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식 후 신기능 상실로 혈액투석을 시작한 환자에서 뇌경색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 1예

        정희재,김진국,최수정,황승덕,박무용,김은정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면역이 저하된 투석환자나 이식환자에서 높은 유병률이나 사망률과 관련된 두려운 질환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이식 거부 반응으로 투석을 시작한 환자에 대한 면역억제제 처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에 대한 자료나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신이식 후에 만성 거부반응으로 혈액투석 치료를 시작한 환자에서 면역억제제를 감량하는 과정 중 발생한 색전에 의한 뇌경색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을 진단하고 판막 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48세 남자는 2주전부터 식욕 감소 및 전신 쇠약감 보이다가, 내원 당일 발열 및 좌측 상하지 마비로 입원하였다. 16년 전 고혈압, 7년 전 만성신부전을 진단받았고, 6년 전 복막투석을 시작하였다가 5년 전 중국에서 신이식을 시행 받은 후 prednisolone 12 mg, tacrolimus 4 mg, mycophenolate 360 mg을 복용 중이었다. 환자는 신기능 악화 소견을 보여 3년 전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만성 거부 반응 소견 보였으며, 내원 4개월 전 동정 맥루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3개월 전부터 주 3회 혈액 투석을 시작하면서 면역억제제는 prednisolone 8 mg, tacrolimus 2 mg으로 감량하였고, 입원 전까지 감량하여 prednisolone 4 mg, tacrolimus 0.5 mg을 복용 중이었다. Brain MRI에서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소견을 보였고, 심초 음파 검사에서 좌심실 비대 및 좌심방 확장 소견을 보였고, 좌심실 수축 기능은 정상이었다. 경식도 초음파에서 대동맥 판막에 1.14 cm×0.62 cm의 증식증 및 4단계의 심한 대동맥역류가 관찰되었다. 혈액 배양 검사 2쌍에서 Enterococcus faecalis가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하고, ampicillin 및 streptomycin을 사용하였다. 항생제 교체 후 입원 6일째부터 발열이 호전되었으며, 환자는 이후 수술을 시행하였고 호전을 보였다. 결론: 신이식 후 만성 거부 반응으로 혈액 투석 중인 환자에서 면역억제제를 감량하는 과정 중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하는 감염성 심내막염은 발생한 경우로, 본 환자의 경우처럼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면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빨리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된다면 적시에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신이식 환자에게서 발생한 신증후 출혈열 1예

        김민수 ( Min Soo Kim ),양재원 ( Jae Won Yang ),한승태 ( Seung Tae Han ),김재석 ( Jae Seok Kim ),김비로 ( Bi Ro Kim ),한병근 ( Byoung Geun Han ),최승옥 ( Seung Ok Choi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신이식을 받은 말기신부전증 환자들은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해 감염의 합병증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으며 급성 감염 시 면역억제제의 중단으로 인한 급성 거부반응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본 저자는 고열과 전신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신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신증후 출혈열을 진단하였으며 면역억제제 투여의 중단 없이 보존적 치료 및 지속적 신대치술로 호전된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is an acute disease characterized by fever, headache, bleeding tendency, and anuria. We recently treated a case of hemorrhagic fever in a renal allograft patient with renal syndrome. A 4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high fever, headache, and myalgia for 4 days. In February 1998, she had undergone allograft kidney transplantation following treatment with cyclosporine and steroids. Allograft function was stable. Hantaan virus infection was demonstrated by serology during the first hospital week. Her clinical course progressed through febrile, hypotensive, oliguria, polyuria, and recovery phases.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supportive management with maintenance doses of immunosuppressive agents. (Korean J Med 75:225-229, 2008)

      • KCI등재

        증례 : 신이식 환자의 Nontuberculous mycobacteria 폐질환과 척추염 1예

        신준암 ( Ju Nam Shin ),김수민 ( Soo Min Kim ),김대중 ( Dae Joong Kim ),김윤구 ( Yoon Goo Kim ),오하영 ( Ha Young Oh ),전경만 ( Kyeong Man Jeon ),허우성 ( Woo Seong Huh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2

        신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NTM 폐질환이나 척추염에 대한 증례 보고가 국내에서는 아직 없었다. 저자들은 신이식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M. intracellulare에 의한 폐질환과 척추염을 진단하여 병합 항균 요법으로 뚜렷한 임상적 호전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infections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KTR) are rare. We describe here a 52-year-old female with vertebral osteomyelitis caused by NTM, who received a kidney transplant 5 years earlier. She had been diagnosed with NTM lung disease 1 year prior. NTM therapy was delayed due to esophageal candidiasis.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was isolated from sputum and bone tissue. The pattern of drug-susceptibility testing in both specimens was identical. NTM vertebral osteomyelitis due to direct inoculation is rare, and was in this case a disseminated NTM disease. The subjective symptoms resolved after 4 months of NTM treatment. This suggests that early NTM treatment is important for KTRs who have NTM disease during immunosuppressive therapy. (Korean J Med 2013;84:299-302)

      • KCI등재후보

        A Case of Hemolysis after Minor ABO Mismatched Kidney Transplantation

        한혜원,하일수,정해일,최용,Hahn HyeWon,Ha Il Soo,Cheong Hae Il,Choi Yong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6 No.1

        IgA신병증으로 말기 신부전에 도달한 B형 혈액형의 9세 남아가 O형 혈액형의 아버지로부터 신이식을 시행받았다. 환아는 16개월 간 복막 투석 중이었으며 이전에 수혈받은 병력은 없었다. 이식 9일째 혈관내 용혈이 발견되었으며 항 B 항체 형성이 확인되었다. 저자들은 공여자의 신장과 함께 이동한 림프구가 일으킨 자가 면역 용혈성 빈혈로 진단하고 사이클로스포린 투여를 중단하였다. 용혈성 빈혈은 회복되었으나 이식 18일째 이식 신 기능 저하가 발견되어 이식 신생검을 시행하여 급성 거부를 확인하고 스테로이드 충격 요법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ABO 부적합 신이식 후 발생한 용혈성 빈혈 1례를 겅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 9-year-old boy of B blood group with end-stage renal disease due to IgA nephropathy received group O kidney transplantation from his father On day 9, he developed intravascular hemolysis, and anti-B autoantibody formation was confirmed. We diagnosed as immune hemolytic anemia due to passenger lymphocyte from donor, and cyclosporine withdrawl was done. Anemia resolved spontaneously, but on day 18, graft dysfunction developed, and graft biopsy revealed acute allograft rejection. Although hemolysis due to autoantibody is very rare and often mild, and the role of hemoglobinuria on acute rejection in this case is not certain, we recommend consideration of aggressive management on severe hemolysis after minor mismatched kidney transplantatio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2 ; 6 : 120-2)

      • KCI등재
      • KCI등재

        신이식환자에서 요관요관문합술을 이용한 방광요관역류의 성공적 치료

        박민경 ( Min Kyoung Park ),추은호 ( Eun Ho Chu ),안서희 ( Soe Hee Ann ),최범순 ( Bum Soon Choi ),양철우 ( Chul Woo Yang ),김용수 ( Yong Soo Kim ),방병기 ( Byung Kee Bang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5

        반복되는 요로감염 또는 급성 신우신염이 동반된 방광요관역류는 장기적으로 이식신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며, 저자들은 기존치료법에 반응하지 않았던 방광요관역류를 요관요관문합술(Ureteroureterostomy)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재발성 요로감염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due to vesicoureteral reflux is one of the important medical complication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Injection of macroplastique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vesicoureteral reflux, but it can result in poor responses. Ureteroureterostomy is an invasive method, but it is advisable in patients with higher grades of vesicoureteral reflux that do not respond to medical or macroplastique injection. We here report on two cases of successful treatment of vesicoureteral reflux by ureteroureterostomy. These patients experienced repeated episodes of acute pyelonephritis in spite of long-term antibiotic treatment and repeated macroplastique injection. No more urinary tract infection was observed after ureteroureterostomy. We recommend ureteroureterostomy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suffer with repeated acute pyelonephritis due to vesicoureteral refulx.(Korean J Med 74:556-560, 2008)

      • KCI등재후보

        신장 ; 이식신에서 단회뇨 단백/크레아티닌비와 일일 요단백량과의 비교 봉생병원 내과

        김수진 ( Su Jin Kim ),최안숙 ( An Sook Choi ),이진호 ( Jin Ho Lee ),유성민 ( Seong Min Yu ),오준석 ( Joon Seok Oh ),김성민 ( Sung Min Kim ),신용훈 ( Yong Hun Sin ),김중경 ( Joong Ky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1

        목적: 사구체 신염 등의 환자에서 단회뇨를 이용한 단백/크레아티닌 농도비(P/C ratio)가 24시간 요단백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은 수차례 보고된 바 있다. 서구의 신이식 환자에서도 이러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 동양인 신이식 환자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의 신이식 환자에서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 P/C ratio를 비교하고, 두 값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 신장내과에 내원한 66명의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소변 채집을 하였다. 24시간 요 수집 단백량과 수집을 시작하는 날 아침 채집한 단회뇨 P/C ratio를 비교하였다.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 P/C ratio 사이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인자로 성별, 면역억제제 종류, 기저질환, 이식 기간, 사구체 여과율, 일일 요단백량, 나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47±14.1세였으며, 평균혈청 크레아티닌은 1.53±0.58 mg/dL, 사구체 여과율은 55.75±22 mL/min/1.73 m2, 평균 이식 기간은 74±80개월이었다. 24시간 평균 요단백량은 1.31±1.69 g/day이었고, 단회뇨의 P/C ratio 1.29±1.70이었으며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r=0.95). 성별이 단회뇨 PCR를 이용한 24시간 요단백 예측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고려된다(p=0.003). 단회뇨 P/C ratio와 24시간 요단백량은 남성에선 각각 1.05±1.51, 1.26±1.68 g/day이었고(p=0.005), 여성에선 1.57±1.88, 1.36±1.72 g/day이었다(p=0.047). 결론: 본 연구에서 단회뇨 P/C ratio는 24시간 요단백량을 가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ot urine protein to creatinine (P/C) ratio and 24-hoururinary protein amounts in patients with glomerulonephritis. This correlation has also been reported in Wester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but no prior study has reported on this association in Eastern populations. We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oturine P/C ratio and 24-hour urinary protein amounts and the associating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66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from our hospital. The subjects had urine samples evaluated between January 2005 and July 2010. We compared 24-hour urinary protein amounts with a spot urine P/C ratio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relation in each group. Results: The 24-hour urinary protein amounts were 1.31±1.69 g/day and the spot urine P/C ratio was 1.29±1.70 in all subjects.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24-hour urinary protein amounts and the spot urine P/C ratio (r=0.95).The primary factor affecting accurate quantitation of proteinuria using the spot urine P/C ratio was gender (p=0.003). The spot urine P/C ratio and the 24-hour urinary protein levels were 1.05±1.51 and 1.26±1.68 g/day in males (p=0.005) and 1.57±1.88 and 1.36±1.72 g/day in females (p=0.047), respectively. Conclusions: We determined that the spot urine P/C ratio provides an accurate estimate of 24-hour urinary protein levels in Korea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s. (Korean J Med 2011;81:82-88)

      • KCI등재

        신이식 후에 발생한 이상자궁출혈 환자에서 시행한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다정 ( Da Jung Chung ),박기현 ( Ki Hyun Park ),정경아 ( Kyung Ah Jeong ),신종승 ( Jong Seung Shin ),배상욱 ( Sang Wook Bai ),이병석 ( Byung Seok Lee ),조동제 ( Dong Jae Cho ),송찬호 ( Chan Ho S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6

        목적 : 신이식 후 발생한 이상자궁출혈의 치료로써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이상자궁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62명의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자궁경하 자궁내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전 에스트라디올,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프로락틴을 측정하였다. 시술 후 6개월 간 추적 관찰하였으며 치료에 실패한 8명에서는 levono Objective :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hysteroscopic endometrial ablation as a surgical management of abnormal uterine bleeding developed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62 patients referred

      • KCI등재후보

        증례 : 신장 ; 신이식 후 발생한 거대 세포바이러스 위장관염: 단일기관 경험 7예

        전주현 ( Joo Hyun Chun ),현승혜 ( Seung Hyea Hyun ),최지영 ( Ji Young Choi ),조지형 ( Ji Hyung Cho ),박선희 ( Sun Hee Park ),김찬덕 ( Chan Duck Kim ),김용림 ( Yong Lim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5S

        저자들은 신이식 후 발생한 CMV 위장관염 7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들은 신이식 후 위장관 통증, 발열, 혈변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내원하였고, CMV early antigenemia 및 내시경을 통해 CMV 위장관염을 진단받았다. 진단 후 ganciclovir 정주로 치료하였으며 이후 증세 호전을 보이고 CMV early antigenemia 음성이 확인되어 퇴원하였다. Here we present 7 cases of Cytomegalovirus (CMV) gastrointestinal infection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Patients visited the clinic with variable symptoms, such as epigastric pain, fever, and melena. Detection of CMV early antigenemia and endoscopic biopsies were performed to diagnose CMV gastrointestinal infection. After diagnosis, patients were treated with Ganciclovir and their symptoms improved. We confirmed the negative conversion of CMV early antigenemia prior to discharge. (Korean J Med 77:S1263-S1267, 2009)

      • KCI등재

        증례 : 신이식 환자에서 신부전을 동반한 신장 유육종증 1예

        박혜린 ( Hae Lin Park ),반가영 ( Ga Young Ban ),배창범 ( Chang Bum Bae ),임현이 ( Hyun Ee Yim ),김흥수 ( Heung Soo Kim ),박인휘 ( In Whee Park ),신규태 ( Gyu Tae Shi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2

        본 증례는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부전으로 신이식 후 발생한 신장 유육종증의 예로, 육아종성 간질성 신염에 의해 신기능 악화 소견을 보였으나 스테로이드에 치료 반응을 보였으며, 신이식 후 신기능 저하의 감별진단에 드물지만 신장 유육종증도 포함되어야 하겠다. Sarcoidosis,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 characterized by non-caseating granulomas, is rarely associated with renal failure in a kidney transplant. We report a 51-year-old woman with a kidney transplant who was diagnosed to have renal sarcoidosis. After 7 years of renal transplantation, the patient presented with relatively rapid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and, subsequently, she underwent kidney transplant biopsy. Renal biopsy revealed interstitial nephritis with non-caseating granulomas compatible with granulomatous interstitial nephritis (GIN). She was also found to have granulomatous lymphadenitis and skin lesions. Diagnosis of sarcoidosis was made based on histopathologic findings, the high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level and exclusions of other causes of GIN including tuberculosis, ANCA associated glomerulonephritis and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syndrome. The patient was started on oral prednisolone, and subsequently her renal function improved. (Korean J Med 2013; 84:290-29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