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 큐레이션 서점에 나타난 리좀적 공간구성 연구

        이유나 ( Yu-na Lee ),성가희 ( Ga-hee Sung ),김양지 ( Yang-ji Kim ),윤갑근 ( Gab-geun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수직적 관계를 형성해오던 기존 오프라인 서점의 가치 변화로 점차 수평적 상호관계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제안한다는 의미를 지닌 큐레이션 개념을 도서공간에 대입하여 나타난 북 큐레이션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북 큐레이션 서점은 서점과 사용자 간의 수평적 상호관계 형성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 개념이 연결되는 리좀을 적용하여 본 연구는 북 큐레이션 서점 공간에 있어 리좀적 사유가 그 배경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북 큐레이션 서점과 리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과 특성을 알아보고, 두 개념의 상관성을 고찰해 연구 가치를 살펴본다. 앞서 북 큐레이션 공간구성과 리좀적 공간 특성을 결합해 분석틀을 추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리좀적 공간 특성을 분석해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북 큐레이션 서점과 리좀은 개념적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여러 방면에서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에 따른 북 큐레이션 공간분석 분류과 리좀적 공간 특성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하여 결합한 것을 분석틀로 삼았다. 프로그램은 다중심성, 비위계성, 비선형성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공간구성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동선은 이질성, 비위계성, 비선형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 북 큐레이션 서점의 프로그램, 동선, 공간구성에서 영역별 구성은 높아 사용자의 다양한 마주침을 계획하여 리좀적 공간 특성을 나타내지만, 경계가 짙어 다른 공간으로의 호기심 유발은 약하다. 본 연구는 리좀적 공간구성에 대한 분석과 그 결과에 대한 고찰에 그쳐 한계를 지니는바 추후 북 큐레이션 서점 영역 간의 연결성을 높일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Offline Bookstores have begun to pursue changes in value and horizontal interrelationships. Curation containing the meaning of the proposal was applied to the book space and began to be used as a Book Curation. Bookstore Curation bookstores show continuous develop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horizont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bookstores and users, It wanted to apply the Rhizome linked to the concept of Book Curation to the bookstore space and use it as the basis for the background. Method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research on Book Curation bookstores and Rhizome, we explore space and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study. The analysis framework was extracted by combining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 spatial characteristics of Rhizome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through case analysis. Result Book curation bookstores and Rhizome share conceptual context and are interrelated in many way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using a combination of the analysis framework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Program focuses on multicentric, non-hierarchical and non-linearity, and has similar results in Spatial Composition. Circulation showed heterogeneity, non-hierarchical and non-linearity. Conclusion Various user interfaces are planned to reveal spati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high composition of areas such as Programs, Circulation, and bookstore Space Composition. This research is limited to spatial composi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ways to enhance linkages between bookstor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교도서관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도서추천 기준에 관한 연구

        박양하,Park, Yang-Ha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로 북 큐레이션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시스템 기획에 앞서 큐레이션의 기준이 되는 추천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 시스템의 추천도서목록을 분석하여 이용자 정보와 도서 정보에서 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속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된 속성을 활용하여 12개의 추천 기준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을 통해 각 기준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도서관 이용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상위 3개 선호 기준은 '관심 키워드 중심 추천', '학년단위 다대출', '교과연계도서목록 다대출'이다. This study proposes the Book-Curation service as part of the information service offered through school library websites. Als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recommendation standards for curation prior to detailed system planning. For such service, the following tasks were carried out.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books of existing system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that can be used for recommendation in the user and book information. Second, the analyzed attributes were utilized to establish 12 recommendation standards. Finall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user preferences as to each standa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that curation service is necessary for using a library. Second, the top three standards are as follows: "best lending books based on the keywords of individual users"; "best lending books of the same year students"; "best lending books on the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list".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곽순임,오의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rovement plan of book curation servic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book curation,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book curation, targeting librarian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1 librarians in the Gyeonggi reg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6.3%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book curation oper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book curation service was to introduce resources of various subjects to students. Third, the subject of curation were selected by book event and social issues. Fourth, there were many cases where librarians performed services without receiving training on book curation. Lastly, although the recognition that book curation services are necessary is high, they are experiencing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lack of space and budget. Based on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as data that reports the reality of book curation, and that in order to actively match library resources with users without disappearing, professional education and curriculum of librarians should be able to eliminate common problems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과 대중화 전략

        정혜경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6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spects of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and the methods used in their popularization To effectively popularize the classic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publishing ecosystem through their data on publications in the present age and to construct a new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 and trend of modern publications, including the data on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hoto-printed, proofread/annotated, and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began with Imhwajeongyeon, published by Eulyoo Publishing Co. in 1962,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photo printing of classical novels in the 1970s, and proceeded in earnest in the 2000s after a downturn in the 1990s. Modern translations increased explosively in 2010 (seven kinds), after which only one or two works have been translated each year. However almost 60% have not yet been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It is shown that modern translations would be needed according to the readers’ patterns of use the translated works. To attain a mass readership of full-length novels among the public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particular group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gnificant texts to be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set directions for modern publ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ublishing ecosystem, follow the appropriate patterns and prepare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Thus, this study first translated Hwassichunghyorok, Yuhyogongsseonhaengrok, and Myeong jugibong which have long had wide popularity, holding readers’ attention for a long time- consider literary value and the state of their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proposed changes in the methods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medium and platform. This study discusses the strategy of securing an active readership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works and by including a more diverse participants in translation with abridged versions, audiobooks, and rewriting versions. For popularization, since the conversion of media and platform is insufficient,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pread an awarenes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academic community, spread an enjoyment of these works in the literary environment by bran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curation service. 이 글의 목적은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 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 현대적 출판 방향과 대중화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소통력을 높이려면 현대 출판물의 서지 데이터를 집적하여 출판 생태계 전반을 이해하고 소비문화와 유통사적 맥락에서 현대적 출판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금까지 영인(影印), 교주(校註), 현대역된 국문장편소설의 서지 데이터를 한데 모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출판 행로를 추적하였다. 현대적 출판은 1962년 〈임화정연〉을 현대적 수법으로 옮기는 데서 시작하여 1970〜1980년대 영인이 중심이 된다. 1990년대 전체 출판량은 전 시기 대비 감소하지만, 2000년대 대중적 출판과 함께 다시 증가한다. 2010년 가장 많은 현대역본(7종)이 출간된 후 매년 1〜2종이 현대역된다. 그럼에도 아직 60%에 가까운 작품이 현대어로 옮겨지지 못했으며 〈임화정연〉처럼 새로운 현대역이 필요한 작품도 상당했다. 이어 흥행력이 검증된 작품을 유통사적 맥락에서 발굴하여 우선 번역할 대상을 선정함으로써 텍스트 수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본 총량과 매체 수용력을 근거로 우선 번역할 텍스트를 선별하면 현대역본이 부재한 〈화씨충효록〉, 〈유효공선행록〉, 〈명주기봉〉 등과 새로운 현대역본이 필요한 〈현씨양웅쌍린기〉, 〈하진양문록〉, 〈임화정연〉 등이 그 대상이 된다. 연작 지향성이 강한 장르적 특성을 살려 시리즈물로 출판할 경우 모든 연작이 인기를 끈 〈현씨양웅쌍린기〉 연작과 〈유효공선행록〉 연작이 우선순위를 차지한다. 또한, 국문장편소설의 미감을 현대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 이용 형태와 장르적 속성을 고려한 출판 형태와 방향을 탐색하였다. 축약본과 오디오북으로 출판 형태를 다양화하고 구독형 플랫폼으로 이용 경로를 확장하는 것이다. 대중화는 매체와 플랫폼의 전환만으로 불충분하기에 대중적 확산과 고전 브랜딩 전략을 추가로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교육성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 전문 번역가와 창작자 육성, 고전 읽기와 쓰기의 다양한 인력 확보, 그리고 학회의 역할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실천이 더해질 때 국문장편소설을 대중의 곁으로 더 가까이 돌려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이유나,윤갑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Background Due to cultural development, large bookstores are becoming complex cultural spaces. So, the company wanted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more by substituting space with various purposes. Various values were developed by applying a book curation space that suggested the lifestyle of consumers to a medium that could change from the space of a large bookst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entrance plan with the distinction of presenting specific spatial orientation. Method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Specific spatial composition direction was outlined through case analysis. Result There were four types of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wo aspects of the medium space were shown in six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the company sought to improve the culture of consumers in various ways and to take a deep approach to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In space, product sales space and associated action space are considered in terms of programmatically, providing consumers with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ing culture. In terms of space, area, openness, and accessibility were taken into account to further expand the space from small unit space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North curation cont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