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정론으로서의 평화주의: 존 요더의 평화주의의 신정론적 독해

        김기현 ( Ki Hyu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6 기독교철학 Vol.22 No.-

        이 논문은 존 요더의 평화주의적 신정론을 고찰한다.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는 평화주의는 고통과 악에 대한 대답인 신정론의 일부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 주장이다. 찰스 핀치스에 의하면 평화주의는 이론적 신정론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다. 또한 이론으로서의 신정론이 갖는 약점인 실천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대안이다. 그렇지만 요더 자신은 평화주의를 신정론으로 독해하는 것에 심한 거부감을 표현한다. 이론화된 신정론은 살아계신 인격으로서의 하나님을 죽은 자의 하나님으로 만든다고 본다. 그러나 나는 평화주의 자체가 하나의 신정론 이라는 핀치스의 주장에 동의한다. 평화주의는 이론적 신정론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고 대안이다. 이론적 신정론이 아니라 실천적 신정론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나는 요더에 반하여 그가 명시적으로 거부한 신정론을 평화주의와 연결시킴으로써 핀치스를 옹호하고자 한다. 평화주의는 이 세상에 만연한 악과 고통에 대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해답을 제시한다. 그러나 지옥의 교리가 요더의 곤경이라고 말하는 핀치스에 반하여 그가 논리적 일관성을 지니며, 신정론으로 부합하다는 논지를 펼치고자 한다. 핀치스는 지옥(hell) 교리가 신정론에 맞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지옥은 평화주의와 신정론의 논리적인 귀결로 인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타자의 자유를 존중하여 폭력적으로 나의 의지를 강제하지 않는 평화주의야 말로 실천적인 자유의지 신정론이라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pacifistic Theodicy of John Howard Yoder. It is central claim that Pacifism against war and violence is able to be reconstructed as a part of theodicy which defends God``s goodness and justice in the face of the existence of evil. According to Charles Pinches, Pacifism is an answer to the theoretical theodicy. Also, while the weakness of the theodicy is theoretical, it is possible to be an alternative to the theodicy in that pacifism seeks to praxis. However, John Yoder has a strong aversion to interpreting pacifism as a theodicy. He understands that the theoretical theodicy can make the living God into the God of the dead. However, I agree to Pinches who argues that pacifism be a kind of theodicy. Pacifism is an answer and an alternative to the theoretical theodicy. I suggest that it is a part of practical theodicy, not of theoretical. Pacifism provides ultimate answer to evil and suffering being rampant in the world. I support Pinches who tries to link theoodicy to pacifism, contrary to Yoder. But contrary to Pinches saying that the doctrine of Hell is Yoder``s predicament, I argue that Yoder has logical consistency and his approach is suitable to theodicy. Pinches says that the doctrine of Hell is at odds with theodicy. However, I argue that hell should be approved as the logical consequence of pacifism and theodicy. Finally, I suggest that pacifism is practical free will theodicy, which is not restricted to my will violently for the sake of other``s freedom.

      • KCI등재

        말라기에 나타난 ‘신정론적 문제 제기’의 문학적, 신학적, 정경적 의미

        유윤종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4 서양고대사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말라기 2:17; 3:13-15에서 제기된 신정론적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여 말라기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의 문학적, 신학적, 그리고 정경론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학적 관점에서 신정론적 문제 제기를 중심으로 말라기를 분석함으로써 말라기의 전통적인 여섯 부분 구분이 아닌 다섯 부분의 교차 대구 구조로 분류한다. A. 무너진 정의에 대한 야웨의 책망(1:1-2:16) B. 이스라엘의 신정론적 문제 제기 (2:17) C. 야웨의 응답 (3:1-12) Bˊ. 이스라엘의 신정론적 문제 제기 (3:13-15) Aˊ. 종말에 이루어질 야웨의 정의(3:16-4:6) 위의 구조에 의하면 신정론적 문제 제기에 대한 야훼의 대응이 말라기의 핵심 주제임을 보여준다. 말라기 시대에는 유대 사회가 페르시아 식민지 상태에 있었으며,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조롱과 회의가 널리 퍼져 있었다. 말라기는 그러한 사회적, 종교적 불의에 대한 야훼의 책망을 반영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정의가 종말에 이루어질 것으로 선포한다. 따라서 말라기의 신정론은 보상의 원칙에 입각한 계약적 신정론과 종말론적 신정론의 특성을 나타내며, 이 땅에서는 계약적 신정론이 지연될지라도 궁극적으로는 종말에 실현될 것이라 선포한다. 12 예언서의 마지막인 말라기는 12 예언서 전체의 정황에서 정경적 의미를 갖는다. 즉 말라기는 첫 번째 책인 호세아와 주제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계약적 및 종말론적 신정론을 동시에 보여준다. 호세아의 세 자녀의 이름은 계약적 신정론에 기반한 심판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종말”에 발생할 사건들은 종말론적 신정론과 관련되어 있다. 호세아와 말라기의 수미 상관관계는 12 예언서 전체를 통틀어 신정론이 중요한 주제임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말라기의 신정론은 페르시아 시대의 예언서인 학개와 스가랴와 연결되어 있으며, 계약적 및 종말론적 신정론을 공유한다. 학개와 스가랴에서는 성전의 재건이 계약적 신정론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며, 이 주제는 말라기에서도 계속된다. 학개와 스가랴의 종말론적 신정론도 말라기에서 이어진다. 말라기는 “내 사자”의 도래를 통한 회개라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한다. 이는 페르시아 시대의 예언서와 말라기 사이에는 신정론의 연속성을 드러내며, 말라기 신정론이 더 종말론적이고 확신에 찬 구원과 심판의 메시지를 전달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arts with the issue of theodicy raised in Malachi 2:17; 3:13-15, and then analyze the text of Malachi to explore its literary, theological, and canonical significance. From a literary perspective, analyzing Malachi from the viewpoint of the issue of theodicy allows for a new classification of Malachi's structure, no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ix-fold division but as a chiastic structure with a five-fold division. A. Yahweh's rebuke for the broken justice (1:1-2:16) B. Israel's raising the issue of theodicy (2:17) C. Yahweh's response (3:1-12) Bˊ. Israel's raising the issue of theodicy (3:13-15) Aˊ. Yahweh's justice to be established in the eschatology (3:16-4:6) Therefore, Yahweh's response(C) to the issue of theodicy demonstrates itself as the central theme of Malachi. During Malachi's time, Judean was a Persian colony, with mockery and skepticism among the people regarding God's justice being widespread. The book of Malachi reflects Yahweh's rebuke for complaining about such social and religious injustices, ultimately proclaiming that God's justice will be established in the end. Consequently, Malachi's theodicy exhibits characteristics of covenantal theodicy and eschatological theodicy, declaring that although covenantal theodicy may be delayed on this earth, it will ultimately be realized in the end. Malachi as the last book of the Twelve holds canonical significance within the context of the book of the Twelve. As a result, it demonstrates a thematic correlation with the first book, Hosea, sharing covenantal and eschatological theodicy. The names of the three children in Hosea convey a message of judgment based on covenantal theodicy, and events to occur on the “last day” are related to eschatological theodicy. The correlation with Hosea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odicy as a significant theme throughout the books of the Twelve. Furthermore, Malachi's theodicy aligns with the prophetic books of the Persian era, Haggai and Zechariah, sharing covenantal and eschatological theodicy. In Haggai and Zechariah,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emerges as a new theme in covenantal theodicy, a theme that continues in Malachi. The eschatological theodicy in Haggai and Zechariah is also carried forward in Malachi. Malachi introduces a new concept of repentance through the arrival of “my messenger,” referring to the coming of Elijah. This reveals the continuity of Malachi's theodicy with the prophetic books of the Persian era and emphasizes that Malachi's theodicy conveys a more eschatological and assured message of salvation and judgment.

      • KCI등재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차선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이 글은 기존의 신정론 유형들을 활용하여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을 기술한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세계관 내에서 신정론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대순진리회 세계관에서 악과 고통의 문제는 상극의 문제로 대치되어 기술된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선천, 그리고 천지공사 이후부터 개벽 직전까지 후천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만 논의할 문제이다. 후천에는 상극이 없기에 고통이 존재하지 않고, 신정론도 논할 필요가 없다. 선천과 과도기의 신정론은 각각 다르게 조명되어야 한다. 우주는 최고신이 전체적인 법칙을 주관하고, 실제 세부 운영은 하부 신명들이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었다. 우주의 운행에 있어서 만물은 상극과 상생이라고 하는 법칙을 갖도록 만들어졌다. 상생은 서로가 서로를 돕는 것, 상극은 서로가 서로를 극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통이 존재하는 이유는 상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선천은 상극이 지배하는 시기였다. 그 이유는 성장과 발전이라는 가치를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상극은 결코 악의적인 의도에서 마련되어진 것은 아니었다. 즉 상극은 본래 나쁘고 잘못된 것이라는 도덕적 가치를 지니지 않은 것이었다. 그러나 상극의 지배가 오래 지속되자 상극으로 인해 발생한 원한이 풀리지 못하고 누적되어갔고, 우주의 법칙을 운용하던 명부의 신명들도 종종 착오와 실수를 일으키곤 했다. 이것이 점점 심화되자 세상은 엄청난 재앙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상의 상황을 ‘이원적 상극 신정론’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신명들로부터 우주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음을 보고받은 최고신은 우주의 실정을 살펴본 뒤 증산이라는 한 인간으로 강세하였다. 그가 천지공사를 시행하면서 개벽은 예정되었고 그에 따라 과도기가 시작되면서 신정론도 다르게 묘사된다. 그것은 개벽 때 대심판을 받는다는 사실, 그로써 신명ㆍ인간을 포함한 모든 악한 존재들은 소멸하고 지상에 천국이 열린다는 사실, 개벽이 도래하기 전까지 각자가 해원을 시도한다는 사실을 주 내용으로 한다. 이것을 ‘말세론적 해원 신정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정론은 이상 2개의 신정론을 핵심으로 삼으면서, 상황에 따라 영혼 성장 신정론, 자유의지 신정론, 배상 신정론, 내세적 신정론, 카르마 신정론, 참여 신정론, 교류 신정론 등을 중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using established theodicies.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within the worldview of Daesoon Jinrihoe, the problems of evil and suffering are better addressed by analyzing the problem of mutual contention. Accordingly,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is a matter which should be discussed only in regards to the time period known as the Former World and the transition period after the Reordering Works that leads up to the Later World. The Later World does not operate under patterns of mutual contention. Consequently, there will be no suffering. Therefore, issues of theodicy are irrelevant in the Later World. Theodicy should be dealt differently as it pertains to the Former World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transition period. Daesoon Thought posits that there is an underlying principle presides over the cosmos, and the divine beings act in accordance with it and perform specific duties in their own subdivisions. The cosmic principle is able to contain cycles of both Sanggeuk (‘mutual destruction’ in general usage, but ‘mutual contention’ in Daesoon Thought related to the Former World) and sangsaeng (‘mutual generation’ in general usage and ‘mutual beneficence’ in Daesoon Thought related to the Later World). Suffering came into being due to mutual contention. However, mutual contention was not set into motion maliciously, but was arranged instead to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greater values such as growth and development. In other words, mutual contention are not products of a moral value the nature of which is bad or wrong. Yet, since the world has operated under mutual contention from time immemorial, a nearly incalculably vast multitude of grievances have accumulated. In addition, the divine beings who had operated under mutual contention often made mistakes and spread confusion. This extreme situation resulted in tremendous disasters breaking out all over the world. Perhaps this particular theodicy could be named “Dualistic Sanggeuk Theology (Dualistic Theodicy of Mutual Contention).” After the divine beings reported to the Supreme God that the world had fallen into a serious crisis, the Supreme God penetratingly examined the circumstances of the world and then descended to Earth as a human being named Jeungsan. As Jeungsan practice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e Great Opening was preordained by Him. As a result, the transition period started, and from that point onward, theodicy should be described differently. It is presumed that all creatures will be judged at the time of the Great Opening. This will result in the annihilation of all wicked beings including both divine beings and humans. There will also be the establishment of an earthly paradise as well as grievance resolution for all beings prior the Great Opening. This can also be called “The Eschatological Theodicy of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Theodicy in Daesoon Jinrihoe adopts the two theodicie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at, various theodicies from other traditions such as Irenaean (“soul-making”) Theodicy, Free Will Theodicy, Recompense Theodicy, Afterlife Theodicy, Karma Samsara Theodicy, theodicy of participation, and Communion Theodicy can all potentially be applied on a case by case basis.

      • KCI등재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임마누엘 칸트를 중심으로 본 신정론의 비판과 타자윤리로의 전환

        박원빈(Park Won-bi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5

        이글은 칸트와 레비나스의 신정론을 살펴보고 악의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양자의 신정론이 각각 어떤 맥락에서 논의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계몽주의 철학자로서 칸트가 바라본 신정론의 문제는 자연악과 도덕악을 구분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또한 신정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현재의 악이 미래의 보상과 연결된다는 믿음 사이에는 어떠한 논리적 인과관계가 존재할 수 없음을 지적한다. 레비나스는 칸트의 신정론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레비나스에게 현재의 고난이 미래의 발전에 기여하리라는 칸트의 해석은 여전히 주체 중심의 이성이 보여주는 계몽주의적 환상을 반영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 2차 대전의 참화를 겪은 레비나스의 신정론 비판은 이성의 준엄한 심판을 통한 칸트의 신정론 비판보다 더 개인적이며 실존적인 배경에서 시작된다. 레비나스에게 있어 신정론은 서구 철학에 면면히 흘러온 ‘동일성의 철학’ 혹은 ‘자아 중심의 철학’의 신학적 변형이기에 신정론은 폐기되어야 한다. 자신의 철학적 구상인 ‘타자윤리’를 통해 인간이 신을 만나는 장소는 타자에 대한 책임을 망각하고 스스로를 위로하는데 급급한 신정론이 아니라 주체가 ‘타자’의 얼굴에 나타난 ‘무한’의 자취를 인식하고 이에 대해 실천적으로 응답하는 자리임을 밝힌다. 이처럼 레비나스는 타자윤리를 통해 신정론의 가장 중요한 질문 중의 하나인 고통과 악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시도하려고 한다. This study aims at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Emmanuel Levinas and Immanuel Kant on Theodicy. Whereas Kant's critic of theodicy focused on theoretical issues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evil, Levinas's critic is more existential approach based on his Holocaust experience. The Holocaust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to turn and develop his main idea, ethic of the Other from ontology, which he adopted his teacher, Edmund Husserl. This study briefly observe what Kant's critic of theodicy focuses on. This section will show how Kant tried to differentiate natural evil from moral evil. Through this clarification, Kant acquired foundation that morality comes from human reason not from religion. On the other hand, Levinas's approach to theodicy based on his experience did not pursue a cause of evil and suffering, rather he analyzed suffering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He claimed that suffering cannot be incompatible with one another, especially a justification for other's suffering. If suffering is regarded as one of the inevitable human conditions, Kant's and Levinas's correction of theodicy can contribute how we understand not only our own suffering but also other's suffering in our lives with more responsibility. Levinas asserts that this concept of responsibility can be realized in a form of ethic of the other.

      • KCI등재

        통일교의 신정론(Theodicy)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종교의 시작은 죄로 인한 악의 현실과 그에 따른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의 문제 때문인지도 모른다. 아니 인간은 그들이 마주하는 악의 현실과 그에 따른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 때문에 종교를 찾았을 것이다. 완전하게 선하고 전능한 신이 있다면 이 세상에 왜 악이 현존하며 그로 인해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은 끊임이 없는가? 익히 알고 있듯이 기독교는 그러한 문제에 대해 신정론(神正論, Theodicy)으로 답하고 있다. 기독교의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통일교 또한 그와 같은 문제에 전통 기독교와는 다른 답을 하고 있다. 물론 통일교도 하나님을 전지전능의 존재라고 말하고 있으나 전통의 기독교처럼 악을 선의 결핍이라든가 비존재로 말하지 않는다. 나아가 악의 현실에서 오는 고통을 하나님의 시련이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교 신정론은 전통적 기독교의 신정론에 대한 재해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 기독교 신정론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부응한다. 통일교의 신정론은 전통 기독교의 신정론과 다르다. 통일교도 전통 기독교와 같이 하나님의 힘이 전지전능함을 믿는다. 그러나 하나님의 힘이 행사되는 양태는 다르다. 하나님의 힘은 스스로 창조한 원리 곧 창조의 원리에 의한다. 이는 하나님의 완전성을 스스로의 원리를 무너뜨리는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완전이란 원리의 초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원리에 내재하는 하나님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일교의 신정론이 종교의 비종교화를 위한 단초가 되며 그러한 신정론에 의한 통일교의 신앙은 지금 여기서 악과 불의의 소멸을 위한 수행으로 점철되며 참가정을 이루고 그를 흔들리지 않는 토대로 하나님의 궁극적 평화를 성취하고자 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신정론의 정치학은 하나님을 대신한 자유의지의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목적의 완성을 위해 지금 여기서 악의 현실을 마주하고 극복하는 실천을 감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정론의 정치학은 죄와 악의 현실에 대한 신적 변증이 아니라 오늘의 구원에 참여하는 것이며 개별을 넘어 공동체와 사회에서 넘쳐나는 죄와 악의 현실을 타파하는 책임적 자아가 되어 하나님의 미래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eligion may begin with the reality of evil owing to sin and its accompanying pain without reason. That is why everyone may have a religion. If God is omniscient and omnipotent, why does evil exist and agony of life perpetuate? Christianity responds with the Theodicy as well known. In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newly recognized Unificationism, a different perspective answers in response. The Unificationism also coincides with God, being omniscient and omnipotent but redefines and states that the evil is the state of absence of good and nondescript in existence. In addition it denies the agony and suffering as the product of the God`s will. Consequently, the Unificationism presents another perspective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Theodicy and complies with the modern Christianity`s evolving paradigm. The Unificationis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ity. Although the Unificationism also believes in the God of Almighty, His exercise of power takes different dimensions. The power is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The complete God is not about making or breaking the principle, but rather it resides within the principle. The Unificationism believes to take affirmative ground to establish a family and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the evil and unjust. According to the Theodicy,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 with free will to fulfill and complete the purpose of the God for His creations as they face the realities with evil and unjust and overcome those by taking appropriate and righteous actions. Therefore, the Theodicy encourages taking responsibilities and actions to fight the evil and the unjust and taking part in the future with God.

      • KCI등재

        설교학적 관점에서 본 신정론

        윤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한국의 설교자들이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나 세월호 참사와 같은 일이 발생하면 근본주의적 성서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발언을 할 때가 있다. 이것은 스토아학파가 말하는 신정론과 성서가 말하는 신정론을 구 분하지 못하고 있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성서학자들이 말하는 신정론을 소개하면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적용점을 생각해 보았다. 우선, 구약의 신정론을 살펴보면서 독일어권 구약학자인 만프레드 외밍(Manfred Oeming) 교수와 콘라드 슈미드(Konrad Schmid) 교수의 욥기에 관한 신학을 소개하였다. 그 리고 신약의 신정론은 게르트 타이쎈 (Gerd Theiβen) 교수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특히, 귀인 이론(歸因 理 論)도 함께 생각하였다. 귀인 이론(歸因 理論)으로 세월호 참사를 본다면 선장과 승무원들의 책임윤리 부 재와 한국 사회 곳곳에 만연한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설교자가 세월 호 참사에 대해 설교를 한다면 어른들의 윤리의식 부재를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성서비평학적으로 욥기서를 본다면 새롭게 이해될 수 있다. 욥은 죽는 그 날까지 하나님과 사탄의 내기 때 문에 그가 고난을 받았던 사실을 몰랐다. 볼프강 드레셀(Wolfgang Drechsel) 교수는 욥, 그 자신의 통곡과 욥 친구들의 통곡, 그리고 고난의 이유와 아픔에 대한 그들의 대화 등이 통합적으로 작용해서 상담학적으 로 욥에게 치유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욥기를 해석할 때 고난에 대한 어떤 말이나 해석보다는 욥 의 고통을 보고 칠일 밤낮으로 함께 울었던 친구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실천신학적으로 신정론 은 해석보다는 공감과 행동이 우선되어야 한다. 게르트 타이쎈 교수도 ‘감정이입의 하나님의 신정론’을 말 한다.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은 고통받는 자신의 피조물과 함께 고통받는(suffer with) 연민(com- passionate)의 하나님이고, 인간과 온 세상 그리고 피조물의 탄식에 참여하는 감정이입의 하나님을 증언 한다. 설교자는 회중들의 마음과 감정에 공감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감력과 정서적 감성적 호소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신정론에 관한 설교할 때 설교자의 파토스(pathos) 기능이 중요하다. 설교자는 우선 아픔과 고통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한국의 설교자들은 한민족 안에 흐 르고 있는 한(恨)의 역사에 동참해야 한다. The majority of preachers in Korea are preaching without knowing what are claimed by Stoic philosophers when they deal with theodicy. Why do natural disasters such tsunami and earthquake occur and are young children with no sin slaughtered during war, if the Almighty God means love? Such a question beca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subject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To address theodi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mnipotence and love of the God as Christian theology says. The omnipotence of the Almighty God takes care of all creations; is an expression to contain the depth and width of the love of the God who joins people's pain; and the love of God who joins the destiny of the created world forever. Moreover, God's love as testified in the Bibl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acking off or silence or wait and see or neglect. With respect to the hardship in reality, God's power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hysically psychic power or supernatural power to get rid of hardship. Solving theodicy is not in satisfiable and recognizable description of evils but in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much fresher and deeper. Many preachers in Korea are misunderstanding the Book of Job. According to Konrad Schmid, the introduction part in the Book of Job is not a story to be contained in the body but the introduction part contains important theological meanings. It describes important pastoral theological solutions as well as causes of hardship. But, it's not a book that explains about the reason why they are in torture. The Book of Job is the Wisdom of Solomon. In the Book of Job contains the basic principle of wisdom. It's not a different thing. Seeing the Book of Job from the biblical criticism perspective, it gives a message, “do act of joining the pain" rather than giving works to people in the midst of hardship and pain. Professor Gerd Theiβen tells about the theodicy of empathic God. God participates in the sighs of humans, entire world, and creations (Rome 8:22, 23, 26). In the theodicy understood by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the disciples are understood as successor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hardship of Jesus (Mark 8:35). The vicarious theodicy understood by early churches puts a meaning on the passive hardship for them(Colossians 1:24). The mysticism of hardship makes the community understood with the agony of Christ(Philippians 3:10). Prof. Gerd Theiβen tells the God who is in their agony. Being together with the sufferers from the counselling perspective looks like a simple principle, but it's a very important thing. "Being together with" those sufferers that ministers cannot understand so that they can regain their foot gives comfort to laymen. Only the act of joining their pain even if it will bring about no big changes when a miracle occurs suddenly is a root for healing and a power to withstand such a hardship. In particular, Korean people is a nation who had been suppressed historically and sociologically enough to be called as the race of resentment. Prof. Jeong Tae-gi told that venting spite was a main mission in the ministry. Especially, Korea suffered from ‘deferred democracy.’ Under the recovery of democracy and resistance and struggle for a society to make people become real people, people feel absence of God. So the church which can be with them together will be the community which can give a reply to the theodicy rightly.

      • KCI등재

        신정론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Oh Dear God, where are you when we face suffering?" Christians and theologians have a responsibility to answer this tough question against the secular world. When we should teach paradox, we also face paradoxical difficulties frequently according to "theodicy". Is it the paradox of truth itself or originally containing fundamental contradiction? Christian education has the purpose to deliver truth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how does Christian education answer the questions based on theodicy?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may find the answers in the connection with other fields like systematic theology and church history. How can Christian education respond to this question, which should regard contexts of humans’ lives and must not ignore the answer for this question as a non-hierarchical and practical field? This study is a trail of these answers for this question;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and apply its answers in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theodicy.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theodicy and categories of interpretations for theodicy. In chapter III, I will explore the streams of interpretations for theodicy in Church history and consider the potential and fluidity for change as a new conceptual theodicy. In chapter IV, I will strive to find a suitable interpretation for theodicy in Christian education. Last, completing this study, in chapter V, I will suggest several points of applicationfortheodicyinChristianeducationalfields. “하나님은 그때, 그 고통의 순간에 어디에 계셨습니까?” 신학은 세상의 이 당돌한 질문 앞에 답하려 고민하고 있다. 에피쿠로스의 주장처럼 역설(paradox)을 가르쳐야 할 때 우리는 난처함을 경험한다. 신정론. 이것은 과연 진리의 역설적 모습인가? 아니면 원초적 모순인가? 진리의 세대적 전수를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은 상황이 가져다주는 신정론적 질문에 어떻게 성경적 진리에 근거하여 답할 수 있을까? 슐라이에르마허(F. D. E. Schleiermacher)가 말한 것처럼 신학의 꽃과 열매에 해당하는 실천신학인 기독교교육은 나무의 줄기인 교회사와 조직신학가운데 연계적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성을 무시한 위계적 상위의 초현실적이고 초상황적인 형이상학이 아닌, 삶의 정황 속에서의 응용되어야 실천신학인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기인한 생생한 고난의 질문 앞에 서 있다. 이 연구논문은 이러한 신정론의 질문에 대하여 기독교 교육적 해석을 통해 답하며, 더 나아가 현장에서의 기독교 교육적 적용을 시도하려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신정론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신정론의 해석에 따른 분류들을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교회의 역사 속에서 신정론의 해석에 대한 흐름들을 통한 변화적 가능성과 유동성을 알아볼 것이다. IV장에서는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신정론에 대한 해석을, 그리고 마지막 V장에서는 신정론의 기독교 교육적 현장적 적용점을 살펴보며 신정론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낙관적 신정론의 의미와 한계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9

        유일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종교들은 악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선(善)한 신이 창조한 세계에서 왜 악(惡)이 존재하는가, 신은 왜 악을 허용하는가라는 질문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넘어, 신앙인의 실존적인 문제로 인식된다. 본고는 악의 문제를 해명하려는 여러 이론들 중, 아우구스티누스와 라이프니츠의 신정론을 다루었다. 본고는 이 두 사상가가 기본적으로 낙관적인 세계관을 기반으로 신정론을 구상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낙관적 신정론이라 규정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자신의 신정론을 ‘창조된 모든 존재는 선하다’는 명제에서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존재는 곧 선이며, 모든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선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악은 그 자체로 실체가 없으며, 악은 단지 선의 결핍(privatio boni)일 뿐이다. 라이프니츠(Leibniz)의 신정론은 ‘가능한 모든 세계 중에서 가장 좋은 세계’라는 개념으로 요약된다. 신은 모든 가능한 세계들을 검토한 후에, 그 중에서 가장 최선의 세계를 존재하게 하였다. 세계 내에서 악의 존재 자체가 부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악이 있는 이 세계가 최선의 세계라면, 아무도 신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의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비해, 라이프니츠는 악을 전체 세계 내에서 필요한 요소로 해석하고 있다. 낙관적 신정론은 악의 존재론적 구조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대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악으로 고통받는 구체적인 인간에게는 어떠한 해답도 내어놓지 못하고 있다. 고통받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악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 아니라 , 위로이고 고통의 완화이다. 폴 리쾨르(Paul Ricoeur)가 지적한바 대로, 고통받는 인간을 위해 던져야 할 질문은 악의 기원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악과 대항하여 무엇을 행할까’라는 질문이다. Monotheistic religions have tried to explain the existence and origin of evil. The questions, Why did God create evil? Why does God allow evil to exist?, are considered not only as ontological problems but also as existential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dicy by Augustin and Leibniz among many different types of theories to try and explain the problem of evil. Focusing on this idea, these two thinkers devised theodicy based on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the study defined their theodicy as optimistic theodicy. Augustin begins his theodicy with a proposition that every created being is good. According to him, being is good, and all beings cannot help being good as long as they exist. Evil has no substance in itself and is just the absence of good(privatio boni). Leibniz s theodicy is summarized in the concept of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God has the idea of infinitely many universes. God surveyed the infinitely many possible worlds and determined which was best. The existing world is the best world that God could have created. In his theodicy, the presence of evil in the world is not denied. No one can hold God responsible for the presence of evil if the world containing evil is the best one. While Augustin took the position of denying the existence of evil, Leibniz interpreted it as one of the elements needed in the entire world. Optimistic theodicy seems to provide consistent answers about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but it offers no answers to the people in pain due to evil. Suffering people need consolation and mitigation of pain rather tha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As Paul Ricoeur proposed, human beings should ask about what to do against evil rather than about where evil comes from.

      • KCI등재

        신정론 질문에 대한 최후 변증으로서 기독교 종말론의 타당성 연구 ― 로버트 존 러셀(Robert John Russell)의 종말론적 신정론을 중심으로

        류헌조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본 논문은 신정론 문제에 대한 최후의 변증으로서 기독교 종말론의 타당성에 관해 연구한다. 전통적으로 신정론의 주제는 주로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다. 기독교 신정론은 논리와 철학의 가치를 결코 간과할 수 없지만, 기독교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들이고 있는 성서의 증언에 충실할 때 가장 기독교적이며 적절한 대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성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과 창조의 역사에 관해 이야기하며, 그 이야기는 악과 고통이 없는 하나님의 종말론적 새 창조의 완성에서 결말에 이른다. 결국, 신정론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의 정당성은 성서가 들려주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종말론적 사역에 관한 이야기, 즉 기독교 종말론이 얼마나 설득력 있고 믿을 수 있는 것인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특히, 신정론과 관련하여 기독교 종말론은 오늘날 자연과학으로부터의 도전에 정직하게 반응해야 한다. 진화론과 빅뱅우주론으로 대변되는 자연과학은 하나님의 섭리와 기독교의 종말론적 희망을 부정하는 듯한 연구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기독교 신앙—기독교 신정론—에 강력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본 논문은 물리학자이며 동시에 신학자인 로버트 존 러셀의 종말론적 신정론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자연과학의 도전 앞에서도 기독교 종말론은 여전히 유효하며, 따라서 신정론의 문제는 결국 종말론의 차원에서만 답변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cogency of Christian eschatology as the final response to theodicy question. The biblical witness tells a story about the acts of creation and salvation of the triune God, and the story converges on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that is, the fulfillment of the new creation free from evil and suffering. Then, the validity of Christian theodicy is eventually dependent on how convincing argument one can give as regards Christian eschatology. In particular, the Christian eschatology in relation to theodicy question should face squarely the challenge of the natural science,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evolution and the big bang cosmology insofar as it may seem to nullify the hopeful vision of God’s new cre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defends the relevance of Christian eschatology by the help of Robert John Russell’s idea, both physicist and scientist, and by doing so, it argues that theodicy question may be resolved only in light of Christian eschat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