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포츠 참여동기가 스포츠 관여도와 관람/시청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현정(Hyun Jung Park),류지아(Ji A Ryu)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스포츠 관람자의 스포츠 관람 및 시청에 관한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이다. 스포츠에 참여하는 동기가 스포츠 관여도를 매개로 하여 스포츠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스포츠 소비행동인 스포츠 관람행동(직접소비행동)과 스포츠 시청행동(간접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스포츠 소비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포츠 참여동기를 일상탈피지향, 문화 및 지식지향, 성취감지향, 사회성지향으로 구분하고 스포츠참여동기가 스포츠 관여도를 매개로 하여 스포츠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10대~40대 남녀를 대상으로 대구 소재 대학교, 대형마트, 스포츠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2009년 11월 2일~13일에 실시되었으며,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22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참여동기와 스포츠 관여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상탈피지향, 문화 및 지식지향, 사회성지향은 인지적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감 지향은 감정적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관여도와 스포츠 관람 및 시청 소비행동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관여도, 감정적 관여도는 스포츠 관람소비행동(직접소비행동), 스포츠 시청소비행동(간접소비행동)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direct/indirect consumption behavior of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sport. Using sports involvement, this article probes how sports participate motive influences sports consumption behavior. This article provides(proposes) bases(basic information) that stimulate sports consumption behavior by looking for the factors which influence direct/indirect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identifies whether sport participation motives such as escape orientation, culture and knowledge orientation, accomplishment orientation, and sociality orientation are important in forming sport involvement and consumption behavior. The data were gathered at universities, major supermarkets and sports centers in Daegu from Nov.2, 2009 to Nov. 13, 2009.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men and women aged 10`s to 40`s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used. A total of 221 usabl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below.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participation motive and sport involvement shows that escape orientation, culture and knowledge orientation, and sociality orient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involvement. And accomplishment orientation improves emotional involvement.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involvement and sport consumption behavior was identified that cognitive involvement and emotional involv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direct consumption behavior and indirect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한국 스포츠시장에서의 스포츠소비패턴과 소비자 개인특성에 관한 연구

        김찬경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6 No.2

        스포츠라는 제품은 전통적인 소비재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런 스포츠 특성은 최근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스포츠마케팅의 영역에서 많은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스포츠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스포츠를 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 기업이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스포츠시장의 소비자특성에 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시장의 주 소비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상품의 소비패턴과 그 속에 숨어 있는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탐색해 봄으로써 스포츠산업경영의 실무 뿐만 아니라 스포츠마케팅의 학문적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해 2차에 걸친 탐색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마케팅의 실무에 반영할 수 있는 스포츠소비자의 여러 특성과 변수간의 관계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스포츠상품의 소비강도를 기준으로 소비자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정보의 원천, 정보의 탐색방법과 탐색정도, 그리고 매체습관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남녀간에 있어서도 여러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런 탐색적 조사결과는 향후 다양한 부문의 후속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스포츠마케팅의 전략을 수립하고 스포츠마케팅의 성과를 측정하는 경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port as an instrument to contribute for marketing objectives has been reported to have idiosyncratic attributes in comparison with other products like conventional tangible consumer goods. In general, prior studies on sport industry focused on the motivations of sports consumer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erefore, the application should be limited only to directly sport-related industry or sport product manufacturers. But sport marketing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area of application to have finally urged many companies with no direct relationship with sport industry. This trend propels sport-related studies to concentrate more on the market-driven concerns among modern compani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relationships in sport consumption patter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amples were chosen among the students in universities. Statistical analysis resulted in a lot of meaningful outcomes about sport consumers traits in opinion leadership, media habits, and attitude to the sport sponsors. These findings are sure to devote to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using sport itself and sport market factors.

      • KCI등재

        스포츠산업 성장이 스포츠소비와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남희(Nam Hee Han),김차용(Cha Yong Kim),강현민(Hyun Min Kang),양민용(Min Yong Y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산업 성장에 따라 스포츠소비와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경제 성장에 따른 스포츠산업의 변화를 종속적 사회현상으로 보고 이에 따른 스포츠소비자와 국민생활체육참여율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986년부터 2006년까지의 스포츠산업규모, 스포츠소비, 국민생활체육활동 참여율이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SPSS Window 10.0을 이용하여 스포츠산업 성장을 종속이론의 관점에서 스포츠소비와 생활체육참여율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스포츠산업 성장이 스포츠소비와 생활체육참여에 영향을 조사하기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수평할법에 의한 미래 시점의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산업의 성장과 스포츠소비(r=.957), 국민생활체육 참여율(r=.756)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산업의 성장은 스포츠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스포츠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스포츠소비는 늘어난다. 셋째, 스포츠산업의 성장은 국민생활체육 참여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스포츠산업이 성장할수록 국민생활체육 참여율은 높아진다. 넷째, 스포츠산업 성장과 사회변동으로서의 스포츠소비 및 사회체육 참여율 변화에 대한 미래의 예측이 가능하다. 스포츠산업규모와 스포츠소비, 국민생활체육 참여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의 스포츠산업규모는 4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며, 스포츠소비는 월 25,000원을 넘어설 것이다. 또한 국민생활 체육 참여율은 선진국의 수준인 60%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 KCI등재

        스포츠소비 현황 및 특성 분석

        조성식 ( Seong Sik Ch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 증가와 여가시간 증가, 그리고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적극적 인식 확산에 따라 스포츠를 향유하게 되는 스포츠소비의 실태와 변화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Keynon의 스포츠관여 유형에 기초하여, 스포츠관여를 1차적 관여와 2차적 관여로 구분하고 각각의 관여에서 스포츠를 생산하는 역할과 소비하는 역할로 나누었으며, 소비자의 소비형태에 따른 소비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정부통계자료, 체육단체자료, 미디어사 자료 등을 기초로 하여 문헌연구 하였다. 우리나라 국민의 스포츠소비는 ``참여형`` 스포츠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경마·경륜을 제외한 관람소비는 전반적으로 정체되고 있으며, 인터넷 미디어스포츠소비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요약된다. 다양한 장소에서 직접 운동을 하는 생활체육참여 증가는 종목별 참여인구의 증가와 함께, 체육시설수 증가, 운동용품의 수입 증가 등의 현상으로 설명되고 있다. 프로스포츠의 관람은 축구와 농구의 완만한 증가, 야구의 전반적 감소로 나타나며, 사행성 스포츠인 경마와 경륜은 2002년까지 급속히 증가하였다. 미디어소비 부문은 TV와 신문은 스포츠콘텐츠에 대한 시청과 열독에서 저조한 소비를 나타내며, 단지 축구국가대표팀 경기와 인터넷미디어스포츠에 대한 높은 수요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스포츠소비 형태에서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국민의 스포츠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양질의 체육시설 및 용품, 그리고 높은 수준의 관람스포츠가 적절히 공급되어야 하며, 다양한 미디어스포츠콘텐츠가 개발되고 서비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gure out and analyze the trends of sport consumptions in Korea which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people`s income and leisure time, and their recognition of quality of life. The sociological categorization of sport involvement was adopted to differentiate primary involvement in sport from secondary involvement in sport and sport consumers from sport producers. The document study, based upon the original reports from government, sport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ual participation in sport has constantly increased: The spectating consumption of professional sports has been stagnant but the gambling sports such as horse-racing and cycle-racing has rapidly grown: The consumption of media sport has varied; TV ratings of sport programs have been relatively quite low as compared to other TV programs, but the viewing of internet sport contents on electronic newspapers or portal sites has distinctively increased. Considering the increase of people`s actual sport participation and their other sport involvement such as spectating, viewing, reading, and internet surf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provide the quality sport facilities, sport equipment and sporting goods, and the high quality professional sport games. Also the development of diverse and competitive media sport contents was suggested.

      • KCI등재

        중국 직장인 여성을 위한 스포츠 체험공간 디자인 연구 -프로슈머 마케팅 4P를 중심으로-

        박초화 ( Chuhua Piao ),이정교 ( 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및 소비의 발전에 따라 생활수준과 소비층이 증가하면서 프로슈머 마케팅(참여형 소비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프로슈머 마케팅은 소비자의 의견을 기업에 반영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시키고, 체험을 통해 소비자들의 정신적 수요를 높이며, 개인의 욕구도 충족시켜 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장과 경제를 좌우하는 프로슈머는 신상품 개발이나 판매에 직접 참여하는 생산자적인 성격을 가진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기업의 생산에 능동적으로 참여해 소비물을 창조하는 등 사회, 문화에 반영될 것이다. 이러한 소비문화 환경 속에서 수요 창출을 위해 소비자들은 기업의 생산 상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에 연구를 통해 프로슈머 마케팅 4P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스포츠 체험매장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체험공간에 대하여 연구하며, 미래의 중국 스포츠 시장에 적용하여 공간 디자인을 선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프로슈머 마케팅의 정의와 유형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체험공간의 유형, 구성요소 및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직장인 생활을 하고 있는 20,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중국 스포츠 시장에서 인지도가 있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스포츠 매장을 고려하고 선정하여 사례분석 하였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스포츠 체험공간 요소 중 엔터테인먼트 체험의 활용도가 높이 평가 되었고, 소비자가 스포츠 매장에서 체험을 함으로써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체험요소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도피 체험에서는 소비자들에게 이색적인 분위기 연출과 같은 체험을 통해 흥미로운 공 간이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슈머 마케팅 4P(제품, 가격, 유통, 촉진) 유형이 스포츠 체험공간의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적용한 스포츠 체험공간의 특성 중 주목성, 창조성, 지속가능성, 상호작용성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 스포츠 매장의 이미지를 차별화 시키고 프로슈머들 간의 소통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다. 스포츠 체험특성이 약하게 나타나는 유동성, 집합성, 이동성, 무형성과 같은 요소에서는 인상적인 체험을 적용한다면 스포츠 체험공간을 더욱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프로슈머 마케팅의 4P를 적용한 스포츠 체험공간의 표현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나아가 공간기획과 연출을 접목시켜 새로운 체험공간에서 효과적으로 보여주자고 하는 특성임을 밝힐 수 있었다. 향후 중국 직장인 여성을 위한 스포츠 소비시장을 늘리고, 스포츠 체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 시장경제 및 기업 활동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economy and consumption, living standard is increasing and consumer level is expanding. As such, prosumer marketing (participating consumer) is actively introduced. Prosumer marketing reflects consumer``s opinion to company, since prosumer marketing maximiz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aises the need of psychological demand after experience and fulfills individual desire. Also, prosumer who dominates market and economy will be reflected in our society and culture. Here, prosumer refers to not ordinary producing consumers who are engaged in development or sales of new product but proactive consumers who are actively engaged in production and creation of company. To create demand in this consumer culture environment, consumers are directly engaging in new product product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and sharing the inform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4P prosumer marketing and to study new experiential space after applying those characteristics to new sport experiential shop and to lead space design after applying those characteristics to future Chinese sport market. (Research Scope and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definition and type of prosumer marketing and draws type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space after theoreticall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sports shop that is popular to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cognized in Chinese sports market with possibility to develop. (Results) Result of study analysis shows that entertainment element was highly evaluated among sports experiential space elements. Experience in sports shop gave joy to consumer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 of escapism where experiencing level is low allows consumer to enjoy exotic atmosphere. Also, it was confirmed that 4P prosumer marketing(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had positive effect on expanding sports experiential spac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experiential space with 4P prosumer marketing, noticeability, creativity, sustainability and interconnectivity were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confirms that those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 the image of sport shop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prosumer by providing tailored service to customers. In elements with low sports experiencing traits such as fluidity, collectivity, mobility and intangibility, it is confirmed that introduction of impressive experience can continuously develop sports experiential spa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haracteristics need to be actively adapted by consumer and furthermore need to integrate space planning with presentation to effectively show experiential space. Henceforth,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sport consumption market for female office worker in Beijing, China.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more continuous research on sport experiential space design to add important value to market economy and business operation.

      • 스포츠 소비행동을 구성하는 사회 심리적 요인

        김경두,공경호 東國專門大學 1994 金龜論叢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소비행동이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수를 증명하는 것 이었다 스포츠 소비에 관한 101개의 질문 항목을 작성하였다. 질문에는 수단계 평정척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질문지에는 스포츠 소비방법별 소비량을 추측하기 위한 질문 항목을 작성하였으며, 그 밖의 기초항목을 첨가하였다. 본 조사의 대상은 대학생 414명(남 159방 여 255명)이었다. 조사된 스포츠 소비방법은 관전 스포츠 종목으로서 TV시청, 라디오청취, 신문, 잡지 등을 읽는 것이었다. 101개 항목의 요인 분석에 의한 17개의 사회적 심리적 인자가 추출되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포츠 소비행동에 관여하고 있는 변수는 학습, 오락, 사회화, 호기심, 미적추구, 도피, 공격성, 향토성, 카타르시스, 긴장감의 추구, 귀속 그리고 동일화의 12개였다. 이들은 이론적으로 추출된 변수와 거의 대응하고 있었다. 2. 스포츠 소비행동은 경기장, TV, 라디오, 그리고 신문, 잡지 등의 수단별에 따라 관여하는 변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3. 스포츠 소비행동에 관여하고 있는 변수에는 수단별에 따른 교호작용(交互作用)이 나타났다.

      • KCI등재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소비 행동과 구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권오성(Kwon o-sung),김미향(Kim mee-hyang)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 용품 종류 및 구매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스포츠 용품 구매 결정 요인의 차이를 규명하여 스포츠 용품 산업 발달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수원, 분당, 일산에 위치한 5개 지역의 C 대형 할인 매장 이용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임의 표집법을 이용하여 5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Mullin 등(2000)과 박영옥 등 (1998)의 스포츠 산업 분류에 근거하여 스포츠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소비 행동 특성을 조자하였고, 구매 결정 요인은 김수잔 등(2002), 이승철 등(2002)과 이종호ㆍ최종필(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는 설문지를 토대로 문항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하였고, 자료 처리는 Windows용 SPSS 10.07 Version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교차 분석,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 형태에 띠라 살펴보면, 관람 참여자가 성별, 연령별, 직업별, 소득 수준별 분류에서 직접 참여자보다 많은 수를 나타냈다. 스포츠 용품의 구매 종류는 성별, 연령별, 학력 수준별, 직업별, 가계 소득별 분류에서 대형 할인 매장 소비자들은 신발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용품 구매 시 고려 사항은 성별, 연령별, 학력 수준별, 직업별, 가계 소득별 분류에서 대형 할인 매장 소비자들은 제품의 질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소비 행동 특성에 따른 구매 결정 요인에는 차이가 있다. 스포츠 참여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구매 편의성 요인에서, 스포츠 용품 구매 종류에 따른 분류에서는 구매 편의성 요인과 상품의 전문성 요인에서, 구매 시 고려 사항에 따른 분류에서는 상표 의존성 요인, 구매 편의성 요인, 상품의 전문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empirical datum for sports products industry development by construing of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The entire population of pollee in this research was consumers of C super super-markets in Seoul. In-chon, Su-won, Bun-dang and Il-san. The datum of 565 person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examination of this study,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based on sports industry classification of Mullin(2000) and Park, Young Ok(1998) were examined for the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was adapted and utilized the survey used by Kim, Su San(2002), Lee, Seng Chul(2002) and Lee Jong Ho(2001). The survey was worked out using self-administration method. Using SPSS 10.07 version for windows as materials management, This study was execute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consumers'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consumers. According to sports participation conformation, there were more participators who sport directly than audience participators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job and income. The consumers of big discount markets purchased shoes the most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school. year, job and income. The consumers of big discount markets considered the quality of products the most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school year, job and income. Resent corroborated data about how the ski manias' experience reveals on the flow an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explain more exactly, the study adopted both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behaviors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consumers.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orts participation conformation, the factors of sports products purchase decisi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factor of purchase convenience.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orts products purchase kinds, it showed difference in the factor of purchase convenience and product specialty.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urchase consideration, it showed difference in the factor of brand name dependency, purchase convenience and products specialty.

      • KCI등재

        스포츠소비자의 SNS 상호작용성이 브랜드관계,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기태 한국골프학회 2023 골프연구 Vol.17 No.-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소비자들의 SNS 상호작용성이 브랜드관계,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포츠브랜드의 SNS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 브랜드의 SNS전략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23년 7월에서 8월 약 두 달간 스포츠 브랜드의 SNS를 팔로우하여 즐겨보는 스포츠소비자 30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스포츠소비자의 SNS 상호작용성은 브랜드관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소비자의 SNS 상호작용성은 브랜드태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소비자의 SNS 상호작용성은 구매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소비자의 SNS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관계는 브랜드태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소비자의 SNS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관계는 구매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소비자의 SNS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소비자의 SNS 상호작용성은 브랜드와의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매개체로 스포츠브랜드에서는 SNS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다양하게 시도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SNS interactivity of sports consumers on brand relationships,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using SNS of sports brands, and exploring SNS strategy plans for brands. [Method] To this end, 300 sports consumers who followed the sports brand's SNS for about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23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NS interactivity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relation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NS interactivity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NS interactivity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brand relationship formed through SNS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Fifth, it was found that the brand relationship formed through SNS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brand attitude formed through SNS of sports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Sports consumers' SNS interaction is a medium to reduc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brands, and sports brands need to try various ways to increase their utilization of SNS.

      • KCI등재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수요 및 소비지출 결정요인 분석

        최의열 ( Choi Eui-yul ),조우정 ( Cho Woo-jeo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7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해양스포츠의 수요 및 소비지출 결정요인을 분석해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수요 유인과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에 거주하는 시민 30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스포츠의 수요 및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는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 월소득 및 거주지 그리고 해양스포츠 참가동기인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및 심리적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수요(참가경험 있다 또는 없다)와 소비지출금액(5만원 미만 또는 5만원 이상)으로 이분형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유효 설문지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 요인 및 신뢰도 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해양스포츠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월소득 그리고 거주지가 유의한 수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1.708배 높다. 연령 요인에서는 30대가 50대 이상보다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3.529배 높다. 월소득 요인에서는 300~400만원 미만의 월수입을 가진 자가 500만원 이상에 비해 .353배 정도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낮다. 거주지 요인에서는 서부지역민이 동부지역민에 비해 3.232배 정도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해양스포츠 참가동기 중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요인이 유의한 수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요인에서는 그 중요성이 한 단위 증가할수록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634배 만큼 낮아진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그 중요성이 한 단위 증가할수록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1.745배 만큼 높아진다. 문화적 요인에서는 그 중요성이 한 단위 증가할수록 해양스포츠 참가경험이 있을 가능성이 1.689배 만큼 높아진다. 셋째, 해양스포츠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거주지가 유의한 소비지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연령 요인에서는 40대가 50대 이상보다 해양스포츠에서 5만원 이상 소비할 가능성이 5.809배 높다. 거주지 요인에서는 서부지역민이 동부지역민에 비해 .261배 정도 5만원 이상 소비할 가능성이 낮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terminants of demand and consumption expenditure in marine sports and provide fundamental marketing information that help attract consumers and increase profits for marine sports business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s, the study employed a survey method with a total of 303 consumer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in B metropolitan city. The determinants of demand and consumption expenditure include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residence, and physical, soci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re the motivation for marine sports participation. Dependent variables used dichotomous data as dem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r not) and consumption expenditure (more than 50,000 won or less than 50,000 won). The collected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Accordingly, following main finding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gender, age, income and residence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demand. For gender, men were 1.708 times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than women. For age, 30s were 3.529 times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than 50s or older. For income, those who have monthly income less than 3~4 million won, compared to those who have monthly income more than 5 million won, were .353 times less likely to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For residence, western residents were 3.232 times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than eastern locals. Second,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demand. For physical factor, one unit increase in physical factor regard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d to .634 times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For social factor, one unit increase in social factor regard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d to 1.745 times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For cultural factor, one unit increase in cultural factor regard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d to 1.689 times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ng in marine sports. Third, age and residence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 For age, 40s were 5.809 times more likely to spend more than 50,000 won in marine sports than 50s or older. For residence, western residents, compared to easterners, were .261 times less likely to spend more than 50,000 won in maine sports.

      • KCI우수등재

        스포츠용품 서비스가치가 구매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개인 소비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정승훈(JeongSeung-ho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본 연구는 스포츠용품 구매자의 서비스가치가 구매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스포츠 소비자의 소비성향(과시적, 충동적)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서비스가치가 구매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성향의 조절변수 역할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동일성 검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용품 구매자의 서비스가치는 구매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용품 구매만족은 미래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용품 구매자의 경우 낮은 충동적 소비성향을 가진 집단이 높은 충동적 소비성향을 가진 집단 보다 서비스가치가 구매만족 및 미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동적 소비성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용품 구매자의 경우 낮은 과시적 소비성향을 가진 집단이 높은 과시적 소비성향을 가진 집단 보다 서비스가치가 미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과시적 소비성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용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다양한 소비성향의 높낮이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ies(conspicuous and impulsive) in the relation among service value, purchase satisfaction and future consumption behaviors for sporting goods consumer. For data analysis was made by SPSS 22.0 and AMOS 22.0,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ng model, measurement invariance test and multiple group analysis for the hypothesis test. A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service value had significantly influence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future consumption behaviors. Second, purchas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influence on future consumption behavior. Third, the effect of service value, purchase satisfaction and future consumption behaviors for low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ies group was relatively higher than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ies group. Fourth, the effect of service value and future consumption behaviors for low impulsive consumption propensities group was relatively higher than high impulsive consumption propensities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