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성과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라영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6년 까지 한국 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의 성과가 기업가 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세부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사회적책임활동은 기업이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이해관계자 집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기 업지배구조성과, 사회적성과, 환경적성과 및 통합성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책임활동의 성과는 재무성과 지표인 자산 순이익률(ROA)과 시장조정수익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자산순이익률(ROA)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기업들의 사회적책임활동성과를 기준으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분류한 후 분석한 결과 하위그룹이 상위그룹보 다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그룹의 자산순이익률(ROA)가 하위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치를 보 였다. 둘째, 사회적책임활동의 성과가 높은 기업들은 자산순수익률(ROA), 기업규모가 높고, 성장률이 낮은 기업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사회적책임활동은 여유자원가설(slack resource theory)을 일부 지지하고 있으며, 자금 여력이 있는 기업들이 사회적책임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활동성과가 대부분 낮은 등급을 받았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활동의 결정요인 분석 시 평균적인 회귀분석결과와 등급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가 상반되었다. 상위등급에 속한 기업들은 일부 해외 기업들과 비슷한 행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규범에 맞추어 생산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 사회적 책임활동에 투자가 필요하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d relationship between CSP(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performances) and financial performances of publically traded companies in KRX(Korea Exchange Market). The empirical analysis period was from 2011 to 2016.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Social Performance(CSP). The significance of CSP is ever emphasized with increasing interests to implement in the firm operations by the fact that firms need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being as a part of it and to meet the demands and expectation of its stakeholder in the society. CSP is measured in three sections, corporate governance, soci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Three performances are summed up and evaluated to ES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CSP was negatively related to both corporate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ROA and market – adjusted return. ESG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OA however, when classified into higher and lower group, companies classified to high ESG had higher performance measures compared to those of lower ESG group. Second, high CSP companies had financial features of higher ROA, larger the size and lower growth. This supports the idea of slack-resource theory that firms with extra financial capacity have resources to spare on the CSR. Lastly, the outcome of marginal analysis implies, as the poor CSP firms showed opposite results compared to high rated firms, that determinants of CSRmay change in the future if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CSR and if they find CSR as a critical strategic implementation. Considering recent trend of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CSR activitie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SR by many internationally qualified institutions, Korean firms need to seek structural improvement and build business strategy in terms of CSR.

      • KCI등재후보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에 따른 발생액과 현금흐름의지속성과 가치평가의 효율성

        김태완 한국세무회계학회 2018 세무회계연구 Vol.0 No.58

        The study not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a net function such as increased management performance, increased profit persistence, and improved firm values. Therefor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effects for participants in capital markets. As with previous studies, The net profit of this term included a implication of future profits in profit and capital market investors believed that such a implication would be reflected in the firm valuation. And in this proces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in capital markets, and they were ver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t profit of a company with excellent social responsibility has additional informational effects on profit persistence. In view of these results, social responsibility will be a strategic factor in the sustainable growth of businesses. This is a result consistent with the preceding study.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dividing profit into components of the accruals and the cash flows. Similarly, the better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more significan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profit, both the accruals and the cash flows, were analyzed. Depending on the excell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sustainability of firm performance is differentially.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of the firm’s value for the net profit, accruals and cash flows of a goo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size adjusted return of this term(t). In addition, the next rate of size adjusted return(t +1) identified negative significance for those entities whose social responsibilities were not good. The better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better the valuation of capital market investors by the persistence of net profit. Third, the efficient assessment of market investors was confirmed by expanding the study of the relevance of firm 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ially implication of future earnings persistence by this term’s net profit.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ssessment of the capital market of profits, accruals and cash flows of firms with excellent social responsibility is efficient.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capital market was established by companies with excellent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the net profit of firms with poor social responsibility were analyzed for market overload valuation errors.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responsibility was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differentially persistence implication of future profits in net profit, accruals, cash flow, and quality of profit(persistence of profit).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전략적 활동으로서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경영성과인 이익과 발생액, 현금흐름의 지속성에어떤 정보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책임활동이 이익성과의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다. 여기서 이익구성항목인 발생액(accruals)은 반전하는 속성이 있으며, 현금흐름(cashflows)은 이익의 질(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책임활동의 영향을 세련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발생액은 현금흐름이 갖는 인식시점과 대응의 문제를 완화시켜 기업의 성과를 적절하게 나타내기도 하지만 재량성이 있어인위적인 원가배분으로 가치흐름을 왜곡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는 Xie(2001)의 선행연구를바탕으로 이익을 발생액과 현금흐름으로 구분하고 이들 변수들의 미래성과 지속성, 기업가치(수익률) 간의 관계에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차별적인 정보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은 사회적 책임활동이 미래성과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는 것과 함께 자본시장에서 올바르게 가치평가에 반영하는지 밝힘으로써 사회적 책임활동의 인식과 평가의중요성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은 기업의 발생액과 현금흐름이미래이익성과에 양(+)의 유의적인 영향이 분석되었다. 사회적 책임활동은 영향은 현금흐름에 대한 미래성과 지속성이 발생액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은기업의 현금흐름과 발생액에 대한 미래이익정보효과가 더 크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회적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미래이익, 현금흐름, 발생액의 변동성을 줄이고, 지속성을 높이는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은 기업의 발생액과 현금흐름은 당기 가치평가에 있어 유의적인 양(+)의 결과가 나타났지만, 차기 평가에서는 사회적 책임활동의수준이 낮은 기업에 있어서만 유의적인 음(-)이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낮은 기업은 가치평가에 있어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본시장 효율성 평가 결과에서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은 기업의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결합변수, 사회적 책임활동은 가치평가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사회적 책임활동의 영향력이 주식가격결정에도 충분히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낮은 기업의 현금흐름과 발생액은 자본시장 과대평가의 오류가 분석되었다. 이런점에 비추어 볼 때, 사회적 책임활동의 수준이 높은 기업의 경우 현금흐름과 함께 발생액의특성을 고려했을 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본시장 가치평가에 있어서도 충분한 정보로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별적 자본시장반응

        김태완 ( Kim Tae-wan ),김진우 ( Kim Jin-woo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8 세무회계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CSR)의 등급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별적인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주식가격결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킨다는 점에서 경영성과의 지속성(이익지속성)과 연관지을 수 있다. 그리고 자본시장은 경영성과의 지속성의 특성을 주식가격결정에 충분히 반영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이 모범적인 기업의 경영성과 지속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과 비교했을 때 회귀계수값이 유의적으로 양(+)의 관련성이 더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1>이 지지되었다. 즉,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경영성과의 지속성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책임활동의 유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었다. 즉, 사회적 책임활동이 우수하다는 것은 근로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게 하며, 협력사 및 경쟁사의 관계에서도 공정거래, 부패방지를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며, 소비자와의 관계에서도 공정거래, 소통으로 기업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참여, 지역경제발전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는 예상과 일치하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우수한 기업의 경영성과 지속성을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주식가격결정에 효율적으로 반영할 것이라는 <가설 2> 검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자본시장참여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의 경영성과 지속성에 대해 효율적으로 주식가격결정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도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의 지속성에 대해 과대평가 오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여부에 관계없이 주식가격결정에 과대평가하는 오류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책임활동의 경영성과 지속성의 특성을 주식가치평가의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보는 대용치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은 이러한 특성을 주식가격결정에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ory persistence of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determination of stock price in the capital marke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may be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e of business performance in that it increases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an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irst, the persistence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company for which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model, may be associated with a larger number of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Conversely, for businesses with a low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a significant positive(+), but it is a low value. Thus, hypothesis 1 was supported. Second, the sustainabil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for companies with high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SRs) will be effectively determined by 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by stock price. This is hypothesis tw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spricing was generated to overvalue the persistence of managerial achievements, so 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were unable to effectively refl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the stock price determination.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can be used as a proxy for exami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any.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이지윤(Lee, Ji-Yun),전홍민(Chun, Hong-Mi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서 사례분 석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최초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기업에게 의무도입하게 한 국가이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의무 도입한 국가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인도네시아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발히 추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기업 중 CJ와 삼성전자는 활발 하게 인도네시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 동과 관련된 수상을 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의무 도입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본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 결과, CJ와 삼성전자는 인도네시아에서 공유가치창출을 통한 성공적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하였 던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 중 활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보다 최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인도네시아에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 혹은 인도네시 아에 이미 진출을 한 기업 중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게 인도네시 아에서 성공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donesian firm 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ereafter we called CSR) focusing on Korean firms. Indonesia conduct law which is related to obligation of CSR for indonesian corporate firms. So this paper examines why Korean firms go to indonesia and if Korean firms are good at CSR activity in indonesia then we want to find the specific case study to find the successful story for the Korean firms. Indonesia is the good place to research about CSR activity because indonesia is the first country to adopt CSR obligation law so this can be the good research setting. This paper choose CJ and Samsung electronics for their successful case story in Indonesia. In Indonesia, CJ and Samsung electronics conduct Corporate Shared value(Hereafter we called CSV) strategy which is different from CSR. So this CSV strategy can be the more refined strategy compare to CSR. So in this paper, we want to research more about successful CSV case study which is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in Korea. This paper may shed some light to the interested firms that wants to go to the Indonesia or India which country adopt mandatory CSR activity.

      • KCI등재

        소비자가 지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따른 기업명성, 기업신뢰 및 행동의도의 관계 분석 : CSR진정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주윤황,조희영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4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도 윤리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기업의 윤리적인 부분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많은 기업들에 있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전략적인 중요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업이 단순하게 기부와 같은 행동에서 넘어서 기업이 지니고 있는역량과 사회적 요구를 연결하는 전략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따라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명성이나 신뢰 및행동의도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전략적 활용에 의미 있는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인 환경보호 활동, 사회공헌 활동, 지역문화사업활동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기업이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활동이라기 보다는 당연히 수행해야하는 활동으로 인식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업은 지극히 당연하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자들은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해당 기업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해 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적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프리미엄 가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기꺼이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전략적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명성을 통해 형성된 기업신뢰는 소비자와의 장기적인 관계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형성된 기업명성과 기업신뢰는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 수단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전략적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명성 제고 및 기업신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매출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진정성이 어떤 목적이나 타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회발전과 더불어 기업의 성장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진정성을 갖고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사회적 책임활동만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은 전략적으로 기업의 특성에 맞는 사회적 책임활동뿐만 아니라 기업명성과 기업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Today, the importance of ethical management is widely recognized in Korea,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t the center of the ethical part of the company. For many compan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ic importance. Recently, the company has evolved from a simple donation-like action to a strateg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that connects the company's capabilities and social needs. According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erceived by consumers and corporate reputation, trust, and intention to draw meaningful suggestions for strategic utiliz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analyzed that consumers perceiv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local cultural business activities, which a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s activities that must be performed rather than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hould be undertaken. Second,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trust the company when it plays a role as a corporate citizen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refore, strategic marketing activities are needed to increase trust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hich will prevent customers from leaving and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y are willing to purchase products or services of companies that perfo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even at a premium price. It seems to require strategic utilization of this. Fourth, corporate trust created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reput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Fifth,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trust formed b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uggest that it is a strategic means to improv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It also sugges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no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trust, but also contribute to corporate sales. Sixth, since the sincerit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not based on any purpose or any other cause, only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at are genuine and voluntary in terms of pursuing corporate growth along with social development will enable the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It suggests that. Lastly, it is judged that companies should continue to carry out activities that can strategically improve their corporate reputation and trust as well a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내유보이익, 현금보유율, 현금배당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물류 유통기업을 중심으로-

        임대규 ( Dae Kyu Lim ),최영문 ( Young Moon Choi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1 유통물류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물류 유통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사내유보이익, 현금배당과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대용치로 경제정의실천연합(경실련)산하 경제정의연구소에서 매년 발표하는 ‘경실련 좋은 기업상’의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를 사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사내유보이익과 현금배당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의 사내유보이익의 관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적극적인 기업일수록 사내유보이익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적극적인 기업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내유보이익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사내유보이익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내유보이익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을 지지하지 못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현금보유율의 관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현금보유율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현금보유율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지지한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현금배당의 관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위한 투자지출과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배당지급의 판단은 경영자가 판단해야 할 경영의사결정으로 서로 대체재로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사내유보이익은 관련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금보유율, 현금배당에서는 관련성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대용치의 지표에 따라 선행연구와 서로 다른 분석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지표에 대해 공통적인 선정 방식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relate to the entity’s in-corporate retained earnings, cash retention rates and cash dividends. To examine this specifically, the Economic Justice Index (KEJI Index) released annually by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under the Korea Economic Justice Union (KEF) as a substitut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an entity h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t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entity’s in-house benefits. This shows that companies with more in-house profits are more activ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ompanies with activ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value, and short-term in-house benefits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related to in-house profits, just like result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value. Second, the relevance of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the entity’s cash holding rat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cash holding rate was not relevant to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owever, entities with activ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shown a decrease in cash retention rates.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that actively engag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are also decreasing their cash retention rates due to the decrease in asymmetric information. Third, the relevance of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the entity’s cash dividends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The analysis suggests that an entity’s assessment of investment expenditur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dividend payments to maximize shareholder value are not considered alternatives to management decisions to be made by management.

      • KCI등재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 Hee-jung Hong ),박선영 ( Sun-you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3

        본 연구는 인지적 편향을 지닌 과신성향 경영자의 세무적인 의사결정과 기업의 투명성과 사회적 기여를 강조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조세회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경제정의연구소의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치로 활용하고, BTD(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의 잔차로 조세회피를 추정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조세회피에 각각 유의적으로 양(+)과 음(-)의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역량과 의사결정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을 가진 과신성향의 경영자는 적극적인 조세회피행위를 하고, 반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조세회피행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경영자의 과신성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신성향의 경영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조세회피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지 않는 기업에 비해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조세회피와의 양(+)의 관련성을 더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라는 긍정적 요인이 조세회피라는 부정적인 요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사회적 책임활동의 상호작용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과신성향이 높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양(+)의 관계로 나타나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음(-)의 관계로 나타난 것과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과신성향을 억제ㆍ조절하는 효과로 나타나지만, 과신성향이 높은 경우에는 과신성향이 더 우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조세회피의 관련성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경영자의 과신성향 정도에 따른 분석을 통해 조세회피와의 관계에서 역전현상(reverse effect)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투자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과신성향 경영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며 기업의 조세회피 방지 및 탐지 등을 위한 조세정책 마련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We investigate how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ay interact to influence firms’ tax avoidance. We utilize a sample of 3,670 firms KOSPI listed with available information in KIS-Value Ⅲ from 2012 to 2019. We adopt the KEJI index to capture CSR and utilize the residual of BTD to identify tax avoidance activities. We find that managerial overconfid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ax avoid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egatively related with tax avoidance activities, which a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And this study find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may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tax avoidance. Specifically, we find that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reduce in tax avoidance activities when they with overconfident managers are doing mor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addition, we document that there is a change (reverse effect) in the role of interactio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higher overconfidence level. We contribute to this literature by providing evidence on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tax avoidance. In addition, this paper helps investors and policymakers understand firms’ decision-making processes with regard to tax a voidance.

      • KCI등재

        다국적기업의 현지시장지향성과 제도적 거리가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에 미치는 영향

        고제경,최원용,박철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5

        Alth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SR) are generally known to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build favorable relationships with governments and communities, increase brand value, and improve consumer loyalty,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examining CSR activities conducted by foreign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MNCs) in host countries. In order to build favorable relationship with its local stakeholders and gain legitimacy in its host country, foreign subsidiaries have a strong incentive to develop CSR activities. However, since the CSR activities of the subsidiaries are strategic decisions at corporate level, the MNC’s overseas expansion strategies are likely to affect the subsidiaries’ CSR activities. In other words, when MNCs have local market orientation, subsidiaries are more likely to conduct CSR activities. In addition, they are more likely to implement CSR activities when the institutional distance between home and host countries is farther to reduce the cost of doing business abroa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se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foreign affiliates engaged in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in Korea. We conducted a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using a sample of 1,239 observations from 193 foreign subsidiaries of MNCs in Korea during 2002 to 2016.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local market orientation, which is measured by the availability of Korean website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SR activities in the host country. In addition, the study find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distance and CSR activities in the host country. Lastly, the result shows that institutional distance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market orientation, which is measured by advertising intensity, and CSR activities in the host country.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CSR activities of MNCs in the host country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market orientation and CSR activities of MNC’s foreign subsidiaries.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일반적으로 재무성과 향상, 정부 및 지역사회와의 원활한 관계 형성, 브랜드 가치 증가, 소비자 충성도 향상 등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다국적기업의 자회사가 현지국가에서 벌이는 사회적 책임 활동 관련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현지국의 정부, 사회, 고객과 원활한 관계 구축이 필수적인 다국적기업의 자회사는 위와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현지에서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할 유인이 크다. 다만 자회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전략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이는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은 현지에서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국과 현지국 간의 제도적 거리가 멀수록 외국인 비용 감소 동인이 커질 것이므로,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에 따라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거리가 현지시장지향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내 도·소매업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자회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2006년에서 2016년까지 193개 기업의 1,239개 관측치를 분석한 결과, 현지시장지향성(한국어 홈페이지)이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국과 현지국 간의 제도적 거리는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광고집중도와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에 대하여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과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속성이 기업의 미래 투자활동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대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미래 투자활동과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재무성과(총자산순이익률, 유동비율, 부채비율, 매출액성장율)과의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대용치로 경제정의실천연합(경실련)산하 경제정의연구소에서 매년 발표하는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를 사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향상을 위한 투자활동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투자활동과 재무성과의 가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정의지수와 기업의 투자활동의 관련성에서 광고선전비,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 향상을 위하여 어떤 투자활동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관한 판단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투자활동이 경제정의지수(기업의 사회적 책임)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가설 1A을 지지한다. 둘째, 경제정의지수와 기업의 투자활동의 광고선전비,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와 t-1년도의 변수를 대비하여 차이 계산의 범위를 2년으로 확장한 관련에서는 광고선전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지만,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는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기업의 현재의 마케팅(광고선전비) 활동은 현재 및 미래의 마케팅 성과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이론을 지지한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투자활동 지속성에서 경제정의지수(기업의 사회적 책임)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가설 1B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셋째, 수익성비율(총자산순이익률(ROA)), 유동성비율(유동비율(LIQ)), 안정성비율(부채비율(LEV)), 성장성비율(매출액성장율(SLS))과 t-1년도의 변수를 대비하여 차이 계산의 범위를 2년으로 하여 재무성과의 지속성 관련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차이분석 결과 유용한 정보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nceforth CSR) and firms’ future investing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 promoting sales, training financial performances.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at is relation between CSR and Firms’ investing activities(advertisement, promoting employees’welfare, and training and develop ment of employees). CSR level and advertisement, promoting employees’ welfare,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of employees show significant associations after controling the firms’ characteristics such as firm size. Second,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at is relation between CSR and Firms’ Future investing activities(advertisement, promoting employees’ welfare,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of employees). CSR level and advertisemen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s. The results suggest a strategic guidance for managers who are exploring ways to improve CSR, and support the contention that current marketing activities cumulatively determine future as well as current marketing accomplishments(Slotergraaf, Moorman and Inman 2003). Third,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at is relation between CSR and Firms’ Future Financial ratio(Growth ratio, Liquidity ratio, Safety ratio, and Profitability ratio). CSR level and Firms’ Future Financial performances show no significant association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내유보이익, 현금배당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임대규 ( Lim Dae Kyu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사내유보이익, 현금배당과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대용치로 경제정의실천연합(경실련)산하 경제정의연구소에서 매년 발표하는 ‘경실련 좋은 기업상’의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를 사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사내유보이익과 현금배당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의 사내유보이익의 관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사내유보이익이 많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적극적인 기업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내유보이익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사내유보이익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내유보이익은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을 기각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현금배당의 관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기업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위한 투자지출과 주주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배당지급의 판단은 경영자가 판단해야 할 경영의사결정으로 서로 대체재로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사내유보이익은 관련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금배당에서는 관련성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대용치의 지표에 따라 선행연구와 서로 다른 분석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지표에 대해 공통적인 선정 방식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음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relate to the entity's in-corporate retained earnings, cash retention rates and cash dividends. To examine this specifically, the Economic Justice Index (KEJI Index) released annually by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under the Korea Economic Justice Union (KEF) as a substitut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an entity h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t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entity's in-corporate retention profit. This shows that companies with more in-corporate retention profit are more active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ompanies with activ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value, and short-term in-corporate retention profit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related to in-corporate retention profit, just like result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value. Second, the relevance of the entity'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o the entity's cash divide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The analysis suggests that an entity's assessment of investment expenditur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dividend payments to maximize shareholder value are not considered alternatives to management decisions to be made by management.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expansion of the data of companies (the economic definition index of more than 180 companies) that are not officially published other than 200 companies each y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