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상규의 <악령의 늪>과 도스또예프스키의 <악령> 비교 연구

        송주현(Song Juhyun)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연구는 최상규의 <악령의 늪>(1994)과 도스또예프스키의 <악령>(1871-1872)을 비교‧고찰한다. 두 작품은 광풍과도 같은 이데올로기와 사상, 사회와 정치의 희생물이었던 한 개인이 그 악령과의 외로운 결투를 벌이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된 서사의 줄기를 갖는다. 이들은 분열된 주체의 다양한 모습과 분신의 실험을 통해 우리의 합리적 이성이 만든 세계, 혹은 인간이 구축한 사상의 체계를 조롱하고 비판하며 그에 저항한다. 그 귀결점이 한 작품은 ‘성장’의 서사로, 또 한 작품은 ‘비극’의 서사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 과정은 매우 비슷하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기동일성에 대한 회의와 분신들의 실험으로 나타났다. 이때 여성들은 절망과 폭력의 세계에 대한 구원의 가능성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성과 난해함을 이유로 연구의 사각지대에 존재하고 있었던 두 작품의 의미와 그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Swamp of Devils (1994) by Choi Sang-gyu with the The Devils (1871) by Dostyevsky. The two works deal with the story of an individual who was a victim of ideology, society and politics, like a storm. They have a common narrative in that they are lonely duel with the devils. They experiment with various aspects and divisions of the divided subject. Through this, we criticize the world created by our rational reason and the system of thought built by man. As we follow the flow of narrative, one works in different directions as a narrative of growth and another as a narrative of tragedy . The process is very similar. Specifically, it appeared to be an experiment of meetings and exorcisms about self-identity. In the process, women acted as possibility of salvation to the world of despair and viol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e meaning and correlation of the two works which existed in the blind spot of the study because of the experimental and the difficulty.

      • KCI등재

        차라투스트라의 “중력의 악령”과 전경린의 ‘황진이’

        이주향 한국니체학회 2012 니체연구 Vol.21 No.-

        Die Schwere ist die heranziehende Kraft. Als Nietzsche über den Geist der Schwere abgab, ist sie nicht die physische Kraft, dass die Erde Dinge innerhalb der Atmosphäre heranzieht. Sie bedeutet die Wertmaßstäbe zum Guten der letzten Menschen, die dem Instinkt des Haufens folgen. “Die Schwere” ist gerade etwas Starkes, von dem der Mensch nicht entkommen kann. “Der böse Geist”ist darum etwas, den menschlichen Willen gefangen zu nehmen, zu schütteln,und auszutilgen. Nietzsche bezeichnet die ihre Willen verlierenden Menschen wegen der Zauberei der Schwere als die sklavischen. Sie sind keine souveränen Individuen. Wenn das Instinkt der zwerghaften Tugend unterworfen wäre, würden das Gefühl und der Erkennis von einer Krankhaft befallen. Deswegen ärgert sich Nietzsche über der heuchlerischen Gemeinschaft. Wie sie domestiziert den Wolf zum Hund, diszipliniert sie den Mensch, sich zu verhalten und sogar zum nützlichen Vieh zu werden. Aus diesem Grund ist die Frage dringlich: Wie können wir von Selbst leben, nicht von dem Geist der Schwere gefangengenommen zu werden?Kyung Rin Jeon’s Romane gehen häufig die Schwere, die den Wolf domestiziert und zum Hund macht, und Verlust der Schwere um. Sie thematiziert die rehabilitatierte Selbstliebe nach der Verlust der Schwere. Nach ihrer Meinung, ohne der Freiheit von der Schwere gibt es keine Liebe und keine Selbstliebe. Ihre Hauptgestalt, Hwangjini leidet unter dem Geist der Schwere. Aber sie gewinnt zuletzt die Selbstliebe. Ihre Hwangjini ist weder Gisang von In Ho Choi, die den Würdenträger mit ihrer Talent und Schönheit verlockt,noch Revolutionär von Seok Jung Hong, der den Widerspruch des Klassesystems überwindet. Kyung Rin Jeon’s Hwangjini lebt nicht als ein Mitglieder der vornehmen Kreise, obwohl sie ihr gehört. Sie wird groß wie ihre Mutter, obwohl sie nie ihre leibliche Mutter gesehen hat. Hwangjini ist Philosoph, der uns mit gutem Beispiel vorangeht, die Kreise der Identifikation zu überwinden.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das charakteristische Kennzeichen des Überwindenden des Geist der Schwere darzustellen und 중력은 지구가 끌어당기는 힘이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니체가 중력의 악령이라고 할 때 그것은 지구가 대기권 안의 사물을 끌어당기는물리적 힘이 아니라 무리본능을 지닌 최후의 인간들의 선량한 가치체계를 일컫는 것이겠다. 그것이 중력인 이유는 벗어나기 힘든 강력한 것이기 때문이며,악령인 이유는 인간의 의지를 사로잡고 흔들고 말살하고 있기 때문이다. 니체에따르면 중력의 마술에 걸려 자기 의지를 상실한 인간은 중력의 악령에 사로잡혀있는 노예적 인간이지 자기를 사랑하는 주권적 개인은 아니다. 니체가 위선적 공동체에 분노하는 것은 본능이 왜소한 덕에 지배당하는 거기에서 인간의 감성과 의식이 병들기 때문이다. 늑대를 순화하여 집개로 만드는그들은 인간을 겸허하게 만들고, 얌전하게 만들어서 사람조차 쓸모 있는 가축으로 만들 줄 밖에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력의 악령에 사로잡히지 않고중력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자기 자신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전경린은 늑대의 본능을 제거하고 집개로 순화하는 중력과, 그 중력의 상실과, 그 후에 회복된 자기사랑을 주제로 소설을 쓰는 작가다. 그녀는 중력으로부터의 자유 없이 사랑도, 자기애도 없다고 믿는다. 그녀가 창조해낸 황진이 역시중력의 악령에 시달리다 결국은 자기 사랑에 이른 인물이다. 그녀의 황진이는빼어난 재색으로 고관대작을 유혹했던 최인호의 기생도 아니고, 신분사회의 계급 모순을 혁명으로 극복한 홍석중의 혁명가도 아니다. 전경린의 황진이는,양반으로 자랐으나 양반도 아니고, 어머니를 꼭 빼어 닮았으나 어머니를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여인이 정체성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갔는지 그 모범을 보여준 철학자다. 중력의 악령을 극복한 자의 특징은 무엇이고, 전경린의 황진이가 그 특징들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데카르트의 『성찰』을 둘러싼 해석의 논쟁 : 푸코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손영창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2 No.-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회의라는 주제를 둘러싼 푸코와 데리다의 논쟁에 나오는 대립된 주장을 검토하고 그것의 철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카르트에 대한 두 철학자의 독해는 논증의 구조를 중시하는 입장과 사유하는 주체의 실천적 태도를 중시하 는 입장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먼저 푸코는 코기토를 확립함에 있어 성찰 의 기획이 갖 는 철학적 함의, 즉 억압적 성격을 비판한다. 광기의 위상과 관련해서 그는 데카르트가 코 기토를 정립하면서 광기를 이성의 영역 밖으로 완전히 배제시켰다는 점에서 데카르트를 비판한다. 이에 반해 데리다는 데카르트가 악령의 가설과 같은 형이상학적 회의를 구분해 서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데카르트가 이런 형이상적 회의를 통해서 우리를 사유의 극한으로 혹은 형이상학적 광기로 이끈다고 주장한다. 이런 논쟁을 통해 우리는 데리다가 악령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서 추적한 이성의 원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이런 논증은 사유의 한계를 검토하게 할 뿐 아니라 어디에서 이성이 무의 침 묵에 저항해서 등장하는지를 이해하게 해준다. 우리는 이런 이성의 탄생에 대한 성찰을 통 해 역사적 구조에 기반한 사유와 구별되는 철학적 역사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posite claims in the Foucault-Derrida debate on the subject of cartesian doubts and illuminate those philosophical meaning. The readings of two philosophers on Descartes are characterized into the position of the argumentative structure, and the position of the performative attitude of the thinking subject. Foucault criticizes the repressive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s regarding the madnes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gito. With regard to the positioning of madness, he charges Descartes of excluding the madness out of the sphere of reason. On the contrary, Derrida, in mak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etaphysical doubt like the hypothesis of evil demon and the natural doubt in the example of madman, argues that Descartes leads us to the extreme limit of thought or metaphysical madness by metaphysical doubt. In this debate,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ful development on the searching for source of reason pursued by Derrida’s reflection on the evil demon. His argumentation allows us to examine the limit of thinking, understand where the reason surge against the silence of the nothing. With this reflection on the birth of reason, we can find out the meaning of the philosophical historicity, distinct from the historical structure based on the factual history.

      • KCI등재

        햄릿과 오필리어를 둘러싼 악령의 은유 양식

        윤희억(Hee-uhk Yoo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8 셰익스피어 비평 Vol.44 No.1

        Since A. C. Bradley, many critics have not only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mlet and Ophelia as the abortive romantic love story, which functions as a decoration to a revenge story, but have also thought that Ophelia is a weak, dependant figure. But traditional criticism overlooks much of Polonius' suspicious manipulation of her daughter and the potentiality of Ophelia as a weak vessel, which complicates and intensifies Hamlet's agony. Recently Elaine Showalter, Annette Kolodney, and Gohlke have pulled Ophelia up in center from the marginal, and have reconsidered the turmoil of Hamlet's soul centering on the body and sexuality of Gertrude and Ophelia. In this context, my paper aims to put Ophelia back up front, highlighting the metaphoric pattern of evil spirits in the relationship of Hamlet and Ophelia. First, reconsidering Ophelia in center asks us first to see Claudius and Polonius as evil spirits in metaphoric pattern. In this play Claudius, who murdered King Hamlet and whored his wif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dominates Hamlet's soul. Similarly Polonius, who once loyally served King Hamlet and now turned a tool for Claudius, even using her daughter Ophelia as a bait, distresses Hamlet's soul. Polonius is another shadow of Claudius's evil spirit. Second, Gertrude and Ophelia form a metaphoric pattern as evil spirits, which torment Hamlet's soul all through the play until he dies. Hamlet's mother Gertrude, who betrayed her husband and now quickly threw herself into the bosom of Claudiu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ortures Hamlet's soul. Likewise Ophelia, who once loved Hamlet and now returns his letters and gifts to him, showing a sign of a weak vessel, gnaws Hamlet's soul like an evil spirit.

      • 영성신학에서 본 영적 식별 : 식별기준과 수단 그리고 영의 표지

        윤주현(Youn, Jooh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Today, with the rapidly changing tides and numerous trends flooding, spiritual discernment work is being called for as theological work as more important than ever. God, who calls human beings for the perfection, considers him to reach his own purpose while leading him to various secondary causes, that is, through various intermediaries. In this process, we must find and identify the will of God hidden behind it in the face of encounters and events with countless people. We can then progress on the path of the sanctification moving on the very path God wants. First of all, spiritual discernment can reveal the origins of various spiritual movements occurring within our souls and based on them, prevent opportunities to fall into sin by either following the spiritual movements or rejecting the movements. Therefore, spiritual discernment is a key task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human spiritual journey toward the unity of love with God. This thesis aims to deal with the spiritual discernment in detail. First of all, we started from the terminology problem and examined what God's spirit, evil spirit, and human spirit movement are in our soul. And we have examined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se spirits and what are the various means. The fundamental criteria for spiritual discernment are the various evangelical values Jesus has presented and better things than on the path of sanctification, greater spiritual comfort and what lead us to service and dedicate for others. Based on this, we use various means, such as the Word of God, prayer,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nd personal awareness of the counselee to work on spiritual discernment. The key to spiritual discernment is to know the signs of each spirit. When we have this professional insight, we can use the criteria and means for discernment to reveal the origins of the existing spiritual movement in us. These discernment are made not only on a personal level but also on a community level. We were called to be saved and sanctified together. Therefore, at the end of this thesis, we examined the preconditions and process for community discernment. Through this thesis, you will find basic frameworks for various spiritual discernment at the personal and community level. It is hoped that the consideration of this subject will provide practical help for the sanctification of each individual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급변하는 시대적 조류와 수많은 사조가 범람하는 오늘날, 영적 식별 작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신학적 작업으로 요청되고 있다. 인간을 완덕으로 부르시는 하느님은 다양한 2차적 원인, 즉 다양한 중개(仲介)를 통해 그를 섭리적으로 인도하는 가운데 그가 자신이 창조된 목적에 이르도록 배려하신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무수한 사람과의 만남, 사건에 직면해서 그 이면에 숨어 있는 하느님의 뜻을 찾고 식별해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하느님이 원하시는 바로 그 길로 나아가는 가운데 성화의 길에서 진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영적 식별은 우리의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영적 움직임의 기원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그 영적 움직임을 따라 성화의 길로 나아갈지 아니면 그 움직임을 거부함으로써, 죄에 걸려 넘어질 기회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적 식별은 하느님과의 사랑의 합일을 향한 인간의 영적 여정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작업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영적 식별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다뤘다. 우선, 용어 문제로부터 출발해서 우리의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하느님의 영과 악령 그리고 인간적인 영의 움직임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영들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과 다양한 수단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짚어보았다. 영적 식별을 위한 근본적인 기준은 예수께서 제시하신 다양한 복음적인 가치들로서, 성화의 길에서 보다 더 좋은 것, 보다 더 큰 위로 그리고 우리를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위한 봉사와 투신으로 인도하는 것에 있다.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단, 예컨대 하느님의 말씀, 기도, 학식과 교도권의 가르침, 내담자에 대한 개인적인 앎을 활용해서 영적 식별 작업을 하게 된다. 영적 식별 작업에서 관건은 각각의 영이 드러내는 고유한 표지들을 아는 데 있다. 이러한 전문적인 식견이 있을 때 우리는 식별을 위한 기준과 수단을 활용해 우리 안에 현존하는 영적 움직임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은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인 차원에서도 이루어진다. 우리는 함께 구원되고 성화 되도록 불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본 논문의 마지막에 공동체적인 식별을 위한 전제조건들과 식별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독자들은 개인적인 차원과 공동체적인 차원에서의 다양한 영적 식별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본 주제에 대한 고찰이 각 개인의 성화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최상규의 〈악령의 늪〉 연구

        송주현(Song, Ju-hyu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현대소설연구 Vol.- No.63

        This paper studies the problem of femininity presented in the “Swamp of Evil” of Choi Sang-gyu. Existing research on Choi Sang-gyu’s novels has been very insufficient. Also objectification of women has been pointed to the limitations of Choi Sang-gyu’s novels. “Swamp of evil” is a posthumous Choi Sang-gyu, and this work is the completion of the his literature. This work deals with issues of femininity in a new way. In this work, growth narrative of male figure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But to actually, the narrative complete male figures’ narrative is the female figures’ narrative. In addition, the narrative of female produces a multi-layered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the novel shows Anti-Oedipus literature to resist the system and power. Specifically, the novel shows Choi Sang-gyu aspects of the Anti-Oedipus literature to resist the system and power. The method greatly, showed the crack of Father’s world, escape as aphasia and mental confusion, implementation of the female sublime. Especially feminine sublime of this work, makes the meaning of the work.

      • KCI등재

        <거울속으로>와 <미러>의 비교 분석

        이협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2

        이 논문은 국내 영화 <거울속으로>와 리메이크인 <미러>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두 영화는 거울에 반사된 이미지와 실제와의 차이를 부각시키는 21세기 초 국내 영화의 경향을 예시한다. 기본적인 설정과 플롯에는 유사성이 있지만, 내러티브를 이끌어가는 동기 등에서 주요한 차이점들이 있다. <거울속으로>는 원혼설화의 서사전통을 따르는데, 권선징악의 구도에 사회 비판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거울을 통한 악령의 사악한 작용이 지배적인 <미러>는 서양의 공포영화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이 리메이크는 동양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서사를 기독교 문화가 지배적인 서구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한 방식을 예시해준다.

      • 루마니아 출생의례의 예언 및 명명 풍습

        김성기(Kim, Song-Ki)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모계사회에서 발전된 출생 풍습은 주술적, 의례적인 면을 보존하고 있다. 출생에 관한 모든 의례들은 삼라만상의 균형적이고 안정된 보호와 출생의 경이로움, 그리고 새로 태어난 아기의 운명과 삶을 예언하고 또한 가족이나 공동체를 이롭게 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출생에 있어서 미래예언과 출생이 갖는 시작의 주술적 의례들은 예언과 분리, 통과와 공동체 생활로의 통합의 의례를 포함한다. 예언은 아이의 미래에 관한 것이고 분리는 나쁜 악령이 아이로 부터 떨어지게 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인생의 첫 번째 단계이며 존재의 시작인 출생은 악을 예방하는 여러 가지 주술적 의례들로 특징지어진다. 이 의례들은 대부분 치료효과를 갖는 것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만들어진 저주의 표시인 병을 없애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 의례는 보통 아이의 이름을 바꾸거나 태어날 때 아이의 이름을 동물 이름으로 지었다가 나중에 정식 이름을 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병든 아이는 건강한 아 이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의례를 거행하기도 한다. 이름은 원시시대부터 생명부분이라고 간주되었다. The customs of birth based on a matrilineal society still keep the aspects of rite and incantation. All rites related with birth predict the new infant's life and fate, the wonder of childbirth, the stabilized and well-balanced protection of all n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 intention of being good for the family or the social community. The prediction at the childbirth and the incantatory rituals which have the significance of childbirth as a beginning include all kinds of rites for the prediction, the separation, the passage and the unification in the life of community. The prediction relates to the child's future and the object of the separation shall be protect a child from evil spirits. Being a first step of the life and the beginning of existence, the birth is characterized as some incantatory rituals which prevent evil. These rituals have the purpose of the remedial value and also intend to cure the disease arising out of the abnormal state as an indication of the curse. The representative of these rituals is accomplished through christening(naming). The child is generally given an official name lately after some steps as the changing of name or the borrowing of assumed name like animal's name an ailing child is born again as a healthy child. The name is considered a part of the early life from the primitive age.

      • KCI등재

        천사학(天使學)과 단테의 천사상(天使像)

        김산춘 ( San Choon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7 美學·藝術學硏究 Vol.25 No.-

        Angels symbolize the belief that there is indeed an invisible world in God`s creation which we cannot grasp with conventional vision. We can distinguish three approaches to world of the invisible. One is philosophical angelology which investigates the very existence of the invisible world. Theological angelology, on the other hand, begins with the belief that there is indeed world beyond our conventional vision. I look however to the Aesthetics of Angelology which depicts the invisible world through allegory in literature and visual art. Such Aesthetics already suggests that Ancient People were familiar with the world of the invisible, and thus could represent it in visual art. With modernity, people came to depend on empirical examination, and skepticism about the invisible world. Insensitive to the realm of the invisible, modernity led to superficiality. This is critical even in the realm of self-knowledge where people have become reluctant to examine their invisible selves. I investigated the Christian tradition of angelology, especially the writings of the Fathers of the Early Church. For the Fathers, the mission of the angels was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For instance, Dionysius Areopagita wrote that the angels worked to help humankind to be like God in ceaseless love and wisdom. Much later, we find angels as a model of sanctity. For instance, St. Francis is described as a seraphim in love, and St. Dominic became like the cherubim in wisdom. This reflects sensitivity to an invisible world in an earlier literature and visual art.

      • KCI등재

        일반논문 : 도스토옙스키 『악령』의 연극/영화적 구현에 있어 소설 재구성의 문제-안제이 바이다의 <악령>(1971, 1988, 2004)을 중심으로-

        전정옥 ( Jung Ok J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폴란드의 영화감독 안제이 바이다(1926- )는 영화와 연극을 종횡하며 폴란드의 지독한 역사에 대한 자신의 생각들을 도스토옙스키 소설을 통해 발화하고자 했다. 도스토옙스키의 가장 정치적 소설로 알려진 『악령』은 바이다가 도스토옙스키를 통해 예술적으로 구현하고자 한 정치적 제스처에 대한 맥락을 유추해 볼수 있다는 점에서 주지해야할 ``텍스트``이자, 그의 반백년 예술 행보의 정점이라 할 만하다. 바이다는 반세기가 훌쩍 넘는 창작 인생 동안 세 편의 각기 다른 <악령>을 선보인다. 1971년 폴란드 스따리 극장의 연극 <악령>, 1988년 프랑스와의 합작 영화 <악령>, 그리고 2004년 모스크바 소브리멘닉 극장에서의 <악령>이 그것이다. 한 예술가가 같은 작품을 세 번씩이나 연극과 영화로 재창작했다는 것은 흥미로운 지점으로, 본 연구는 <악령>에 투영된 바이다의 예술적·정치적 욕망의 형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이 상정한다. 첫째, 『악령』이 역사적 텍스트로서 폴란드와 맺는 심층적 의미 맥락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소설이라고 하는 텍스트가 연극과 영화라고 하는 전혀 다른 장르로 파생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겪어야 하는 ``각색``의 문제, 즉 에피소드 구성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2004년 소브리멘닉 극장의 <악령>과 1988년의 프랑스영화 <악령>을 비평적 견지에서 바라보면서 영화와 연극이라고 하는 매체의 특성에 따른 소설의 재생산 방식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Andrzej Wajda (1926- ), a Polish film director, attempted to represent all of his thinking about the awful history of Poland through Dostoyevsky``s novel, using the film and theater. Known as the most political novel, Dostoevskii``s <Evil> may be considered the noteworthy ``text`` and the apex of his art move during half a century in the sense that we can infer the context of a political gesture that Vaida tries to implement through Dostoevskii. Vaida presents <Evil> as three different works in his creative lif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It is surprising and interesting that an artist re-created a novel in the form of theater and film three tim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 of Vaida``s artistic and political desires that might be reflected in <Evil>.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sets the following detailed research purposes. First, it investigates the context of deep meaning in which <Evil> is related to Poland as the historical text. Second, this study deals with the issue of adaptation, or the strategy for composing episodes, which can be essentially derived when the text of the novel is "adapted" for different genres such as the theater and film. Third, this study examines what outcome is achieved by the way of reproduction of <Evil>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s the film and theater, considering <Evil> (2004) and <Evil> (1988) in a critical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