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의 세대간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 만하임의 세대간 문제와 푸코의 세대간 주체 권력론을 중심으로 -

        양해림(Yang, Hae-rim)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21세기 우리 한국 사회가 노년 세대를 마주 보는 멸시와 혐오의 분위기는 보다 가중되었다. 또한 노인 세대의 정치적 결집은 지난 2016년 말 이후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더욱 심화시켜 왔다. 한국사회는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보다는 세대간 집단적 이해관계에 따라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것에 익숙해 왔다. 이런 점에서 한국 사회는 역사적 경험에 의해 비롯된 386세대와 같은 공통된 특성 ‘세대’를 중심으로 그 시대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에 다소 친숙해져 왔다. 왜냐하면 세대 갈등은 ‘내 집단’과 ‘타 집단’간의 구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세대간 갈라치기는 첨예한 세대간 권력관계를 암시하기도 한다. 또한 세대란 “연속적이면서도 동시에 불연속적인 시대의 변화”를 뜻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세대란 시대의 변화에 따르는 변곡점에 의해 세대 집단을 통해 드러낸다. 이런 측면에서 세대론은 한 시대의 표상을 드러내 주기도 한다. 그런데 세대론이 흥미로운 사실은 시대의 인식이 어떤 한 세대에 따라 각각 분절되면서 세대 간의 서로 다른 상대적 관계에 따라 점차 단절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칼 만하임의 세대 문제, 미셸 푸코가 주장했던 권력의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세대간 갈등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상호세대론 및 자기 세대와 타 세대의 관계를 고찰할 것이다. 또한 필자는 지금까지 세대 문제에 준거점이 되었던 세대 개념과 세대간 갈등들을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세대 개념과 세대간 갈등이 한국 사회에서 철학적 및 사회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atmosphere of contempt and hatred facing the elderly in our Korean society has become aggravated. In addition, the political unity of the older generation has intensified 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since the end of 2016. Korean society has become accustomed to explaining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the collective interests of generations rather than an atmosphere that respects individuality. In this regard, Korean society has become somewhat familiar with explaining the changes of that era by focusing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386 generation, stemming from historical experience. Generation also means “continuous and at the same time discontinuous changes in the times.” For example, the generation reveals the inflection poi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through the group called the generation. In this respect, generational theory also reveals the representation of an era. Because generational conflict presupposes a distinction between ‘my group’ and ‘other groups’, this divergence also suggests a sharp intergenerational power relationship. However, an interesting fact about generation theory is that as the perception of the times is segmented according to a certain generation, the perception of the times of each generation is gradually cut off according to the different rel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era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I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own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by understanding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gener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the discourse of power as argued by Karl Mannheim and Michel Foucault. In addition, I examine how the concept of generation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hich have been the basis for generational issues, can be applied to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is generational concept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세대 간 갈등 완화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석구(Seock Koo Yoon),정승언(Seung Eon Je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4 창조와 혁신 Vol.17 No.2

        조직 내 구성원의 세대 간 다양성으로 인하여 조직의 혁신을 저해하고 구성원 간 갈등이 심화되어감에 따라 조직은 세대 간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포용적 리더십을 제안하며 조직 신뢰가 포용적 리더십의 영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리더십이 세대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의 금융업 및 일반 사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는 온라인 응답 방식의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응답자 400명 중 불성실한 31개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6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 긍정 행동을 촉진시키고 조직 부정행동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직 신뢰는 포용적 리더십과 세대 간 갈등의 하위 요인인 세대 간 고정관념과의 관계에서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세대 간 갈등 요인의 하위 요인(긍정적 세대 간 영향, 세대 간 접촉, 세대 간 포용성) 3개는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구성원의 가치관이나 요구와 조직의 목표를 일치하도록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포용적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심층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구성원들이 조직을 신뢰하게 하기 위해서는 성과 기회의 평등한 제공, 공정한 방식의 보상과 같은 관리 방안을 비롯하여 포용적 리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조직의 최고 경영자와 고위 임원들의 노력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s intergenerational diversity of members within an organization hinder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onflicts among members intensify, i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explore strategic ways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is study proposes inclusive leadership as a way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ssumes that organizational trust can strengthen the impact of inclusive leader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a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financial industry and general office worke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response questionnaire, and out of a total of 400 respondents, 31 insincere data were excluded and the data from 369 people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clusive leadership was found to promot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reduce negative one. In addition, organizational trust was confirme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intergenerational stereotypes, which are sub-factor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sub-factors of the remai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factors (positive intergenerational influence, intergenerational contact, Liver inclusiveness) were confirmed to partially mediate. This suggests that the role of an inclusive leader is very important in aligning the values and needs of various members with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that an in-dept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needed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for members to trust the organization, management measures such as equal provision of performance opportunities and fair compensation, as well as efforts by the organization's CEO and senior executives to actively support inclusive leaders, must be support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

        이장익,이명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교직에 대한 기본적 가치관과 업무수행영역에 대한 세대별 상호인식도와 세대간 갈등에 대한 상호인식도를 분석하여 현직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 교관리방안의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조사연구는 경기도 남부지역 초등학교 33개교의 교원 7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연령 기 준에 의하여 베이비부머(41~50세), X세대(31-40세), 그리고 N세대(30세 이하)로 분류되어 문항 별 분석이 시도되었다. 조사결과 초등학교 교원은 교직 및 업무수행에 대한 기본적 가치관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N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높은 개인주의적, 성과주의적 경향성을 보여주 었다. 그러나 교직관 및 학교의 업무수행에 대한 가치관에 있어서 세대 간 차별성보다는 동 질성이 높게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인 업무수행영역에 대한 조사에서는 세대별 차이가 더 강하게 나타났는데 업무 처리 방식 등 12개 문항에서 8개의 세대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어서 동일 문항에 대한 세대간 상호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베이비부머와 X세대는 각기 다른 두 세대를 변별적으 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N세대는 베이비부머와 X세대를 동일시하고 있는 경향성을 보여주었 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원이 인식하는 세대 간 갈등에 대한 조사결과는 대체로 교원 집단내 세대갈등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내 갈등요인에 대한 인식도 또한 세대 간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갈등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은 세대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N세대가 베 이비부머 및 X세대보다 적극적 투쟁방안을 높게 선택하고 있는 반면 베이비부머 세대는 X세대 및 N세대에 비교하여 수용적 갈등대응방안을 더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지크프리트 렌츠의 작품에 나타난 세대갈등과 화해 : 아버지와 자식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동조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Ziel dieser Arbeit ist es, anhand Werken von Siegfried Lenz die Konfliktsbewältigung zwischen Vätern und Kindern zu untersuchen. Das Verhältnis zwischen den beiden Generationen in den Werken vor Deutschstunde erhält bei Lenz ein Gewicht. Das Problem, mit dem Lenz sich beschäftigt, nämlich der Generationskonflikt zwischen Vätern und Kindern, ist bezeichnend für die Generation, die das Nazi-Regime erlebte und die Erfahrung dieser Zeit literarisch umsetzte. In der Behandlung der Generationsbeziehungen finden wir Lenz’s Stellungnahme zur Zeit und den deutlichsten Ausdruck seiner ambivalenten Beziehung zur eigenen Geschichte. Den Generationsunterschied, mit dem er sich beschäftigt, verschärft Lenz teils, überbrückt teils. Im Werk von Lenz stehen neben krasser Ablehnung der Älteren immer erneute Ansätze zur Überwindung der Kluft zwischen den beiden Generationen. Diese Bemühungen zeigen sich in der Vatersuche, die sowohl als Darstellung und Verurteilung negativer Vatergestalten wie auch in der Schaffung von Vorbildern(oder Wunschbildern) und vorbildlichen Beziehungen ihren Ausdruck findet. Durch diese vorbildliche Vatersuche sucht Lenz über den Generationskonflikt hinwegzukommen. Hinter den Werken verbirgt sich sein Streben, die Geister der deutschen Vergangenheit zu bannen und zu einem neuen Anfang beizutragen, der auf individueller Freiheit, auf Ehrlichkeit mit sich selbst und anderen und auf menschlichem Mitgefühl beruht. Er versucht, Brücken zu schlagen - nicht zu den Ideen und Idealen der Vergangenheit, nicht zur Geschichtstradition, wohl aber zu menschlichen Vorbildern, an denen eine unsichere, zwischen Haltlosigkeit und Hoffnung schwankende Jugend Halt finden könnte 렌츠는 제3제국의 경험을 공유한 다른 전후독일 작가들과 공통점도 있으나 본질적으로 이들과 다른 입장을 가졌다. 그는 자신의 문학적 목적을 위해 선동하거나 분개하여 일어서지 않았으며 조용히 자신의 근심을 암시하는 서술방식을 취한다. 이렇듯 그는 도발적 창작방식을 선호하지 않으며 조용히 진실을 추구하는 작가이기 때문에 독자를 거칠게 다루지 않으며 독자와 자신이 서로 공모하는 관계임을 인식시킨다. 즉 분명히 그는 참여작가에 속하지만 투쟁적인 작가는 아니며 작가의 유화적인 참여를 옹호하면서 자신의 작품이 동시대의 사회비판적이고 도덕비판적인 갈등들과 연관되기를 원했다. 렌츠에게는 글을 쓰는 행위가 일종의 ‘교육적인’ 준비과정이었기 때문에 그에게는 정치적 내용이 도덕적, 개인적 범주로 전이되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현황을 보면 한국에서는 80년대 중반부터 시작해서 그의 창작 후반기 대표작 독일어 시간을 중심으로 한 논문들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렌츠의 창작 전반기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동안 그의 소설에서 빈번하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어 시간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독일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 간의 갈등과 화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장편소설 그림자와의 대결(1953), 강 속의 남자(1957)와 1958년의 단편소설집 조롱받는 사냥꾼과 1959년 작품 등대선이실린 단편소설 전집(1970)을 중심자료로 삼는다. 앞서 기술했듯이 렌츠는 글쓰기를 하나의 교육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보고 그러한 교육적 행위를 통해 독자의 고정관념 등을 점차 약화시키려 했다. 본고에서도 그가 부자간의 불화의 문제를 이런 교육적이고 암시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자발적으로 작가의 역할을 선택한 작가는 자신의 사적인 요구를 넘어서는 책임의식을 지녀야 한다는 인식하에 당시 전후 사회에서 나찌 역사에 책임이 있음에도 독일의 과거청산을 지체해 왔던 아버지 세대에 대한 자식 세대의 비판을 작품 내에 수용하고 있다. 물론 이때 앞서 지적한 것처럼 과격하고 자극적인 묘사가 아니라 조용히 암시하는 이야기 진행방식을 취한다. 아마도 이런 온화한 글쓰기 방식이 치욕적인 독일의 과거사에 대한 직설적 언급을 꺼리는 전후독일의 부모 세대에게 렌츠의 작품들을 좀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했는지도 모른다. 연구자료로 삼은 작품들을 보면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초반부에는 자식의 아버지 세대에 대한 경멸, 적개심 등이 서술되다가 결말부로 향하면서 갈등관계가 점차 해소되거나 ‘모범적인 아버지 상’의 추구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장편소설 그림자와의 대결에서는 작가가 세대 간의 대결구도를 어떻게 수용하기 시작하는가를 보여준다. 그이후 출판된 작품들에서도 이러한 주제가 약간씩의 입장변화를 보이면서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자와의 대결에서는 ‘아버지와 과거의 죄’의 대결보다 ‘아버지와 딸의 대결’이 더 강력하게 기술되고 있는데 렌츠가 세대 간의 대결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독일을 제2차 세계대전의 수렁으로 내몰았던 아버지 세대는 부정적 측면을 대변하는 인물이고 유럽에서 보다 나은 미래를 추구하는 딸은 독일 전후 세대를 상징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독일의 과거의 유령을 몰아내고 진실성과 인간적 공감을 토대로 독일의 새로운 출발에 기여하려는 시도도 나타난다. 이렇게 세대 간의 소통 없이 막혀있던 갈등이 분출된 후 이후의 작품들에서는 세대 간의 공감과 상호이해가 지배적인 현상이 된다. 강 속의 남자에서는 아버지에 대한 이해심이 많은 아들의 모티브가 확대된다. 특히 등대선에서는 아버지의 인내와 희생을 통해서 결실을 맺게 되는 부자간의 상호신뢰 관계가 만들어 진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독일어 시간 이전에 나온 작품들에서 아버지와 자식 관계는 상당한 무게를 지닌다. 렌츠는 세대 간의 관계를 다룰 때 자신이 속한 시대에 대한 명백한 입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때로는 좀 더 갈등을 깊게 묘사하고 때로는 그러한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그의 작품에는 아버지 세대의 자녀 세대에 대한 거부가 표현되기도 하지만 항상 두 세대 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들이 서술되고 있다. 렌츠의 이러한 노력은 부정적인 아버지 상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그런 부정적 판단 뿐만 아니라 자식 세대에게 모범이 되는, 자녀들이 소망하는 ‘아버지 상’ 찾기로 나타나고 있다. 렌츠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세대 간의 가교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그것은 과거의 이념과 이상들을 향한 다리가 아니며 역사와 전통을 위한 다리도 아니며 토대가 없어서 불안정한 상태와 희망 사이에서 부유하고 있는 자식 세대에게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는, 모범적 상이 될 수 있는 다리를 놓아 주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박근혜 정부의 ‘다원적 두 국민 전략’과 세대갈등

        조현연(Cho, Hyun-Yun),김정석(Kim, Cheong-Seok)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0

        2016년 현재 박근혜 정부가 야심차게 내건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비전과 5대 국정목표는 실패의 징후를 확연히 보이고 있다. 국민화합과 사회통합보다는 오히려 긴장과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또 오늘을 살아가는 대다수 국민은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특히 기득권 체제의 안과 밖을 가르는 경계선이 사회의 모든 층위에서 국가를 ‘두 국민’으로 분할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는 대단히 심각하다. 이 논문은 ‘세대갈등’에 주목해서 박근혜 정부의 ‘다원적 두 국민 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그 이유는 세대문제가 한국 사회의 주요한 화두 가운데 하나이고, 세대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정부 차원에서 세대갈등을 부추기면서 세대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세대 간 갈등’의 문제에만 주목, 세대문제를 ‘세대 내 갈등’이 배제된 왜곡된 프레임에 가둠으로써 그 해법을 찾는 것을 방해하고 있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국 대처 정부의 ‘두 국민’ 전략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먼저 살펴본 뒤, 박근혜 정부의 ‘두 국민’ 통치의 민낯을 드러내준 세대 간 갈등조장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가 주목하고 있는 이슈는 ‘공무원 연금’ 논란과 ‘임금피크제와 세대 간 일자리’ 논란이다. 세대갈등 완화를 위해 우리는 ①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전환의 필요성과 ② 정책 차원의 해법을 모색한 뒤, 결론적으로 ③ 대의민주주의 체제하에서 사회 갈등 완화를 위한 정당과 정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Park Geun-hye government’s national vision ‘A new era of national happiness, hope’ and five national goals have shown signs of failure in 2016. Instead of enhancing national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ere are mounting tension and conflict along the member of our society. In addition, majority of Korean do not enjoy happy lives. Furthermore, we face more serious problems since class polarization has been intensified in every part of our society. This paper examines Park Geun-hye’s two nation strategy, especially focusing on generation conflict. Generation conflict is one of the hottest issue in South Korea, and we will not have a bright future without solving this conflict. Unfortunately, generation conflict has become worse since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was inaugurated. Even worse, generation conflict has been approached by only focusing on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onflict within generation, so it is not easy to find suitable solutions to this problem. This paper investigates key details and outcomes of ‘two nation strategy’ of Tatcher’s administration in England. After that, we will examine how Park Geun-hye government’s two nation strategy aggravates generation conflict. To do this, we focus on issues of basic pension-public pension and salary peak. Lastly, to reduce generation conflict, we provide following suggestions: 1) need to change in viewpoint, 2) seek solutions on a policy level, and 3) emphasize the role of party and politics under democracy.

      • KCI등재

        세대 간 정의의 헌법 규범화 방안

        장철준(Cheoljoon Chang) 미국헌법학회 2015 美國憲法硏究 Vol.26 No.3

        그간 국내 헌법학 차원에서 논의는 있었으나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였던 세대 간 정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재구성하고 그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 법제도를 설계한 글이다. 세대간 정의란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세대들 사이의 공평한 자원 분배에 주목하는 배분적 정의의 문제에 속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세대 간 정의의 이론을 정리하고 이를 제도로서 구체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론 측면에서는 세대 간 정의의 철학적 기초를 분석하였다. 그 전제 위에서 세대 간 정의의 헌법적 개념을 정립하고, 세대 간 정의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확립하는 해석론과 입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대 간 정의를 헌법적 권리로서 재구성할 가능성과 조건을 구상하였다. 각각의 세부 주제에서 세대 간 정의의 제도적 실현방안을 설계하고, 현재 우리의 헌법적 지형에 맞는 헌법 규정을 직접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세대 간 정의가 헌법적 이념과 기본권적 구조로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화의 방향으로 더욱 발전하도록 논의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미래세대를 위한 쾌적한 환경, 즉 현 세대의 무분별한 환경 개발을 제한하는 근거로서의 생태권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미래세대가 최소한의 생태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재정적 차원의 담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세대간 정의 이념과 미래세대의 생태권에 관한 개념이 정립되고 헌법의 규정이 제정되며, 이를 근거로 생태권의 실천적 효력을 담보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위원회 등의 제도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tergenerational Justice has been dealt with by the constitutional academia so far, but we could not find a conspicuous leap in Korea. This article tries to theoretically restructure this issue and design a practical framework to discuss. Intergenerational justice is a sort of redistribution of wealth between the generations living in different timeline. In this circumstance,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the intergenerational justice theories and concretize them into a norm. In theoretical layer, it focuses upon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intergenerational justice. Based on them, this article builds up a structure for reconstruction of its constitutional concept and suggests interpretive methods and legislative alterna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we need to understand intergenerational justice in terms of constitutional rights. Most of all, this article provided a realistic model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intergenerational justice. The right of ecological life is a useful leverage for this purpose. Clean environment for the future generation and regulations on unjustified development were the main themes of this practice. Fiscal sustainability was also suggested for it. Based on this study, the writer hopes that further discussion will be made from every field of study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 KCI등재

        일반 : 재미 한인 사회 세대 간의 문화적 갈등과 선교적 케어

        구성모 ( Seong Mo Ku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5 No.-

        본고의 목적은 재미 한인사회 세대 간의 문화 적응의 차이로 인한 갈등의 원인과 선교적 케어를 통한 해결 방안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민자 가족과 교회에 관련한 1세대와 2세대 한국계 미국인 세대 간의 문화적 갈등과 2세대들의 문화적 갈등에 대한 대응을 살피고, 재미 한인들이 문화적응의 과정에서 문화 적응과 미주 이민자 사회의 중심인 종교 참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세대 간의 조화로운 관계로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이민 1세대는 미국에서 태어난 자녀들과 문화적 갈등이 크다. 그것은 문화의 적응 속도가 서로 다르고 한국 문화와 미국 문화의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대 간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면 같은 피부, 같은 가정, 같은 교회이면서도 서로가 이방인으로 살게 된다. 그러므로 이민 사회에 많은 과제가 있겠지만 세대 간의 문화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우선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세대와 2세대가 세대 간의 갈등을 넘어 상생하기 위한 선교적 케어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부모가 언어능력과 타문화의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배움이 필요하다. 둘째, 세대 간의 공유할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독교의 가치관으로 전통적 가치관을 강화시키는 것 보다 이민교회 지도자들이 전통적 가치관을 넘어 성서를 재해석하여 기독교의 가르침과 일치하는 가치관을 두 세대에게 가르쳐 세대 간의 간격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는 1세대와 2세대가 세대 간의 간격을 줄이는 목회 구조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민 2세대들이 가진 문화적 적응과 언어, 네트워크의 장점을 활용할수 있는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나눔의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inter-generational cultural conf lict in the American family and church context. I will examine how the second-generation are reacting to the cultural conflict and make propositions for how the two generations can peacefully interact. The inter-generational cultural conf lict at home arises from the contradiction of Korean culture, which revolves around collectivism and Confucianism, and the individualistic culture of America. Other reasons can include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parent and child as most Korean parents lack English proficiency, and the parents’ emphasis on education which can become a major cause for stress and pressure for children. At church,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ppears from the first generation’s traditional values that may be contrary to the Bible teachings given to children. Without communicative channels to clearly voice their concerns, the second generation clash with the first. The second generation’s response to the inter-generational cultural conflict mainly lies in the action of leaving the immigrant church and joining another church with less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s a result, the Korean ethnic churches divide into two separate bodies according to the language they speak. Also, the second-generation tends to turn to evangelical Christian movements that engage with the world and move beyond ethnic borders. This can be seen as a move to de-emphasize cultural or racial differences and place importance on the shared Christian identity. For the two generations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it is crucial that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re set up for children to learn their parent’s culture and language. However, because cultural conflicts are still prone to occur, I propose the steps in missional care: educate parents to develop effective parenting skills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skills, reinterpret traditional values through Christian teaching to reach a middle ground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finally, allow second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the church to create a shared culture between the two generations.

      • KCI등재

        세대 간 갈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강수진,김주경 한국공공관리학회 202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7 No.3

        최근 한국사회는 급속한 고령화 현상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코로나 19 라는 예기치 못한 현상을 경험하며 복합적인 사회문제를 양산했다. 개인의 영역에서부터 국가의 영역까지 사회문제를 둘러싼 해결 방안에 대하여 세대 간 입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도민들을 대상으로 세대 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활용하였다.연구모형으로는 독립변수로 ‘사회적요인’, ‘사회신뢰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치적 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세대 간 갈등 인식’을 설정하고 다중회귀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세대 간 갈등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경제적 요인이 세대 간 갈등 인식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신뢰 요인은 세대 간 갈등 인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함께토론하기 위한 공론의 장을 많이 만들어야 할 것이며, 청년들의 취업난을 해소하기 위한 시효성 있는 정책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al history over the past century, As a result, while achieving highly compressed economic growth, social conflicts related to ‘inequality’ and ‘fairness’ occurred. In the process, various generations emer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hesion of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values, lifestyle, and interests, social problems were naturally resolved, or they appeared intensified as social conflicts. In addition, Korean society has recently experienced an unexpected phenomenon called Corona 19 without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rapid aging, and has produced complex social problems.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generations on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from the individual domain to the national domain was clearly revealed. This movement will intensify into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ct as an element that hinders social integration. As such,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for the second time an era in which the industrial structure, national view, and individual values are rapidly changing, experiencing not only social problems hidden behind remarkable growth, but also recent demographic change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at Korean society is facing, It aims to remind people that they are a 'common destiny' that must wisely deal with today's 'delay in growth', even if several generations, from the older generation to the MZ generation, have different interests.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500 Jeju residents were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the research model, ‘social factors’, ‘social trust factors’, ‘econom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wareness’ was set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mong them, economic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t was found that social trust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Based on findings, we make policy suggestions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최유석(Youseok Choi)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2014년 전국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세대간 연대의식의 정도는 어떠한지, 연령대별 세대간 연대의식의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세대간 연대의식은 1) 청년세대와 노인세대와의 갈등, 2) 노인복지정책, 3) 노인의 기여에 대한 인식 등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세대의 정치적 영향력 감소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노인세대도 청년세대의 문제에 대해 일부 공감하는 태도를 보였다. 노인복지 예산지출, 청년세대 증세와 관련하여 30대와 60, 70세대 간에 의견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모든 세대가 봉사활동, 가족돌봄 활동을 통한 노인의 기여를 전반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회귀분석결과, 효의식이 세대간 연대의식의 변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과 사회적 신뢰의식은 주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기여에 대한 평가에서 세대간 연대의식과 관련을 맺었다. 한국사회의 낮은 수준의 세대갈등은 효의식, 부모와의 친밀감 등 가족주의적 연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연대의식에 관한 전망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Using national survey on 1,214 adults,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etween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 Korea. It analyzes the level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y age groups and identifies factors associated with variations i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y age groups. Perceptions o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re examined in three areas: 1) generational conflict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2)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3) elderly people’s contributions to society. Results show that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s not higher than expected. While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area of politics such as elections, older generations are compassionated with younger generations’ concerns on job opportunities. Both generations highly evaluate the elderly’s contributions on family and society. However, both generations show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n opinions on welfare expenditures and tax policies for supporting the elderly.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filial piety and intimacy with parents are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s i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three areas. Trust on society and political ideology are related to perceptions on the elderly’s contributions o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agenda 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Korea.

      • KCI등재

        교원 간 세대갈등에 대한 초등교원 인식 분석

        문영진,김지선,윤소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교직사회 내 세대갈등에 주목하여 교원 간 세대갈등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인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X세대 및 M세대 교원이 세대갈등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 내에서 보직을 수행하는 중추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주로 행정업무 및 복무에서 세대갈등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교실이라는 공간을 넘어 동료교원들과의 만남과 대화가 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이었다. 둘째, 세대갈등 원인에서는 전반적으로 교사 개인의 특성, 교직관의 차이가 주로 언급되었는데, 고연령 세대일수록 교사 개인의 차원으로, 저연령 세대일수록 학교구조 및 문화의 차원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셋째, 교원들은 세대갈등이 발생하였을 때 ‘조용히 참고 넘어가기’ 방식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주목할만한 점은 베이비부머세대의 경우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방식이 가장 많은 반면, 이외 세대 교원은 주로 ‘조용히 참고 넘어가기’ 방식을 가장 많이 택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교원 간 세대갈등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직사회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제고하고, 민주적이고 협력적인 학교문화 형성 및 교원정책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teachers by paying attention to generational conflicts in a teaching society where various generations coexi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Generation X and M teachers experienced a lot of generational conflicts because they were in a pivotal position to perform headteachers in school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generational conflicts, mainly in administrative work and service, because both are areas that requires meeting and conversation with fellow teachers beyond the space of classrooms. Second,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views were mainly mentioned in the causes of generational conflict, with the older generation looking at the individual level of teachers and the younger generation looking at the school structure and culture level. Third, teachers most often used the ‘quietly bear with it’ method when generational conflicts occurred.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case of the baby boomers, the most common method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was taken, while other generations of teachers mainly chose the ‘quietly bear with it.’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society, and have great implications for forming a democratic and cooperative school culture and establishing teacher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