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비사상을 통한 '철학 치유'

        서동신(Seo, Dongsh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3 이성과 신앙 Vol.74 No.-

        이 연구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이, 대형 재해 상황에서 겪는 고통과 죽음의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창조 영성이 ‘철학적 치유(Philosophical therapy)’의 가능성이 있음을 진단한다. 특히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코로나 시대의 이해를 통해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Creation Spirituality)이 양 시대에서 어떻게 상관성을 갖는지를 탐구한 후 이를 통해 삶과 죽음의 문제, 특히 고통의 문제를 극복하는 데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조명한다. 제1장에서는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코로나19의 배경과 특징을 탐구한다. 고대근동에서의 전염병에 대한 이해에서 14세기 흑사병 창궐에 이르기까지 그 배경과 특징을 살펴본 후, 나아가 21세기 코로나19 시대 다종교 다문화 사회에서 한국 천주교, 불교, 개신교, 그리고 신종교가 ‘코로나 종교(Covidism)’로서 어떻게 위기의 팬데믹 상황을 인식했으며 대응했는지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생애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 안에서 원복과 자비와 사랑 그리고 가난의 개념과 내용이 무엇인지를 조명한다. 그리고 그의 창조 영성이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떻게 각각 연관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 곧 창조 영성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엄중한 팬데믹 위기의 현대 상황을 인문학적-종교학적 재난이자 생태병 곧 ‘에코데믹(ecodemic)’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코로나19의 고통과 슬픔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의 영성, 곧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인류가 봉착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삼기 위하여 특별히 에크하르트의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 곧 버리고 떠나기(Abgeschiedenheit, 無意志), 그대로 놓아두기(Gelassenheit, 無知), 돌파(Durchbruch, 無所有)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참 사람으로 성장하는 기회로서 광범위하게 현대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전과 기회’의 측면에서 과거와 현대의 대처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대형 재해 상황에서 도전을 제시하고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가치 있는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Philosophical Therapy’, specifically the Creation Spirituality of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to overcome suffering and the problem of death in the context of major disasters. It explores how Eckhart's philosophy of Creation Spirituality correlates with the 14th-century Black Death and the 21st-century COVID-19 era. Furthermore, it sheds light on how Philosophical therapy can be applied to address the issues of life, death, and particularly, the problem of suffering. Chapter 1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14th-century Black Death and the 21st-century COVID-19 pandemic. It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epidemic diseases in ancient Mesopotamia leading up to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and further explores how Catholicism, Buddhism, Protestantism, and New religions in Korea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crisis as a "Covidism"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21st century. Chapter 2 delves into the lif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Meister Eckhart, highlighting the concept and content of restoration, compassion, love, and poverty within his Christian mysticism of Creation Spirituality. It also examines the correlation of his Creation Spirituality with the Black Death of the 14th century and the post-COVID era of the 21st century. Finally, Chapter 3 discuss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specifically Creation Spirit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It analyzes the severe pandemic crisis as a humanistic-religious disaster and an "ecodemic." And It confirms the healing spirituality, namely the potential of Philosophical therapy, in overcoming the crisis of pain and sorrow caused by COVID-19. It explores the opportunity to turn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into a Chance for personal growth by embracing Eckhart's concepts of Letting-go (Abgeschiedenheit), Letting-be(Gelassenheit), and breakthrough(Durchbruch). Through this research, the aim is to understand past and present coping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ltimately,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is expected to provide a valuable viewpoint of ‘Philosophical Therapy’ that presents challenges and opens up new opportunities in the fa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major disasters.

      • KCI등재

        앙리 드 뤼박의 신학사상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인간 이해

        곽진상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0 No.16

        L'Eglise de Corée est aujourd'hui confronté au phénomène de l'objectivation de l'homme sous le développement croissant de la science. En outre, le phénomène de syncrétisme au sujet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onstitue un autre défi. Dans ce contexte, le théologien coréen s'oblige à se demander : Quelle est la nouveau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concernant l'homme? et que offre concrètement cette nouveauté face aux problèmes posés? Pour répondre à une telle question, l'auteur s'attache à la théologie du Père Henri de Lubac, en lui posant la question suivante : comment présnete-il l'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chrétienne de l'homme dans son temps? Pour présenter les éléments essentiaux trouvés chez lui, l'auteur procède en quatre étape. Dans un premier temps, l'auteur montre le fait que le Père de Lubac a insité sur l'homme, créé à l'image de Dieu, et applé dès sa création à la fin surnaturelle comme don, à l'encontre de la théologie extrinsèciste à laquelle il s'est confronté. L'homme comme 'esprit' a 'le désir naturel de voir Dieu' dans sa nature m̂̂eme. Cela implique que l'homme ne doit pas ê̂tre objectivisé comme l'a fait la science. Dans un deuxième temps, l'auteur souligne la spécific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en analysant l'article du jésuite "anthropologie tripartite" de saint Paul(1Th 5, 23b). L'homme en tant que "pneuma" est un ê̂tre spirituel destiné à participer à l'Esprit. De ce fait l'auteur dégage un élement essentiel permettant de dépasser l'erreur du rationalisme qui considère l'homme comme un ê̂tre rationnel. L'auteur s'attache en suite au problème du mysticisme mené par de Lubac. L'universalité du phénomène du mysticisme s'origine de la création de l'homme comme image de Dieu en qui se trouve au fond le désire naturel de voir Dieu. Ce désir comme don est destiné à s'unir avec Dieu. Mais l'originalité de la mystique proprement chrétienne se trouve dans la ressemblance de Dieu. Celle-ci implique un caracète personnel et eschatologique. Dans le dernier temps, l'auteur repère un élément traditionel qui caractérise à la foi l'universalité et la singularité de la foi chrétienne pour le sujet. Il s'agit du double rapport de l'homme avec le Christ : rapport organique(ontologique) et personnel(relationel). Le premier se fonde sur le mystère de l'Incanation. Le second rapport implique l'appel du Christ dans l'ordre personnel. C'est la foi au Christ qui forme un corps mystique, sacrment de l'unité, l'Eglise. Le travail théologique du P. de Lubac apporte bien des éléments importants non seulement pour montrer l'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et mais aussi pour résoudre le problème concerné. Malgré tout, nous sommes invité à approfondir le point suivant. Il s'agit pour nous de repenser au raport existentiel avec le Christ dans la vie concrète, en tenant compte de l'historici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pour l'Eglise de Corée. 오늘날 자연과학의 눈부신 발전은 인간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인간을 대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는 인간의 삶과 목적(종말)에 대한 다양한 타종교의 주장들을 무분별하게 수용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흐리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신학으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계시가 인간이해에 가져다 준 새로움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오늘날 우리들이 제기하는 인간문제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숙고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논자는 그리스도교 전통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당대의 인간학적 사상적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던 프랑스 예수회 신부 앙리 드 뤼박(H. de Lubac) 추기경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가 제시했던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고찰한다. 제1장은 앙리 드 뤼박이 외부주의적 신학을 펼쳤던 신스콜라 신학에 반대하여 그리스도교 전통신학이 제시하는 인간이해, 곧 하느님의 ‘모상’(image)으로 창조되어 본성적으로 초자연적 목적에로 부르심을 받은 인간의 영적 본질을 밝힌다. 그리고 토마스가 가르친 “하느님을 뵙고자 하는 자연적(본성적) 욕구”(natural desire to see God)에 관한 교리를 재해석함으로써 인간 본성 안에 하느님과의 일치를 향한 존재론적 정향성이 있음을 규명한다. 제2장은 드 뤼박이 연구한 바오로의 삼분법적 인간학(1테살 5, 23b)을 분석하면서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제시한다. 인간은 본성적 차원에서 하느님의 영에 참여하는 영적 존재(pneuma)이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을 단순히 정신적이고 이성적인 차원에 한정해서 이해하려는 경향에 대한 강력한 저항이 된다. 제3장은 드 뤼박의 신비사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갖는 독특성을 규정한다. 인류의 모든 종교와 영성 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신비사상의 보편성은 창조주께서 인간에게 선물로 주신 소명, 곧 당신과 만나고 일치하려는 “자연적(본성적) 갈망”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신비사상은 신비 자체 -이는 결국 그리스도 신비이다 -와 맺는 상호연관성 안에서 자연적 신비사상과 구별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성의 특성은 ‘모상’의 신비와 닮음의 신비에 있다. 후자는 인격적이고 종말론적 특성을 갖는다. 그리스도교적 인간이해는 그리스도 신비 안에서만 그 전모가 밝혀진다. 제4장은 드 뤼박의 후기 작품 안에서 강조된 그리스도와 인간의 이중 관계를 고찰한다. 그리스도의 강생의 신비는 그리스도와의 유기적이고 존재론적인 관계를 계시하고, 이러한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관계맺음은 그리스도와 인격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신비체를 구성한다. 드 뤼박의 그리스도교 인간이해에 대한 신학작업은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대상화, 그리스도교의 상대화에 저항 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의 신학은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실존적 관계를 계시의 역사성 안에서 더욱 강조할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

        앙리 드 뤼박의 신학사상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인간 이해

        곽진상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6 No.-

        오늘날 자연과학의 눈부신 발전은 인간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인간을 대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는 인간의 삶과 목적(종말)에 대한 다양한 타종교의 주장들을 무분별하게 수용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흐리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신학으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계시가 인간이해에 가져다 준 새로움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오늘날 우리들이 제기하는 인간문제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숙고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논자는 그리스도교 전통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당대의 인간학적 사상적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던 프랑스 예수회 신부앙리 드 뤼박(H. de Lubac) 추기경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가 제시했던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고찰한다. 제1장은 앙리 드 뤼박이 외부주의적 신학을 펼쳤던 신스콜라 신학에 반대하여 그리스도교 전통신학이 제시하는 인간이해, 곧 하느님의 ‘모상’(image)으로 창조되어 본성적으로 초자연적 목적에로 부르심을 받은 인간의 영적 본질을 밝힌다. 그리고 토마스가 가르친 “하느님을 뵙고자 하는 자연적(본성적) 욕구”(natural desire to see God)에 관한 교리를 재해석함으로써 인간 본성 안에 하느님과의 일치를 향한 존재론적 정향성이 있음을 규명한다. 제2장은 드 뤼박이 연구한 바오로의 삼분법적 인간학(1테살 5, 23b)을 분석하면서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제시한다. 인간은 본성적 차원에서 하느님의 영에 참여하는 영적 존재(pneuma)이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을 단순히 정신적이고 이성적인 차원에 한정해서 이해하려는 경향에 대한 강력한 저항이 된다. 제3장은 드 뤼박의 신비사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갖는 독특성을 규정한다. 인류의 모든 종교와 영성 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신비사상의 보편성은 창조주께서 인간에게 선물로 주신 소명, 곧 당신과 만나고 일치하려는 “자연적(본성적) 갈망”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신비사상은 신비 자체 -이는 결국 그리스도 신비이다 -와 맺는 상호연관성 안에서 자연적 신비사상과 구별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성의 특성은 ‘모상’의 신비와 닮음의 신비에 있다. 후자는 인격적이고 종말론적 특성을 갖는다. 그리스도교적 인간이해는 그리스도 신비 안에서만 그 전모가 밝혀진다. 제4장은 드 뤼박의 후기 작품 안에서 강조된 그리스도와 인간의 이중관계를 고찰한다. 그리스도의 강생의 신비는 그리스도와의 유기적이고 존재론적인 관계를 계시하고, 이러한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관계맺음은 그리스도와 인격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신비체를 구성한다. 드 뤼박의 그리스도교 인간이해에 대한 신학작업은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대상화, 그리스도교의 상대화에 저항 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의 신학은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실존적 관계를 계시의 역사성 안에서 더욱 강조할 것을 촉구한다. L Eglise de Corée est aujourd hui confronté au phénomène de l objectivation de l homme sous le développement croissant de la science. En outre, le phénomène de syncrétisme au sujet de la compréhension de l homme constitue un autre défi. Dans ce contexte, le théologien coréen s oblige à se demander : Quelle est la nouveau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concernant l homme? et que offre concrètement cette nouveauté face aux problèmes posés? Pour répondre à une telle question, l auteur s attache à la théologie du Père Henri de Lubac, en lui posant la question suivante : comment présnete-il l 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chrétienne de l homme dans son temps? Pour présenter les éléments essentiaux trouvés chez lui, l auteur procède en quatre étape. Dans un premier temps, l auteur montre le fait que le Père de Lubac a insité sur l homme, créé à l image de Dieu, et applé dès sa création à la fin surnaturelle comme don, à l encontre de la théologie extrinsèciste à laquelle il s est confronté. L homme comme esprit a le désir naturel de voir Dieu dans sa nature meme. Cela implique que l homme ne doit pas etre objectivisé comme l a fait la science. Dans un deuxième temps, l auteur souligne la spécific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 homme, en analysant l article du jésuite anthropologie tripartite de saint Paul(1Th 5, 23b). L homme en tant que pneuma est un etre spirituel destiné à participer à l Esprit. De ce fait l auteur dégage un élement essentiel permettant de dépasser l erreur du rationalisme qui considère l homme comme un etre rationnel. L auteur s attache en suite au problème du mysticisme mené par de Lubac. L universalité du phénomène du mysticisme s origine de la création de l homme comme image de Dieu en qui se trouve au fond le désire naturel de voir Dieu. Ce désir comme don est destiné à s unir avec Dieu. Mais l originalité de la mystique proprement chrétienne se trouve dans la ressemblance de Dieu. Celle-ci implique un caracète personnel et eschatologique. Dans le dernier temps, l auteur repère un élément traditionel qui caractérise à la foi l universalité et la singularité de la foi chrétienne pour le sujet. Il s agit du double rapport de l homme avec le Christ : rapport organique(ontologique) et personnel(relationel). Le premier se fonde sur le mystère de l Incanation. Le second rapport implique l appel du Christ dans l ordre personnel. C est la foi au Christ qui forme un corps mystique, sacrment de l unité, l Eglise. Le travail théologique du P. de Lubac apporte bien des éléments importants non seulement pour montrer l 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 homme et mais aussi pour résoudre le problème concerné. Malgré tout, nous sommes invité à approfondir le point suivant. Il s agit pour nous de repenser au raport existentiel avec le Christ dans la vie concrète, en tenant compte de l historici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pour l Eglise de Corée.

      • 중세 독일 신비사상의 시간성 문제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본고는 중세 독일 신비사상 내의 시간이해를 마이스터 엑카르트와 요한 네스 타울러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종교적 체험과 관련된 이러한 시간이해가 어떠한 종교적, 철학적 함의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엑카르트와 타울러는 기본적인 사상에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해와 관련해서는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엑카르트는 그의 사상 에서 의도적으로 시간성을 배제하였다. 존재의 단일성과 일치하는 과정에 서, 가변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성은 배제되어야 한다는 것이 엑카르트의 기본사상이다. 이에 반해, 타울러는 신비적 합일(unio mystica)구조에서 시간 성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강조했다. 신비적 합일에 이르고자 하는 인간은 심지어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타울러는 가르쳤다. 타울러는 엑카르트의 무시간성이 인간적 경험의 범주 내에서 해석될 때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경고하였고, 이 결과로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막기 위해 타울러는 자신의 단계론을 설정하였다. 타울러의 단계론은 신플라 톤주의 전통의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엑카르트 사상과의 비판적 대결의 결과였던 것이다. 본고는 엑카르트와 타울러의 상이한 시간이해를 고찰함으로써, 동일한 신비적 합일의 구조가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해석될 수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존재의 단일성을 강조하는 존재론적 접근 방식과 인간실존의 한계를 강조하는 인간학적인 접근 방식이 동일한 신비적 합일을 설명하는데, 상이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본고는 밝히고 있다. This thesis set out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in the mediaeval german mysticism focused on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and Johannes Taul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s. There were no fundamental differences in basic thoughts between Eckhart and Tauler, but they had clear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Eckhart excluded temporality from his thoughts intentionally. His main thought was that variable and relative temporalit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 with the unity of being. In contrast to Eckhart, who dismissed temporality, Tauler emphasized temporality in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unio mystica) in an active manner. He taught that human beings trying to reach mystical union should even go through gradual stages. Tauler warned about the risk that could happen when Eckhart s atemporality was interpreted within the category of human experience and set his stages theory to prevent potential errors caused by this. His stages theory was not the result of his naive acceptance of neoplatonic tradition but that of his critical acceptance of Eckhart s ide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between Eckhart and Tauler, figuring out how the same mystical union c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approaches. The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the ont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unity of being and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limits of human existence were used as different ways to explain the same mystical un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신비사상과 죄의 회개

        김영철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2

        이 글의 목적은 서양 중세 후기의 주된 사상인 (독일) 신비주의 사상을 근저로 하여 인간의 죄와 그 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존재로 되는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서양 중세 사상에서의 죄와 인간의 관계를 논의했다. 둘째, 죄의 회복으로서의 정화와 초월을 논의했다. 셋째, 죄와 유혹의 관계를 논의했다. 넷째, 마이스터 엑하르트 신비사상의 핵심 개념인 ‘버리고 떠나 있기’를 논의하면서, 자유롭고 새로운 인간의 회복과 신과의 일치 문제를 다뤘다. 이 글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욕망이나 집착은 인간의 자유를 구속했으며, 죄인으로 만들었다. 둘째, 욕망이나 집착을 버리는 행위의 깨달음은 ‘버리고 떠나 있기’의 실천이며, 비로소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가 되며, 신과의 일치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죄인은 참된 자기 자신과 욕망에 집착하는 자기 자신을 진실로 구별할 때, 비로소 회개하며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개념에 대한 오해와 유용성을 중심으로-

        성해영 ( Hae Young S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신비주의는 종교사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런 논란의 대부분은 개념 형성 과정의 특정한 역사적 경험이 과도하게 부각된 탓에 비롯되었다. 그 논란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신비주의는 비합리주의 혹은 반이 성주의다. 둘째, 신비주의는 초자연주의이다. 셋째, 신비주의는 이단 혹은 나쁜 종교다. 넷째, 신비주의 개념은 편견을 숨기고 있다. 다섯째, 신비주의는 비밀주의이다. 이 논문은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와 유용성에 초점을 맞춘다. 신비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논란과 오해를 야기했으며, 그러한 오해를 만들어낸 개념 형성의 역사를 검토한다. 이 글은 그 방식으로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구성 요소에 주목하는 방법은 개념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피하게 만들어 주어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본다. 신비주의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신비주의란 “인간이 궁극적 실재와 합일되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의식을 변화시키는 수행을 통해 체험을 의도적으로 추구하고, 체험을 통해 얻어진 통찰에 기초해 궁극적 실재와 우주, 그리고 인간의 통합적 관계를 설명하는 사상으로 구성된 종교 전통”이다. 신비주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신비주의를 둘러싼 논란은 역설적으로 신비주의의 역동성을 반영한 것이며, 이러한 역동성은 ‘체험,수행, 사상’이라는 차원에서 제기되는 여러 물음들을 통해 거듭 확인된다. 특히 다종교 사회인 우리나라에서 신비주의는 종교간 공존에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통합과 합일을 지향하는 신비주의는 모든 것이 극단적으로 분리된 현대에 다시금 주목을 끌지만,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는 우리에게 신중함을 요구한다.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오해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신중함은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발견하는 첫 출발점이 될 수밖에 없다. Mysticism is a concept which has provoked much controversy in the history of relig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full-scale meeting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term w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human religiosity. At the same time, mysticism has been criticized as ‘devil worship’ or ‘heresy.’ Mysticism is composed of ‘mystical experience’, ‘mystical practice’ and ‘mystical thought.’ In Korea, this concept raised many misunderstandings, which is in fact not a unique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e misunderstandings are as follows. First, Mysticism is a form of non-rationalism or anti-rationalism. Second, Mysticism is merely supernaturalism. Third, mysticism means heresy or bad religion. Fourth, the term mysticism hides certain biases contained within. Fifth, mysticism has same meaning as secrecy. These misconcept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 Western historical context. Nevertheless, mysticism can function as a mirror that reflects our identity as it contains multi-dimensional aspects of religion. Furthermore, the mystical features of various religions can act as a bridg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such as Korea.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motivates inter-faith dialogue.

      • KCI등재후보

        통합심리학의 사상한의 관점으로 본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생애

        김혜옥 ( Hye Ok Ki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3 동서정신과학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의 오랜 영적전통과 서양의 유산을 모아 통합이론을 정립한 켄 윌버Ken Wilber의 통합이론 중 사상 한(四象限, Four Quadrants)의 관점으로 16세기에 살았던 신비가이자 개혁가로 알려진 스페인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삶을 살펴보는 것이다. 데레사의 생애에서 그 내면과 외면,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것들, 그리고 집단적인 것들이 어떻게 함께 어우러져 일치와 조화를 이루어 자기초월과 통합적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차원을 소유한 다채로운 존재로서의 인간이, 그의 정신과 신체, 문화와 사회, 개인적 차원과 집합적인 것들 안에 어떻게 일치되고 초월하여, 통합적인 영의 현현 속에 통합된 삶을 이루는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윌버와 그의 통합심리학에서 중심적이고 대표이론인 AQAL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그 주요 내용인 사상한 을 자세히 파악한 후, 데레사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상한의 관점에서 데레사의 삶을 조명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사상한의 내용과 실현을 파악하여, 어떻게 인간의 삶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상호작용을 하면서 초월과 통합을 이루는 가를 기술하였다. 본 논문은 심리적, 신체적, 문화적, 사회적 환경, 즉 통합심리학의 사상한의 관점 안에서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를 구하였고, 한편으로는 그것이 영적인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전하는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ew the life of St. Teresa of Avila in the context of all quadrants in integral psychology which were originally developed by Ken Wilber. Teresa of Avila lived as a nun in the 16th century and is highly esteemed as a spiritual person, an active mystic, founder of a religious order and a reformer of the Catholic Church. So far numerous studies about Teresa have been undertaken from religious, spiritual and mystic perspectives, but not many from the psychological viewpoint. This study is a modest attempt at that considering its relationship to diversity and reciprocity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and human growth, especially integral life. In the first part, integral psychology is discussed along the lines of the paradigm AQAL(All quadrants, All Lines), dealing in detail with all the quadrants and discussing integral spirituality. Teresa`s faith, mysticism, philosophy of life, establishment of congregations, and her literary work are examined briefly, observing her transpersonal and integrating spiritual processes.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Teresa`s spiritual mystic experiences and her active life were integrated proving the validity of all quadrants in integral psychology and the possibility for human beings to achieve a higher level of spiritual life. In the concluding part, some limitations of this work are mentioned and a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s proposed.

      • KCI등재

        Transformation of Perspectives in St. John of the Cross’s Notion of Union with God

        Kim, Chi-hu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3

        본 논문은 십자가의 성요한의 하느님과의 일치에 대한 개념을 연구한다. 그리스도교 신비사상 역사에서 아빌라의 대데레사 성녀와 함께 십자가의 성요한은 가장 중요한 신비가들 중의 한명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일반 독자들이 그가 제시하는 하느님과의 일치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려고 할 때, 종 종 좌절되거나 당혹스러워 하게 된다. 특히 일치에 이르기 위해서 우리는 어두운 밤을 거쳐야 한다. 이 어두운 밤은 성요한의 매우 잘 알려진 개념인데, 심지어 하느님과의 일치가 이 어두운 밤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이 어두운 밤은 고통과도 연관이 된다. 그리고 하느님과의 일치가 일종의 고통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성요한에게 있어서 일치에 이르는 길은 이와 같이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일치의 개념은 어두운 밤 혹은 고통으로 잘못 이해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요한이 주장하는 하느님과의 일치에 이르는 방법의 중요한 특징들을 연구한다. 동시에 일치의 개념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성요한이 제시하는 하느님과의 일치는 물질의 변화가 아니라, 관점 혹은 시각의 변화이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는 세상의 지식과 하느님의 지식과 깊은 연관을 지니고 있다. 즉 일치는 지식과 시각의 문제인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discuss St. John of the Cross’s notion of union with God. St. Joh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ystics in the history of mysticism, along with St. Teresa of Avila. Yet the readers are often frustrated when they try to figure out his notion of union with God. The way of attaining the union requires a person to go through the dark nights, which is John’s famous term even to the extent that it is identified with the union itself. The dark nights are associated with suffering, and therefore union is regarded as a sort of suffering. The implication is that, for John, the way of union consists of various layers, but the notion seems to be often misunderstood as dark nights or suffering. Accordingly, this essay is going to show the main features of the way of attaining union and to discuss the notion of the union. For John, the union is not the change of substance, but the transformation of perspectives,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the knowledge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