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물질적 소비(vs. 경험적 소비)의 상대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박세훈,김채영,박재인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2

        현대에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은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비대면 소통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단절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심리적 반응인 지각된 통제의 약화가 소비 유형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혼자가 된 소비자들은 타인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임으로써 통제를 약하게 지각하게 되므로, 소유 행위를 통해 지각된 통제의 결핍을 충족시키고자 한다. 그러므로 사회적 배제 소비자(vs. 사회적 포함 소비자)들은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소유가 수월한 물질적 소비(vs. 경험적 소비)를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게 될 것이고, 이는 지각된 통제 수준에 의해 매개될 것이라는 가설1과 가설2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또 다른 변수인 파워 수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파워의 보유는 사회적 단절 상태에 있더라도 오히려 지각된 통제를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높은 파워(vs. 낮은 파워)는 소비 유형에 미치는 사회적 배제 효과를 사라지게 하며, 이는 지각된 통제에 의해 매개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가설3과 가설4). 본 연구는 연구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사회적 배제 여부에 따라 두 가지의 실험 조건(사회적 포함 vs. 사회적 배제)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예상하였던 바와 같이 사회적 배제 조건(vs. 사회적 포함 조건)에서 물질적 소비(vs. 경험적 소비)에 대한 상대적 선호도가 더 높았으며(가설1 지지), 지각된 통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2 지지). 실험 2에서는 파워를 추가적으로 조작하여 2(사회적 배제 여부: 사회적 포함 vs. 사회적 배제) x 2(파워 수준: 낮은 파워 vs. 높은 파워)의 집단 간 설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낮은 파워 조건에서는 앞선 실험 1에서와 동일하게 사회적 배제 효과가 발생하였으나, 높은 파워 조건에서는 사회적 배제 여부에 따라 물질적 소비와 경험적 소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가설3 지지). 또한 지각된 통제 수준을 거치는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가설4 지지).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항공서비스 소비자 가치가 사회적 자아표현성과 사회적 소비비전 및 서비스 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종범 ( Jong Bum Kim ),정경은 ( Gyeong Eun Chung ),송지영 ( Ji Yeong S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형성되는 과정을 사회적 소비비전 차원에서 첫째,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를 사회적 관점을 토대로 탐색하고, 둘째, 항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요인들이 사회적 자아표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 셋째, 소비자의 사회적 자아표현성이 소비자로 하여금 항공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행동과 그에 따른 소비결과를 사회적 소비비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넷째, 사회적 소비비전이 항공서비스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끝으로 본 연구가 주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무적으로 어떻게 적용,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사회적 차원의 항공서비스의 소비자 가치요인들은 사회적 자아표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신성은 항공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자부심이 소비자자신의 가치를 잘 표현한다고 지각할 수 있다. 배려성은 사회적 자아표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공헌성도 사회적 자아표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사회적 자아표현성은 소비자로 하여금 항공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행동과 그에 따른 소비결과를 상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사회적 소비비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심리적 애착정도를 사회적 소비비전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검정한 결과, 사회적 소비비전은 서비스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무적 차원에선 소비자의사회적 가치 요인이 기업 및 서비스에서 차별화된 특성과 경쟁력 있는 서비스의 강력한 구축을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둘째, 서비스 소비자의 가치 요인이 소비자의 자아표현성에 영향을 미치면 소비비전 형성 수준이 높아지고, 소비비전에서 서비스애착으로 이어지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ain behavior of consumer as importance of experience increases. This study is conducted using Cronbach’s Alpha to review the confidence of each variable, implementing factor analysis to review suitable of variable, using Amos 18.0 program to review effect of structural model and control variable. Also, using convenience among consumer value of airline service in study is conducted not to affect to self expression of individual. Sight of former study is expanded to connect between airline service character and air crew relationship in evaluation procedure of airplane service. Furthermore, forming procedure of consumer vision is added investigating satisfaction of social self-expression in individual and social part. We can suggest specifically strategic implication searching classification among airplane, class, normal customer and abnormal customer with selecting larger sample of study

      • KCI등재

        사회적기업 상품의 소비가치가 상품태도, 구매의도 및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민동권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9 사회적기업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attitude,purchase intention, and the intention of paying premium prices in thesocio-economic area. Specifically, consumption values are categorized into sevenvalues: quality functional, price functional, social status, social, emotional,epistemic, and environmental. This research conducts a plethora of statisticalanalysis using data and information gathered from 228 consumers with age of20 years or more.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and environmentalvalu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social products. Second, emotional value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productattitude. Third, the attitude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the 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intention of purchase is found to have a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y premium prices. Consumersare willing to pay the premium price of nearly 18.7% for social produc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y analyzing the intention of premium price,the social value portion of social products is evaluated in number. Ultimately,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research in the field and provision of insights to practitioners. 사회적기업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바,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상품의 소비가치가 소비자의 태도, 구매의도,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상품 소비가치 모델”을 제안한 후,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20대 이상 일반 소비자 228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여러 소비가치 중에서 사회적기업 상품의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환경적 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가치 역시 사회적기업 소비자의 태도에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기업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의도는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적기업은 사회/환경적 가치 및 감정적 가치의 창출과 홍보에 특별히 심혈을기울여야 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의도 증가와 더 나아가 더 높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평균 약18.7% 추가)를 기대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종사자가 향후 관련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고,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사 분석을 통해 향후 객관적으로 상품과 소비자 관점의사회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8대 기본권리 실현을 위한 기업의 책임 수행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요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김혜연 ( Hye Yeon Kim ),김시월 ( Si Wuel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기업이 누구를 위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일환으로 기업의 다양한 사회적 책임 내용 중에서 소비자의 권리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비자 8대 기본권리를 고려하여 24개 항목의 척도를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인식, 소비자 8대 기본권리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소비자요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았으나 우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지향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44.8%를 차지하였다. 소비자 8대 기본권리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소비자요구로는 피해보상을 받을 권리, 안전할 권리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 8대 기본권리가 "소비자 지향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역할을 하는데 높은 요구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보다 생산적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공헌적 책임뿐만 아니라 절대다수의 소비자들을 위한 "소비자 지향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주목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 8대 기본권리 관점에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공동지향점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s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 interest of people in them have recently emerged, academic research has been made and the diverse projects of enterprises have been actively worked on. But si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which is the international term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has been translated into corporate social service or has been the same concept as it, corporate activities have focused on the service and donation activities of employees. Social service is a part of corporate social activities;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enti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Enterprises doing only social service activities ignoring the essential issues such as legal or ethical issues and environmental issues is not the true natur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 a true sense. Thus, the enterprises of Korea need to change and expand the roles and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o clear up for whom, what, how, and why they should take social responsibilities. The ultimate purpos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re to ensure sustainable growth in a win-win relationship with society. Enterprises cannot survive or grow without consumers. Thus,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is the primary duty of enterprises. In this stud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ere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in order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performing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consumer-oriented" companies. In order to do so, 24 criteria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Also, consumers` awarenes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consumers` awareness and deman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from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were researched through a survey whose target was consumers in their twenties or older.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consumer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ere high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Also, the answer that the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onsumer-oriented" companies accounted for 44.8%. From the viewpoint of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consumers` deman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e right of compensation, and that of safety was high. The respondents showed high demand for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a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onsumer-oriented" companies. In order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be more productive, enterprises should focu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consumer-oriented" companies for an overwhelming majority of consumers as well as social service for the weak. Also, they should analyze consumers` awareness and demand from the eight basic rights of consumers and pursue the common goals.

      • KCI등재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김혜연,김시월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1

        과거 생산지향의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지향의 소비자 중심으로 현대사회가 변화하였다. 이에 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환경변화들은 개개 소비자에게 소비주체로서 소비자 자신의 개인적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선택 역할만이 아니라, 자신의 소비선택이 그가 속한 사회에 지역적으로 그리고/혹은 전 지구촌 사회적으로 경제, 사회, 문화, 정치, 자연생태 등에 어떠한 결과를 야기하는가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는 '책임있는 사회적 행동'을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책임 국제표준인 ISO26000을 '소비자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영역체계로 적용하여 대학생소비자들의 사회적책임 의식과 행동을 알아보고, 관련변수들이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관계구조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수준은 평균 3.7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책임 행동수준은 평균 3.52로 나타나 의식수준 보다는 낮은 수치로 의식과 행동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특성 중 소비자교육 경험 여부, 소비자단체활동 경험 여부, 봉사활동 경험 여부는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과 행동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비자의 효과성 지각(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기업의 사회적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관심도가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이 사회적책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 의식의 바탕인 가치 및 태도가 행동과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기업의 사회적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책임은 관련성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본으로 소비자의 사회적책임 의식이 행동으로까지 연결되는 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상된 사회적책임 의식과 행동을 갖춘 소비자를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방안, 소비자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from production oriented of supply side to consumer oriented of consumer sid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the society require consumers not only consumers' choice for their own satisfaction but also require consumers to conscious how their choice will effect their society and/or the global's economy, society, culture, politic and natural ecology.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figure out college studen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by applying social responsibility international standard ISO26000 as a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system and understand how correlated variables effec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cluding relationship structure. As a result, college studen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score was comparatively higher, 3.79, than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score, 3.52 showing that there is a gap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and behavior. Among general features,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consumer education participation and voluntary service participati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Also consumers' interest in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ffects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we verified through the research tha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These results showed that foundation of consumers' consciousness has a high relation with consumers' behavior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a high relation with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se the problem that occurred when consumers have difficulty chang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to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need various policy, strategy and education to foster consumers with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behavior.

      • KCI등재

        한국 소비사회의 등장과 미시권력의 변화

        조원광(Won Koang J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1

        소비는 단순히 필요를 충족시키는 일이 아니다. 소비는 사회적으로 권장되는 기호와 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이다. 그렇기에 소비는 일종의 권력 현상이다. 푸코의 미시권력은 이를 포착하기에 적합한 도구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소비를 통해 삶의 표준을 표현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소비를 통해 작동하는 미시권력은 그 전의 미시권력과 여러 가지 점에서 다르다. 우선 과거 삶의 표준이 되는 내용을 공급하는 허브가 정부였다면 소비사회에서는 기업이 그 역할을 한다. 정부정책변화와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변화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거처럼 삶의 표준이 필요에 의해 대중에게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의 욕망으로부터 도출된다. 기업들이 대중들의 욕망을 관찰하여 적합한 상품을 만들어내고, 대중들이 이를 소비하는 방식으로 삶의 표준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메커니즘은 소비사회에서 삶의 표준이 매우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성격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1960~70년대 미시권력의 형상을 병영 모델이라 표현한다면, 1980년대 이후 소비사회 미시권력은 시장 모델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병영 모델은 일종의 사회적 강박증을 조장한다. 사람들이 이상적인 기준으로 자신을 계속 검열하게 만든다는 말이다. 반면 시장 모델은 일종의 사회적 히스테리를 조장한다. 사회적 히스테리란 사람들이 계속해서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는 소비를 반복하느라 만성적인 불안을 경험하며 자신의 삶을 돌보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Consumption is not limited to fill up people’s intrinsic need. We produce socially recommended signs and images by consumption. Therefore, consumption is a sort of power phenomenon. Foucault’s micro-power is adequate for analysing power effect of consumption. In Korea, we have seen people express social standards via consumption since the 1980’s. Micro-power operated by consumption is different from previous micro-power in several aspects. First of all, corporations come into the picture as the herb of network which supply standards of life, whereas the government undertook that role previously. We can notice this from the policy change of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ing strategy change of the corporations. Second, standards of life are not imposed on people, but extracted from people’s desire. Corporations observe people’s desire, produce suitable goods for such desire, and people accordingly consume these goods. Standards of life are made by this process. This process makes the standards of life in consumption society fluid and changeable. The form of micro-power in the 1980’s can be called ‘Market Model’, whereas the form of micro-power in the 1960-70’s can be called ‘Barrack Model.’ We can say that micro-power as Barrack Model encourages a kind of social OCPD(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because it makes people check themselves ceaselessly by ideal criteria. On the other hand, micro-power as Market Model encourages social hysteria, which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people consume various products while paying attention to other’s eye and cannot take care of themselves effectively. This makes people experience chronic anxiety.

      • KCI등재

        사회책임적 패션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이승희(Seung Hee Lee),김보영(Bo 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책임 패션기업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범위로는 사회적 책임의 개념 및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설정된 4가지 연구가설을 검증 분석들이 포함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의 남, 여 대학생을 상대로 총 284명에게 실시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책임적 패션기업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태도의 문항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각각 4가지 요인(사회공헌, 지역문화, 소비자경제책임, 환경보호)과 3가지 요인(친숙도, 호감만족도, 기업신뢰도)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사회적 책임 패션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중 소비자 경제책임이 사회적 책임 패션기업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기업 친숙도와 호감만족도, 기업 신뢰도 중에서 호감만족도와 기업신뢰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구매경험 여부에 따른 사회 책임적 패션기업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소비자가 남성소비자보다 사회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패션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션기업의 사회 책임적 패션경영의 방향을 제시하고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ashion consumers have attitudes toward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F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survey method was used, using the questionnaire. As main scopes of this study included literature review of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and testing analysis about 4 hypotheses. For this study, two hundred and eighty four college students who lⅣe in Seoul participated. For data analysis, descriptⅣ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Cronbach Alph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factor analysis, socially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had 4 factors, while consumer attitudes toward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had 3 factors. Second, out of four factors of consumer attitudes, consumer economic responsible factor showed the most biggest impact on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Final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nsumer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social responsible fashion corpo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ould provide fashion companies with social responsible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showing how social responsible fashion marketing is important among consumers.

      • KCI등재

        소비사회의 인간 이해 : ‘광고’를 통해 본 욕구와 한계의 변증법

        강성영(Kang Sung-Yo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8

          우리는 소비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소비주의는 소비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이다. 오늘의 문화 담론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대중문화는 대중적 욕망과 소비에 기초해 있는 상업적 소비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사회의 은밀한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진정한 인간적 가치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 신학과 대중문화, 특히 광고와 대화하고자 한다.   소비사회는 의식주의 기본적인 필요를 넘어서 “잉여와 사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본주의 사회를 가리킨다. 소비사회를 이끌어 가는 것이 광고이다. 광고는 매체를 통해 소비대중의 허구적 소비욕구를 재생산한다. 대중은 광고를 통해 현실세계의 불만족을 느끼고 또 다른 욕구를 가지게 된다. 상품의 소비를 통해 채워지지 않는 불만족은 인간을 과영실제(hyper-reality)에 대한 욕구의 노예가 되게 만든다. 상품의 가치가 인간적 가치보다 중요한 것이 된다. 더 나아가 소비사회는 양극화를 통해 불평등과 사회적 재앙을 산출하고 인간의 무절제한 욕구의 추구로 인해 환경적 재앙을 야기한다.   소비사회의 인간은 본회퍼(D. Bonhoeffer)의 ‘창조와 타락’에서 보면 ‘신과 같이 되려는’ 인간이다. 욕구에 사로잡혀 주어진 한계를 알지 못하는 인간이다. 그는 피조성을 부정하고 동료인간을 자신의 욕망의 도구로 삼는다. 오늘날 소비주의는 하나의 신앙이며 종교다. 죄란 자본이 인격화되고 시정이 신성화되어 인간이 상품과 교환되는 가치 전도(顚倒)이고, 이것을 조장하는 소비주의가 바로 악이다.   광고는 소비주의의 전달자이고 소비사회의 신화를 생산한다. 따라서 이데올로기비판의 관점에서 볼 때 광고는 대중의 허위의식을 체계적으로 조장함으로써 대중을 상품과 문화의 진정한 향유로부터 소외시킨다. 따라서 광고비평은 문화읽기이며 동시에 이데올로기비판이다. 인간의 삶에 작용하는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인 광고를 비판적으로 대화하는 것은 현대신학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것을 통해 우리는 반물신적 신학과 타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윤리를 모색할 수 있다. 또한 광고와의 비판적 대화는 교회의 선교적 과제이기도 하다. 설득커뮤니케이션으로서 광고와 교회의 선교적 커뮤니케이션은 경쟁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오늘의 교회는 대중에게 친밀하고 신뢰받고 사랑받을 수 있는 영성 마케팅을   We live in consumer society. Consumerism is the dominant ideology of consumer society. Popular cult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oday"s culture discourses can be the commercial consumer culture which is based on public desire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or criticizing secret myth and ideology of consumer society and for making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opular culture, especially commercial advertisement to seek the true human value and the meaning of life.   Consumer society is about the society of consumer capitalism which pursues "surplus and extravagance" beyond the basic need of food, closing, and housing. It is commercial advertisement which leads consumer society. Commercial advertisement reproduces false consuming desire of the consumer public through media. The public feels dissatisfaction in the real world becaus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starts to have other desires. The dissatisfaction which can not be filled with consuming products makes a human being be a slave who has a desire for hyper-reality. The value of product is more important than the human value. Further more consumer society produces unequality and social disaster through bi-polarization and brings environmental disaster caused by the pursue of human being"s uncontrolled desire.   The human being of consumer society is a human being who "wants to be God" in "Creation and Fall" written by D. Bonhoeffer. This human being does not know given limitation being caught by desires. He denies the identity of creature and uses other human beings as the means of own desire. Nowadays consumerism is faith and religion. Sin is overturning value which exchanging a human being with a product after capital is personalized and market is worshiped. Consumerism that stimulates this is evil.   Commercial advertisement is a messenger of consumerism and produces the myth of consumer society. Therefore from the

      • KCI등재

        닫힌 사회, 오직 부모인 나는 왜 불행한가? 사회적 유동성에 대한 지각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불안의 매개효과와 자아복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문경 ( Cha Moonkyung ),이희태 ( Lee Hee Tae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큰 현상 중 하나인 에듀푸어(edupoor) 현상을 불안감이 낳은 주요한 사회현상 중 하나로 파악하고, 그 선행요인과 결과변수들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tudy 1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서울지역 부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유력한 변수들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Study 2에서는 Study 1의 결과를 확장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외적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설문지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등, 중등,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이 고루 포함됨과 동시에, 고른 소득계층이 반영되도록 계층표집(stratified sampling)하였고, 응답에 있어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라인 조사를 통해 총 317명의 유효한 학부모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현재 우리사회의 사회적 유동성이 낮다고 지각한 응답자일수록 현재 삶에서의 낮은 행복감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유동성에 대한 지각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불안(교육불안, 저축불안)을 매개로 소비자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분석결과와 종합하여 보면, 교육 불안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교육비지출이 많았으며, 이는 불안감에 기반한 지출일 뿐 현재의 소비자행복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반면, 저축을 하지 못하는 응답자의 경우 소액이라도 저축을 하는 응답자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을 보고하였고, 저축의 여부 및 수준은 현재의 소비자행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부모들은 자신의 세대에서는 사회적 유동성이 매우 낮지만, 자녀 세대에는 사회적 유동성을 긍정적으로 기대하였는데, 이는 과도한 교육비지출의 원인을 보다 조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근거이다. 즉, 공정성이 낮은 사회에서의 불안감에 대한 소망적 대처행동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 유동성-소비자행복의 관계는 교육불안, 저축불안을 매개로 자아복합성이 조절효과를 지닌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닌다. 이는 소비자의 자아복합성이 부정적인 사회현실에서 불안감을 완충함으로써 소비자행복을 지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응답자들의 가계소득과 학력수준은 교육불안을 예측하지 못하였고, 가계소득은 저축불안을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 계층과 상관없이 교육에 대한 불안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도한 교육비지출 현상과 관련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들을 포착함으로써 소비자행동 분야 연구자와 실무자, 그리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사회특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사회불안 자체가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에 맞서 자신의 행복을 지키기 위한 개인의 대응전략으로서 자아복합성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셋째, 변수들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결합한 통합적 연구방법으로 주제에 접근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수의 측정에 있어서 다양한 측정을 활용함으로써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이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또한 논의하였다. Although consumers have shown huge amount of interests on happiness, Korean society is collectively suffering from various kinds of anxieties that are consistently undermining happiness. Especially, we focused on `edu-poor` phenomenon which is the outcome of a societal level anxiety. Despite its importance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is phenomenon and theory, we can find few consumer research on excessive educational expense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two studies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Study 1,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study 2, survey was performed with 317 respondents to extend the results of study1. Study 2 employed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to minimiz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obility perception affects positively consumer happiness. Respondents who reported low social mobility showed low level of happiness of life. Second, social mobility-happines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wo aspects of social anxiety: one is based on education, the other is based on savings. Consumers who perceived their society as immobile, they felt higher level of educational anxiety and the anxiety about low savings rate, thus, these anxieties undermine consumer happiness. Considering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es, we can conclude that educational expense is based on anxiety and don`t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whereas savings anxiety is based on low level of savings. Third, self-complexity moderates social mobility-happiness relationship through two types of social anxieties. Fourth, consumers expect future social status of their children much higher than their ten year after statu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expense as a `wishful coping behavior` against current anxiety. Fifth,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n educational anxiety, whereas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savings and decrease anxiety. This research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extended the results of past studies on consumer happiness by employing societal level factors; effects of social mobility and social anxiety. We also provided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nsumer behaviors that resulted in edu-poor phenomenon. This study suggested self-complexity as an individual strategy to enhance their happiness against social anxiety. Several methodological strength is also worth mentioning. We conducted two studies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doing so, we can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 a multilateral way. At the same time, we measured main factors such as social mobility and self-complexity with multiple measures to enhance internal validi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기업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과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민환(Lee, Min-HWan),이서진(Lee, Seojin Stacey)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을 통하여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에서 2년 주기로 조사·발표되고 있는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은 지속가능소비생활 실천과 소비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실천을 통하여 소비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영향력의 유무와 크기는 나이, 성별, 소비자교육 및 소비자참여활동 참여의사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여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교육 및 소비자참여활동 참여의사의 정도에 따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의 매개효과의 유무와 영향력의 방향성이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며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소비자의 역할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이를 지속가능소비와 연결시키고자하는 학문적 및 정책적 기여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on consumer life satisfaction. We hypothesize that bo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 life satisfaction via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2019 Korea Consumer Life Index」, which is investigated and published every two years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and consume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mediate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on consumer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cluding age, gender,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sum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activities moderates the observed effects. In particular, the presence and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ding and active consum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