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추, 백거(白거), 와거(窩거)의 품성과 효능에 대한 고문헌연구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4 농업사연구 Vol.13 No.2

        이상과 같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현존하는 동아시아 문헌 중 상추에 대한 최고의 기록은 맹선(孟詵, 621∼713)의 백거(白거)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말기이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 다. 현재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문헌 가운데 상추에 대한 최고의 이두문자기록은 「鄕藥 救急方」 (1236)으로 “紫夫豆(부두 = 紫거)” “紫夫豆菜(부두 )”로 표기되었다. 이후 조선중기까지 <부루> <부로> <阜蘆> 등의 표기로 되었고, 조선중기부터 날로[生] 먹으 면 좋은 채소[菜]라는 뜻의 생채(生菜)에서 유래된 <상 샹츼 상취 치 샹취 상샹치 상치>와 서로 혼용하여 사용되었고, 점차 <상추>라는 단어만 사용하게 되었다. (2) 「鄕藥集成方」 (1433)이 인조 11년(1633) 중간(重刊)되면서 백거(白거)의 향명(鄕名) 으로 “斜羅夫老”가 두주(頭註)로 삽입되었는데, 이는 상추를 의미하는 “부로”일 가능성도 있으나 고채(苦菜) 또는 곡곡채(曲曲菜)를 의미하는 사라부로(斜羅夫老)일 가능성이 크다. (3) 고려의 생채(生菜)에 밥을 싸 먹는 상추쌈 문화가 고려에서 원(元)나라 황실로 전 파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한치윤(韓致奫, 1765∼1814)은 상추가 고려국(高麗國)에서 중국으로 전래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이는 “와국(괘國) → 고국(高國) → 고려국(高麗 國)”으로 잘못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4) 차가운 성질의 상추를 금(金)기운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적상추보다 백상추가 더 차가운 것으로 이해하였다. 무더운 여름에 저온 처리하면 상추씨가 휴면타파되어 발아 율이 높아지는 것은 차가운 성질의 상추씨에 인위적으로 서늘한 기운을 주는 기전으로 이해된다. (5) 상추와 뱀은 서로 상극이다. 염분을 섭취하기 위해 장독대에 잘 나타나는 뱀을 막기 위해 방어벽의 개념으로 예전에는 장독대 근처에 상추를 심었다. (6) 상추가 처음 도입되었을 당시 백거(白거)의 효능이 주로 설명되었으나 후대에 오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와거(窩거)가 주로 설명되고, 중국에서는 백거(白거)와 와거(窩거) 가 각각의 조문으로 설명되었다. 초기의 백거(白거)에 대한 효능이 후대에는 와거(窩거) 의 효능으로 인식하였다. (7) 사상의학에서는 소양인이 대변불통(大便不通)으로 열(熱)이 울체(鬱滯)되어 가슴 이 답답해지면서 뜨거워지는 흉격열증(胸膈熱症)이나 화병(火病, 鬱火病)이 나타나면 상추를 식이요법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몸이 차서 설사를 자주하는 소음인의 경우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오히려 냉병(冷病)에 걸리기 쉬우니 조심하여야 한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below. (1) The oldest existing record about lettuce is Paekgeo(白거) by Maengseon(孟詵, 621∼ 713) and it is assumed to be introduced before the late epoch of three Kingdoms. Currently, the oldest existing documents in Chinese characters are Hangyakgugeupbang(鄕藥救急方, 1236) and it was written as “Jabudu(紫夫豆, 부두 = 紫거)”, “Jabudunamal(紫夫豆菜, 부두 )”. Up till in the mid-Joseon peroid, it was written as <Buru>, <Buro> and <阜蘆>. In the mid-Joseon period, <Sangchae, Sangchae, Shangchui(샹츼), Sangchui(상취), Saengchi(치), Shangchui(샹취), Shangchuui(상), Shaengchuui(ㅅㆎㅇㅊㆌ), Shangchi(샹치), Sangchi(상치)>, which came from Shaengchae meaning the raw vegetables eaten, were used mixed and gradually only the word, “Sangchu” is getting to be used. (2) As Hyangyakjibseongbang(鄕藥集成方, 1433) was reissued in 1633, Sarabuno as the private name of Paekgeo was inserted. It might be “buro” meaning lettuce, however, more possibly should be “Sarabuno” meaning Gochae(苦菜) or Gokgokchae(曲曲菜). (3) It is certain that the custom that eating rice wrapped with raw vegetables was originated from Goryeo to the Mongol empire family. But Han, ChiYoon(韓致奫, 1765∼1814) argued that lettuce came from China to Goryeo, which could be caused by misunderstanding of “Waguk(괘國) → Goguk(高國) → Goryeokuk(高麗國)”. (4) As regarding the temperament of cold as gold Qi, white lettuce is colder than red lettuce. In hot summer, as the seeds of lettuce are treated with low temperature, the seeds are broken from rest and germination percent is increasing. This is assumed that the cold temperament of seeds is affected by the artificial cold Qi. (5) Lettuce is incompatible with snake. Lettuces are planted around where crocks and pots are in order to make the snakes which try to intake the salt turn away. (6) When lettuce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effcets of Paekgeo was mainly focused. As time goes by, Wageo(窩거) was explained more and both Paekgeo and Wageo are explained with each provison in China. The effects of Paekgeo in early days are getting to be understood as Wageo. (7)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f Soyang-in suffers from constipation and gets fever in their heart or become sick with hwa-byung(火病, 鬱火病), lettuce is used as a diet therapy depending on Sasang Constitution. However, if Soeum-in whose body is cold and often has diarrhea, eating lettuce too much can cause Naeng-byung(冷病).

      • KCI등재

        상추에 대한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고찰(考察) -백거, 와거, 고거, 고채(苦菜)를 중심으로-

        김종덕,고병희,Kim, Jong-dug,Koh, Byung-hee 사상체질의학회 1999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1 No.2

        1. 연구 목적 양생(養生)을 중시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에 있어서 체질식이요법은 체질진단, 약물치료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하지만 체질별 식이요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자들간에 체질음식에 대한 이견(異見)으로 인하여 혼란이 있어왔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식품 각각에 대한 역사적 유래, 특성, 효능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사상체질 식이요법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고려 때 상추쌈 문화를 원(元)나라에 전파시켰던 우리 나라에서 상추는 꼭 필요한 야채 중의 하나로 채소의 대장이라 할 수 있다. 상추는 백거, 와거, 고거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사실상 같은 식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거는 고채(苦菜)의 이명(異名)으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용어의 혼란이 있어왔다. 또한 고채(苦菜)가 어느 식물을 지칭하는 지에 대하여서도 논란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상추와 고채(苦菜)를 같이 고찰하였다. 2. 연구 방법 본초서(本草書) 뿐만 아니라 농서(農書), 유서(類書), 개인문집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1) 인조(仁祖) 11년(1633)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이 중간(重刊)되면서 백거의 두주(頭註)로 붙여진 사나부노(斜羅夫老)는 와거(부로)일 가능성도 있으나, 곡곡채(曲曲菜)인 사데풀(S brachyotus A.P. DC.)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백거의 향명(鄕名)으로 사나부노(斜羅夫老)가 쓰여진 것은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2) 상추는 생채(生菜)에서 나온 단어로 '자부두(紫夫豆) ${\rightarrow}$ 부루, 부로, 부로(阜蘆) ${\rightarrow}$생채(生菜)(상채, 상취, 상춰, 상치) ${\rightarrow}$ 상치 ${\rightarrow}$상추'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상추가 되었다. (3) 상추가 고려국(高麗國)에서 중국으로 갔다는 것은 괘를 고(高)로 잘못 쓰는 바람에 나타난 오류이다. (4) 한성(寒性)이 있는 상추를 금(金)기운으로 보았기 때문에 적상추보다 백상추가 좋으며 가을에 먹으면 좋다고 본 것이다. (5) 상추가 도입된 이후 고거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1500년대 말(末) 이후 우리 나라에서는 와거 만을, 중국에서는 백거와 와거를 각각 설명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와거는 이전(以前) 의서(醫書)에 나오는 백거의 효능설명과 일치하고 있다. (6) 상추는 소양인의 갈 흉격열증(胸膈熱症)에 응용될 수 있는 식품이다. (7) 시골집 장독대 옆에 상추밭을 조성하는 까닭은 염분이 필요한 뱀의 접근을 막고자 한 것으로 매우 합리적이다. (8) 무더운 여름에 상추파종시 저온처리를 통하여 휴면타파가 가능하다. 이는 한성(寒性)이 있는 상추에 인위적으로 서늘한 기운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9) 의서(醫書)와 농서(農書)에서는 고채(苦菜)를 고들빼기, 유서(類書)에서는 씀바귀로 번역하고 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의 고채(苦菜)의 효능은 "증류본초(證類本草)"의 고거와 고채(苦菜)를 합하여 설명하고 있다. In the medical science of 'Sa-sang', a constitutional examination(diagnosis) and a medical treatment are important, however a dietary cure i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at the medical prevention and treatment. But there has been a confusion due to the different view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 foods in between scholars. There it is necessary for us to bring up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 dietary cure by menas of the bibliographical study in relation to a historic, characteristics, efficiency of the major foods.

      • KCI등재

        유기농 상추 재배를 위한 온탕침지와 석회유황합제의 종자소독 효과

        김민정,심창기,고병구,김주,박종호,윤지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탕침지와 pH교정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상추 유기종자의 곰팡이와 세균의 소독효과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상추종자에 Alternaria sp.가 53.3% 감염되어 있었고 Aspergillus sp.와 Cladosporium sp.은 각각 14.5%와 5.4% 감염되어 있었다. 세균은 형태적으로 Pseudomonas sp., 한 종만 분리되었으며 16.5%가 감염되어 있었다. 상추종자 소독에 효과적인 온탕침지조건을 탐색하고자 온탕의 온도조건(45℃, 50℃, 55℃, 60℃)에 따른 소독효과를 조사하였다. 온탕침지 온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증가하였으나 종자의 발아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온탕침지 단독처리는 50℃ 온탕에서 20분간 처리할 경우 상추종자의 살균효과와 발아율이 각각 91.1%로 가장 우수하였다. 상추종자 소독을 위한 온탕침지와 pH교정석회유황합제 교호처리는 50℃의 온탕침지 조건에서는 10분간 처리하는 것이 상추종자의 살균효과와 발아율이 각각 100%와 97.6%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종자 표면뿐만 아니라 종자내의 곰팡이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t water treatment and pH corrected lime sulfur combination treatment on the fungicidal and bacterial disinfection effects and germination rate of organic lettuce seeds. Among the followers, Alternaria sp. was infected 53.3% and Aspergillus sp. and Cladosporium sp. Infected 14.5% and 5.4%, respectively. Bacteria were isolated only Pseudomonas sp., and infected with 16.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45℃, 50℃, 55℃ and 60℃). The seed germination rate sharp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The germination effect and germination rate of the follower were highest when hot water treatment was carried out for 20 minutes in hot water at 50℃. In the case of combined treatment of 50℃ hot water for 10 min and 0.4% pH adjusted lime sulfur mixture, showed the highest sterilization effect and germination rate with 100% and 97.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sterilize not only seed surface but also fungi and bacteria inside of seed.

      • 밀폐형 식물공장에서 생육조건에 따른 상추의 생장특성

        신윤식 ( Yun-sik Shin ),원진호 ( Jin-ho Won ),조병효 ( Byeong-hyo Cho ),강태환 ( Tae-hwan Kang ),한충수 ( Chung-su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식물공장시스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과 생장환경조성에 사용되는 에너지 등의 이유로 초기 투자비용이 유리온실 등 다른 유형의 원예시설보다 높은 시설비로 경제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절감을 통한 물가상승을 막고, 적은 비용으로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생산성 증대를 위해 밀폐형 식물공장에서 음이온 방사 및 환원수 처리에 따른 상추의 생장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재료는 적치마상추를 사용하였고, 암면에 파종하여 밀폐형 식물공장에서 2주간 육묘 한 후, 베드에 정식하여 4주간 재배하였다. 밀폐형 식물공장의 재배 온도는 20±2°C로 설정하였고, 광원은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량과 광주기는 각각 200±30 μmol/㎡/s, 16/8 h (명/암)으로 설정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1,000±200 ppm으로 유지하였고, 양액은 상추전용양액으로 제조(pH: 5.5~6.5; EC: 1.8±0.2 dS·m<sup>-1</sup>), 박막수경재배 방식으로 공급하였다. 음이온은 상향, 하향에서 방사하였으며, 환원수는 고압의 환원기를 통과한 양액을 상추에 공급하였다. 상추의 생장특성은 정식 후 3, 4주차에 측정하였으며, 상추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 SPAD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이온 하향 처리에서 재배한 상추의 잎이 대조구의 잎보다 14% 더 길고, 31.8% 더 넓었다.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 또한 음이온 처리에서 재배한 상추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SPAD 값은 모든 조건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수로 재배한 상추의 경우에는 모든 생장특성이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채소류의 잔유물과 추출물이 오이와 토마토의 발아 및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박권우(Kuen Woo Park),이정훈(Jeong Hun Lee),김민제(Min-Jea Kim),원재희(Jae Hee W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3 No.4

        오이와 토마토의 발아에 미치는 전작물 잔유물(양배추, 무, 파, 상추)의 효과를 포트에서 시험하였다. 그 결과 파가 발아를 가장 억제 시켰으며 무, 양배추, 상추의 순이었다. 다만 오이의 경우 상추는 발아를 억제시키지 않았다. 채소잔유물의 오이, 토마토의 발아억제는 약 20일간 지속되었고 그 후에는 오히려 생육을 촉진시켰다. 촉진은 억제의 반대 순서로 파, 무, 양배추, 상추의 순이었다. 양배추, 무, 파, 상추의 추출물을 5, 10, 17, 23, 35, 50, 65%로 희석하여 오이와 토마토의 발아와 유근 신장에 미치는 시험을 실시한 바 저농도인 5, 10, 17, 23%에서는 모든 처리가 오이의 발아를 억제하지 않았다. 상추의 35, 50, 65% 처리구에서는 오이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잎파는 65% 처리구에서만 오이의 발아억제현상이 보였다. 오이의 유근 신장은 다만 잎파의 경우에 저농도인 17, 23%에서 억제적이었다. 고농도에서는 양배추, 무 추출액 35%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이의 유근 신장을 억제하였다. 토마토는 저농도에서는 상추만 제외하고 억제현상이 없었으나 고농도인 35, 50, 65%에서는 발아억제 현상이 뚜렷하였다. 50% 이상 구에서는 오이와 달리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유근의 신장은 토마토의 경우 파와 상추 추출물이 23%이상에서는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채소류의 추출물도 오이보다 토마토의 발아 억제를 심하게 하고 고농도에서는 유근의 신장을 억제하였다. Effects of cucumber and tomato seed germination by previous leaf and root vegetables (cabbage, radish, welsh onion, lettuce) residue in soil were tested in pot condition. Overall, suppression effect of welsh onion residue was the greatest in 4 tested crop residue and followed by radish, cabbage and lettuce, but lettuce residue didn't have effect on cucumber seed germination. Suppression were maintained ca. 20 days but after the time point,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were enhanced. Enhancing effect of welsh onion residue was the greatest in 4 tested crops residues and followed by radish, cabbage and lettuce. As a conclusion, residue of welsh onion, radish and cabbage were suppressed the germination of cucumber and tomato seeds but enhanced growth after 20 days of treatment. To verify 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residue on suppression of germination and growth of radicle of cucumber and tomato, plant extract of welsh onion, radish, cabbage and lettuce were diluted as 5, 10, 17, 23, 35, 50, and 65%, and then tested. In low concentration treatment, 5, 10, 17, and 23%, all 4 crop extracts didn't suppress cucumber seed germination. High concentration of lettuce extract, 35, 50, and 65%, cucumber seed didn't germinate at all. In case of welsh onion extract, only 65% treatment suppressed cucumber seed germination. In low concentration treatment, 17, and 23%, only the welsh onion extract suppressed young radicle. In case of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except 35%, all four crops extract suppressed cucumber radicle growth. In low concentration treatment, tomato seed germination was suppressed by lettuce extract only but in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35, 50, and 65%, all extracts suppressed germination. Especially higher than 50% treatment, tomato seed didn't germinate at all. Radicle growth was highly suppressed in welsh onion and lettuce extract, higher than 23% concentration. As conclusion, leaf and root vegetable extracts suppressed cucumber and tomato seed germination and in high concentration, also suppressed radicle growth.

      • KCI등재

        컨테이너 식물공장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광원별 엽채류의 생장특성

        엄영철(Yeong-Cheol Um),오상석(Sang-Seok Oh),이준구(Jun-Gu Lee),김승유(Seung-Yu Kim),장윤아(Yoon-Ah J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4

        남극 등 불량환경 하에서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신선 채소를 생산할 수 있는 컨테이너 식물공장을 설계하여 개별하였다. 20피트 컨테이너(L5.9m×W2.4m×H2.4m)에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3단 수경재배시스템을 설치하였고, 양액공급은 저변급수 방식으로 하였다. 수경재배에서의 광원종류(광강도)에 따른 3가지 상추 품종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정식 2주 후 광원종류(광강도)에 따른 상추 3품종의 생육결과는 형광등 145μ㏖ㆍm?²ㆍs?¹ 처리구에서 지상부 생체중과 엽면적이 양호하였으나, 정식 4주 후에는 형광등 + 메탈할라이드등 150μ㏖ㆍm?²ㆍs?¹에서 다른 광원시험구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상추 품종간에는 ‘청치마상추’의 생체중이나 엽면적이 가장 많았으며, ‘적축면상추’, ‘롤로로사’순이었다. 엽록소 농도(SPAD)는 광원종류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청치마상추’가 품종 특성에 맞게 다론 상추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광원을 이용한 석물공장에서 상추 재배시 광의 강도에 따라서 식물체 생육이 차이가 있었고, 상추의 품종에 따라 생육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저광도의 식물 공장 내에서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or the energy-saving production of fresh vegetables in poor environment such as the Antarctic,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maximize space usage of the 20 feet container (L5.9 m×W2.4 m×H2.4 m), a three-level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as installed and the nutrient solution was supplied by bottom watering. Using this system, 3 lettuce cultivars were grown under different the light source (light intensity). After 2 weeks from the transplanting, fluorescent lamp (145 μ㏖ㆍm?²ㆍs?¹) showed the best fresh weight of top part and leaf area. However, After 4 weeks, fluorescent lamp plus metal halide lamp (150 μ㏖ㆍm?²ㆍs?¹) led to the optimum growth of the each lettuce cultivar. The cultivar, 'Cheongchima', showed the best fresh weight of top part and leaf area, followed by 'Jeokchukmyeon' and 'Lollo rosa'.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s (SPA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ources of lights. However, 'Cheongchima' showed relatively high chlorophyll concentration. With the above results, we found that the growth of lettuce is depend on light intensity and even at same intensity, the growth is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Therefore, the selection of optimum cultiva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t factory system that has only weak light density.

      • 상추의 연속수확에 따른 과불소화합물의 흡수이행성

        이득영 ( Deuk Yeong Lee ),오경열 ( Kyeong Yeol Oh ),김진효 ( Jin Hyo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과불소화합물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1950년대부터 제지, 섬유, 전자산업 및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이들 중 perfluoroctanoic acid (PFOA), perfluorooctanoic sulfonate (PFOS) 및 각각의 유도체는 스톡홀름협약에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의 인체노출기여도는 식품을 통한 섭취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 농업환경 중 PFOA와 PFOS의 잔류는 ㎍ kg-1 이하로 보고되었으나, 농산물의 경우 오염된 토양과 물로부터 직접적인 흡수이행을 통한 오염축적 가능성이 높아 이들의 작물 흡수이행 평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추의 연속수확에 따른 PFOA, PFOS 흡수이행을 평가하였다. 토양 1.0 용을 1% acetic acid (10 mL)로 추출한 후 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methanol/1% acetic acid (90/10, v/v)로 2회 반복하여 재추출 (10 mL<sup>x</sup>2) 한 뒤, 추출액을 15 mL까지 질소 농축하고, 증류수로 50 ml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액은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d) 카트리지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질소 농축하여 methanol로 재용해 후 EVNI-Carb™ 20 mg으로 정제하여 nylon filter로 여과하였다. 시료 정제 용액에 internal standard로 <sup>13</sup>C<sub>4</sub>-PFOA, <sup>13</sup>C<sub>4</sub>-PFOS를 넣어주고,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추는 무처리구, 저농도 (1.0 mg kg<sup>-1</sup>) 및 고농도 (5.0 mg kg<sup>-1</sup>) 처리구에 재배하여 1차, 2차 수확 후 분석하였다. 상추 10 g을 75% methanol (10 mL) 로 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취하고, tetrahydrofuran/water (75/25, v/v)를 이용하여 재추출 (10 mL<sup>x</sup>2) 한 뒤, 추출액을 15 mL까지 질소 농축하고, 중류수로 50 mL가 되도록 희석하여 토양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 및 정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연속수확 상추의 PFOA의 PUF (Plant uptake factor) 값은 1차 수확 시 1.026-2.235이었고, 2차 수확 시 0.882-2.891 이었다. PFOS 의 PUF값은 1차 수확 시 0.570-1.113, 2차 수확 시 0.252-1.148이었다.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연속 수확한 상추의 PFOA 및 PFOS의 PUF값은 1차와 2차 수확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UF는 생물무게를 기준으로 제시하는 값으로 작물의 수분함량, 작물의 생육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건물중을 기준으로 하는 생물농축계수 (Bioconcenration factor, BCF)에 대한 보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상추와 오이 중 Rotenone의 잔류 특성 구명

        노현호 ( Hyun Ho Noh ),이재윤 ( Jae Yun Lee ),정오석 ( Oh Seok Jeong ),김혜성 ( Hye Sung Kim ),진미지 ( Me Jee Jin ),최지희 ( Ji Hee Choi ),엄애선 ( Ae Son Om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이 연구는 상추와 오이 중 친환경 농자재 rotenone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1,000배 희석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재배중인 상추와 오이에 1주일 간격으로 1회 및 2회 경엽 살포하였으며, 경시적 잔류량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최종 약제 살포 후 0일차부터 7일차까 지 5회 시료를 채취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으며, 상추와 오이 중 rotenone의 검출한계는 각각 0.02와 0.001 mg/kg이었다. 분석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수율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90.9-99.5% 로 적합한 수준이었다. 최종 약제살포 후 0일차 1회 및 2회 처리구 상추 중 rotenone의 평균 잔류 량은 각각 0.91과 1.15 mg/kg이었으며, 7일차 시료의 경우 각각 0.16과 0.19 mg/kg이었다. 오이 중 rotenone의 경우 1회 및 2회 처리구 모두 약제살포 후 1일차까지만 검출되었으며, 각각 0.001-0.005와 0.001-0.006 mg/kg이었다. 생육이 빠른 작물의 특성상 생육에 의하여 시험작물 중 rotenone의 농도가 희석된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저장 기간 중 시험 약제의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상추와 오이 각각 저장 59일과 64일 후까지의 회수율은 91.6-96.6%이었다.

      • 저회 적용에 따른 상추 생육과 토양개량에 미치는 효과

        이승규 ( Seung-gyu Lee ),김소희 ( So-hui Kim ),강세원 ( Se-won Kang ),윤진주 ( Jin-ju Yun ),박재혁 ( Jae-hyuk Park ),조주식 ( Ju-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최근 탄소 배출량 감소정책으로 기존 노후화된 석탄발전소를 폐기하거나 다른 자원종류의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바이오매스 연료로 발전하여 발생하는 회분의 양은 비회 약 3,066 ton, 저회 약 24,000 ton 정도이며, 전량 매립되고 있다. 그로 인해 매립지 만지 현상이 도래되고 있으며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회(Bottom ash, BA)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추재배 시 저회 시비에 따른 작물생장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공시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4.5 유기물 함량 3.14% CEC 5.62 cmolc kg<sup>-1</sup>로 산성토양이었으며, 공시재료 저회의 pH는 9.07, EC는 16.0 dS m<sup>-1</sup>, 유기물 함량은 17.9%, CEC는 11.66cmolc kg<sup>-1</sup>로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바이오차(Biochar, BC)와 유사하게 pH와 유기물 함량이 높아 시중에 판매하는 왕겨 바이오차와 함께 상추를 재배하여 생육을 비교하였다. 왕겨 바이오차와 저회의 시용수준을 각각 토양의 1, 3, 5 및 10%로 처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사용된 작물은 적상추(Lactuca sativa L.)를 사용하였으며, 약 4주 동안 재배하였다. 상추 생육 실험결과 대조구에 비해 바이오차와 저회의 높은 함량 처리구(5, 10%)에서 생육지표(엽장, 생체량, 건중량)의 우위를 보였다. 상추의 무기성분 흡수량은 바이오차 처리구보다 저회 처리구에서 조금 더 높은 흡수량을 확인하였고, 수확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또한 바이오차보다 저회 처리구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BA10 처리구에서 pH가 7.31, 유기물 함량은 10.56%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따라서 저회를 활용하여 작물재배에 적용시킨 결과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Bacillus amyloliquefaciens 함유 비료 처리에 의한 상추의 생육 증대 효과

        김영선(Young-Sun Kim),조성현(Sung-Hyun Cho),이훈수(Hoonsoo Lee),이긍주(Geung-Joo Lee) 유기성자원학회 2021 유기물자원화 Vol.29 No.4

        본 연구는 친환경농업에서 미생물비료(MF)의 작물 생육 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함유된 미생물비료의 처리, 유기질비료(OF)의 혼용 처리 및 미생물비료 제형별 처리에 따른 상추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생물비료의 유효 균주인 B. amyloliquefaciens는 전분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비료를 유기물의 공급없이 상추에 처리하는 경우 작물의 생육은 무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할 때, 유기질비료와 미생물비료를 함께 처리한 MOF2 처리구(2,500 kg OF/ha + 50 kg MF/ha)의 건물중이 약 30% 증가하였다. 미생물비료 제형별 상추 생육 조사 결과, 수용제는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화제 처리구의 건물중은 약 43% 증대되었다. 미생물비료의 제형별 작물 생육 비교 시 수용제보다 수화제 처리구에서 37% 정도 증가하여 수화제 처리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미생물비료를 유기질비료와 혼용하는 경우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며, 수화제의 처리 시 작물의 생육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MF) contai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on the growth in the lettuce by treating MF without and with organic fertilizer (OF), or by its formulation types,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in the eco-friendly agriculture. B. amyloliquefaciens, active microbe of MF, had activities of amylase and protease. Applied only MF without OF, MF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fertilizer (NF). As compared to control, dry weight of MOF2 treatment (2,500 kg OF/ha + 50 kg MF/ha) was increased by about 30%. As applied with wettable powder type (WP) and soluble powder type (SP) of MF, the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43% than that of control, but SP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with two MF formulation,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about 37% than that of S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application of MF improved the growth of lettuce by prompting a mineralization of OF, and that the formulation type of MF was better WP than 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