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윤유숙(Yoon, Yu-Sook)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조선후기 문위행은 조선이 쓰시마번의 소씨(宗氏)에게 파견한 외교사절로, 왜학역관을 정사로 하여 구성되며 역관사(譯官使) 또는 도해역관사(渡海譯官使)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임무는 쓰시마 번주의 慶弔事와 쇼군 가문의 경조사 문위, 번주 소씨가 산킨코타이(參勤交代)를 하고 에도에서 쓰시마로 귀환한 것에 대한 축하,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위행관련 기록류를 검토하여, 그들이 실제로 쓰시마에서 행한 활동을 ‘국제정세에 관한 정보교환’과 ‘사행원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쓰시마번의 경제원조 · 각종 불법행위)’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쓰시마번이 가장 관심을 기울인 국제정세 정보는 주로 조선을 비롯한 대륙의 동향이었다.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이후 막부는 명을 포함한 대륙 정세에 관한 정보수집에 촉각을 세웠다. 후금이 1636년 국호를 ‘대청국(大淸國)’으로 바꾸고 조선을 침략한 이상, 그 여세를 몰아 인근국가인 일본을 침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우려에서였다. 쓰시마번은 호란 이후에도 수십 년간 조선과 청과의 관계, 대륙의 반청(反淸) 세력의 군사적인 동향에 관해 문위행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정보를 모아 막부에 제출했고, 문위행 역시 일본의 국내 정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여 조정에 전달하였다. 문위행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 측면에서 두드러진 현상은 쓰시마번이 도해역관들에게 공식적인 예단 외에 다수의 비공식적인 금품을 건넨 사례가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는 대조선 통교를 자번의 입장에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데 ‘영향력 있는’ 고위 역관들의 협조를 동원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역관에 대한 쓰시마번의 경제원조’에 관해서는, 소통사(小通事)에 대한 원조가 1680년대 말부터 산발적으로 행해졌다는 사실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도해역관들에 대한 쓰시마번의 금품 지급이 이미 17세기 전반부터 관례처럼 행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문위행에는 불법적인 경제활동으로 밀무역(잠상)이 수반되었다. 쓰시마에 도착한 후 사행단 일원의 화물에서 불법적인 물품이 발견되거나 쓰시마 현지인과 매매한 사실이 발각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밀무역 단속 강화를 조선의 역관에게 요청하는 것만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한 쓰시마번은 쓰시마 측이 주도하여 적재화물을 조사하려 했지만, 그러한 시도는 매번 역관들의 반대에 부딪쳐 성사되지 못했다. 문위행이 귀국한 후 하급 사행원이 쓰시마에서 저지른 소소한 불법행위들이 보고되는 일은 매우 드물었으며, 도해역관이 개입된 밀매는 더더욱 비밀에 붙여졌다. 문위행은 ‘쇼군 습직 축하’라는 역할 만을 수행하지 못했을 뿐, 18세기 이후에는 ‘쇼군 가문에 대한 사절’로서의 성격을 겸비하고 있었다. 그런만큼 막부는 문위행 접대를 이유로 한 쓰시마번의 경비 지원요청에 응했고, 사행 시 소씨 앞으로 조선이 발급한 외교문서도 막부에 보고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문위행을 통신사와 대비하여 조선이 소씨라는 ‘일개 지방 다이묘에게 파견한 사절’로 국한시키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위행은 그 행선지가 에도가 아닌 쓰시마 후추였다는 점, 정사(正使)가 고위 文官이 아닌 왜학역관이라는 점 등으로 인해, 통신사와 달리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간에 다양한 형태의 협조, 지원, 관행, 불법에 대한 묵인 등이 교묘하게 개입된 사행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위행은 조선 조정이 파견한 사행이면서도 ‘조정’이 아닌 ‘도해역관’ 차원에서 많은 사안들이 종결되어 버리는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문위행은 ‘쇼군 가문을 상대로 한 조선의 사절’이라는 양국 정부 차원의 성격과,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차원에서 형성된 관행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Munwihaeng" (問慰行) refers to envoys in late Joseon who were dispatched to the Tsushima government on missions that were headed by Joseon interpreters of the Japanese language. For about ten years during the 1990s, many studies were published on the origin and makeup of the munwihaeng and negotiations in which the munwihaeng had been involved. However, research over the next ten years remained stagnant and showed no further progress. The failure to suggest new points of discussion as follow-ups to the basic research that was previously conducted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not making more active use of historical sources that contain records of each mission in which the munwihaeng participated. Records left by the So descent group are the only remaining sources that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 such as details regarding their customary practices or negotiations and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were involved in Tsushima. Yet, studies based upon analyzing those records in depth have only again begun to appear since 2010. This study is therefore based on an analysis of records the So descent group kept regarding the munwihaeng, and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s involvement i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affairs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the So descent group"s economic aid and all forms of illegal activitie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munwihaeng were s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s such, the Edo bakufu would cover the cost of accommodating munwihaeng on behalf of the So descent group and reports would be sent to the Edo bakufu regarding diplomatic documents issu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at envoys brought along with them to Tsushima. This gives reason to reconsider the presumption that, compared to the larger, formal diplomatic delegations called Tongshinsa (通信使), munwihaeng had been sent on missions to the So descent group of Tsushima domain, whose leader was a low-ranking daimyo in Japan. What does set munwihaeng apart from Tongsinsa are the facts that the destination of the munwihaeng had been Fuchu (府中) in Tsushima instead of Edo, that missions were led not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but by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and that such missions subtly entailed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support, customary practices, collusion, and condoning of illegalities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hat sense, although munwihaeng envoys were sent on missions by the Joseon government, they were unique in that many matters were settled at the discretion of interpreters instead of the government. Therefore, munwihaeng possessed a dual nature of being sent by the Joseon governm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nd, at the same time, dealing with matters in a customary, closed manner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sushima.

      • KCI등재

        18~19세기 對馬 지식인들의 ‘藩屛’론 -역사서 편찬에 보이는 자아인식 형성-

        松本智也(Tomoya Matsumoto)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6 No.-

        쓰시마 유학자인 아메노모리 호슈는 『隣交始末物語』속에서 “쓰시마는 고대 이래 일본 내에서 번병 제일의 요지였다”고 하는 주장을 표함으로써 에도막부에 쓰시마번에 대한 경제원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미쓰야마 라이카는 호슈의 논의에는 근거가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를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번병’ 언설을 중심으로 한 쓰시마번의 논리에 ‘역사적 근거’가 부여되어 가는 과정을 쓰시마의 역사서 편찬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라이카의 주장 이전, 18세기 초기에 스야마 도쓰안은 쓰시마가 ‘조선의 번신’이 아니라 ‘일본의 번신’이라고 하였다. 또 도(藤)씨의『對州編年略』은 쓰시마가 ‘번병’이었던 기원을 신화 시대로 설정하였다. 19세기 초기에 집필된 『津島紀事』는 라이카의 문제제기를 배경으로 삼아 선행하는 쓰시마 역사서를 답습하는 형태로 편집되었다. 이는 일본 고대 역사서의 서술내용과 도쿠가와 시기인 현재 상황을 병기하고 쓰시마가 고대 ‘일본의 번병’으로서 조선과의 통교를 맡고 있었다는 사실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고대와 현재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18세기까지 쓰시마의 자아인식 논리에는 조선 측의 언설을 변용시킨 내용과 일본 내부에서 통용되고 있던 언설의 맥락이 섞여 있었으나, 19세기 이후 쓰시마의 역사서 편찬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둘을 분리하고 조선의 문맥을 배제해서 쓰시마가 애초(신화 시대, 고대)부터 일본 측에 속해 있던 것으로서 설정한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sushima’s self-identity, who mediates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of Joseon-Japan, through the key word ‘Hampei’, Vassal which performs military defence for Japan. Tsushima scholar Amenomori Hoshu insisted on Tokugawa Shogunate that Tsushima had been the most important ‘Japanese Hanpei’ since ancient era and requested economic aid. However Mitsuyama Raika, disciple of Hoshu, criticized his argument for lack of evidence. This article examines what process his claim had taken to obtain historical evidence, through the narrative of Tsushima’s history books. In early eighteenth century, before Raika’s criticize, Suyama Totsuan insisted that Tsushima was not ‘Hampei of Joseon’ but ‘Hampei of Japan’, being conscious of Joseon’s context. Tou Sadafusa set in his history book that Tsushima had been ‘Japanese Hampei’ since the time of mythology. In this period, Tsushima’s self-identity were mixed by Joseon and Japanese context. In early nineteenth century, Tsushima-kiji responded Raika’s criticism and followed the frame of previous Tsushima’s history books. It wrote the ancient history of Japa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okugawa era together to present the historical evidence that Tsushima has continually mediated Joseon-Japanese relations as ‘Japanese Hampei’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In this period, Tsushima’s history book got to separate the Joseon’s context from Japanese context. It excluded the former and positioned Tsushima as having been located in Japan since ancient times.

      • KCI등재

        對馬宗家의 ‘10만 석 이상’ 家格과 朝鮮製 銅燈籠

        이해진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status of ‘more than 100,000 koku’ which Tsushima self-claimed under the Baku-ha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review is the negotiations between Edo Bakufu and the Tsushima clan in 1680 and 1709 over the number of lanterns dedicated to Shogun’s tombs. In 1680, when Ietsuna died, Tsushima was given an order for the donation of two bronze lanterns, equivalent to ‘more than 100,000 koku’. However, Bakufu revised the instruction to dedicate one bronze lantern based on the actual kokudaka. In response, Tsushima requested to withdraw the reduction, but Bakufu ignored it. The same problem was reignited in 1709, when Tsunayoshi died.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1680, Bakufu ordered the dedication of one bronze lantern to Tsushima. Judging that this fixation of precedents could lead to damage to the family status, Tsushima prayed to persuade Bakufu through Tsuchiya Masanao, Chōsengoyō-rōjū. Masanao succeeded in persuading the senior members of Bakufu by representing that the number of lanterns = ‘more than 100,000 koku’ was directly related to the Tsushima’s ‘face’ to Joseo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is result was the Bakufu’s official recognition of the ‘more than 100,000 koku’ status. Furthermore, Rōjū Ōkubo Tadamasu, who was in charge of receiving lanterns, pointed out that the former dedication ceremonies had been only verbal approval by another rōjū. Later, Bakufu instructed Tsushima to submit past cases of dedication. In the document submitted by Tsushima, two ‘Joseon-made’ bronze lanterns were written, which were donated in 1653. These were dedicated by Tsushima independently commissioned to produce it to Joseon, and it seems to be a plan to carry out the memorial service above their existing status. Through this case, it can be inferred that Tsushima reminded Bakufu that the Lantern dedication was a known issue in Joseon. 본 논문에서는 막번 체제하에서 쓰시마번이 자칭하였던 ‘10만 석 이상’이라는 가격(家格)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1680년과 1709년에 쇼군 영묘에 헌상하는 등롱의 기수 문제로 막부와 쓰시마번 사이에서 벌어졌던 논쟁을 검토하였다. 4대 쇼군 이에쓰나(家綱)가 사거하였던 1680년, 본래 쓰시마번에는 ‘10만 석 이상 격’에 상당하는 동등롱 2기의 헌상 지시가 하달되었다. 그러나 이후 막부는 쓰시마번이 지닌 실질적인 고쿠다카를 기준으로 동등롱 1기를 헌상하도록 지시 사항을 수정하였다. 쓰시마번은 삭감의 철회를 요청하였지만, 막부는 이를 묵살하였다. 같은 문제는 5대 쇼군 쓰나요시(綱吉)가 사거하였던 1709년에도 재점화되었다. 1680년의 전례에 따라 막부는 동등롱 1기의 헌상을 쓰시마번에 지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례의 고착이 가격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 쓰시마번은 조선어용로주(朝鮮御用老中) 쓰치야 마사나오(土屋政直)를 통해 막부의 결정을 철회시킬 것을 기도하였다. 이에 마사나오는 등롱 기수=‘10만 석 이상’의 가격은 곧 조선에 대한 쓰시마번의 ‘체면(外聞)’과도 직결되는 문제임을 대변하여 막부의 중진들을 설득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즉 쓰시마번이 강조한 ‘조선에 대한 체면’은 해당 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었다. 더욱이 해당 논쟁에서는 ‘10만 석 이상’이라는 쓰시마번의 가격에 대한 막부의 ‘공인’은 없었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다이묘들의 등롱 헌상을 총괄한 로주 오쿠보 다다마스(大久保忠增)는 과거에 있었던 쓰시마번의 헌상 의례 또한 어디까지나 로주의 구두 허가가 거듭되면서 굳어진 관행에 불과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이후 막부는 쓰시마번에게 과거의 헌상 사례를 제출하도록 지시하였다. 쓰시마번이 제출한 문서에는 1653년에 헌상된 ‘조선제’ 동등롱 2기가 적혀 있었다. 이는 쓰시마번이 독자적으로 조선에 제작을 의뢰하여 헌상한 것으로, 기존 가격 이상으로 헌상 의례를 수행하고자 획책한 방편이었다고 보인다. 이 사례를 통해 쓰시마번은 등롱 헌상이라는 사안이 예로부터 조선에도 알려진 일임을 막부에 상기시켰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17세기 말~18세기 초 쓰시마번의 대막부교섭 논리 변화 : ‘通交’의 개념적 확장과 ‘藩屛의 武備’론의 등장

        이해진(Lee, Hae-Jin) 일본사학회 2021 일본역사연구 Vol.55 No.-

        본고에서는 17세기 후반 이래로 쓰시마번이 추진한 대막부교섭의 논리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일찍부터 막부는 쓰시마번의 역할로서 ‘조선통교’를 인정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7세기 후반에 시작된 조선 무역의 쇠퇴 속에서 쓰시마번은 막부에게 통교의 지속을 위해서는 무역의 유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무역상의 특권을 인정받았다. 한편 동시기에 쓰시마에서는 ‘번병’이라는 자기인식이 생겨났다. 이와 더불어 막부를 상대로 한 번의 주장 또한 점차 ‘이국 제어’의 논리와 결부되어 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쓰시마번은 무역은 일찍이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하달한 경제적 권리이자 ‘번병의 무비’를 수행할 재원이기 때문에 그 권리를 보존해줄 것을 청원하였다. 나아가 통교에 대해서도 청의 침략을 막는 방파제인 조선을 ‘일본의 위광’을 통해 지켜낸다는 숨겨진 목적이 있음을 덧붙였다. 이로써 쓰시마번의 담론 속에서 통교는 대외관계 상의 균형을 유지하는 수단이자 ‘이국 제어’의 한 측면으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18세기 초에 쓰시마번이 주장한 논리상의 개념과 구조는 이후에 발전을 거쳐 18세기 후반의 대막부교섭에서 등장하는 ‘조선 제어의 역’ 담론으로 구성되어 갔음을 전망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about the logical changes in negotiations with the bakufu that the Tsushima-han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e bakufu had admitted the Chōsen-Tsūkō, the communication to Joseon, as the role of Tsushima. But at the late 17th century the trade with Joseon started to wan, Tsushima insisted that it has to be kept to maintain the Chōsen-Tsūkō. As the result, Tsushima preserved their privilege by the bakufu. In the meantime, Tsushima started to recognize themselves as the Hampei, a bordered region toward foreign lands. At the same time, Tsushima’s assertions against the bakufu were gradually linked to the logic of Ikoku-osae, the control of foreign invas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Tsushima petition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right to trade which had been their financial source of the military readiness of Hampei, since the Tokugawa Ieyasu’s order. Furthermore, they insisted that Tsūkō is an important role that keeps Joseon as a breakwater against the Xing’s invasion. As a result, on the discourse of Tsushima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Chōsen-Tsūkō came to exist as a means of maintaining the balance in foreign relations and as an aspect of Ikoku-osa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logical concept and structure asserted by Tsushima in the early 18th century was developed into the discourse on the role of Chōsen-osae used in negotiations with the bakufu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1704년 問慰行에 대한 對馬藩의 權現堂 供物 지급 요청

        이해진(Lee Hae-Ji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1 No.-

        본고에서는 1704년에 쓰시마번이 권현당(權現堂)에 대한 공물(供物)을 조선으로부터 지급받고자 한 사실을 검토하였다. 권현당이란 쓰시마번 내에 건립된 도쇼구, 즉 에도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당을 가리킨다. 17세기 후반에도 쓰시마번은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조선으로부터의 공양자금 제공을 명분으로 하는 외교・무역선인 권현당송사의 신설을 조선 측에 요청하였다. 쓰시마번은 줄곧 조선과의 관계 속에서 권현당을 활용해 번의 이익을 도모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에서 주목한 1704년의 교섭도 그 연장선상에 해당한다.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이 재개된 계기는 1701년에 있었던 권현당의 소실이었다. 당시 은거 중이었던 전 번주 소 요시자네는 권현당이 과거 막부에 청원하여 건립한 것이기 때문에 서둘러 재건해야 한다고 독려하였다. 이후 쓰시마번은 권현당의 소실과 그 재건 계획을 막부에도 보고하였다. 하지만 로주 아베 마사타케는 권현당 건립은 쓰시마번의 소관으로, 막부와는 관련이 없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는 요시자네가 주장한 권현당 재건의 당위성과는 모순되는 답변이었다. 더욱이 그 무렵은 쓰시마번의 재정난이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결국 권현당의 재건은 중지되었다. 그 후 사망한 요시자네의 조문을 위해 조선으로부터 도해한 문위행을 상대로 쓰시마번은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쓰시마번의 움직임은 조선무역의 쇠퇴 등으로 인한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한 시도 중 하나였다. 그러나 문위행의 귀국 후 이어진 교섭에서 권현당 공물 문제가 공식석상에 등장하는 일은 없었다. 그 이유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사안이었기에 아명도서의 신설과 공작미 지급의 연한 연장과 같은 다른 요청사항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권현당 공물 문제는 도리어 주된 교섭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유보되었다. 권현당 공물 요청은 막부와 합의하지 않은 채 쓰시마번이 독자적으로 벌인 작업이었다. 그 목적은 막부나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숭경이라기보다도 오히려 번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였다. 나아가 이러한 계획을 위해 막부와 도쇼다이곤겐이라는 존재마저 철저히 활용하였다는 사실은 조일관계 속에서 쓰시마번이 지니고 있던 독자적인 입장을 확인하게끔 해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unfolding of events when, in 1704, Tsushima Domain planned to request of Joseon the initiation of the Gongendō tribute. The Gongendō was the Tōshōgū, viz., the shrine of the first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Tōshō Daigongen, Tokugawa Ieyasu) established in Tsushima Domain. Even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requested of Joseon the founding of a diplomacy-trade ship for the Gongendō, that is, the Gongendō annual ship. This ship was to raise funds used for procuring the offerings devoted to the Tōshō Daigongen. Hence, even before the eigh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was already using the Gongendō to their advantage when engaging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In 1701, the Gongendō was destroyed by fire. Consequently, this prompted Tsushima to resume with the request for tribute. The former daimyō of the domain Sō Yoshizane, who at the time was retired, because the Gongendō had been established on a request to the Shogunate, encouraged that it should be restored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 Tsushima Domain planned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and also reported this to the Shogunate. However, the Rōjū Abe Masatake repli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had nothing to do with the Shogunate and that it was completely up to Tsushima Domain. This directly contradicted the legitimacy of the restoration that Yoshizane asserted. Furthermore, at that time Tsushima was starting to suffer from a budgetary crisis. As a result, the restoration project was aborted. After this, Tsushima asked the Munwihaeng who crossed the sea to mourn the deceased Yoshizane to mediate the affairs regarding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one of the measures to resolve the budgetary crisis caused by the decrease in trade with Joseon. However, in the talks that took place after the Munwihaeng returned to Joseon, there were no official requests for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because that compared to other matte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Doseo (the bronze seal for the proprietor of the diplomatic right with Joseon) for the Tsushima heir and the extension for the provisions of official trade rice, the Gongendō tribute was of minor importance. Moreover, fearful that it could jeopardize the negotiation per se, Tsushima postponed proposing the Gongendō tribute as an agenda item in the talks that ensued. To summarize, the request for the Gongendō tribute was an autonomous action of Tsushima that was no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ogunate. The request was triggered by the concern to yield economic profits for the domain rather than by the motivation to venerate the Shogunate or the Tōshō Daigongen. Furthermore, Tsushima skillfully used the very existence of the Shogunate and the Tōshō Daigongen to accomplish its goals. This verifies the independence of Tsushima as a major participant in Joseon-Japan relations.

      • KCI등재

        18~19세기 對馬 지식인들의 ‘藩屛’론 - 역사서 편찬에 보이는 자아인식 형성-

        마츠모토 토모야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6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sushima’s self-identity, who mediates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of Joseon-Japan, through the key word ‘Hampei’, Vassal which performs military defence for Japan. Tsushima scholar Amenomori Hoshu insisted on Tokugawa Shogunate that Tsushima had been the most important ‘Japanese Hanpei’ since ancient era and requested economic aid. However Mitsuyama Raika, disciple of Hoshu, criticized his argument for lack of evidence. This article examines what process his claim had taken to obtain historical evidence, through the narrative of Tsushima’s history books. In early eighteenth century, before Raika’s criticize, Suyama Totsuan insisted that Tsushima was not ‘Hampei of Joseon’ but ‘Hampei of Japan’, being conscious of Joseon’s context. Tou Sadafusa set in his history book that Tsushima had been ‘Japanese Hampei’ since the time of mythology. In this period, Tsushima’s self-identity were mixed by Joseon and Japanese context. In early nineteenth century, Tsushima-kiji responded Raika’s criticism and followed the frame of previous Tsushima’s history books. It wrote the ancient history of Japa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okugawa era together to present the historical evidence that Tsushima has continually mediated Joseon-Japanese relations as ‘Japanese Hampei’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In this period, Tsushima’s history book got to separate the Joseon’s context from Japanese context. It excluded the former and positioned Tsushima as having been located in Japan since ancient times. 쓰시마 유학자인 아메노모리 호슈는 『隣交始末物語』 속에서 “쓰시마는 고대 이래 일본 내에서 번병 제일의 요지였다”고 하는 주장을 표함으로써 에도막부에 쓰시마번에 대한 경제원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미쓰야마 라이카는 호슈의 논의에는 근거가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를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번병’ 언설을 중심으로 한 쓰시마번의 논리에 ‘역사적 근거’가 부여되어 가는 과정을 쓰시마의 역사서 편찬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라이카의 주장 이전, 18세기 초기에 스야마 도쓰안은 쓰시마가 ‘조선의 번신’이 아니라 ‘일본의 번신’이라고 하였다. 또 도(藤)씨의 『對州編年略』은 쓰시마가 ‘번병’이었던 기원을 신화 시대로 설정하였다. 19세기 초기에 집필된 『津島紀事』는 라이카의 문제제기를 배경으로 삼아 선행하는 쓰시마 역사서를 답습하는 형태로 편집되었다. 이는 일본 고대 역사서의 서술 내용과 도쿠가와 시기인 현재 상황을 병기하고 쓰시마가 고대 ‘일본의 번병’으로서 조선과의 통교를 맡고 있었다는 사실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고대와 현재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18세기까지 쓰시마의 자아인식 논리에는 조선 측의 언설을 변용시킨 내용과 일본 내부에서 통용되고 있던 언설의 맥락이 섞여 있었으나, 19세기 이후 쓰시마의 역사서 편찬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둘을 분리하고 조선의 문맥을 배제해서 쓰시마가 애초(신화 시대, 고대)부터 일본 측에 속해 있던 것으로서 설정한 것이다.

      • 近世朝鮮通信使の礼物の鷹と馬の移送について -対馬藩の役割を中心に-

        吉田智史 조선통신사학회 2023 조선통신사연구 Vol.36 No.-

        조선후기 통신사는 조선 국왕이 도쿠가와[徳川] 쇼군[将軍] 앞 으로 보낸 국서에 쇼군, 후계자, 은퇴한 쇼군에게 보내는 예물 목 록인 예단을 별폭(別幅)으로 첨부해, 백저포(白苧布)ㆍ인삼ㆍ호피ㆍ매ㆍ말 등을 지참했다. 이 중 매와 말은 권위의 상징이었고, 쇼군의 기호에도 맞아 예물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쓰시 마번의 매와 말에 관한 교섭은 쇼군 권위에 관련된 문제이자 조일 외교 업무가 주업이었던 쓰시마 번의 위신에 관련한 문제로서 고 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쓰시마번의 이송체제, 해로ㆍ육로 의전 담 당의 이송지원체제, 쓰시마번과 의전 담당의 연계를 명확히 밝히 는 것은 매와 말 이송의 전체 양상 해명에 있어서 의미가 깊다. 이와 같은 시점의 선행 연구를 보면 『우시마도 초시[牛窓町史] 통사편(通史編)』의 해로 이송의 검증, 나카오 히로시[仲尾宏]의 육 로 매 이송에 관한 인원 구성 분석 등 부분적인 해명으로 국한되 어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1711년의 통신사 사례를 중심으로 쓰시마번의 매와 말의 교섭, 부산에서 에도[江戸]까지의 이송에 관한 쓰시마번과 의전담당의 동향을 검증했다. 검증의 결과, 매와 말의 교섭은 선례와 막부(幕府)의 의향에 입각해서 쓰시마번의 요청을 조선이 받아들인 것, 조선에서 보내 온 매와 말을 쓰시마번이 선별해서 이송한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해로․육로 양쪽 다 매와 말은 통신사와 같은 경로를 이동했고, 통 신사 의전담당과 같은 번이 이송을 담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더욱이 에도에 옮겨진 매는 막부의 관리가 선별해서 쇼군의 예물로 정했다는 것도 밝혀졌다. 이러한 쓰시마번과 의전담당의 동향이 막부 권위를 지켰고 조일관계의 안정으로 이어졌다. The Joseontonsinsa in the late Joseon period brought a letter of state from the King of Joseon to the Tokugawa Shogun, along with an annex containing a list of courtesies to the Shogun, his successor, and Ogosyo (Retired Shogun), including ramie cloth, ginseng, tiger skin, hawks, and horses. Of these, the hawk and horse were considered symbols of authority, and it is thought that they became courtesies in combination with the Shogun's preferences.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negotiation of the hawk and horse by the Tsushima domain is a matter related to the Shogun's authority, and must be considered as a matter related to the prestige of the Tsushima domain, whose family role is diplomatic service between Japan and the Joseon.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o clarify the transportation system of the Tsushima domain, the support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by the feudal lords by sea and lan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sushima domain and the feudal lords to clarify the whole picture of the transportation of the hawks and horses. From this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have only partially clarified the details, such as the verification of the transportation by sea in “Ushimado Town History” and the analysis of the personnel composition related to transporting hawks by land by Hiroshi Nakao. This article focuses on Tsushima’s negotiations regarding hawks and horses, as well as the movements of the Tsushima domain and its officials in transporting hawks from Busan to Edo, centering on the Joseontonsinsa of 1711.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negotiation between hawks and horses was made upon the request of Tsushima Domain based on precedent and shogunate’s inten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upport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was prepar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sushima domain, and that the hawks and horses traveled along the same route as the Joseontonsinsa both by sea and land. In addition, the sea route and the land route traveled the same route as the carrier of the Joseontonsinsa, who was in charge of the transfer. Moreover,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hawks transferred to Edo were selected by the shogunate officials as gifts to the shogunate. This trend, where the Tsushima Domain and its officers supported the shogunate author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the Japanese-Joseon relationship.

      • KCI등재

        쓰시마 역지통신(易地通信) 교섭과 조선어통사(朝鮮語通詞)의 한글문서

        許芝銀 ( Her Ji-e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6 No.-

        근세시기 왜관은 조·일간의 ‘경계와 접촉의 공간’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있었다. 왜관에서 근무했던 쓰시마번 사람들 가운데 조선어 통역관인 조선어통사는 조선과의 의사소통의 최전선에서 활동했다. 이들의 일반업무는 관수와 재판, 그리고 대관의 공적인 사무를 보조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집무소 역시 왜관의 東館쪽에 있는 館守家, 裁判家, 代官家 근처였다. 조선어통사의 주된 활동공간은 왜관의 동관면 뿐만이 아니었다. 그들은 왜관 북면의 사카노시타(坂ノ下)쪽으로도 자주 출입했는데, 그곳에 일본과의 의사소통의 최전선에서 활동했던 조선 역관들의 거주공간과 집무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어통사는 조선 측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조선어로 된 한글문서를 작성하기도 했는데, 지금까지 쓰시마 역지통신 교섭과 관련하여 소개된 한글문서 가운데 조선어통사가 작성했거나 조선어통사가 작성했다고 생각되는 것은 9통이 있다. 쓰시마 역지통신은 에도막부가 제안한 것으로 장소뿐만 아니라 국서 전달식을 비롯하여 외교의례의 전반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조선에서 역지통신 제의를 받아들여 쓰시마에서 역지통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24년이라는 긴 교섭기간이 필요했다. 따라서 조선과의 의사소통의 최전선에서 활동했던 조선어통사의 역할 또한 컸다. 쓰시마 역지통신 교섭 과정에서 조선어통사가 작성한 한글문서는 당시 에도막부와 쓰시마번의 입장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나아가 에도막부와 쓰시마번의 입장을 조선면에 피력하고 교섭을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조선어통사의 노고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The Japanese settlement(Waegwan, 倭館) in early modern periodhad a dual nature of a space of boundary and contact' between Joseon and Japan. Among the people of Tsushima domain who worked in the Japanese settlement, the Korean interpreters were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Joseon. Theirgeneral duties were to support the official affairs of the Captain of the Japanese settlement(Kwansu, 館守), the Saihan(裁判) and the Daikan(代官). So, their office was also near the residences of the Captain, Saihan and Daikanon the eastern side of the Japanese settlement. The main area of activity for the Korean interpreters was not limited to the eastern side of the Japanese settlement. They often went to Sakanosita(坂ノ下) in the north of the Japanese settlement, where there was a residential area and an office for the official interpreters of Joseon who were working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Japan. In order to facilitate a smooth communication with Joseon, the Korean interpreters also wrote letters in Hangul. There are nine letters that are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by them among the Hangul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of Tsushima Translocation Envoys. The Tsushima Translocation Envoys was proposed by the Edo Bakuhu(江戶幕府). It meant a change of the whole ceremony of diplomatic rites including the ceremony of sending the letters of sovereign as well as the places. Therefore, it took 24 years of long negotiation to establish. Therefore, the role of the Korean interpreters who were active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Joseon, was also important. The Hangul letters written by the Korean interpreters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for Tsushima Translocation Envoys can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the Edo Bakuhu and Tsushima domain.Furthermore, it is a precious referential material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 efforts of the Korean interpreters who tried to transfer the position of the Edo Bakuhu and the Tsushima domain to Joseon in order to proceed the negotiation smoothly.

      • KCI등재

        조선후기 조선・일본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본고는 동남아시아-일본-조선-중국을 포괄하는 교역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하여, 조선후기 조일 관계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교역 실태를 검토한 것이다. 17세기의 동남아시아 산물 교역 상황을 개관하고, 18・19세기의 교역에서는 수우각 무역의 추이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조선시대에 수입되던 대표적인 동남아시아 산물은 수우각, 후추, 소목, 명반이다. 수우각은 공예품과 활의 재료로, 후추는 조미료나 약용으로, 소목과 명반은 각각 붉은 염료의 재료와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쓰시마는 나가사키에 내항하는 중국선과 네덜란드 선박으로부터 동남아시아산 물품을 구입하여 왜관으로 가져갔다. 또한 조선이 수입한 수우각・후추・소목은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초까지 약 1세기 동안 ‘세폐의 명목으로’ 중국으로도 유입되었다(동남아시아→나가사키→쓰시마→조선 왜관→중국 북경을 연결하는 물품의 이동로). 조선후기 조일무역에서 동남아시아 산물의 무역량이 최고를 기록한 시기는 17세기 말이다. 그러나 일본 국내의 산물이 아닌 만큼 쓰시마가 왜관무역에서 판매할 수 있는 수량은 나가사키 무역의 호황 정도에 따라 증감의 폭이 컸고, 품목에 따라서는 한 해의 교역량이 제로인 경우도 발생했다. 특히 군수물자였던 수우각은 조선에게는 매우 귀중한 수입품이었으나 이미 18세기 전반에 나가사키로 반입되는 양이 매우 불안정했다. 본고는 나가사키키키야쿠(長崎聞役)로 근무했던 마쓰우라 산지(松浦賛治)의 기록 등을 검토하여 해당 시기 나가사키에서 쓰시마가 수우각을 입수한 구체적인 정황을 소개했다. 1776년, 쓰시마와 조선 간의 개시무역이 단절되었다고 판단한 막부는 매년 금 12,000냥의 지원금을 쓰시마에게 하사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막부는 쓰시마가 향후 나가사키에서 개시무역용 무역품을 조달하는 것을 금지하고 관영무역에 필요한 물품의 수량을 보고하도록 했다. 이에 쓰시마는 관영무역에 필요한 동남아시아산 4대 산물의 물량을 필요 액수보다 훨씬 많은 ‘허위’의 액수로 막부에 신고했고, 막부는 이 액수를 인정했다. 18세기에 전개된 막부의 나가사키 무역 축소정책, 동남아시아 현지의 상황,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해산 등으로 인해 18세기 이후 4대 산물의 나가사키 반입량은 현저하게 감소해 갔다. 후추, 소목, 명반의 경우 막말까지 관영무역의 정액만큼 조선에 수출되었으나, 수우각은 조일 간의 교섭을 거쳐 1832년부터 조선에 동(銅) 3,000근으로 대납하게 되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trade and consumption of commodities in late Joseon that were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via Japan based on a trade network encompassing Southeast Asia, Japan, Joseon, and China. The items Joseon commonly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were water buffalo horn, pepper, sappanwood, and alum. Water buffalo horn was used to make handicraft and bows, while pepper was used for cooking or medicinal purposes. Sappanwood was used to extract dye and alum was a mordant. These items were imported via the Ryuku Kingdom and Japa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but during the second half, they were only imported through the Tsushima Domain. The Tsushima Domain would acquire such items from Chinese or Dutch ships that visited Nagasaki, then bring them over to the Japanese guest house in Joseon called waegwan. The volume of Southeast Asian commodities traded between late Joseon and Japan peaked at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owever, because the commodities weren’t produced in Japan, the amount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bring to the waegwan in Joseon fluctuated heavily depending on how prosperous trade was at Nagasaki. This caused the trade of particular items to be nonexistent during certain years. In 1776, the Edo bakufu acknowledged the Tsushima Domain’s claim that its private trade with Joseon had become discontinued and decided to support the domain by granting 12,000 ryō in gold coins each year. The Bakufu also prohibited the domain from obtaining commodities at Nagasaki for private trade with Joseon and obligated the domain to report the volume of commoditie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The Bakufu thereafter approved of the budget the Tsushima Domain submitted, although it was a false estimate that far exceeded the actual cost required to secure the amount of the aforementioned four Southeast Asian items necessary for public trade with the Joseon government. Nonetheless, beyond the eighteenth century, a significant drop occurred in the incoming volume of these four items at Nagasaki due to the Bakufu policy to downscale trade at the port as well as the Dutch East India Company’s dissolution in 1799. Until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Tsushima Domain was able to deliver the amount of pepper, sappanwood, and alum it promised to procure for Joseon. However, it failed to do so with water buffalo horn because of a sharp drop in its supply through Nagasaki so that in 1832, the domain paid Joseon 3,968 pounds (3,000 geun) of copper instead.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에 관한 재고(再考)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1635년 문위행’의 역할과, 문위행과 관련된 막부의 쓰시마번 원조 사례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1635년의 사행은 역관의 단독사행이면서 마상재(馬上才)를 동반하고 에도까지 다녀온 최초의 사례이다.이 사행은 1635년 정월에 조선을 출발, 3월 말 에도에 도착하였고 쇼군과 다이묘들에게 마술을 선보인 후 7월 조선에 귀국했다.쇼군 이에미쓰의 친재(親裁)를 거쳐 오이에소도에 대한 최종판결이 내려지고 관련자 개개인에 관한 구체적인 처벌이 언도된 것이 3월 12일, 13일이므로, 사행단이 에도에 도착했을 때 이미 야나가와잇켄은 모두 종료된 상태였다. 따라서 홍희남과 최의길은 쓰시마번의 오이에소도(御家騷動)에 관한 정보수집에 힘쓰기는 했으나 막부를 직접 상대로 하여 소씨를 변호했다고는 보기 어렵다. 한편 문위행과 관련된 접대비용 충당이라는 명목으로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779년부터이다. 종래의 연구성과에서 문위행 관련 원조로 총 7회의 사례가 있었음이 밝혀진 상태이지만,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문위행의 경우 19세기에 들어서서 1809, 1843, 1860년의 사행에서도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졌다. 1809년에 대비한 원조는 통신사와 문위행의 접대, 양쪽 비용을 겸한 경우였는데, 이것까지 포함시키면 원조 회수는 총 10회에 이른다.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진 사례들의 공통점은 모두 쇼군 가문의 경조사를 명목으로 한 경우였고, 단순히 쓰시마번주 가문의 사안을 목적으로한 원조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쓰시마번이 통신사 뿐만 아니라 문위행의 접대비용에까지 원조요청을 확대시킨 배경에는, 18세기 중기 이후 대조선 무역 이익의 감소와 격심한 재정궁핍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몇 건의 원조 사례를 쓰시마번의 기록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문위행의 도일에 앞서 쓰시마번은 로주를 비롯한 막부의 중신들에게 청원서를 제출하여 특별 수당의 하사를 요청했고 대개 그 요청은 수용되었다. 1829년, 1843년, 1855년, 1860년 사행에서도 원조가 이루어졌고, 1860년의 사행이 조선시대 최후의 문위행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