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와 영원으로부터의 칭의

        박재은(Jae Eun Park)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는 신학적 논적이 많기로 유명한 네덜란드 개혁파 신학자이다. 카이퍼가 신학적 논적이 많았던 이유는 그의 사상이 그 당시 19-20세기의 인본주의 사상과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기 때문이며, 그 과정 가운데 전통적인 신학 관점과는 다소 결이 다른 관점들을 취했기 때문이다. 결이 다른 관점들 속에서도 칭의를 영원으로부터 보는 관점은 많은 사람들의 우려를 낳았던 관점이다. 본 연구는 그간 해왔던 바대로 카이퍼를 소위 ‘영원 칭의론자’로 단순히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안들을 다각도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첫째, 영원으로부터 칭의(혹은 영원 칭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둘째, 카이퍼 당시의 신학적 맥락을 살펴야 한다. 그 이유는 시대적 맥락과 동떨어진 신학 사상은 없기 때문이다. 셋째, 카이퍼가 전개했던 칭의론의 다양한 국면들에 대해 살필 필요가 있다. 카이퍼는 칭의를 단순하게 보지 않았고 오히려 다양한 신학 사상들이 얽히고설켜 있는 다층국면적 사건으로 이해했다. 넷째, 카이퍼의 칭의론에서 믿음의 본질과 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야 한다. 만약 영원으로부터의 칭의 개념이 시간과 상관없이 영원에서 칭의가 완료되는 개념이라면 이런 배타적인 영원 칭의론에서는 믿음의 역할이 전무 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카이퍼의 칭의론에 나타난 실천적 장단점을 고찰해야 한다. 신학은 건조하게 머리 속에서만 사변적으로 남아서는 안 되며 오히려 삶의 구석구석에서 삶의 구체적인 행동을 이끌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카이퍼의 칭의론이 ‘배타적인’ 영원 칭의론이 아니라는 사실이 규명될 것이며, 그럼에도 카이퍼의 칭의론 내부적으로 다양한 신학적 긴장들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드러나게 될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와 그의 영원으로부터의 칭의론을 보다 더 객관적으로 분석·평가·적용함을 통해 카이퍼의 칭의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표이다. Abraham Kuyper(1837-1920) is Reformed Dutch theologian who has been famed for having a lot of theological opponents. The reason why Kuyper had many enemies is because his theological standpoints and the human-centered standpoints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ere sharply opposed each other, and in this conflict course, he took theological viewpoints that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Among his different viewpoints, the perspective on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 has caused many theological worries so fa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Kuyper is a so-called defender for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 To answer this, several dimensions need to be scrutinized. First,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from the eternity(or eternal justification) needs to be accurately ident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theological context of Kuyper’s time, since there is no theological viewpoint totally apart from the contemporary context. Third, a multilayer dimension of Kuyp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needs to be meticulously considered. Kuyper did not look at justification in a single dimension, but rather see it in complex and multilayer dimensions which are closely interwined with diverse related theological subjects. Forth, it is necessary to grasp Kuper’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and role of faith. Fifth, practic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Kuyper’s thought need to be carefully contemplated, inasmuch as theology should not remain its tenets speculatively in a human head, but rather should lead them to do something concretely in one’s whole life. Through this study, both of that Kuyper did not hold an ‘exclusive’ doctrine of eternal justification and that there were several theological tensions in Kuyper’s thought will be establish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seek a right and sound understanding on Kuper’s theology through objectively analyzing, evaluating, and applying Kuyper’s perspectives on justification.

      • KCI등재

        공공신학자로서 아브라함 카이퍼의 명암: 칼빈주의 강연을 중심으로

        김은득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5 No.-

        이 소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칼빈주의 강연을 공공신학의 카테고리에 비추어 살펴본다. 비록 카이퍼가 스스로를 공공신학자로 지칭하지 않을지라도, 그의 대표적 저서, 칼빈주의 강연 은 카이퍼가 최근 학문적 의미에서 공공신학자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칼빈주의를 기존의 교리서술 방식, 즉 로치(loci)가 아닌 세계관으로서 소개할 때 카이퍼의 명암도함께 살펴본다. 몇몇 신학자들(예를 들어, 로널드 띠먼, 맥스 스택하우스, 윌리엄 플래처)은 공공신학을 정치, 학문, 예술 등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여긴다. 카이퍼의 자체 저술이나 그에관한 최근 연구도 카이퍼가 기독교 신학과 교리를 공적인 활동에 얼마나잘 적용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모든 삶의 영역에 하나님의 주권”으로 대표되는 칼빈주의 삶의 체계 아래, 카이퍼는 공적 영역들에 참여할 수있는 신학적 근거들(예를 들어, 예정, 일반은총, 영역주권)을 제공한다. 그는 그 신학적 근거들을 공리적 원칙들로 재구성하는데, 칼빈주의자들의공적 참여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끌어내도록 돕기 위함이다. 그러나, 최근 학문적 의미에서 공공신학에 걸맞은 칼빈주의를 구축함에 있어서, 카이퍼는 신적 주권을 칼빈주의의 중심교리로 간주하고 칼빈주의 교리들을 공리적 원칙으로 재구성하는데, 이는 기존의 고전적 교리서술방식이 아니다. 카이퍼가 삶의 체계로서 칼빈주의를 구축하는 방식이 그의 레이든 스승인 스홀튼의 방식과 유사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braham Kuyper’s Lectures on Calvinism in terms of the current public-theological debate. Although he never described himself in this exact term, his Lectures on Calvinism, the broad manifesto of his ideas demonstrates that he is a public theologian in the current academic sense. Describing Calvinism in terms of not theological loci, but worldview, however, Kuyper is criticized by his own standard, the antithesis to modernism. Some scholars (e.g., Ronald Thiemann, Max L. Stackhouse, William C. Placher) consider public theology to be the task of providing theological grounding for activity in the public sphere, including politics, science, art, and so forth. In this sense, Kuyper’s own corpus of writing and recent scholarship on Kuyper show clearly his application of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to public life. Under the Calvinist life system, represented by the expression of “God’s sovereignty over all spheres of life,” Kuyper provides theological principles (e.g., predestination, common grace, and sphere sovereignty) for engaging in public spheres. He reformulates them into axiomatic principles, from which concrete directives for Calvinist public engagement are to be deduced. Seeking to construct Calvinism as public theology in the current academic sense, however, Kuyper considers divine sovereignty as Calvinism’s central dogma and reformulates Calvinist doctrines into axiomatic principles which are not a species of classical dogmatics. This clearly shows that Kuyper’s method of constructing Calvinism as a life system is similar to that of his Leiden teacher, Scholten.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와 프란츠 폰 바더 - 바더의 계시철학이 카이퍼의 기독교세계관에 준 영향

        최태연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hilosophy of Abraham Kuyper (1837–2020) and the German Catholic philosopher Franz von Baader (1765–1841), who provided the basis for Kuyper’s theory of Christian worldview. A recent study by J. Glenn Friesen highlighted von Baarder's philosophy in the study of Kuyper as one of his philosophical sources. First, in this paper, I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von Baarder's philosophy and then examine how Baarder's philosophy influenced Kuyper's ideas. Here, I pay attention to the 19th century Dutch Mediation theolog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n Baarder and Kuyper. Mediation theology, influenced by Schleiermacher and Kierkegaard, emphasized the inner dimension of faith rather than doctrine and church system, and argued that the Bible became the living word of God by reaching the inner side of the believer. Just as the Neoplatonism that led Augustine to Christianity, there was Mediation theology that led Kuyper to Calvinism. It was von Baarder who provid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is Mediation theology. In this respect, von Baader can be said to have provided an important source for the formation of Kuyper's unique Neo-Calvinist theology and Christian worldview.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comparing the ideas of von Baarder and Kuyper shows that Baarder's influence appears to Kuyper on three subjects. The themes are: first, Sphere sovereignty and an organic view of society, second, criticism of the autonomy of reason and the need for dualistic confrontation(Antithesis), and third, the need for Christian studies/university. 이 논문은 기독교세계관 이론에 토대를 제공한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 1920)와 독일의 가톨릭 철학자 프란츠 폰 바더(Franz von Baader, 1765~1841)의 철학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의 글렌 프리즌(J. Glenn Friesen)의 연구를 통해 카이퍼 연구에서 폰 바더의 철학이 카이퍼의 철학적 원천 중 하나로서 조명을 받게 되었다. 먼저 이 논문에서 필자는 폰 바더의 철학의 특징을 요약적으로 서술하고 나서 어떻게 바더의 철학이 카이퍼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검토한다. 여기서 필자는 폰 바더와 카이퍼의 관게를 해명하는데 19세기 네덜란드의 중재신학(mediation theology)에 주목한다. 중재신학은 슐라이허마허나 키에르케고어의 영향을 받아서 교리와 교회 제도보다는 신앙의 내면적인 차원을 중시했고 성경이 신자의 내면에 도달함으로써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이 된다고 주장했다. 아우구스티누스를 기독교로 인도한 신플라톤주의가 있듯이 카이퍼를 칼빈주의로 인도한 중재신학이 있었다. 이 중재신학에 철학적 토대를 제공한 사람이 폰 바더다. 이 점에서 바더는 카이퍼의 독특한 신칼빈주의 신학과 기독교세계관의 형성에 하나의 중요한 원천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폰 바더와 카이퍼의 사상을 비교하는 이 논문의 귀결은 바더의 영향이 세가지 주제에서 카이퍼에게 나타남을 보여 준다. 그 주제들은 첫째, 영역주권과 유기체적 사회관, 둘째, 이성의 자율성(Autonomy) 비판과 이원론적 대립(Antithesis), 셋째, 기독교 학문/대학의 필요성이다.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의 반혁명적, 칼빈주의 기독론

        김재윤(Kim, Jae Youn)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카이퍼의 공적 활동뿐만 아니라 기독론도 다음 두 중심을 통해서 규정될 수 있다; 반혁명과 칼빈주의. 기독론에서 카이퍼는 우선적으로 자유주의와 중재신학, 윤리학파들과 논쟁한다. 카이퍼는 “만약 아담이 범죄 하지 않았더라도 성육신이 있었을 것인가?”하는 질문을 중심으로 이를 다룬다. 당시 중재신학과 윤리학파는 이를 긍정하는데 이유는 성육신의 목적은 인간성이 최상의 완성에 이르는 데 있다고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아담의 타락과는 무관하게 그리스도를 통해서 실현된 인간화된 신적본성을 혹은 신격화된 인성만으로 보기 때문이다. 카이퍼의 기독론은 이를 반박하면서 성자가 육신을 취하셨다는 것을 강조하게 된다. 카이퍼는 당시 계몽주의 신학과는 대척점에 서 있던 것으로 알려진 신콜부르게주의도 비판한다. 이들은 그리스도와 우리의 연합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예수님이취하신 인성이 우리와 완전 동일하며 심지어 죄를 가진 인성이라고 주장했다. 카이퍼는 우리와 같은 인성을 성자가 취하였지만 그 인성은 죄가 없다는 것을 성령론적기독론을 통해서 설명하였다. 성령론적 기독론은 카이퍼 기독론의 독창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는 그리스도가 육신을 취하신 것을 그 분의 지위로서설명하였다. 본성적인 인성이 아니라 낮아지심이라는 지위를 가지신 것으로 보았다. 낮아지심을 육신을 취하신 것에서 또한 그 분이 어떤 지위를 가진 것으로 설명한 것은 낮아지심-높아지심에 대한 새로운 설명방식이 되었다. 그러나 이런 카이퍼의 두 지위 기독론은 성자가 부활승천의 상태에서도 여전히 육신을 취하고 계시며 이를 높아지심으로 설명한 전통적인 신학에서 벗어나 있다는 비판에 직면한다. 공적인 영역에서의 활동은 신학적으로는 그의 일반은혜론에 의존한다. 카이퍼는 일반은혜론을 작정까지 확대해서 설명한다. 아담이 모든 인류와 유기체적으로연결되어 있듯이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를 향한 일반은혜와 그를 통해서 얻게 될 모든 유익까지 그 인격 안에 씨로서 가진다. 일반은혜를 작정에서 설명하는 카이퍼는결국 아담의 범죄 없이는 성육신이 없었을 것이라는 구원론적 기독론의 전통적인설명을 약화시킬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This thesis seeks to explore Abraham Kuyper as a dogmaticus, not a public theologian. Christology as well as Kuyper s public activities can be defined through the following two centers; Anti-revolution and Calvinism. In christology, Kuyper firstly argues with Liberalism, Mediation theology, and Ethics schools. Kuyper deals with this by focusing on the question, “If Adam did not sin, would there have been incarnation?” At the time, Mediation theology and Ethics schools affirmed this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incarnation was to reach the perfection of humanity. This is because, regardless of Adam’s fall, the humanized divinity or the deified humanity realized through Christ. Kuyper’s christology refutes this, emphasizing that the Son of God took on the flesh. Kuyper also criticizes the neo-Kohlburggeism, which were known to stand at the fore of the theology of Enlightenment. They overemphasized our unity with Christ, arguing that the human nature that Jesus took was the same as ours, even sinful nature. Kuyper explained through the pneumatological christology that the Son of God took the same humanity as ours, but that humanity was sinless. Pneumatological Christology became an original part of Kuyper’s christology. In addition, he explained Christ s taking on the flesh as His state. It was viewed as having the state of being humbled, not of human nature. The description of humbleness in taking the flesh and as having a state of Him became a new way of explaining humility-exaltation. However, Kuyper’s two-states christology faces criticism that the Son of God is still taking the flesh even in the state of exaltation, and that i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theology.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의 칼빈주의 세계관 : 유기적 관점에서 본 은혜-자연-회복의 관계

        류길선(Ryu, Gil Sun)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지금까지 아브라함 카이퍼의 관한 연구들은 주로 개별적인 주제들에 관해 다루어져 왔다. 예컨대, 정치, 예술, 윤리, 일반은혜, 현대주의, 다윈주의, 신칼빈주의 등이 있다. 하지만 카이퍼의 기독교 세계관 논의에 있어서 카이퍼의 유기적 관점을집중적으로 다룬 논문은 거의 없었다. 학자들은 헤르만 바빙크의 유기적 관점을 강조하며,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를 비교하면서 카이퍼에겐 ‘대립’이라는 주제가, 바빙크에겐 은혜-자연-회복의 원리가 전면에 등장하는 개념이라고 주장해왔다. 본고는 이러한 비록 은혜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바빙크의 전 작품에 포괄적인주제이긴 하나 카이퍼의 글에도 스며들어 있음을 논증한다. 특별히 카이퍼의 유기적 세계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그의 작품『칼빈주의 강연』을 분석함으로써 카이퍼에게 칼빈주의라는 유기적 관점은 은혜-자연-회복의 원리를 드러냄을 증명한다. When one considers the wide trends of scholars who have studied Abraham Kuyper(1837-1920),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while they focused on specific topics on Kuyper’s thoughts such as politics, art, ethics, common grace, modernism, pluralism, and neo-Calvinism, they have missed to see the broad lens of his theology, that is organic worldview. A common critique of Kuyper is that while he emphasized ‘antithesis’ (an tension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worldviews), Bavinck sought and developed the grace-restoration-nature synthesis. Although it is tru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avinck and Kuyper, it should be noted that Kuyper shared the same core of the grace-restoration-nature synthe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ace and nature through organic motif in Kuyper’s calvinistic worldview, and demonstrates that the grace-nature synthesis is permeated through Kuyper’s thought.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 정치사상의 한국적 수용 - 영역주권론을 중심으로 -

        이국운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3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cceptation of Abraham Kuyper’s political thought in Korean society since 1960s. By focusing the way Korean Calvinists(Reformists) have understood Kuyper’s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so far, the author tries to show that Kuyper’s image among Korean Reformists is full of heroic narratives rather than a balanced understandings in textual and contextual perspectives. As many recent researches in the West indicate, the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is the core and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Kuyper’s political thought. After clarifying that the theory implies an everlasting tension between the idea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the plural reality of human life, the author examines the achievement of Korean scholars which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Christian worldview movements” in 1980s. As a constitutional theorist, the author’s academic concern lies in whether Kuyper’s political thought can be interpreted as a revival of Protestant constitutionalism. 종래 한국의 기독교 사회에서 아브라함 카이퍼의 정치사상에 대한 수용은 거의 전적으로 개혁주의 진영 내부에서만 진행되어 왔다. 신학적 자유주의에 대한 저항과 이원론적 정통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점철된 카이퍼의 삶은 ‘삶의 체계로서의 기독교’ 또는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올바른 기독교인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그 때문에 카이퍼의 전방위적 투쟁과 성공스토리는 자연스럽게 일종의 영웅서사로 이어지곤 했다. 하지만, 그와 같은 접근방식만으로는 카이퍼 정치사상의 함의를 온전히 읽어내기 어렵다. 이 글은 카이퍼 정치사상의 요체가 영역주권론에 담겨있음을 전제하면서, 그 핵심을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통해 인민주권론이나 국가주권론과 같은 모더니티의 절대주권론을 전적으로 부정하면서도, 각 영역들의 고유성을 신학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삶의 근원적 다원성을 놓치지 않는 점으로 이해한다. 다만, 영역주권론은 하나의 정치신학적 테제인 까닭에 그 이론적 정당화에 관해 치열한 토론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카이퍼 정치사상, 특히 영역주권론에 관한 국내 문헌의 특징을 같은 시기 구미에서 전개된 연구 경향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살펴보고 있다. 헌법정치학자로서 저자의 관심은 영역주권론을 프로테스탄트 헌정주의의 면면한 흐름 속에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모던 상황에 적합한 기독교적 다원주의를 정초하는 것이다.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벤자민 워필드의 재림 이해 및 평가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는 76세 때부터 6년간 자신이 편집장으로 섬긴 주간지 ‘De Heraut’에 요한계시록에 관해 기고했다. 이 책은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는데, 국내에는 생소하다. 그 무렵 헤르만 바빙크(1854-1921)는 『개혁교의학 4』(1895/1906)의 마지막 제11부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포함하여 종말을 다루었다. 그런데 국내에서 넓게는 바빙크의 종말론, 좁게는 재림에 대한 조직신학 및 성경신학적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워필드의 재림 이해도 큰 주목을 받지 못해 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연구의 미진한 부분으로 남겨진 카이퍼와 바빙크 그리고 워필드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초점을 모아 그들의 이해를 소개하고 비교하며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부들의 계시록 주석, 세 학자 당시의 네덜란드어 요한계시록 주석, 그리고 현대의 요한계시록 주석과 연구를 참고한다. 마지막으로 이 세 학자의 예수님의 재림 이해에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주석의 방향을 간략히 제시할 것이다. 개혁주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개혁주의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를 동시적으로 살피는 의의가 있다. Abraham Kuyper(1837-1920) wrote about the book of Revelation in the weekly magazine De Heraut for which he served as the editor for six years from the age of 76. His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as one volume book was published after his death, but it is still unfamiliar in Korea. Around that time, Herman Bavinck(1854-1921) dealt with the eschatology including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last part 11 of Volume 4 (1895/1906) of Reformed Dogmatics. In Korea, however, there are hardly any systematic theological and biblical exegetical studies on Bavinck’s eschatology in general, and the Second Coming in particular. Similarly, a proper attention to the eschatology focused on the Second Coming by Benjamin B, Warfield has not been p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mpare, and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eschatology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To evaluated the theories of the Second Coming of these three theologians, the present researcher refers to the commentaries of Revelation by the Church Fathers, a Dutch New Testament scholar at the time of theses three theologians, and recent scholars. Finally, a brief comment is to given for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econd Coming.

      • KCI등재

        다시 읽는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연구(2010-2020) 및 그 비판적 성찰

        고훈 ( Ko¸ Hoon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8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한국에서 이뤄진 카이퍼 연구를 그 연구가 생산된 상황적 맥락에서 다시 읽고, 그러한 다시 읽기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한국교회의 대내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 절차를 따르고자 한다. 첫째, 2장은 그러한 기간을 세 시기(2010, 2010-2019, 2020)로 나눈다. 그리고 각 시기마다 카이퍼에 대하여 연구한 사람들은 누구였는지 그에 대한 학문적, 공동체적 배경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러한 카이퍼 연구가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 위치하는지 조사하여, 그 연구의 내재적 의미가 무엇이었는지 추론해 보고자 한다. 둘째, 앞서 2장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카이퍼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셋째,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고, 본 논문의 의의와 한계를 제시한다. The paper aims to study on Abraham Kuyper (1837-1920) by reading and critically think about the findings, consid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Section 1 examines selected individuals’ and groups’ hidden intention by describing their academic and community background and the context in which they have involved. Moreover, I also focus on the period from 2010, the date of the publication of Sung Koo Chung’s book Abraham Kuyper’s Thought and Life to 2020, the 100th Anniversary of Abraham Kuyper’s death. Section 2 critically contemplates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ection of Kuyper’s study in Korea. Section 3 summarizes my research, sets forth my view on Abraham Kuyper, and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paper.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의 근대성 이해 : 스톤강좌의 문화 이해를 중심으로

        조영호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Abraham Kuyper's understanding of modernity.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Neo-Calvinistic view of culture shown in Kuyper's Stone Lectures. Through this process, I would like to say that he criticizes modernism and argues for modernity. To this end, we want to distinguish modernism from modernity. Kuyper contrasts secularized modernism with Calvinism. And he demonstrates empirically that Calvinism has contributed to promoting modern values, human freedom, and human rights. Through this process, he criticizes secular modernism and affirms modernity. Kuyper argues that Calvinism represents more intrinsic modernity than secular modernism. 본 논문의 목적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근대성 이해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카이퍼의 스톤강연(Stone Lectures) 에 나타난 신-칼빈주의 문화관을 살펴볼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그가 근대주의를 비판하고 근대성을 주장하고 있음을 말하고자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근대주의와 근대성을 구분하고자 한다. 카이퍼는 세속화된 근대주의와 칼빈주의를 대비시킨다. 그리고 그는 칼빈주의가 근대적 가치와 인간의 자유 그리고 인권을증진하는데 기여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세속적 근대주의를 비판하고 근대성은 긍정한다. 카이퍼는 칼빈주의가 세속적 근대주의자 보다 더 본질적 현대성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를 통해서 본 신학의 학문성과 실천성

        김재윤 ( Kim Jae Youn )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3 No.-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칸트 이후 계몽주의는 하나님의 존재 자체가 지식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하나님을 대상으로 삼는 신학은 학문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둘째, 신학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신학의 실천성과 영적인 측면이 신학의 학문성 때문에 약화되었기 때문에 신학의 학문성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계몽주의에 기초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에 대항해서 신학이 학문임을 지속적으로 옹호하였다. 그는 계몽주의적 학문의 조건인‘주체-대상’이라는 틀을 수용하면서 다른 학문들과 같이 신학도 인간의 자의식과 대상의 유기적 관계성 속에서 이해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신학은 인간영과 하나님의 계시라는 주체-대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독특성을 가질 뿐이다. 다른 학문과 동일하게‘주체-대상’이라는 틀을 신학도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신학의 학문성을 옹호한 카이퍼는 신학의 네 분야를 슐라이허마허와는 달리 성경학, 교회학, 교의학, 봉사신학으로 구분한다. 이 네 분야는 하나님의 계시의 실행방식이라는 점에서 유기체적인 하나됨을 이룬다. 이 네 분야에서는 학문성과 실천성이 분리되지 않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탈현대 시대는 여러 가지 면에서 학문을 신학성을 주장하기에 약간의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카이퍼가 계몽주의에 대항해서 사용했던 설득과는 차별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기도 하다. 그러나 21세기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의 실천성과 영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여전히 신학의 학문성을 고수해야 하는 과제를 가진다. 카이퍼가 수고했던 것처럼 21세기의 개혁 신학은 일반 학문적 영역에서의 대화와 참여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Is Theology a science?” Questions on this thesis are raised from two directions. Firstly, Kantian idea denied God as a object of knowledge and it resulted in that theology can not be a science. Secondly, some theological scholars underline the practical and spiritual aspects as essential contrasting to the scientific. One of the major modern calvinists Abraham Kuyper successfully defended theology as a science confronting to the liberal theologians. Reinterpreting the modern scientific framework of 'object-subject', Kuyper described human spirit as a subject and the revelation of God as a object. In that way, Kuyper argued, theology meets the condition of science. Opposed to the Enlightenment's idea which separated the object from the subject, Kuyper stressed the organic oneness of object-subject. Scientific aspect of theology forms a organic system with the practical areas as the operating of the God's revelation. Four main departments in theology are both scientific and practical because of it's organic unity. Futhermore, the general revelation opens a possibility to put theology into the general scientific discourses. In postmodernism, theology occupies a more broad space to be accepted as science than in modernism. Theology possibly has to apply a different logic to what Kuyper did in modern context in order to defend the scientific charact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actical aspects. Reformed theology, as Kuyper did in his time, still has a burden to prove itself as science as well as to participate in the dialogues of science not sacrificing the pract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