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부동산산업 부문의 부가가치 구조 및 부문 내 부가가치유발효과 추이 분석

        박재운(Jae-Un Park),김현욱(Hyun-Wook Kim) 한국주택학회 2011 주택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한국 부동산산업의 부가가치 구조와 부문내 부가가치유발효과의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불변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동산산업의 총투입 구성요인별 비중에서 부가가치비중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RS승수 분석으로 보면 부동산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전방연관효과가 후방연관효과보다 크며,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은 후방연관효과가 전방연관효과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결과 첫째, 부동산산업부문은 타 산업부문과의 상호의존도가 낮고, 부동산산업 내 부문간 연관관계가 보다 심화되어 있다. 둘째, 부동산산업의 최종수요에 의한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소비수요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부가가치유발에 의한 전방연관효과는 수출수요, 투자수요, 소비수요 순이며 후방연관효과는 투자수요, 수출수요, 소비수요 순을 보였다. 그리고 직접전후방연관효과는 투자수요, 수출수요, 소비수요 순이었다. 이것은 주로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부동산부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산업인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s of value-added,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and intra-sectoral backward & forward linkage effects in the Korean Real Estate Sectors by the constant-priced input-output tabl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alue-added composition of real estate sectors to the total output in the whole sectors has been on an increasing trends. Second, forward linkage effects by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real estate sectors by Ritz-Spaulding (RS) multipliers have been greater than backward linkage effects. The backward linkage effects by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real estate services by RS multipliers have been greater than forward linkage effects. Third, the intra-sectoral relations within the real estate sectors have largely been deepening and inter-dependency of other sectors with the real estate sector has been declining. Fourth,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by RS multipliers of the real estate sectors have been rising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ption demand inducement effects. Lastly, forward linkage effects of real estate sectors on the base of compositional factors by final demand have been in order of export, investment, and consumption demand, etc. Backward linkage effects have been in order of investment, export, and consumption demand, etc.

      • 한국의 産業聯關分析 연구와 經濟開發計劃의 수립

        김호언(Gim, Ho-Un)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1

        연구목적 - (1) 경제학에 있어서 산업연관분석 연구방법론에 대한 의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2) 초창기 한국 산업연관분석 연구 성과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에 있어서 산업연관분석 방법의 기여에 대한 역사적 意味와 시대적 배경을 조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한국의 산업연관분석 연구의 중요 업적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선정 기준은 역사성이 있는 분야별 초기 업적을 기준으로 하되, 분야별 학문적인 기여를 무엇보다도 중요시 하였다. ① 韓基春의 박사학위 논문(1963), ② 金俊輔의 단행본(1954; 1969; 1975), ③ 金鎬彦의 연구(1986)를 각각 다루었다. 韓基春은 산업연관분석에 관한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으로서, 金俊輔는 산업연관분석을 소개한 초기의 단행본으로서, 金鎬彦은 전국산업연관표를 통한 지역산업연관 분석에 대한 초기 학문적 기여를 각각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주요결과 -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의 역사와 산업연관분석의 연구 및 산업연관표 작성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초기 경제계획을 입안 및 집행하여 불균형성장이론에 입각한 경제발전을 이룩하려면 신뢰할 수 있는 기초통계 자료와 투입ㆍ산출모형과 같은 새로운 경제분석 기법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산업연관분석은 수립된 경제계획에 대한 평가와 장기계획에 의한 경제예측, 경제구조분석, 각종 경제정책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한 경제분석 도구가 된다. 이러한 경제개발계획을 뒤받침 하기 위하여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에서 한국의 경제개발3개년계획(1960-1962년)을 수립하고, 산업연관표(1957년 표와 1958년 표)를 최초로 작성하였다. 시사점 - 본 연구는 개괄적 혹은 전체적인 안목에서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의 역사와 산업연관분석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만 보다 구체적이고 치밀한 분석은 경제개발 초기 단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문헌자료의 제약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정치한 분석을 다 다루지 못하였다는 스스로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Purpose -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viewpoin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observe the real meaning and importance of interindustry analysis in the main stream of Economics. (2) We illuminate the various historical meanings of the method of interindustry analysi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3) We do a historical evaluation of the study of interindustry analysis in the early years of Korea. Design/Methodology - Since the interindustry model was first pioneered by Wassily W. Leontief(1906-1999), who received the 1973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the sole and unchallenged creator of input-output analysis” in the early 1930s, a number of methodological improvements have been made so far. The term interindustry analysis basically used to demonstrate how a change in one economic sector affects other economic sectors in the interindustry interdependence relationships. Findings - Finally, we found out that there are very close relations, historically and empirically, between the economic development history of Korea, the history of interindustry analysis, and the compilation of the input-output tables. Implications - In this paper, regrettably, we have some limits to do a more detailed analysis because of limitations in the literature available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Korea.

      • KCI등재

        가상추출법을 적용한 공간정보산업의 경제적 연관효과

        유창호(Yu, Chang Ho),장우진(Jang, Woo Jin),박성현(Park, Sung-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공간정보산업의 경제적 연관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의 가상추출법을 이용하여 2014년 전국산업연관표에서 공간정보산업을 추출하였고,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산업 제외 전·후의 경제적 연관효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공간정보산업은 생산측면에서는 제조업과 연관관계가 높고, 부가가치와 고용측면에서는 서비스업과 연관관계가 높다. 또한 산업별로 보면, 생산측면에서는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화학제품 제조업 등과 연관관계가 높고, 고용측면에서는 사업지원서비스업, 음식점 및 숙박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운수업 등과의 연관관계가 높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공간정보산업의 산업간 융·복합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연관관계가 높은 이러한 산업들과의 연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stimated the economic linkage effect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was extracted from the 2014 Input-Output Table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of the Input-Output Analysis and the changes of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final demand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is highly related to manufacturing in terms of production, and is highly related to service industry in terms of value-added and employment. In terms of industry, it is highly correlated with production,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manufacturing, and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 terms of employment, it is highly correlated with business support services, food services and accommodation,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and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nkage strategy with these industries, which a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for the inter-industry fus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 KCI등재

        국제산업연관표에 의한 한·중·일 간 섬유산업의 연관구조 분석

        이춘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5 지역산업연구 Vol.38 No.4

        This study analyzes the input-output relation of textile industries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using 2005 Asian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AIIO), published by IDE-JETRO in the early 2014. This study reclassifies total 10 countries in AIIO into 4 regions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other countries for the analysis. For industrial sectors, textile industry is subcategorized into 6 divisions, and is combined with other 26 divisions, making total 31 divisions.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matrix,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and output multiplier, which shows input-out relations between industries, China was highest in three countries and then Japan and Korea followed, respectively. However, for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matrix, Japan was highest and China and Korea followed in order. For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matrix of textile indus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fabric, dyeing, and spinning industries were relatively high while knitting and apparel industry were relatively low. This was similar in Korea as well as China and Japan. In case of prices of fabric and dyeing industries in Korea increase by 10%, the impacts of prices on the entire indus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Korea were affected with 4.9026 units, China with 0.1682, and Japan with 0.0706, respectively. In case of exogenesis of each fabric and dyeing industry of three countries followed by productions, for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China had the highest effects on the productions in both the domestic and other countries’ industries, and Japan and Korea followed in order. As a result, for the input-output effect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China was highest and then Japan and Korea followed, respectively. For linkage effect between countries, China and Japan showed higher linkage between them while Korea was lower. However, Korea was more highly linked with Japan than China. As seen in the analysis, for higher development of Korean textile industry, the analysis on linkage effects with any country or industry should be thoroughly done in order to prepare countermeasures. 이 연구는 아시아경제연구소에서 2014년 초에 발표한 2005년 아시아국제산업연관표(Asian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 AIIO)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간 섬유산업의 연관구조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국가를 전체 10개국으로 구분한 것을 한국과 중국, 일본, 기타 국가 등 4개 국가권으로 재분류하여 추정 분석하였다. 산업부문은 섬유산업을 6개 부문으로세분류한 다음, 26개 중분류 부문과 통합하여 총 31개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간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생산유발계수와 전후방 연관효과, 산출 승수 등에서 3개국 중 중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일본, 한국 순으로높았다. 그러나 부가가치 유발계수 면에서는 일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중국, 한국 순이었다. 한중일 섬유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직물 및 염색업과 방적업이 비교적 높았고, 편물이나 의복이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한국은 물론 중국이나 일본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국 직물 및 염색산업의 물가가 10% 증가할 경우, 한중일 전체산업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한국에 4.9026단위영향을 미치고, 중국에 0.1682단위, 일본에 0.0706단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중일 직물 및 염색산업을 각각 외생화하여 생산이 유발될 경우, 국가별로 비교해 보면, 중국의 경우가 자국이나 타국의 전체산업 생산에 가장 많이 유발시키고, 그 다음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났다결국, 한중일 간 산업연관효과는 중국이 가장 높고, 일본, 한국 순으로 높았다. 국가 간 연계정도도 중국과 일본 간 연관정도가 높고, 한국은 낮은 편이었다. 다만 우리나라는 중국보다는 일본과 연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산업간 연관효과를 배가하는전략을 강구하고, 중국과의 연관관계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RW와 LQ기법을 이용한 지역경제구조 및 지역산업연관분석

        박성태(Sung-Tae Park),주병철(Byeoung-Chul Ju)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2

        지역경제 개발정책 수립과 그 성과 분석을 위해서는 지역산업간 상호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역경제와 관련된 산업체계가 명확하지 않고 지역사회계정의 한계로 신뢰성 있는 계량적 자료의 생산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지역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진안군을 대상으로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산업연관표 작성은 전국생산자가격표를 기초로 활용하였으며, 지역산업분류는 22×22부문으로 통합·조정하였고, 지역투입계수 도출에는 다단계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산업 총산출액과 종사자규모는 전국 대비 0.037%로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지역내 생산유발계수 전산업평균은 1.6166, 부가가치유발계수 0.9161, 고용유발계수 0.0123으로 추정되었다. 후방연관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음식료품 1.4853, 음식점 및 숙박 1.3396, 비금속광물제품 1.2884 순으로, 전방연관효과 지표인 감응도계수는 석유·석탄 및 화학 1.6187, 음식료품 1.5167,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1.3223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시행한 산업유형분석에서는 음식료품, 음식점 및 숙박, 농림수산품 등의 6개 부문이 전후방연관효과가 높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평균 1.91배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산업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s an interindustry analysis on ‘Jinan’ district using a regional interindustry analysis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local economy. A regional interindustry analysis chart has been formulated based on the national producer price chart and each regional industry has been standardized and categorized using a 22 X 22 format. Also, a local input coefficient has been derived using the multi-stage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total gross revenue and workforce size was 0.037% below the national average. Further, the local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cross all regional industries has been estimated to be 1.6166, with a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0.9161, and an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0.0123. The impact factor coefficient, which shows rear linkage impact,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figures: 1.4853 in food industry; 1.3396 in the restaurant and hospitality industry; and 1.2884 in the non-metal mineral industry. The sensitivity coefficient, which shows front linkage impact, has resulted in the following figures: 1.6187 in the oil, coal, and petrochemical industry; 1.5167 in the food product industry; and 1.3223 in the service and real estate industry. An additional study on six industries, including the food product, restaurant and hospitality, and agricultural goods industry, has indicated high front and rear linkage impact value,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 intermediate demand manufacturing industry. Such industries have shown to have 1.91 times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at can stimulate local economic activity and be considered as the main regional industry.

      • KCI등재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김상춘(Sangchoon Kim),장흥훈(Heunghoon Jang),김승철(Seungchul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5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1 No.4

        본 논문은 2010년 29부문 광양만권특화 지역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여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에서의 위치, 지역산업과의 연관성 그리고 지역경제에의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 기준 국가 해운항만산업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산업의 생산액, 부가가치액, 취업자의 비중은 각각 약 10.8%, 6.06%, 2.92%이며, 지역 전체산업 대비로는 각각 약 1.96%, 2.28%, 2.44%이다. 국가 총 항만서비스 수요 대비 광양만권 해운항만서비스 수요의 비중은 약 6.4%이다. 입지분석결과, 생산액 기준, 부가가치 기준, 그리고 종사자 수 기준 모두에서 해운항만산업은 광양만권 서비스부문 중 유일하게 전국대비 특화도가 1보다 큰 부문으로, 지역의 서비스부문은 해운항만산업에 특화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해운항만산업은 지역주력제조업과 지역의 주요 생산자서비스업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유 및 화학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1차금속은 전방연관성이 높다. 도소매 및 기타운수·보관은 해운항만산업과 전후방 연관성이 모두 높으며, 금융·보험, 부동산, 사업서비스 등은 후방연관성이 높다. 수요 및 공급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광양만권 해운항만 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약 6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약 2조5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만 6천 명의 취업유발효과 등으로 광양만권 지역경제 총 생산의 약 4%, 총 부가가치의 약 5.8%, 그리고 총 취업자의 약 6.7%가 해운항만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impact of the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Bay Area on the regional economy.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structs an input-output table of 29 sectors for 2010 in the a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share of employment, the regional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accounts for approximately 10.8 percent, 6.0 percent, and 2.9 percent of the national shipping and port logistics industry, respectively. Moreover, the economic impact of the industry on the regional economy is estimated to be an increase in terms of production of about 6 trillion Korean won), to be an increase in value added of about 2.5 million Korean won, and an increase of about 16,000 in employment. Furthermore, the industry is found to have strong inter-industry linkages with the main manufacturing as well as the main producer service industries.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표 추정을 위한 비조사기법의 유용성 비교

        김경필(Gyeong-Pil Kim),이진상(Jin-sang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한국경제연구 Vol.33 No.2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할 때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는 여러 가지 비조사기법(non-survey techniques)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비조사기법들을 이용하여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작성한 표들의 정확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는 비조사기법(단순입지상 기법, 구매입지상 기법, 교차산업상 기법, SDP(supply demand pool) 기법, RAS 기법)들과 비조사기법에 속하지만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지 않고 오직 지역의 자료(지역의 산업부문별 산출액과 산업부문별 중간투입액 또는 산업부문별 부가가치액)들만 이용하여 간단한 공식(formulas)에 기초하여 지역산업연관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확률계수행렬 기법의 유용성을 비교ㆍ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부산지역과 강원지역으로 하였다.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상의 대상지역들의 28개 부문 산출승수, 즉 실제치들과 비조사기법들에 의한 산출승수 예측치들을 대상으로 평균자승오차평방근(root mean square errors: RMSE)들을 계산하여 예측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양 지역 모두에서 RAS 기법과 확률계수행렬 기법에 의한 예측의 정확성이 입지상 기법군에 속하는 단순입지상 기법, 구매입지상 기법, 교차산업상 기법, SDP 기법 등에 의한 예측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의 정확성에서 우월한 것으로 나타난 RAS 기법과 확률계수행렬 기법의 비교ㆍ평가는 불확정적이다. RAD 기법으로 전국투입계수표를 조정하였을 때 완전한 조정(complete adjustment)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RAS 기법에 의한 예측의 정확성이 확률계수행렬 기법에 의한 예측보다 우월하다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지만, RAS 기법에 의한 전국투입계수표의 조정이 불완전 조정(incomplete adjustment)에 그치는 경우에는 확률계수행렬 기법에 의한 예측이 RAS 기법에 의한 예측보다 우월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input-output tables takes time and requires a lot of data. In order to obtain regional input-output tables, several non-survey techniques were developed such as simple location quotient(SLQ), purchase only location quotient(POLQ), cross industry quotient(CIQ), supply demand pool technique(SDP), RAS and random coefficient matrix(RCM). All these techniques require national in put-output tables except RCM.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se non-survey techniques could be used in build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Since the method of evaluations is a critical issues for the credibility of result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values of the output multipliers of 28 sectors of the Busan and Gangwon regions. We calculated root mean square errors(RMSE) of these two values. The RAS and RCM are shown superior to the location quotient-tuype techniques, such as SLQ, POLQ, CIQ and SDP in the case of Busan and Gangwon regions. The evaluation of RAS and RCM is inconclusive. The RAS is the best among non-survey techniques if the complete adjustment can be attained. If not, the RCM could be more credible than the RAS.

      • 충북지역 산업연관구조와 전략산업 발전전략

        이연호,조택희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31 No.1

        본고는 산업연관표를 통하여 충북경제의 산업간 연관성 및 파급효과 를 분석하고, 산업간 연관관계를 감안한 충북 전략산업 발전전략을 도 출한다. 「충북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충북 전략산업의 산업간 연 관효과와 지역 산업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전략산업의 전방 및 후방 연관효과를 분석하고 이들 산업의 성장을 위해 기반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산업과 수혜산업 등으로 구분하여 충북 전략산업의 발전전략을 제 시한다.

      • KCI등재후보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송창현(Changhyun Song),김찬용(Chanyong Kim),임업(Up Lim)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경제성장의 메커니즘을 다룬 최근의 연구들은 산업을 넘어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이 지식외부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지역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다양성과 함께 직종다양성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전국사업체조사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지역노동시장권을 분석의 공간적 단위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2010년부터 2015년 사이의 지역별 지역내총생산 및 고용 성장으로 설정하였으며 핵심 설명변수인 산업 및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은 엔트로피 접근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성장에, 직종의 상호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의 비연관적 다양성은 지역의 고용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직종 부문의 다양성을 상호연관적 다양성과 비연관적 다양성으로 세분하여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경제적 활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지역 단위의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of industry and occupation on regional economic growth. Recent studies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economic growth argue that occupation as well as industry act as the driving force of regional economic growth by inducing knowledge externa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diversity along with industrial diversi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set the regional labor market areas as the spatial units of analysis. Dependent variables include regional per capita GRDP and employment growth between 2010 and 2015, and related and unrelated variety of industry and occupations measured based on the entropy approach are used as key explanatory variable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ed variety of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 capita GRDP in the region, and the related variety of occu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employment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unrelated variety of industries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gional employment growth.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paper provides reg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economic vitality by dividing the diversity of industry and occupation into related and unrelated varieties and analyzing how they affect regional economic growth.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産業聯關分析)을 활용(活用)한 한국(韓國) 소비재산업(消費財産業)의 구조변화(構造變化) 및 기술구조변화지수(技術構造變化指數) 추이(推移) 분석(分析)

        박재운 ( Jae Un Park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국제통상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비재산업의 산업연관지표를 확인하고, 구조변화지수 및 기술변화지수의 추이 및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소비재산업의 총산출 및 부가가치의 경제내 비중은 1995년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고 중간투입 률, 국산중간투입률은 2000년 이후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유발 효과도 낮아지고 있다. 그리고 소비재 산업은 전방연관효과가 후방연관효과에 비해 크며, 전방연관효과의 경우 1998년 이후 크게 확대되었다. 구조변화지수 분석결과 총산출기준 구조변화지수는 1998~2000년이 가장 높은 시기였으며, 이후 지수가 크게 하락하였으며, 부가가치기준 구조변화지수는 1995~1998년 가장 높았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며 외환위기 이후 하락 폭이 크게 확대되었다. 한편 소비재산업의 기술구조변화지수는 비교적 최근인 2005~2007년이 가장 높았다. 이는 소비재산업이 최근 중간수요율이 높아지면서 중간투입구조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rends and properties of the structural change index and technical diffusion index in the Korean consumer goods manufacturing sectors by the input-output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total output and value-added in the consumer goods manufacturing sectors to the whole economy has been decreasing, and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hese factors has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1995. Second, each sub-sectoral intermediate goods input ratios in these sectors have been diminishing, thus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have also been gradually declining.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these sectors have been decreasing while forward linkage effects have been less rising. Third, the value of structural change index on the base of total production ratios has the highest changes during the 1998~2000, and that on the base of value-added ratios has been highest changes during the 1998~2000. Forth, the values of technical diffusion index have the biggest changes during the 2005~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