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

        유경한(Kyung Han You) 문화방송 2015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4

        케이블 종합편성채널의 등장과 더불어 뉴스, 엔터테인먼트와 결합된 혼종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장르들이 최근 급격한 관심과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에서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Satire TV)과 같은 혼종 엔터테인먼트의 정치사회적 효과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정치적 효과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정작 이러한 프로그램 시청에 미치는 정서적·인지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혼종 프로그램 장르가 정서적 정보(affective information)를 제공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즐겨 보는 수용자들이 어떠한 심리적·인지적 동기와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요인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엔터테인먼트 욕구, 감정적 정향, 타인의 관점 취하기의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우선 엔터테인먼트 충동성 욕구와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공감능력은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호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남성), 엔터테인먼트 욕구 중 충동성, 타인의 관점을 취하는 공감능력이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호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시청자들에게 의도하지 않은 정치적 정보습득과 참여의 기회를 줄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일정 부분 지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최근 종합편성채널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혼종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둘러싼 몇 가지 주요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ese days, blended programming in the form of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has risen in popularity led by cable television networks. In response to such popularity, media scholar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However, while there is tremendous research exploring the role of such programming within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who and why watch such TV shows. Thu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ndividuals" affec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watch such TV shows.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sheds light on three factors: Need for entertainment, affective orientation and perspective-taking tendency. The findings showed that people who watch political entertainment (satire) TV shows reported greater need for entertainment (especially, need for drive) and perspective-taking tendencies than those who did not watch such TV show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lso confirmed that greater need for drive, and greater perspective-taking tendencies led to greater preference on these TV show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male viewers were more likely to watch these shows than female viewers.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통한 동영상 시청 환경에서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재민(Jaemin Song),김동연(Dong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스마트기기의 대중적인 보급은 사람들의 사회활동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사람들은 동영상 시청 등 여가 생활에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하여 동영상 시청 환경요인(예. 화면 크기 및 동영상 길이)과 개인적 성향 요인(예. 성별 및 엔터테인먼트 욕구)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이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른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66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기기 화면이 커질수록 이용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그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동영상의 길이 또한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엔터테인먼트 욕구는 이용 태도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영상 시청 환경 요인과 개인적 성향 요인을 고려하여 제품 개발과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합한 최적화된 고객 마케팅 및 경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has made a lot of changes in overall social activities. In particular, people use various types of smart devices in their spare time, such as watching video clip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using such de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ideo viewing environmental factors (e.g. screen size and video length) and personal factors (e.g. gender and need for entertainmen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o use devices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660 users having different smart devices, the attitude to use smart devices is more positive as the screen size increases, but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addition, while the length of video clips does not affect the attitude to use, the need for entertainment positively affects the attitude to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it can be used for optimized customer marketing and management strategy that integrates product development and video content production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video view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 KCI등재

        광고 신념과, 태도, 그리고 회피에서 수용자 성향의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 모형 검증

        정세훈(Se Hoon Jeong),염정윤(Jung Yoon Yu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폴레이와 미탈(Pollay & Mittal, 1993)의 광고태도모형을 기반으로 광고에 대한 신념이 수용자의 성향에 의해 조절되고 이 효과가 광고태도에 의해 매개되어 광고회피로 이어지는 조절된 매개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서베이를 통해 세 가지 광고에 대한 신념(정보, 오락, 그리고 사회적 이미지)이 세 가지 성향(인지욕구, 오락욕구, 그리고 자기감시성)에 의해 조절되어 광고태도를 매개로 광고회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정보관련 신념과 인지욕구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Based on Pollay and Mittal`s(1993) model of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his study proposes and tes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beliefs about advertising affect avoidance of advertising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advertising(i.e., medi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varies by personality traits(i.e., moderation). A survey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ree beliefs about advertising(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social image) and three corresponding personality traits(need for cognition, need for entertainment, and self-monitoring), and how these factors affect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ad avoidance. We fou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nly for information beliefs and need for cognition, which had an immediate interaction effect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a subsequent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 KCI등재

        Predictors of Online Information Search : User Factors and Media Factors

        Se-Hoon Jeong,Yoori Hwang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온라인 정보 검색은 이용자 개인적 요인과 미디어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용자 요 인은 인구통계학적 속성과 심리성격 요인을 포함하며, 미디어 요인은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노출 (TV, 오디오, 인쇄매체)과 멀티태스킹 (TV-인터넷, 오디오-인터넷, 인쇄매체-인터 넷)을 포함한다. 이용자 요인 중에는 교육수준과 인지욕구가 뉴스 관련 정보검색을 증가시켰 다. 미디어 요인 중에는 인쇄매체와 인쇄매체-인터넷 멀티태스킹이 뉴스 관련 정보검색을 증 가시키고, 오디오-인터넷 멀티태스킹은 제품 관련 정보검색을 증가시켰다. Information search on the Internet may vary by user factors as well as media factors. User factors include demographic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le media factors include exposure to other traditional media (e.g., television, audio media, and print media) and multitasking (television-Internet, audio media-Internet, and print media-Internet). Among user factors, education and need for cognition were positive predictorsof news-related search. With regard to media factors, print media use was a positive predictor of news-related search and product-related search, print media-Internet multitasking was a positive predictor of news-related search, and audio media-Internet multitasking was a positive predictor of product-related search.

      • KCI등재

        Predictors of Online Information Search: User Factors and Media Factors

        정세훈,황유리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Information search on the Internet may vary by user factors as well as media factors. User factors include demographic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le media factors include exposure to other traditional media (e.g., television, audio media, and print media) and multitasking (television-Internet, audio media-Internet, and print media-Internet). Among user factors, education and need for cognition were positive predictorsof news-related search. With regard to media factors, print media use was a positive predictor of news-related search and product-related search, print media-Internet multitasking was a positive predictor of news-related search, and audio media-Internet multitasking was a positive predictor of product-related 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