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선율사와 율종계보에 대한 논의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가 전승해오고 있는 율종과 그를 완성시킨 도선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이 시대에 맞는 진정한 율맥의 전승은 무엇이며, 율 계보의 필요성에 대해 숙고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고찰의 결과, 남산도선(南山道宣:AD.596-667)은 사분율 이 중국불교에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힘썼던 인물이라는 것이 그의 생애나 저술활동 등을 통해 밝혀졌다. 중국에서는 구마라집(鳩摩羅什:AD.344-409)을 중심으로 한 십송율 이 가장 먼저 번역되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성행하였다. 그러나 다른 율장들이 번역됨에 따라 율장의 비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에 힘입어 가장 잘 정비되었다고 하는 사분율 이 율종의 구심점이 되었던 것이다. 지역적으로 보면, 남부지역에서는 십송율 , 관중(關中)지역에서는 마하승기율 의 연구가 활발하였다. 뒤늦게 자리 잡은 사분율 은 초기에는 그다지 연구되지 않았다. 다만, 그 후 계율연구가 점차 활기를 띠게 되고, 율종이 성립되면서 사분율 의 연구가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어갔다. 그런 반면, 그 외의 율장은 점점 그 지위를 잃어가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비교적 늦게 연구되어진 사분율 은 법총(法聰)이 깊이 연구하면서 율종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혜광(慧光)이 더욱 융성시켰는데, 그에 힘입어 법려(法礪)의 상부율종(相部律宗), 회소(懷素)의 동탑율종(東塔律宗), 도선의 남산율종(南山律宗)이 성립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법원(法願)을 개조로 하는 병부율종(幷部律宗)이 사분율종의 한 파를 이루었다. 하지만 모든 율종이 다 지속적으로 율맥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대부분 한쪽으로 통폐합되거나 힘이 미약해져 자멸해갔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도선의 남산율종만큼은 제도화된 승가집단으로서 중국불교의 기반 위에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불교 또한 그러한 남산율종의 영향권 아래에 들어있다. 이와 같이 성립된 남산율종은 지금까지도 그 계보가 전해진다. 일반적으로 족보나 계보라고 하는 것은 스승의 권위를 중시하는 제자들이 스승에게 인정받기를 염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또 옛것을 숭상하고 스승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태도가 만들어낸 것이기도 하다. 율종계보를 만들어 명단을 나열하고, 그 계통을 주장하는 행위가 곧, 나와 내 스승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가치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계보중심의 사고는 종파주의로 인해 복합적이고 다양해진 불교정체성을 단순화시켰다. 그리하여 조직화된 승단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했고, 오랜 전통의 불교사를 더욱 빛나게 해주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종교집단이 가진 지나친 계보중심의 태도는 오히려 잘못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특정인들에 대해 배타적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 불교 본래의 가르침과는 무관하게 말이다. 따라서 자신이 소속된 문중의 율맥을 강조하기 보다는 계율정신의 회복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이해관계를 떠난 불교계율의 보편적 가르침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현실적으로 더 바람직한 종교인의 자세가 될 것이다. First of all this thesis is written in the purpose to look into the Vinaya School that the today Korean Buddhism has handed down and Tao-hsüan(道宣:AD.596-667) that was completed it. Also it considered what the true tradition of Vinaya genealogy for this generation is and about the necessity of Vinaya genealogy. As the result of contemplation, which Tao-hsüan was figure trying for Ssŭ-fen lü 四分律(T1428) to build the firm position in the China Buddhism was discovered through his life and work. In China Shih-sung lü 十誦律(T1425) focused on Kumārajīva(鳩摩羅什: AD.344-409) was not only translated uppermost but also was prevalent earlier. However at translation of another Vinaya Pitaka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Vinaya Pitaka was made actively and Ssŭ-fen lü 四分律(T1428) that organized the best with the support of this became pivot of the Vinaya School. Looking into the regional, the study of Shih-sung lü 十誦律(T1425) in the south area, Mo-ho-seng-ch'i lü 摩訶僧祇律(T1425) in the middle area was active. Just after that, precepts study being active gradually and the Vinaya School being valid the study of Ssŭ-fen lü 四分律(T1428) was enlarged around the north area. Whereas other Vinaya Pitaka became lost its position by degrees. Every Vinaya School continuously didn't keep Vinaya genealogy. Mostly they became merged to one side or destroyed themselves being weakened. When it happened only the Nan-shan School of Tao-hsüan was occupied with the firm position on the base of China Buddhism as the institutionalized Buddhist group. Korea Buddhism was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n-shan School The Nan-shan School established like this handed down the genealogy until now. Generally something like pedigree or genealogy was started from the mind longing for pupils placing emphasis on the authority of teacher to stick from the teacher. Also the attitude of chinese to revere the old and raise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made this. The deed that made and listed the Vinaya School genealogy and insisted the system was which became the value to emphasize legitimacy of me and my teacher. This idea of genealogy focus made the Buddhism identity that was compositive and varied because of religious principle simple. And then it played a part to make the organized Buddhist monk group and made the old traditional Buddhism history illustrious. Though the excessive attitude of genealogy focus builds the wrong connection and is concerned to work exclusively about the certain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original lesson of Buddhism. Therefore we shouldn't place emphasis the Vinaya School of family but keep the accent on the recovery of religious precepts mind. In other words, the suggestion of the universal lesson of Buddhism religious precepts is more important. And right this will be the attitude of desirable religion practically.

      • KCI등재

        신라 中古期 三綱制의 시행과 그 기능

        김영미(KIM YOUNG MI)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본고에서는 사료의 한계로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신라 三綱制의 시행 배경과 그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찰의 삼강은 寺主 上座 悅衆(維那 直歲 등)으로, 삼강제는 신라 불교사에서 국가의 승단관리가 각 사찰에 실현되는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중대 초기에 사찰에 삼강이 존재했음이 확인되는데, 삼강 설치의 필요성을 中古期 慈藏의 활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續高僧傳』 慈藏傳에서 자장이 설치했다고 언급한 綱管은 각 사찰의 上座나 寺主 등을 가리키고, 그들은 승려들의 기강을 관리하였다. 신라에서 이들 寺任을 맡은 삼강 특히 上座와 維那가 필요했던 이유는 자장이 시행했다고 한 ‘半月說戒’ 곧 布薩의 설행에 그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이다. 포살은 계율에 규정되어 있으며, 봄과 겨울에 거행한다. 그리고 승려들이 界를 설정한 곳에 반달마다 모여 그동안 계율을 어겼는지를 점검한 후 참회하고 戒本을 암송하는 의식이다. 이 의식에서 상좌는 모임을 주도하고계를 설하며 유나는 의식의 진행을 맡는다. 따라서 자장이 시행한 강관의 설치, 半月說戒, 봄 겨울의 시험을 통해 승려들에게 계율을 지키고 범함을 알게 한다는 것이 모두 포살의 시행을 의미한다. 이러한 포살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서는 道宣이 찬술하고 정리한 『四分律?磨』, 『四分律行事?』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비구 250계 비구니 348계의 항목을 정리한 戒本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자장은 『四分律?磨私記』를 찬술하여 포살 등 승단에서 거행하는 의례의 절차를 풀이하고 이 의식을 정착시켰다. 그리고 포살을 시행해 승려들에게 계율을 지키도록 지도하는 데 상좌와 유나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즉 포살을 시행하기 위해 자장은 강관인 삼강을 사찰에 설치했다.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and role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三綱制) of Silla period that has been an object of argument due to the limited historical materials. The three directors system of temple are abbot(寺主, the temple head), head monk(上座, the highest ranking monk) and rector(維那, the manager of temple affairs). This system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government temple administration in the Silla Buddhist history. The existence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 is found around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la. The necessity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 can be found in the activities of Jajang(慈藏) around the middle of ancient Silla(中古期). The gang-gwan(綱管, inspector) referred in the biography of Jajang in the Xu gaoseng zhuan(續高僧傳, the Continued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had the same function as head monk or abbot who controled the discipline of monks. The reason why the role of head monk and rector especially necessary was that their role was very important in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布薩, Skt. po?adha) held every two weeks to explain the precepts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nfession(半月說戒).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is stipulated in the Vinaya(戒律, precept and rule) and held both at the spring and winter times. Monks gathered together at the place where the precepts were set up and inspected whether they violated the precepts. If they violated the precepts, they repented the violations and recited the manual of the precepts. The head monk leads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and preaches precepts while the rector is in charge of the ceremony.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gang-gwan, the meeting every two weeks to explain the precepts and the precept examinations held both spring and winter for the monks signify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In order to perform the ceremony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both Sifenlu jiemo(四分律?磨) and Sifenlu xingshi chao(四分律行事?) written by Daoxuan(道宣) was required. In addition to that, the manual of the precepts(戒本pr?timok?a) that summarized the 250 rules of moral conduct for bhik?u precepts and 348 rules for the nun’s precept was also necessary. So Jajang compiled the Sabunyul-galma-sagi (四分律?磨私記)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the ceremonies, including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by the Buddhist order and established the ceremony procedure. And the role of head monk and rector was very important for the monks to keep precep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So Jajang established the gang-gwan i.e. the three directors in temples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 KCI등재

        新羅 慈藏의 戒律활동과 전법

        양숙현(설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The Shilla Buddhism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and center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jang Jeongyul(定律: to decide rules)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oday's Korean Buddhism. Despite of many preceding researches on Jajang,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verify that Jajang's Vinaya activities is succeeded by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s ordination content of the current Jogye Order. Accordingly, attempting to conduct such a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hilla Jajang's vinaya activities and propagation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become a member of Sangha only through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the Tongdo Templ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Jajang, has an enormous meaning as the basic Bodhi-mandala. I suggest that the current single ordination platform is not so much a historically important structure as, to date, the evidence showing the views of Sila and Vinaya initially expressed through the platform. Jajang's Vinaya a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First, contemplating the human skull and the five basic precepts before his stay in Tang. Next, the complete precepts and the ordination ceremony for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at the feast given to monks. Finally, preaching on Mahayana argument(大乘論), exposing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 to the fourfold assembly(四衆), giving an exposition of precepts at the end of half month as Chief Abbot of State (大國統) and establishing the ordination platform which enshrined sacred relics and kasaya at the Tongdo Temple. Here, the fourfold assembly represents Upasampada (具足戒: the full precepts) which doesn't exist in the Mahāyāna Vinay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are from the Mahāyāna Sutra. These facts indicate both the Mahāyāna and Hinayana Vinaya were practiced. As the Mahāyāna and the Hinayana were simultaneously practiced in the Ancient Shilla, Dharmagupta(ka)vinaya (四分律) as the Hinayana Sutr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梵網菩薩戒經: 菩薩戒本) as the Mahāyāna Sutra are simultaneously used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he current Order in a similar way. The system has been originated from Shilla Jajang.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Jajang Jeongyul has been inherited to today's single ordination platform. In recent years, the early Buddh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Mahayana Buddhism. Keeping such a trend in mind,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 not an exclusive on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rder. 신라불교는 한국고대기의 원류이자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자장의 계율정립 또한 현대 한국불교 단일계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자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신라자장의 계율행이 현 조계종 단일계단의 수계내용으로 이어짐을 보인 연구는 없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이 승가의 일원이 되려면 반드시 계단에서의 수계의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장이 수계의식의 근본 도량인 통도사 계단을 창설한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본고는 조형물로서 계단의 의미보다 통도사 戒壇定礎의 계율행이 현재 단일계단에 면면히 내려오고 있음을 보고자 한다. 자장의 계율활동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울 수 있다. 자장은 입당 전 고골관과 五戒, 입당해서는 대승계와 대재의 출가授戒를 하였으며, 귀국 후 대승론을 강하고 四衆에게 보살계본을 설했다. 그리고 대국통으로서 반월설계를 시행하고 통도사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계단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사중이 존재했음은 대승율에는 없는 구족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살계본은 대승계경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자장은 대소승율을 겸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신라에서 대소승을 겸수한 바와 같이 현 종단의 단일계단에서도 소승계인 사분율과 대승계인 범망경보살계를 겸수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자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자장의 계율정립이 지금의 단일계단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근래에 들어 대승불교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서로 배타적이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종단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본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신라(新羅) 자장(慈藏)의 계율(戒律)활동과 전법

        양숙현 ( Sook Hyeon Y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신라불교는 한국고대기의 원류이자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자장의 계율정립 또한 현대 한국불교 단일계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자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신라자장의 계율행이 현 조계종 단일계단의 수계내용으로 이어짐을 보인 연구는 없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이 승가의 일원이 되려면 반드시 계단에서의 수계의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장이 수계의식의 근본 도량인 통도사 계단을 창설한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본고는 조형물로서 계단의 의미보다 통도사 戒壇定礎의 계율행이 현재 단일계단에 면면히 내려오고 있음을 보고자 한다. 자장의 계율활동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울 수 있다. 자장은 입당 전 고골관과 五戒, 입당해서는 대승계와 대재의 출가授戒를 하였으며, 귀국후 대승론을 강하고 四衆에게 보살계본을 설했다. 그리고 대국통으로서 반월설계를 시행하고 통도사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계단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사중이 존재했음은 대승율에는 없는 구족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살계본은 대승계경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자장은 대소승율을 겸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신라에서 대소승을 겸수한 바와 같이 현 종단의 단일계단에서도 소승계인 사분율과 대승계인 범망경보살계를 겸수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자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자장의 계율정립이 지금의 단일계단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근래에 들어 대승불교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서로 배타적이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종단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본다. The Shilla Buddhism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and center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jang Jeongyul(定律: to decide rules)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oday``s Korean Buddhism. Despite of many preceding researches on Jajang,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verify that Jajang``s Vinaya activities is succeeded by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s ordination content of the current Jogye Order. Accordingly, attempting to conduct such a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hilla Jajang``s vinaya activities and propagation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become a member of Sangha only through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the Tongdo Templ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Jajang, has an enormous meaning as the basic Bodhi-mandala. I suggest that the current single ordination platform is not so much a historically important structure as, to date, the evidence showing the views of Sila and Vinaya initially expressed through the platform. Jajang``s Vinaya a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First, contemplating the human skull and the five basic precepts before his stay in Tang. Next, the complete precepts and the ordination ceremony for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at the feast given to monks. Finally, preaching on Mahayana argument(大乘論), exposing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 to the fourfold assembly(四衆), giving an exposition of precepts at the end of half month as Chief Abbot of State (大國統) and establishing the ordination platform which enshrined sacred relics and kasaya at the Tongdo Temple. Here, the fourfold assembly represents Upasampada (具足戒: the full precepts) which doesn``t exist in the Mahayana Vinay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are from the Mahayana Sutra. These facts indicate both the Mahayana and Hinayana Vinaya were practiced. As the Mahayana and the Hinayana were simultaneously practiced in the Ancient Shilla, Dharmagupta(ka)vinaya (四分律) as the Hinayana Sutr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梵網菩薩戒經: 菩薩戒本) as the Mahayana Sutra are simultaneously used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he current Order in a similar way. The system has been originated from Shilla Jajang.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Jajang Jeongyul has been inherited to today``s single ordination platform. In recent years, the early Buddh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Mahayana Buddhism. Keeping such a trend in mind,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 not an exclusive on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rder.

      • KCI등재

        부정관(不淨觀) 폐해에 대한 경율 간 상위 고찰

        강명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4 불교문예연구 Vol.4 No.-

        부정관(不淨觀)은 수식관(數息觀)과 더불어 초기불교의 핵심적인 붓다의 수행법 중 하나이다. 비구들의 욕심, 특히 성적 욕심의 제도 를 목적으로 했던 부정관은 몸의 36가지의 부정물을 관찰하고, 무덤 가에서 여러 시신부패의 모습과 변화의 모습을 보고 이를 통하여 자 신을 안으로 관찰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초기불교의『염처경』등 여 러 경전에서는 몸의 부정을 관찰하는 부정관 관법을 내신(內身)을 중 심으로 하여 시설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관이 폐기되고 안나반나염(安那般那念)이라는 새로운 수행법이 시설되는 계기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교단 내 큰 사 건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즉 부정관을 닦는 비구들이 부정관을 열심 히 수행한 결과, 피와 고름이 흐르는 등의 몸의 현상을 경험하고 몸을 극도로 싫어하게 되어서 자살에까지 이른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사건의 시발은 부정관을 열심히 닦던 한 비구가 옷과 발우를 주겠다 는 조건으로 다른 사람을 시켜 자신을 죽여 달라고 부탁한 것에서 비 롯된다. 살해자는 자신의 행위를 처음에는 후회하나 천마(天魔)의 권 청으로 살해가 오히려 비구를 열반시킨 것으로 착각하여 수행처 곳곳 을 다니며 몸의 현상에 괴로워하던 비구 60명을 죽이게 된다. 그러나이사건의일화를기록한『잡아함경』제29권,『 마하승기율』 제4권,『 사분율』제2권,『 오분율』제2권,『 십송률』제2권,『 근본설일 체유부비나야』제7권은 그 전모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기록하고 있으 나 결정적 내용에서 다르게 기술하고 있다. 사건의 전개과정과 시설처, 붓다의 부정관 찬탄, 비구들의 자살의 형태, 천마의 권유, 60명의 비구의 살해에 대해서 약간의 차이를 보 이며, 60명의 비구를 살해한 살해자의 신분은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 참혹상에 대한 재가자들의 비난내용은『사분율』을 제외한 다 른 경전과 율전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사건의 전개과정을 밝힌 부정관의 일화 속에서 본 논문은 당시의 수행상과 더불어 사건의 시설처, 주체, 부정관의 폐해상을 상세하게 밝혔다. 특히『사분율』제2권은 다른 경율과 다르게 60명 비구의 살 해자가 바라문과 외도, 전다라가 아닌 물력가난제(勿力伽難提) 비구 라고 밝히고 있으며, 참혹상을 본 재가자들의 비난의 소리도 생생하 게 밝히고 있다. 여기에서 상좌부를 제외한 각 부파 교단은 교단내의 엄청난 살해사건을 숨기고 싶었던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s´ubhabha-vana- is one of the main ways to practice meditation with ana- pa-nasmr.ti in early buddhism. The aim of as´ubhabha-vana- is getting rid of bhikkhu's anger and sexual desire. The way of as´ubhabha-vana- is to see decayed dead bodies in the crematorium, and then to meditate the body of himself, thinking that my body is the same with the dead bodies in the crematorium. But There was a big scandal which became a reason that as´ubhabha-vana- was substituted by ana- pa-nasmr.ti. Bhikkhus who praticed as´ubhabha-vana- became to dislike their body and, at last, reached to want to kill themselves. At that time, one bhikkhu couldn't kill himself asked a man to cut his neck to death, and promised to give his cloth and dish as the reward of killing himself. Just as soon as the man killed the bhikkhu, he regretted his doing, but the devil appeared, and praised his doing as helping the bhikkhu's nirvana. The man misunderstood his doing as good one, and killed 60 bhikkhus who wanted to kill themselves round the forest where bhikkhus practiced. This incident was reported in『 Sam.yukta-gama;p_Sam.yutta-nikaya 』vol.29., 『Maha-san . gha-vinaya』vol.4., 『Dharmaguptavinaya 』vol.2, 『Mahis´asaka- vinaya』vol.2., 『Das´adhyayavinaya 』vol.2., 『Mu-la-sarvastivada- vinaya』vol.7. but the some parts of story didin't coincide in each texts. The texts reported commonly the basic outline of the incident, dharma talking place, Buddha's praising as´ubhabha-vana-, bhikkhu's suicide, the devil's appearing and praising on killing bhikkhu, 60, the number of bhikkhus to be killed. But the killer's caste was reported differently in each texts. And the blame of society was not reported in any texts except 『Dharmagupta-vinaya』. This paper studied deeply on the place where the incident was broken, main characters of the incident, and the bad effect of a´subhabha-vana-, focusing on this story that a man cut bhikkhu's neck to death. Especially, only『 Dharmagupta-vinaya』vol.2. said that the killer was a bhikkhu called Mr.gadan.d.ika, but all other texts said the killer was a brahman. a, or a practicer out of buddhism, or a outcast, and 『Dharmagupta-vinaya』vol.2. showed vividly the blame of society and laity. In this point, we could guess that all buddhist orders except the sthavira order would have wanted to cover this big scandal of a killing case of bhikkhus.

      • KCI등재

        치유 공간으로서의 한국고대 사찰-신라 흥륜사를 중심으로-

        이현숙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Buddhist temple of Silla became a healing place as the Christian monastery was in medieval Europe. It is based on The Dharmaguptaka Vinaya, known in Chinese as the Sifen lü 四分律 (Vinaya in four parts), and Heung-ryun-sa Temple 興輪寺 of Silla, which was served as a healing space for sick persons from the 6th century. The Sifen lü became an important regulation in Buddhist life as an aristocrat Buddhist monk Za-jang 慈藏(590-658), who had returned from Tang China in 643. He emphasized the disciplines of Upavasatha 布薩 in the daily life of Silla Buddhist monk after he had got the power. In the Sifen lü, there were the regulations of nursing person Kanbing jie 看病戒 and sick person Bingren jie 病人戒. This made Buddhist monk as a healer and Buddhist temple became a kind of hospital as a place of healing and treating sick people. Therefore, not only the royalties and aristocrats but also commoners and the poors wanted to get healing in temple. Having a large space, temples had gradually become the center of healing disease in Unified Silla(676-935). For example, the Heung- ryun-sa Temple, was believed established for the first temple in Silla as an compensation of curing princess in 5th century. In the reign of Queen Seondeok 善德女王(rg. 632-648), Milbon an Esoteric Buddhist monk got the power of Heung-ryun-sa Temple through the treatment of the Queen with the Sutra of Bhêchadjaguru 藥師經. According to a legend of Samguk-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 fermented paste of Heung-ryun-sa cured the people who had got bitten by tiger. It reveals that Silla temple use to provide medicine to sick person. According to a stone inscription of the late 9th century, Heung-ryun-sa Temple had a master of incarnation 呪師. It reminds me that in East Asia, Buddhist monk was allowed to do incarnation because it costed very cheap to treat people as well as solving problems of people who could not afford to taking expensive medicine. 본고는 동아시아 사회에서 사찰이 서양 중세의 기독교 수도원과 같이 질병을 치료하는 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는 인식 하에, 한국 고대 사찰이 치유의 공간의 역할을 하였던 점을 사분율과 흥륜사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분율은 당에서 귀국한 자장이 신라 사찰 내에 중국의 삼강제와 포살제를 수용하여 규율을 강조함에 따라, 승려생활에서 중요한 법규가 되었다. 사분율에는 간병계, 병인계 등이 있어 사찰내 질병 치유 기능이 중요시 되었다. 이에 왕공 귀족 뿐 아니라 가난한 자들까지 사찰 내에서 치유를 얻고자 하였다. 대형 공간을 가지게 된 사찰은 점차 민간에서 질병 치유의 중심이 되었다. 흥륜사는 신라의 사찰 가운데 치병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이는 밀본법사가 『약사경』으로 선덕여왕을 치료하여 흥륜사를 접수한 이래 치병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사찰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흥륜사의 전통은 신라 하대에도 지속되었다. 주문으로 질병 치유하는 법은 가난한 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이었다. 신라말까지 흥륜사에 呪師라는 직임이 있었던 것은 저렴한 비용으로 질병 치료를 위시하여 속세의 근심거리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한 것이다.

      • KCI등재

        계단축조에 관한 소고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인도에는 간단한 표시와 결계에 의해 계단이 설치되었다. 지금처럼 고정설비를 갖추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달랐다. 중국에서는 탑형식의 특정 모형물이 축조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도선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하는 계단은 그 규모가 인도와는 다른 형태였다. 현장의 역경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었던 도선이 인도풍의 계단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선은 인도풍에 따르지 않고 중국풍의 새로운 계단을 이루어 낸 것이다. 중국불교에 맞는 계율을 평생 모색해왔던 도선은 계단축조에 있어서도 그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발휘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도선의 계단축조는 이후 한반도와 일본열도에도 전해져 현재에 이르기까지 출가수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도사의 금강계단은 도선의 영감계단보다 빨리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렇다고 도선의 영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도선이 최후에 완성했다고 하는 영감계단보다는 이르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주로 계단의 설정방법과 그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실제 현존하는 계단 위에서 수계가 얼마나 이루어졌는지는 의문이다. 대개는 상징적인 축조물로서 남겨두고, 실제 수계는 그 앞이나 법당 등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ordination platform was established by the simple sign and limited area in India. This wasn't in accordance with fixed equipment like now. However it was different in China. There was the specific model of tower style there. Though th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Tao-hsǔan was differentiate from the platform's size of India. It doesn't seems that Tao-hsǔan who participated in the adverse business on the spot didn't know about India style's ordination platform. Although Tao-hsǔan didn't follow the India style and completed new ordination platform of chinese style. Tao-hsǔan tried to find Buddhist percepts which suited for Chinese Buddhism for entire life and he might display originality itself about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The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of Tao-hsǔan is handed down at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chain of islands and used in the disciple of Buddha of Buddhist priesthood. Especially it is highly expected that Tongdosa Diamond Ordination platform had established earlier than Ling-gan ordination platform of Tao-hsǔan. Even if it is affected by Tao-hsǔan, it is completed earlier that Ling-gan ordination platform that Tao-hsǔan finished the last. In this piecemeal consideration, I mainly inspec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ordination platform. However I wonder how many ordinations got accomplished on the existed ordination platform. Nearly this remained to be symbolic structure and real ordination might realize in front of it or the sanctuary etc.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역사·문화적인성격과 대성사 소장 『四分律』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5

        This paper attempt to diagnose a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Printing-Books that was print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analyze into the Printing-Books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A Printing-Book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ve produced at various times, these Printing-Books reflect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ies and personalities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contain within a variety of a historical & cultural personalities. the analytical index have based on bibliographic information & a paper type that included in the Printing-Book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first,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a Printing-Book that was printed the Haein- Temple’s Tripitaka-Woodblock. secondl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made during the Joseon(朝鮮)-Dynasty's King-Sejo(世祖). third, this Printing-Book is marked with the Gaebeopjang-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that represent the divinity and majesty of Buddhist scriptures. fourthly,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reflected King-Sejo's perception of the Goryeo(高麗)-Dynasty. last, this documentary heritage can restore the damaged part of the Dharmagupta-vinaya's volume 47-50 that contained in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can also diagnos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woodblock. Key Word :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the King-Sejo(世祖), the Printing-Books, the Daeseong-temple(大成寺), The Dharmagupta-vinaya(四分律) 이 글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현존 인출본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진단한 다음, 보물 제1943호로 지정된 『사분율』의 인출본을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해인사대장경판의 인출본 가운데 고려말기~조선초기의 불교기록유산이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이 시기 찍은 『사분율』의 경우에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확인되었으므로, 보물 제1943호 『사분율』에 담긴 역사․문화적 가치와 성격을 집중 분석하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새로운 이해 지표를 확보하였다. 특히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표지나 장정 등이 인출불사 당시의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객관적인 이해 지표를 확보할 수 있었다. 첫째,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형태서지학적 기본정보와 구성체계 등에서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해당 경판을 원천텍스트로 인출한 불교기록유산이다. 둘째로, 인출시기는 조선 세조 때이다. 해당 인출본은 인출상태와 간행기록의 유무, 장정형태나 개법장진언부호의 표제, 인출종이의 종류 등에서 세조가 국가․왕실불사로 해인사대장경판을 50질을 찍어 전국의 유명 사원에 나누어 준 불교기록유산으로 확인하였다. 셋째로, 해당 인출본에는 개법장진언부호의 표기로, 세조 당시 불교경전의 신성성과 장엄성을 인식하는 불교의식이 담겨져 있다. 넷째로, 해당 인출본에서는 세조 당시 高麗國의 왕조에 대한 인식태도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인출본은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사분율』 권47~50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동시에, 해당 경판의 보존상태도 진단할 수 있는 원천자료도 담고 있다.

      • KCI등재

        『사분율(四分律)』에 나타난 신이현상(神異現狀)에 관한 연구(硏究) - 바라제목차와 건도부를 중심으로 -

        이현배 ( Lee Hyeon-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사분율四分律』에서 지계(持戒)를 통한 청정수행은 비구의 필수항목이며 자신의 생명을 비롯한 타인의 생명과 존엄성의 가치를 소중하게 다루고 있다. 『율장』속에 신이(神異)와 신통(神通)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신족통(神足通)은 공간을 초월하고 변화무쌍한 모습으로 다른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하기에 충분하였다. 수행의 목적에 따라 신통의 용처도 다르게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불법수행자와 외도 수행자를 가리지 않고 고루 신통이 구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신통의 용도가 가장 적절하게 사용된 것은 중생구제나 교화의 방편으로 사용되었을 때이고 그것을 자신의 이익이나 다른 사람을 해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 것을 통해 신통의 부작용과 경계할 부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In the four division vinaya, it preciously considers the values and dignities of others' lives including my life as saying that the pure practice by observing practice is essential for Bhikkhu. The Vinaya Pitaka manifests that the miracles and superpowers are prevalent and especially the unimpeded bodily action transcends the space in diverse forms as making people afraid enough. We can see that all of the buddhist practitioners and non-buddhist practitioners complete the miracles that ar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actice. When the use of the miracle was for saving or educationally transforming sentient beings as an expedient, we can say that it was used for good. However if it is for own profits or means to harm other people, we can think that it has also the sid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miracle.

      • KCI등재

        한국불교 계율학의 연구성과와 전망

        신성현,하춘생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research of disciplinary code in Korean Buddhist academiahas been actually started from offering the course of disciplinarycode in the department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 First Buddhist Council was held soonafter the mahaparinirvana of the Buddha, dated round 400 BCE inwhich the Vinaya was recited by Upali. About 100 years after theBuddha's Nirvana the Second Buddhist Council at Vesāli derivesprimarily from the canonical Vinayas of various schools which theoverall result was the first schism in the Saṃgha between theSthaviras and the Mahāsāṃghikas because of disagreement of theinterpretations on the Vinaya disciplinary rules. When disciplinarycode was respected and the study of Vinaya was thriving Buddhistmonastics was also flourishing in the history of Buddhism not onlyTheravada but Mahayana. As time goes on, however, Dharma andVinaya in Buddhist monastics have not been respected and alsogiven circumstances were not amicable. It seems to be the mostoverlooked that the cod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disciplinarycode is the result of historical accumulations. Therefore, it is self-evidence that the studies of disciplinarycode would be towards applying to real world. Living Buddhism isnot just an ancient belief system superimposed on modern societiesbut it is itself shaped by the forces of history and culture. All extant Vinaya texts included the Dharmaguptakas Vinaya (Four PartsVinaya, 四分律) which is followed by Korean Buddhism should becarefully reinterpreted and taken in the original meanings. Forinstance, it should be a clue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disciplinary code and modern ethics. In addition, the Vinaya textsin Pāli should be urgently translated for grasping the originalintention and meaning of the codification Vinaya. The academicresearch of scholars should be conducted in such directions and soits result should be contributed for better circumstance to Buddhistmonastic community. 한국의 불교학계에서 계율연구가 본격화된 시점은 이지관이 1975년 동국대 박사학위논문으로 『南北傳六部律藏比較硏究-四分律比丘戒本을 중심으로-』를 발표한 이후 실질적으로는 1977년 동국대 불교학과에 계율학 과목이 신설되면서부터이다. 주지하다시피 계율이 처음 결집된 것은 불멸직후에 이뤄진 제1차 결집 때 우바리존자에 의해서였다. 그리고 불멸 100년 후 웨살리의 제2차 결집 때 계율에 대한 해석차이로 부파분열이 일어나면서 각 부파마다 독립적 계율을 전승하게 되었다. 이후 율장은 5본으로 정리되어 남․북방으로 전해졌고, 북방불교의 종주국인 중국의 경우 삼국시대와 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唐代 측천무후시대에 이르기까지 6전의 율부가 모두 번역되었다. 특히 수당 이후부터는 『사분율』의 세력이 왕성해지면서 중국율통의 기초를 다지는 일가를 이루게 되었고,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사분율』에 의거해 수구의식을 치러온 기반을 이룬 것도 그러한 역사성에 따른 것이다. 남․북방의 불교통사를 통해 교단의 모습을 살펴보면 계율이 존중되고 계율학이 번성했을 때 교단도 함께 번성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불교사에서 일찍이 불교의 전성기를 누렸던 백제와 신라시대에 범본율본이 확립되고 범망경 등의 대승계가 번성했던 사실은 그 같은 역사성을 잘 반증해준다. 하지만 갈수록 교단 안에서 율법을 숭상하지 않고 계율을 존중하지 않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이는 곧 율의 성문화와 율의 해설 등이 하나의 역사적 산물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국불교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불교의 현실에서도 정상적으로 비구생활을 하는 비구들이 괴팍한 사람으로 천대받는 까닭은 생명성 없는 과거 인도불교의 관념이나 중국불교의 관념으로 한국의 현대인들을 규범한 데서 나타난 결과인 것이다. 따라서 계율학의 연구가 현실에 적용하고자 하는 의지와 지혜를 발현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한국불교가 의존하고 있는 『사분율』을 비롯해 모든 율장의 재번역을 통해 계율제정의 취지를 바로 알고자 하는 일이 시급한 까닭도, 불교의 현대윤리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또한 계율제정의 본의를 바로 살펴야 한다는 점에서는 율본의 원전인 빨리율의 번역도 매우 시급한 일로 지적된다. 계율연구자들의 이러한 연구자세와 방향제시야말로 율법을 숭상하지 않는 교단현실의 지표로 작용해 계율을 선양하고 존중하는 환경조성에 큰 몫을 담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동국대 불교학과에 계율학 과목이 처음으로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30~40여 년 동안 한국의 불교학계가 일궈낸 계율관련 연구성과를 고찰해 계율이 던져주는 의의와 향후 계율연구의 방향 및 전망 등을 살펴보는데 그 의미를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