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세 독일 신비사상의 시간성 문제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본고는 중세 독일 신비사상 내의 시간이해를 마이스터 엑카르트와 요한 네스 타울러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종교적 체험과 관련된 이러한 시간이해가 어떠한 종교적, 철학적 함의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엑카르트와 타울러는 기본적인 사상에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해와 관련해서는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엑카르트는 그의 사상 에서 의도적으로 시간성을 배제하였다. 존재의 단일성과 일치하는 과정에 서, 가변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성은 배제되어야 한다는 것이 엑카르트의 기본사상이다. 이에 반해, 타울러는 신비적 합일(unio mystica)구조에서 시간 성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강조했다. 신비적 합일에 이르고자 하는 인간은 심지어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타울러는 가르쳤다. 타울러는 엑카르트의 무시간성이 인간적 경험의 범주 내에서 해석될 때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경고하였고, 이 결과로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막기 위해 타울러는 자신의 단계론을 설정하였다. 타울러의 단계론은 신플라 톤주의 전통의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엑카르트 사상과의 비판적 대결의 결과였던 것이다. 본고는 엑카르트와 타울러의 상이한 시간이해를 고찰함으로써, 동일한 신비적 합일의 구조가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해석될 수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존재의 단일성을 강조하는 존재론적 접근 방식과 인간실존의 한계를 강조하는 인간학적인 접근 방식이 동일한 신비적 합일을 설명하는데, 상이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본고는 밝히고 있다. This thesis set out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in the mediaeval german mysticism focused on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and Johannes Taul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s. There were no fundamental differences in basic thoughts between Eckhart and Tauler, but they had clear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Eckhart excluded temporality from his thoughts intentionally. His main thought was that variable and relative temporalit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 with the unity of being. In contrast to Eckhart, who dismissed temporality, Tauler emphasized temporality in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unio mystica) in an active manner. He taught that human beings trying to reach mystical union should even go through gradual stages. Tauler warned about the risk that could happen when Eckhart s atemporality was interpreted within the category of human experience and set his stages theory to prevent potential errors caused by this. His stages theory was not the result of his naive acceptance of neoplatonic tradition but that of his critical acceptance of Eckhart s ide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between Eckhart and Tauler, figuring out how the same mystical union c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approaches. The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the ont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unity of being and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limits of human existence were used as different ways to explain the same mystical union.

      • 낙관적 신정론의 의미와 한계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9

        유일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종교들은 악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선(善)한 신이 창조한 세계에서 왜 악(惡)이 존재하는가, 신은 왜 악을 허용하는가라는 질문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넘어, 신앙인의 실존적인 문제로 인식된다. 본고는 악의 문제를 해명하려는 여러 이론들 중, 아우구스티누스와 라이프니츠의 신정론을 다루었다. 본고는 이 두 사상가가 기본적으로 낙관적인 세계관을 기반으로 신정론을 구상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낙관적 신정론이라 규정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자신의 신정론을 ‘창조된 모든 존재는 선하다’는 명제에서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존재는 곧 선이며, 모든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선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악은 그 자체로 실체가 없으며, 악은 단지 선의 결핍(privatio boni)일 뿐이다. 라이프니츠(Leibniz)의 신정론은 ‘가능한 모든 세계 중에서 가장 좋은 세계’라는 개념으로 요약된다. 신은 모든 가능한 세계들을 검토한 후에, 그 중에서 가장 최선의 세계를 존재하게 하였다. 세계 내에서 악의 존재 자체가 부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악이 있는 이 세계가 최선의 세계라면, 아무도 신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의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비해, 라이프니츠는 악을 전체 세계 내에서 필요한 요소로 해석하고 있다. 낙관적 신정론은 악의 존재론적 구조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대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악으로 고통받는 구체적인 인간에게는 어떠한 해답도 내어놓지 못하고 있다. 고통받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악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 아니라 , 위로이고 고통의 완화이다. 폴 리쾨르(Paul Ricoeur)가 지적한바 대로, 고통받는 인간을 위해 던져야 할 질문은 악의 기원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악과 대항하여 무엇을 행할까’라는 질문이다. Monotheistic religions have tried to explain the existence and origin of evil. The questions, Why did God create evil? Why does God allow evil to exist?, are considered not only as ontological problems but also as existential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dicy by Augustin and Leibniz among many different types of theories to try and explain the problem of evil. Focusing on this idea, these two thinkers devised theodicy based on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the study defined their theodicy as optimistic theodicy. Augustin begins his theodicy with a proposition that every created being is good. According to him, being is good, and all beings cannot help being good as long as they exist. Evil has no substance in itself and is just the absence of good(privatio boni). Leibniz s theodicy is summarized in the concept of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God has the idea of infinitely many universes. God surveyed the infinitely many possible worlds and determined which was best. The existing world is the best world that God could have created. In his theodicy, the presence of evil in the world is not denied. No one can hold God responsible for the presence of evil if the world containing evil is the best one. While Augustin took the position of denying the existence of evil, Leibniz interpreted it as one of the elements needed in the entire world. Optimistic theodicy seems to provide consistent answers about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but it offers no answers to the people in pain due to evil. Suffering people need consolation and mitigation of pain rather tha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As Paul Ricoeur proposed, human beings should ask about what to do against evil rather than about where evil comes from.

      • 이레네우스 신정론의 인간학적 함의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0 가톨릭사상 Vol.- No.60

        John Hick divided theodicy into Augustinian theodicy and Irenaean theodicy. The Augustinian theodicy advocates God s perfect creation. According to Augustinus, all beings are created good, and evil itself has no substance. Evil is just the absence of good. The evil that one faces in reality is the outcome of a person s abuse of free will. It is the human s responsibility if he or she cannot keep the perfection bestowed by God. On the other hand, Irenaeus believed that God did not create a perfect world in the first place. God could not bestow perfection onto human beings because they had no ability to accept God s perfection. It was inevitable that human beings were created imperfect; hence, evil derives from their imperfection. According to Irenaeus, people face evil in reality not necessarily because they abuse their free will. Evil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imperfection in the world. Human beings were created imperfect, but they move toward perfection in the gradual process of growth. At first, they only had the ‘image(Imago) of God’ and will eventually obtain the perfect ‘likeness(Similitudo) to God.’ In this process of moving toward likeness to God, they will gradually overcome evil. While Augustinus put an emphasis on perfection at the time of creation, Irenaeus emphasized perfection that would be achieved at the end. Irenaean theodicy sets its eye to the future rather than the past. He tried to highlight the anthropological meanings of evil by interpreting it in connection to the process of human growth. 존 힉은 신정론의 형태를 아우구스티누스적인 신정론과 이레네우스적인 신정론으로 구분한다. 아우구스티누스적인 신정론은 신의 완전한 창조를 변호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하면, 창조된 모든 존재는 선하며, 악은 그 자체로 실체가 없다. 악은 단지 선의 결핍일 뿐이다. 현실에서 마주하는 죄악은 인간이 자신의 자유의지를 남용한 결과이다. 신이 부여한 완전함을 유지하지 못한 인간의 책임이다. 이에 반해, 이레네우스는 신이 처음부터 세계를 완전한 세계로 창조하지 않았다고 보았다. 신이 인간에게 완전함을 주지 않은 이유는, 인간이 신의 완전함을 수용할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로 창조될 수밖에 없었으며, 인간의 불완전함에서 악이 나오게 된다.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현실에서 마주하는 악은 인간이 단지 자유의지를 남용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악은 세계의 불완전성의 불가피한 결과이다. 인간은 불완전하게 창조되었지만, 점진적인 성장과정을 통해 완성으로 나아간다. 처음에 인간은 신의 형상만을 가지고 있었지만, 종국에는 신과의 유사성을 얻게 된다. 신과의 유사성으로 나아가는 이 과정에서, 악은 서서히 극복될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창조 때의 완전성을 강조했다면, 이레네우스는 마지막 종말 때에 이루어질 완전성을 강조한다. 이레네우스 신정론의 시선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로 향해있다. 이레네우스는 악의 문제를 인간의 성장과정과 연결해 해석함으로써, 악의 문제가 가지는 인간학적인 의미를 강조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