해 노년기의 바람직한 여가활동은 노년기의 중요한 활동자원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한진오,정득,이종석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of Korea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is an effort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influences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 entitled 「The 2018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of Korea」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sed. The target subjects chosen were 2,973 persons (1,705 males, 1,268 females) who were aged over 19 and had experienced using public leisure facilities. Along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schooling level, income level, and region),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weekly 5-day work system, weekly working hours, and happiness level) were controlled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on leisure policy gave positive(+) influences. In addition, Path Analysis proved tha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 impact of satisfaction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o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related leisure policy,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quality of Korean people’s life, must go hand in hand to enhance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public domain, policies and PR measures should be arranged for the minorities and isolated groups to enhance their accessability to public leisure facilities or leisure programs within their life zone. Furthermore, this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leisure life satisfaction,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by establishing leisure polic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a given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여가정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고, 공공여가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의 2,973명(남자 1,705명, 여자 1,2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지역)와 함께 근무환경변수(주5일제, 근무시간, 행복수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한 결과, 공공여가시설만족도와 여가정책만족도는 여가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양(+)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정책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공공여가시설과 관련 여가정책이 병행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가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개선과 함께, 다양한 여가시설, 질 좋은 여가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취약계층이나 소외계층의 생활권 내 공공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과 홍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여가생활만족도의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민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정책 수립으로 공공여가시설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급노동·가사·돌봄·여가 시간사용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효과를 중심으로

        주익현(Joo, Ik Hyun),주이화(Joo, E-Wha)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승인통계자료인 201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분석해서 20세 이상 60세 미만 맞벌이 부부의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본인과 배우자의 유급노동, 가사, 돌봄, 여가 시간이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아내와 남편, 맞벌이 여부, 주말 여부를 고려해서 표본을 8개의 집단으로 나눠서 OLS 회귀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아내와 남편 모든 집단에서 본인의 시간부족감, 삶의 만족도, 가사분업만족도, 배우자의 여가만족도가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모든 아내 집단에서 돌봄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졌다. 셋째, 일부 집단에서는 운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지금까지 주목을 받아오던 소득이나 노동 또는 여가시간의 총량보다는 심리적인 만족도나 여가활동의 세부 종류에 따라 여가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이다.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득이나 여가시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가사분업만족도 등의 심리상태를 고양시키거나 체육시설 및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finding what factors affect 20-60 aged couples" leisure satisfaction by analyzing Korean Time Use Data 2019. The hypothesis was paidwork, housework, carework, leisure activities ha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for classfying gender, dual earner and survey day.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ound three facts. First of all, personal time pressure, life satisfaction,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spouse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all groups. Second, carework has nega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all wife groups. Third, physical activities have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some groups. Theoretical implication was the important thing is not house income or amounts of total labour time but what leisure activity we do and how we use our time. Substantive implication is that we should increase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or set up sports facility in order to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여가만족도와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태경,윤지아,강인순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여가만족도와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Y시 소재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23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여가활동 특성, 여가만족도, 소진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여가만족도 는 하위영역 중 긴장이완 요인이 가장 높았고(16.57±2.68), 소진은 신체적 소진(23.50±3.42)이 가장 심하였다. 여가만족도는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r=.16, p=.013)를,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r=-.19, p=.003)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 관련요인으로 소진(β=-0.68, p<.001)과 응급실(β=-0.12, p=.014) 근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전체 설명력은 47.0%이고 이 중 소진이 44.0%를 차지하였고 설정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2.26,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를 향상시 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임상간호사 직무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and burnout on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leisure-related characteristics, leisure satisfaction, and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For leisure satisfaction, the relaxation factor(16.57±2.68)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domains, and physical exhaustion(23.50±3.42) was the most severe for burnout. Leisur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16, p=.013),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burno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19, p=.003). As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burnout(β=-0.68, p<.001) and ER(β=-0.12, p=.014) were found,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7.0%, of which 44.0% was burnout. The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F=52.26, p<.00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plan to improve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is needed to reduce burnout. Through this, we aim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의 관계연구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남승미,홍상욱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3

        현대의 중년여성은 자녀양육과 독립, 노부모 부양 등으로 중년여성 자신의 삶에 대 한 자신감과 상실감을 경험하고 행복추구를 위한 여가활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자아탄력성, 여가만족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여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D광 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40~64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7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 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여가활동, 자아탄력성, 여가만족도의 세 변인의 독립성과 관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산출해 본 결과, 여가활동, 자아탄력성, 여가만족도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 났다. 그리고 여가활동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여성의 여가활동은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가활동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 본 결과, 자아탄력성이 여가만족도에 정적으 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중년여성의 여가활동은 여가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탄력성 을 매개로 하였을 때 여가만족도는 더욱 커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여가활동이 중요성 이 강조되는 중년여성의 여가만족도에 자아탄력성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중년기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여가문화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odern middle - aged women are expected to experience self - confidence and loss of their lives and to have leisure activities to pursue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by setting leisure activities, ego - resil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 - aged women as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middle - aged women in their 40s to 64s living in D metropolitan city, and 374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Sobel-test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leisure activity, ego - resil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on leisure satisfaction, it shows that there is a meaningful static direct effect.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showed that ego - resilience had a statistically indirec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were verified. Although leisure activities of middle - aged wome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it means that satisfaction of leisure is increased when mediating ego – resilience.

      • 노인들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백종욱,김성오,김미양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0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1

        2008년 5월1일부터 7월 30일까지 3개월간 60세 이상 노인 522명을 대상으로 노인여가시설 이용자의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요약과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자는 성별은 남자노인이 43.7%, 여자노인이 56.3%였고, 현재 이용 프로그램의 시행기관에서 '노인복지회관'이 38.2%로 가장 높았다. 현재 참여 중인 프로그램의 비용조달 형태에서 '본인 수입조달'이 55.1%로 가장 많았고, 현재 참여 이용 중인 프로그램 참여기간에서 '8개월 이상'이 38.0%로 가장 많았다. 현재 참여 중인 프로그램의 참여동기에서 '친구들 권유'가 42.4%로 가장 많았고, 현재 이용 중인 시설에서의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그저 그렇다'가 67.0%로 가장 많았다. 소일형 여가활동 참여에서 조사대상자의 95%가 소일형여가 중 라디오청취나 TV시청에 참여하고 있으며, 취미문화형 여가활동 참여에서는 경제상태가 높을수록 취미문화형 여가활동 참여가 많았다. 사회단체형 여가활동 참여에서는 경제상태가 높을수록 사회단체형 여가활동 참여가 많았다. 여가생활 참여만족도에서는 연령에서는 75세 이상 3.38점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여가생활 참여만족도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만족도에서는 현재 경제 상태에서는 매우 넉넉한 편 3.03점으로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았으며,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는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성별, 동거형태, 결혼상태, 건강상태, 월수입, 현재 이용시설의 프로그램 만족도, 사회단체형 여가활동 참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성별, 동거형태, 사회단체활동 여가활동 참여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진 ( Dong Jin Lee ),강미경 ( Mi Kyung Kang ),유가효 ( Ka Hyo Yo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에 따라 알아봄으로써 장애인의 생활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정도는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언어장애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장애인의 생활만족수준은 어떠하며 장애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장애유형별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로 장애인종합복지관, 시각장애인협회, 농아인협회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장애인의 전체적인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며, 이 중 TV보기처럼 소극적 실내활동의 참여수준이 가장 높았고, 적극적 신체활동과 관련된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참여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장애인의 생활만족은 인간관계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경제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장애유형별로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체장애인의 경우 정적인 여가활동만이 인간관계만족도, 일·직업만족도, 사회여가만족도, 행복감,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사회참여 여가활동만이 일·직업만족도, 경제만족도, 사회여가생활만족도, 행복감,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여행관련 여가참여는 인간관계만족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언어장애인의 경우 정적여가활동이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문화예술적 여가활동이 사회·여가활동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the handicapped in leisure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variation depending upon their disability type.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survey the handicapped people in Gyeo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andicapped respondents participated very inactively in general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disability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overall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mong groups. Secondly, handicapped respondents felt satisfied most at 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st at financial conditions. Depending on disability type, it was found that audial and verbal disability group felt highest satisfaction at their daily life, which was followed by mental retardation group, visual disability group and brain disability group. Thirdly,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only static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work/occupation, social leisure, sense of happiness and autonomy/self-esteem. For the adults with brain disability, only leisure activities of social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occupation, financial conditions, life of social leisure, sense of happiness and autonomy/self-esteem. For the adults with visual disability, tourism-related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And it was found that recreational leisure activitie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financial conditions, social and leisure life, and the sense of happiness. For adults with audial and verbal disability, static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autonomy and self-esteem.

      •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철진 광신대학교 출판부 2015 光神論壇 Vol.25 No.-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에 따라 알아봄으로써 장애인의 생활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프로 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장애인의 여가 활동참여정도는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 언어장애 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장애인의 생활만족수준은 어떠하며 장애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장애유형별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로 장애인종합복지관, 시각장애인협회, 농아인 협회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상 장애인의 전체적인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며, 이 중 tv보기처럼 소극적 실내 활동의 참여수준이 가장 높았고, 적극적 신체활동과 관련된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참여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생활만족은 인간관계만족도가 가장 높았고,경제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 유형별로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체 장애인의 경우 정적인 여가활동만이 인간관계만족도, 일·직업만족도, 사회 여가만족도, 행복감, 자율성, 자아감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사회 참여 여가활동만이일, 직업만족도, 경제만족도, 사회여가생활만족도, 행복감, 자율성, 자아감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여행관련 여가참여는 인간관계만족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언어장애인의 경우 정적여가활동이 자율성, 자아감만족도에, 문화예술적 여가활동이 사회·여가활동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the activities established in the program can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looking out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o do this, first, what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tardation, brain lesions, visual, auditory.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language disorder type? Second, life satisfaction level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her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How? Third, the type of activities disabilities participate What are th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Study problems with Disabled Welfare Center, Association of the Blind, the Deaf Association of Disabled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study. Results of the study were overall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vels of the target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low, TV view of this as a passive-house level of participation was the highest activity, active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activities Participation levels are very low, fault typ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ies involved it was significant. Second,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highest, economic satisfaction was lowest,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ailu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relatively high level. Third,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disabilities by type of verifying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a handicapped satisfaction only static leisur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ork. Job satisfaction, social leisure satisfaction, happiness, autonomy. Jaahgam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case of brain lesion with disabilities Leisure Activity Date manyi social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community leisure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utonomy. Jaahgam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ravel leisure involv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ly relationship satisfaction, hearing static leisure activities if the autonomy of language disabilities. The jaahgam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cultural artistic sodety.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tic recreation satisfaction.

      • KCI등재

        COVID-19 대유행 전·후의 친수 레저시설을 이용한 여가행동에 관한 연구

        허중욱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users' use of leisure facilities using water-friendly leisure facilities on leisure satisfaction. Using the 2019 social survey and 2021 social survey statistical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y users was confirmed. In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set as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s input in step 1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years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household ), social class perception, etc. The variable input in the second stage as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times of leisure facility use, and each leisure facility is a beach, hot springs and spas, and swimming pools including water parks. As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as a result, a causal relationship was generally confirmed. First, female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compared to males. This shows that 2019 and 2021 are pointing in the same direction. Second, ag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gree of education was found to change in the positive direction (2019) and negative direction (202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Fourth, monthly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acility use and leisure satisfaction. Fifth,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leisure facilities affects leisure satisfaction in a positive direction for social class. Sixth,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activities using beaches, hot springs and spas, and swimming pools including water parks as leisure facilities have an impact in the same direction as leisur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leisure participants using beaches, hot springs and spas, and swimming pools including water parks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as they participate more in leisure activities. 이 연구는 친수 레저시설을 이용한 이용자의 여가시설 이용이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조사한 2019년 사회조사와 2021년 사회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레저시설 이용자의 레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레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종속변수를 여가 만족도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로 1단계에서 투입된 변수는 인구통계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년수, 월소득(가구), 사회계층 인식 등이다. 독립변수로 2단계에서 투입된 변수는 레저시설 이용횟수로 각 레저시설은 해수욕장, 온천과 스파, 워터파크를 포함한 수영장 등이다. 여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인구통계적 특성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양자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대체로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첫째, 성별은 남성=0, 여성=1로 값을 처리하여 남성에 비하여 여성이 여가 만족도에 부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2019년과 2021년이 동일한 방향으로 부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령은 레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가 만족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육정도는 레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정의 방향(2019년), 부의 방향(2021년)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2019년 통계자료에 근거해 볼 때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레저시설 이용은 여가 만족도를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2021년 통계자료에 근거해 볼 때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레저시설 이용은 여가 만족도를 감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월소득은 레저시설 이용과 여가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은 월소득이 증가할수록 레저시설 이용이 여가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계층은 레저시설 이용이 여가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회계층 인식이 증가할수록 레저시설 이용이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 방향으로 더욱 강화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레저시설로써 해수욕장, 온천과 스파, 워터파크를 포함한 수영장 등을 이용한 여가행동은 여가 만족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해수욕장, 온천과 스파, 워터파크를 포함한 수영장 등을 이용한 여가 참여자는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여가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국내 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실증연구 -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광훈,박봉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여가활동 특징들을 토대로 여가만족도를 분 석함으로써 유학생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인지역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여가활동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유학생 18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166명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자료처리에 유효한 설문지는 161부 였다. 조사도구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 특성, 여가만족도를 측정 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총 30문항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한 자료 처 리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에서 집단 간 여가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 는 변인은 ‘교육수준’이었다. 사회·정서적 만족과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의 요인 에서는 석사과정생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교육적 만족의 요인에서는 언어연수생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여가활동의 특징에서 집단 간 여가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 이는 변인은 ‘여가동반자’였다. 특히 한국인 외 동반자 빈도는 한국인 포함 동반자 빈도의 4배 이상의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여가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한국인 포함 동반자의 여가만족도의 평균이 훨씬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 과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가 단순히 몇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which 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leisure activity among Chinese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comprises surveys, conducted with 161 quantitative subjects from Chinese students in Kore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general feature of participants, it was surveyed that educational standard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different groups. Graduate students for a Master’s degree have the highest average at soci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aesthetic satisfaction. Research students who are learning language have the highest average at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ly, from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t was surveyed that leisure companion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different groups. It is resulted that frequency of companions except Korean are 4 times more than frequency of companions including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