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cillus amyloliquefaciens 함유 비료 처리에 의한 상추의 생육 증대 효과

        김영선(Young-Sun Kim),조성현(Sung-Hyun Cho),이훈수(Hoonsoo Lee),이긍주(Geung-Joo Lee) 유기성자원학회 2021 유기물자원화 Vol.29 No.4

        본 연구는 친환경농업에서 미생물비료(MF)의 작물 생육 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Bacillus amyloliquefaciens가 함유된 미생물비료의 처리, 유기질비료(OF)의 혼용 처리 및 미생물비료 제형별 처리에 따른 상추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생물비료의 유효 균주인 B. amyloliquefaciens는 전분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생물비료를 유기물의 공급없이 상추에 처리하는 경우 작물의 생육은 무처리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와 비교할 때, 유기질비료와 미생물비료를 함께 처리한 MOF2 처리구(2,500 kg OF/ha + 50 kg MF/ha)의 건물중이 약 30% 증가하였다. 미생물비료 제형별 상추 생육 조사 결과, 수용제는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화제 처리구의 건물중은 약 43% 증대되었다. 미생물비료의 제형별 작물 생육 비교 시 수용제보다 수화제 처리구에서 37% 정도 증가하여 수화제 처리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미생물비료를 유기질비료와 혼용하는 경우 상추의 생육과 생산량이 증대되며, 수화제의 처리 시 작물의 생육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MF) contai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on the growth in the lettuce by treating MF without and with organic fertilizer (OF), or by its formulation types,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in the eco-friendly agriculture. B. amyloliquefaciens, active microbe of MF, had activities of amylase and protease. Applied only MF without OF, MF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fertilizer (NF). As compared to control, dry weight of MOF2 treatment (2,500 kg OF/ha + 50 kg MF/ha) was increased by about 30%. As applied with wettable powder type (WP) and soluble powder type (SP) of MF, the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43% than that of control, but SP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parison with two MF formulation, dry weight of WP was increased by about 37% than that of S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application of MF improved the growth of lettuce by prompting a mineralization of OF, and that the formulation type of MF was better WP than SP.

      • KCI등재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분말과 유기질비료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주요 엽채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Young-Sun Kim),김도형(Dohyung Kim),이긍주(Geung-Joo Lee)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물자원화 Vol.27 No.4

        본 연구는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분말(FWP)이 처리된 작물의 생육 효과와 FWP와 유기질비료(OF) 혼합물(MFOs)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작물생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11%의 NaCl을 함유하는 FWP를 250, 500 및 1,000 kg/10a 씩 상추와 배추에 처리하였을 때, 작물의 엽수, 엽장, 엽폭, 생물중 및 건물중 등과 같은 작물의 생육지수는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MFOs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서 FWP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MFOs의 질소 및 인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염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상추와 배추에 MFOs와 OF를 각각 처리한 후 작물의 건물중으로 생육을 평가할 때, 상추에서는 FWP 10~30% 범위에서, 배추는 FWP 10% 범위에서 유기질비료처리구(대조구)와 유사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dried food waste powder (FWP) and mixtures of FWP and organic fertilizer (MFOs) on the growth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WP and MFOs were analyzed. As FWPs containing 3.11% NaCl was applied at 250 kg, 500 kg and 1,000 kg per 10a, growth factors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such as a number of leaf, leaf length, leaf width, and dry weight were de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appling organic fertilizer. The higher the FWP ratio in the MFOs, the lower the concentrations of N and P₂O₅ in the MFOs, whil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NaCl. As compared to dry weight of control after treating MFOs, lettuce were not significant in MFOs treatments containing 10~30% FWP, and Chinese cabbage in MFOs treatment containing 10% FWP.

      • 저회 적용에 따른 상추 생육과 토양개량에 미치는 효과

        이승규 ( Seung-gyu Lee ),김소희 ( So-hui Kim ),강세원 ( Se-won Kang ),윤진주 ( Jin-ju Yun ),박재혁 ( Jae-hyuk Park ),조주식 ( Ju-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최근 탄소 배출량 감소정책으로 기존 노후화된 석탄발전소를 폐기하거나 다른 자원종류의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바이오매스 연료로 발전하여 발생하는 회분의 양은 비회 약 3,066 ton, 저회 약 24,000 ton 정도이며, 전량 매립되고 있다. 그로 인해 매립지 만지 현상이 도래되고 있으며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회(Bottom ash, BA)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추재배 시 저회 시비에 따른 작물생장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공시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4.5 유기물 함량 3.14% CEC 5.62 cmolc kg<sup>-1</sup>로 산성토양이었으며, 공시재료 저회의 pH는 9.07, EC는 16.0 dS m<sup>-1</sup>, 유기물 함량은 17.9%, CEC는 11.66cmolc kg<sup>-1</sup>로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바이오차(Biochar, BC)와 유사하게 pH와 유기물 함량이 높아 시중에 판매하는 왕겨 바이오차와 함께 상추를 재배하여 생육을 비교하였다. 왕겨 바이오차와 저회의 시용수준을 각각 토양의 1, 3, 5 및 10%로 처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사용된 작물은 적상추(Lactuca sativa L.)를 사용하였으며, 약 4주 동안 재배하였다. 상추 생육 실험결과 대조구에 비해 바이오차와 저회의 높은 함량 처리구(5, 10%)에서 생육지표(엽장, 생체량, 건중량)의 우위를 보였다. 상추의 무기성분 흡수량은 바이오차 처리구보다 저회 처리구에서 조금 더 높은 흡수량을 확인하였고, 수확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또한 바이오차보다 저회 처리구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BA10 처리구에서 pH가 7.31, 유기물 함량은 10.56%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따라서 저회를 활용하여 작물재배에 적용시킨 결과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상추 생육 센싱 연구

        강민석 ( Minseok Gang ),김학진 ( Hak-jin Kim ),김동욱 ( Dong-wo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원예 작물의 생육 지표로 사용되는 생체중, 건물중, 높이, 엽면적, 직경은 증산 및 광합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러한 생육 지표는 작물 생산성을 정량화하여 최적의 환경, 양분, 관수 제어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생육 지표 측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생육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은 파괴적이고 인적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여 시간과 비용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시료의 채취 방법이나 시료 상태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생육 지표 측정에는 정확성 뿐만 아니라 작물 성장 단계별 양액의 변량 공급을 위해 실시간으로 작물의 생육 정도를 측정하는 기술 또한 필요하다.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합성곱 신경망과 같은 기술이 도입되고 있어 생육 센싱을 비롯한 분야에서 농업 적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GB 채널과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4개 품종 상추의 생체중, 건물중, 높이, 엽면적, 직경을 예측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예측 성능을 구명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2021년 6월 바게닝긴대학교 주최 온라인 인공지능 경진대회에서 제공한 상추 데이터이며, 해당 데이터는 인텔 Realsense D435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추의 RGB와 깊이 정보이다.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 3D 영상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하여 합성곱 신경망 모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측정 항목별 합성곱 신경망 예측 모델의 측정 성능을 분석한 결과 예측 모델은 결정계수 0.9 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이미지 하나당 평균 150 ms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어 실시간 생육 지표 예측 가능성을 보였다.

      • KCI등재

        음식 부산물 혼합 가축분퇴비 사용 시 블랙카본과 유용 미생물 적용에 따른 상추 생육 및 토양환경 평가

        정영재,이승하,나홍식,김성헌,권순익,심재홍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6

        Food waste has been widely used to recycle resources for compost and feed because of landfill and ocean disposal were prohibited. Among the recycling methods, the food waste compost produced by composting method is applied to agricultural lands due to improves crop productivity.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alt in food waste compost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the effect on crop growth. To reduce the effect of salt, treat with black carbon and Plant-Growth-Promoting Bacteria (PGPB) was considered when the application of food waste compost in agricultural lan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quantity of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soil characteristics when fertilized black carbon (type of biochar) and PGPB with food waste compost. Treatments were conducted non-fertilizing (NF), inorganic fertilizer (NPK), inorganic fertilizer + food waste compost (NPKF, control), inorganic fertilizer + food waste compost + black carbon (NPKFC), inorganic fertilizer + food waste compost + PGPB (NPKFB), inorganic fertilizer + food waste compost + black carbon + PGPB (NPKFCB). The result of lettuce growth, day after transplanting (DAT) 21, the leaf length was 20.7 cm, leaf width was 20.2 cm and SPAD was 32.0 in NPKFCB and it was highest among the treatment. Also, productivity of lettuce, total leaf numbers were highest at 28.8 in NPKFCB. The quantity index NF was lowest at 84.1 and the highest at 128.7 in NPKFCB. It is observed that nutrients such as K, P and Ca supplied from black carbon and microbial activation helped improve crop productivity. The pH in soil was highest at 6.9 for NPKFB and EC was highest at 1.7 ds m-1 in NPKF.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해양투기 등이 금지됨에 따라 음식물류폐기물은 대부분 자원화를 통해 처리되며 퇴비화하여 생산한 음식물류혼합퇴비(이하, 음폐퇴비)는 작물 생산성을 향상 등을 위하여 농경지에 퇴비로 사용한다. 하지만, 염분 집적에 의한 작물 생육이 우려되며 이에 따른 피해를줄이기 위하여 음폐퇴비와 블랙카본, 유용 미생물을 함께 사용하면 염분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음폐퇴비와바이오차의 한 종류인 블랙카본, 유용 미생물을 처리 시 상추의 수량과 토양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무기질 비료(NPK), 무기질 비료 + 음폐퇴비 (NPKF, 대조구), 무기질 비료 + 음폐퇴비 + 블랙 카본 (NPKFC), 무기질 비료 + 음폐퇴비 + 미생물 (NPKFB), 무기질 비료 + 음폐퇴비 + 블랙카본 + 미생물 (NPKFCB)이다. 상추 생육 조사 결과, 생육 후기인 21일째에 NPKFCB 처리구에서 엽장 20.7 cm, 엽폭 20.2 cm, SPAD-502 32.0으로 가장 생육이 좋았으며, 수량 조사 결과 또한 NPKFCB 처리구에서 주당 총 엽수가 28.8개로 가장많았다. 수량지수는 무처리가 84.1로 가장 낮았고 NPKFCB 처리구에서 128.7로 가장 높았다. 이는 블랙카본에서 공급되는 K, P, Ca 등의 양분과미생물 활성화가 작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화학성 분석 결과 pH는 NPKFB 처리구에서 6.9로 가장 높았으며, EC는NPKF에서 1.7 dS m-1로 가장 높았다.

      • SCIESCOPUSKCI등재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sub>2</sub> 농도 변화 및 균형 분석

        정대호,김찬교,오경훈,이동현,김민수,신종화,손정익,Jung, Dae Ho,Kim, Chan Kyo,Oh, Kyung Hun,Lee, Dong-Hyeon,Kim, Minsu,Shin, Jong Hwa,Son, Jung Ee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_2$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_2$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_2$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circ}C$, $22^{\circ}C$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times}0.8m{\times}0.5m$)에서 $CO_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 $340{\mu}mol{\cdot}m^{-2}{\cdot}s^{-1}$의 광도와 EC $1.2dS{\cdot}m^{-1}$의 양액에서 재배하였고, 다이아프램(diaphragm) 펌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섯 챔버와 상추 챔버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버섯의 $CO_2$ 발생 속도는 균 긁기 후 15일차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생육 온도가 높아질수록 $CO_2$ 발생 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솎음 처리에 의해 버섯의 자실체 생체중 당 $CO_2$ 발생 속도가 약 3.1배 증가하였다. $CO_2$ 균형 관점에서 보면, 균 긁기 후 9, 12, 14일차 버섯 1병(950mL)의 $CO_2$ 발생 속도는, 정식 후 7, 10, 12일인 상추 3, 4.5, 5.5 개체 $CO_2$ 흡수 속도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작물의 적합한 재배 비율의 설정을 통하여 밀폐형 혼합 식물생산시스템 내 $CO_2$ 농도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large amount of $CO_2$ emitted from mushrooms during incubation an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utilized in plant production systems as a $CO_2$ sour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_2$ emission and absorption rates of mushroom and lettuce,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 $CO_2$ concentrations at various ratios of mushroom and lettuce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The $CO_2$ emission rate of k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eryngii ( DC.) Qu$\acute{e}$l) and $CO_2$ absorption rate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were measured by using two closed acryl chambers ($1.0m{\times}0.8m{\times}0.5m$) in which indoor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8^{\circ}C$ and $22^{\circ}C$, respectively. The lettuce was grown at a light intensity of PPF $340mol{\cdot}m^{-2}{\cdot}s^{-1}$ an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2dS{\cdot}m^{-1}$. The air was periodically circulated between the two chambers using a diaphragm pump. The $CO_2$ emission rate of the mushroom increased until the $15^{th}$ day after scratching (DAS) and then decreased. The rat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_2$ emission rate per fresh weight of fruit body increased by about 3.1 times after thinning compared to before thinning. In terms of $CO_2$ balance, the $CO_2$ emission rates from a bottle (950 mL) of the mushroom at 9, 12, and 14 DA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3, 4.5, and 5.5 lettuce plants at 7, 10, and 12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is work shows that balance in $CO_2$ concentration could be achieved us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two crops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 SCIESCOPUSKCI등재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₂ 농도 변화 및 균형 분석

        정대호(Dae Ho Jung),김찬교(Chan Kyo Kim),오경훈(Kyung Hun Oh),이동현(Dong-Hyeon Lee),김민수(Minsu Kim),신종화(Jong Hwa Shin),손정익(Jung Eek Son)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₂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₂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₂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₂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 22℃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 × 0.8m × 0.5m)에서 CO₂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 340μ㏖·m<SUP>-2</SUP>·s<SUP>-1</SUP>의 광도와 EC 1.2dS·m<SUP>-1</SUP>의 양액에서 재배하였고, 다이아프램(diaphragm) 펌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섯 챔버와 상추 챔버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버섯의 CO₂ 발생 속도는 균 긁기 후 15일차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으며, 생육 온도가 높아질수록 CO₂ 발생 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솎음 처리에 의해 버섯의 자실체 생체중 당 CO₂ 발생 속도가 약 3.1배 증가하였다. CO₂ 균형 관점에서 보면, 균 긁기 후 9, 12, 14일차 버섯 1병(950mL)의 CO₂ 발생 속도는, 정식 후 7, 10, 12일인 상추 3, 4.5, 5.5 개체 CO₂ 흡수 속도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작물의 적합한 재배 비율의 설정을 통하여 밀폐형 혼합 식물생산시스템 내 CO₂ 농도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large amount of CO₂ emitted from mushrooms during incubation an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utilized in plant production systems as a CO₂ sour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₂ emission and absorption rates of mushroom and lettuce,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 CO₂ concentrations at various ratios of mushroom and lettuce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The CO₂ emission rate of k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eryngii (DC.) Quél) and CO₂ absorption rate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were measured by using two closed acryl chambers (1.0 m × 0.8 m × 0.5 m) in which indoor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8℃ and 22℃, respectively. The lettuce was grown at a light intensity of PPF 340 ㏖·m<SUP>-2</SUP>·s<SUP>-1</SUP> an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2 dS·m<SUP>-1</SUP>. The air was periodically circulated between the two chambers using a diaphragm pump. The CO₂ emission rate of the mushroom increased until the 15<SUP>th</SUP> day after scratching (DAS) and then decreased. The rat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₂ emission rate per fresh weight of fruit body increased by about 3.1 times after thinning compared to before thinning. In terms of CO₂ balance, the CO₂ emission rates from a bottle (950 mL) of the mushroom at 9, 12, and 14 DA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3, 4.5, and 5.5 lettuce plants at 7, 10, and 12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is work shows that balance in CO₂ concentration could be achieved us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two crops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on Growth and Mineral Absorp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Lollo Rosa’)

        Yong Seub Shin(신용습),Mun Jung Lee(이문중),Eun Sook Lee(이은숙),Joon Hyung Ahn(안준형),Jae Ha Lim(임재하),Ha Joong Kim(김하중),Hoo Won Park(박후원),Young Ghul Um(엄영철),So Deuk Park(박소득),Jang Heui Chai(채장희)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3

        식물공장 내 적색광, 청색광, 적청 혼합광, 자외선, 적외선, 형광등의 광원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를 검토하였다. 잎의 형태는 Red 파장에서 초장 및 하배축의 길이신장이 촉진되어 도장하였고 Far red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였으나 Red + Blue의 혼합광원에서는 초장이 짧고 엽수가 많고 생체중이 증가하여 상추의 형태 및 발달 차원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 광질에 따른 어린잎 상추의 색차 및 상대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Red + Blue 혼합광 및 형광등에서 높았고 적색광 및 자외선에서는 낮게 나타났는데 상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도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상대엽록소 함량은 형광등의 10.5에 비해 혼합광에서 1.8배 향상된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광원별 상추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pH 및 K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N, Ca, Mg, Mn, Fe, Ascorbic acid 함량은 LED 처리구에서 많았고 P 및 Mn 함량은 형광등 처리구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색광에 비하여 Red + Blue 혼합광에서 상추의 생육이 우수하고 무기물함량이 증대되어 식물공장 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혼합광 조절로 상품성 있는 고품질의 상추 생산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in relation to early growth and inorganic elements i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Rollo Rosa’). In morphological changes of leaves, shoot elongation and hypocotyl length showed poor growth in red light irradiation, while the red + blue light irradiation induced shorter plant height and much greater leaf numbers resulting in increased fresh weight. In change of the Hunter’s color and SPAD values, lettuce seedlings grown under in red + blue and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had a higher a* value, otherwise SPAD values were not changed in these light irradiations. Interestingly, relative chlorophyll contents showed 1.8 times increased redness in the treatment of red + blue light irradiation. Inorganic element (N, Ca, Mg, Mn, and Fe) and ascorb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in lettuce plants grown under LEDs light irradiation compared to those of lettuce grown under the fluorescent light which showed higher P and Mn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red + blue light irradiation which stimulates growth and higher nutrient uptake in leaf lettuce could be employed in containers equipped with L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