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2년 대통령 선거에 관련된 신문 기사의 보도사진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이민형 ( Min Hyoung Lee ),김현석 ( Hyun Suk Kim ),장동련(교신저자) ( Don Ryun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당시 뉴스매거진 사진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2012년 한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신문 기사의 보도사진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이다. 신문기사의 보도사진에 나타난 대통령 후보자들의 시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보도 되었는지 대표적인 신문 매체의 분석을 통해서 보도사진의 중요성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연구인 ``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당시 뉴스매거진 사진에 대한 연구``는 1986년 발표된 것으로 미디어에 비춰진 후보자의 보도사진에 대한 전문가 분석과 선거기간동안 보도사진의 흐름을 통해 후보자의 행동 양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자는 모리아티(Sandra E. Moriarty)와 게라몬(Gina M. Garramone)으로 이들은 3개의 지표에 의한 사진 분석유목를 기준으로 10개의 시각적 특성을 코딩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같은 방법과 분석기준으로 대표적인 신문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대해 전문가 코더인 사진기자 2명을 섭외하였다. 일반적으로 성향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는 두 곳의 신문에 나타난 보도사진 총 503장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선행연구을 근거로 3개의 지표에 근거한 10개의 세부속성(상체, 팔, 손, 얼굴, 앉은 자세, 옷차림, 소통, 사진위치, 사진크기, 카메라 앵글)에 가장선호 하는 것(3포인트)과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1포인트)으로 하였다. 전문가 코더인 2명의 사진기자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돌출하였다. 1)조선일보는 10개의 세부속성 중 박근혜후보 5개, 문재인후보 3개, 안철수 후보 5개의 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한겨레신문은 10개의 세부속성 중 문재인 후보 7개, 박근혜 후보 5개, 안철수 후보 5개의 속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보도사진의 비중은 한겨레신문(271장)이 조선일보(232장)에 비해 선거기간동안 많이 보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신문의 성향에 따라 보도사진의 세부속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전체적으로 보도사진의 세부속성이 긍정적인 후보가 실제 대통령 선거에서도 좋은 결과를 만들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news coverage photos during 2012 presidential election season in Korea following ``a study on news magazine photos during 1984 presidential election in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importance of news photos by analyzing how main news media reveal each presidential candidate. The preceding study, ``a study on news magazine photos during 1984 presidential election in United States``, presented to the public in 1986, found that analysis of experts about candidate`s media coverage photos affects candidate`s aspects of action. Sandra E. Moriarty and Gina M. Garramon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coded 10 visual properties according to 3 indicators. This study follows the same methods and standards involving 2 photo journalist experts in the two main media, Chosun newspaper and Hankyoreh newspap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03 news coverage photos on these two newspapers which have been known to have different point of view. Method of analysis i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where 10 detailed properties(upper body, arms, hands, face, camera angle, sitting position, outfits, size and placement of the picture and communication) based on 3 indicators were given 3points(the most favored) or 1points(the least favored). Result of research were derived with the help of 2 photo journalists and it follows the below. 1)In Chosun newspaper, Park Geun-hye got 5 properties, Moon Jae-in got 3, Ahn Cheol-su got 5 properties that turned out to have had the highest points among 10 detailed properties. 2)In Hankyereh, Moon Jae-in got 7, Park Geun-hye got 5, Ahn Cheol-su got 5 properties that turned out to have had the highest points among 10 detailed properties. 3)Hankyoreh newspaper(271) reported more photos of candidates than Chosun newspaper(232)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season. As a result, details of news coverage photos turn out to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that each newspaper takes. Also, if the details of news coverage photos on a candidate are positive, the candidate has higher possibility of gaining positive result in election.

      • KCI등재

        세월호 참사 보도 관련 한·미간 비주얼 뉴스 프레임 연구 : 연합뉴스와 AP통신의 보도사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민규,육은희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비주얼 이미지를 한국과 미국의 뉴스 통신사가 각각 어떠 한 형식과 프레임으로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니스벳(Nisbett)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의 뉴스 통신사가 제공하는 보도사진에서 동양의 집단주의와 서양의 개인주의 관점의 차이점이 유의미하게 발견되었다. 세월호 참사 보도사진의 주요 소재로 연합뉴스는 ‘정부 및 정치권 대책’에 AP통신은 ‘피해자와 가족’에 각각 상이하게 집중하고 있었다. 보도사진 감정과 대상을 교차 분석한 결과 연합뉴스는 해결 자의 ‘어려움과 대책’과 같은 논리적이고 차분한 프레임을 강조한 반면 AP통신은 피해자의 ‘슬픔과 질책’과 같이 자극적이고 개인화된 보도사진을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재난 사건 취재 시 동양의 종합ㆍ관계적 시각과 서양의 분석ㆍ개인화된 시각이 상호 소통 하려는 노력이 있어야만 동ㆍ서양 통신사 모두 창조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실무적인 함의를 도출하였다. Using Nisbett’s logic of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this study looks into the respective method and visual framing used by the Western and Eastern news agen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hotographs provided by both news agencies, each reflect their worldview: collectivist Eastern and individualist Western. For content, the AP focused more on personal messages, delving deeper into the “victims” and the urgency in improving the system while Yonhap paid more attention in dissecting and rationalizing the flaws in political powers that carried out the “rescue mission”. In conclusion, in reporting the same event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as reflected from cultural and management distinctions.

      • KCI등재

        사고(事故)에 대한 사고(思考)의 문화심리학적 편향성 : 한국과 미국 신문의 보도사진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이완수,박재영,김활빈,장정헌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3

        본 연구는 동양인과 서양인들이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르게 사고한다는 문화심리학적 논지를 바탕으로 한국언론과 미국언론이 국가적 재난사고를 동서양적 사고 중심으로 편향되게 해석하고, 기록하는 지를 비교분석하여 문화가 재난사고 보도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자 하였다. 사회 구성원들의 문화심리와 의식세계를 반영하는 재난사고에 대한 언론의 뉴스 재현 방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재난사고에 대한 보도사진에 주목하였다. 먼저, 재난을 4개로 유형화(자연 재난, 의도되지 않은 사회적 재난, 의도된 사회적 재난, 질병 재난)하고 한국과 미국에서 발생한 비슷한 사건사고 각각 4개씩을 선정한 후 이 사고들에 대한 신문기사를 수집하고 그 중 사진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은 <조선일보>, 미국은 <뉴욕타임스>를 각각 분석대상으로 정했다.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신문은 대상에 대한 집단성을 중심으로 묘사한 반면, 미국신문은 개별적 특성을 중심으로 묘사했다. 둘째, 한국 신문은 주요 대상의 배경과 상황을 중심으로 고맥락적으로 묘사하는 반면, 미국신문은 대상만을 중심으로 저맥락적으로 묘사했다. 셋째, 한국 신문은 3인칭 아웃사이더 관점에서 재난사고 피사체를 촬영하지만 미국신문은 1인칭 인사이더 관점에서 촬영했다. 넷째, 한국신문은 배경과 상황을 대상과 연결시켜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반면에, 미국언론은 대상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그 대상을 중심으로 묘사했다. 다섯째, 한국 신문은 대상과 뒷배경을 모두 포함하는 역원근법을 주로 사용한데 반해, 미국신문은 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주변상황은 희석시키는 원근법을 더 많이 사용했다. 이와 같이 한국 신문과 미국신문의 재난사고에 대한 사진 묘사는 동서양의 문화적 사고 편향성을 일관되게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난 유형에 따라서 문화적 편향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했다. Based on cultural psychological research,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culture on disaster reporting, comparing the Korean and American news coverages. It analyzed how major disasters were interpreted and presented in newspapers depending on cultural biases. Focusing on news photographs on natural disasters and major accidents, we classified four types of disasters (natural disasters, unintended social disasters, intended social disasters, and disease disasters) and then selected four cas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The Chosun Ilbo (Korea) and the New York Times (US)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ducting content analysis, we found that the photographs of the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on the disasters include the cultural bia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particular, Korean news photographs tend to focus on the whole situ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the outsider, while American news photographs primarily emphasiz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ider. This study contributes to journalism research by examining how cross-cultural differences play a role in reporting news coverages on natural disasters and major acci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in detail.

      • 커뮤니케이션 과학 : 한,미 2012년 대선 사진 보도 비교분석 연구

        김영수 ( Yung Soo Kim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구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2012 커뮤니케이션 科學 Vol.29 No.1

        본 연구는 2012년 하반기 동시에 벌어진 한국과 미국의 대선 보도 중 일간 신문들의 사진 보도를 비교 분석하여 대통령 선거라는 공통된 뉴스 이벤트를 다룬 보도 사진의 경우에도 국가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한국 신문 중에서는 조선일보와 한겨레 신문을, 미국 신문 중에서는 뉴욕 타임즈와 로스엔젤레스 타임즈를 선택하여 양국의 대선 후보 (미국의 경우는 부통령 후보 포함) 들을 취재한 2백67장의 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사진들을 내용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신문들은 대선 후보들을 다룸에 있어서 크기나 사진 내용, 구도 등이 거의 대등소이한 사진들을 나란히 배치하는 대칭적(Symmetric) 보도를 사용하는 비율이 미국 신문에 비해서 현저히 높았으며, 미국 신문과 비교해서 후보들의 자연스런 모습 (Casual look)보다는 공식적인 (Authoritative look) 모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신문의 대선 사진의 경우에는 짜여진 공식 행사에서의 후보들을 포착한 사진들(Photo Opportunity photographs)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 반면에 미국 신문 사진들의 경우에는 자연스러운 상황을 담은 사진들(Documentary photographs)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 끝으로, 한국 신문들의 보도 사진의 경우에는 현장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정보 전달 위주의 사진(Informational photographs)이 전체를 차지한 반면, 미국 신문들은 특이한 구도나 인상적인 조명 효과 등을 요구하는 보다 심도있는 사진들(Above Informational photographs)도 다수 포함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국경을 뛰어넘는 만국 공통어라고 하는 보도사진의 경우도 실제로는 생산되어지는 국가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각 국가별로 고유한 특성을 보일 수도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다시 한번 밝혀진 셈이다.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s in Korea and the U.S.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how news photographs in two countries presented similar news events differently from one country to another. A content analysis of 267 news photographs in Korean and U.S. newspapers showe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balancing pattern, look, type, and complexit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photographs between the two countries. Compared with news photographs in the U.S. newspapers, news photographs of candidates in Korean newspapers tended to present symmetric coverage and to render an authoritative look of the candidates. Furthermore, they tended to be products of photo opportunities and all of them were informational photographs.

      • KCI등재

        보도사진 이미지의 정치적 편향성

        박정순(Joung-Soon Park),정경희(Kyung-Hee Ju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 No.-

        본 연구는 보도사진 이미지의 정파성에 주목하고 언론의 정파성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대통령 선거운동 기사의 보도사진을 대상으로 평상시 언론사들이 보여주고 있는 일반적인 정치적 보도성향이 선거보도사진의 편향성과 연관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은 각기 그 정치적 논조가 다양한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4개 중앙 일간지의 제16대 대통령 선거운동 기간을 전후한 보도사진 516건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보도사진의 양적 측면에서는 신문별 논조에 따른 정치적 편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미지 측면의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보수적 논조의 『조선일보』는 보수 성향의 한나라당 후보에게 긍정적인 이미지의 사진을, 진보적 논조의 『한겨레』는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민주노동당의 권영길 후보에게 보다 긍정적 이미지의 사진을 게재해주고 있었다. 이러한 사진이미지의 편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언론보도의 정치적 편향성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양적 측면보다는 비가시적인 보도사진의 이미지 속에 감춰져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The study examines newspapers' photographic coverage of presidential candidates in 2002 election in Korea(l6th presidential election). It assumes that newspaper's political stance may affect to photo coverage of specific candidate. That is, conservative newspaper may give more favorable photo coverage to conservative candidate and vice versa. Four major daily newspapers in Korea; ChoSun, CboongAng, KyungHyang, and HanGyeoRae were selected in regard to their political stance. The photographs of election coverage were collected for two months to compare the news coverage of the presidential campaign(from Nov. 20th to Dec. 19th). Total 576 cases are collected from four newspapers. Then, the frequency and the image of each candidate of news photographs were analyzed for each newspaper respectively. Analysis of image were conducted at 3 dimension; behavior, context and viewpoin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 evidence of differential preference between four newspapers in frequency of photo coverage. However, the photographic image of candidates were differ by their political stance. That is, ChoSun was more favorable for Yi-hoichang(the Grand National Parry's) while HanGyeoRae was for Roh-moohyun(the Democratic Parry) and Kyun-Youngkil. Especially HanGyeoRae gave more positive image for Rho than ChoSun did for Yi. As a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newspaper's political stance clearly related to a photo coverage of specific candidate. However, this bias was not appeared in a quantitative way, but in an invisible way on photographic image.

      • 미디어 보도사진에 담겨 있는 중국 운남성 이미지의 재현연구-뉴시스 보도사진에 나타난 복제 오리엔탈리즘을 중심으로-

        홍장선,김효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2 東西言路 Vol.31 No.-

        이 논문은 미디어 보도사진에 담겨져 있는 중국 운남성(雲南省)의 미디 어 보도사진 재현에 대한 이미지 텍스트 분석이다. 미디어 보도사진을 촬 영하는 사진기자의 시선이 중국 안에 담겨진 또 다른 중국을 바라보는 관 점의 차이로 나타나는데, 중국과는 별개의 민족으로서 새로운 문화의 바 라보기가 해당 문화의 진실된 전형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가치관이 내재 된 상태에서의 가공된 전형을 알리고 있다. 즉 복제 오리엔탈리즘이라 불 리는 시선의 잔재가 소수민족을 재현하는 미디어 보도사진에 함축되어 있 는 것이다. 미디어 보도사진에 투영된 중국 운남성 소수 민족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특정 프레임이 담겨져 있다. 첫째, 중국 운남성 지역에서 남성은 존재하지 않는 객체로 묘사되어 배제되어진 소외된 인간의 형태로 잔존하 고 있다. 둘째, 중국 운남성의 현재는 보도사진을 촬영하는 사진기자들에 의해서 결정되기에 이데올로기나 헤게모니를 바탕으로 재해석되는 일종의 실재의 왜곡이다. 셋째, 중국 운남성의 문화를 재현하는 카메라의 렌즈가 가지는 권력으로서 이미지에 담겨진 실재가 주체 대상의 실재가 아닌 사 진을 찍는 개인의 권력에 의해 표현되는 요소의 한 일부이다. 이 연구가 단순한 미디어 보도사진의 이미지 분석이 아니라 우리 안에 담겨져 있는 특정 프레임들에 의해서 문화를 얼마나 왜곡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경각의 목소리를 담은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text analysis on the representation of image of news photographs at Yunnan Province in China. The gaze of photo journalist shooting news photographs becomes a point of view about another China in China. Taking a new look at Chinese culture as different ethnic group doe not talk about the true representation of corresponding culture, but artificial representation including value judgment. That is, Orientalist point of view is included in news photographs representing minority group. The gaze of Korean people looking at minotiry group mirrored in news photographs at Yunnan Province in China. First, males in China’s Yunnan Province remain maginalized by being described as invisible object. Second, because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s Yunnan province is shaped by photo journalists, it is distorted or reshaped based on ideology or hegemony. Third, the power of camera lens representing the culture of China’s Yunnan Province is not a reality of subject, but a part of power of individuals shooting it.

      • KCI등재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사진의 프레임 연구 :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김주찬,김대경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1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chnical differences and ideological frames according to the coverage tendencies of newspapers in reporting the event of social movements. For that purpose, the study chose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as conservative newspapers and Hankyoreh and Kyunghyang as progressive newspapers. This present study analyzed 62 news photo articles issued for a week from the day of People's General Rebellion rally in 2015. The seven frames were found from the technical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n detail were as follows: first, the technical analysis found n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sing news photo compositions and viewpoi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of purposes for newspapers in reporting the same news photo viewpoints applied to different objects. While the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a news photo viewpoint to make the hospitalized police officer weak and depict the violent protesters as threatening, the progressive newspapers used a news photo viewpoint to depict the protesters bombarded with the water cannon as weak and the members of media organizations in the protest as strong. Secondly, newspapers formed a news photo frame consisted with their coverage tendencies. While the “violent rampage frame” was most used by the conservative newspapers, the “excessive response frame” was most used by the progressive newspaper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newspapers formed different frames in their news photos according to their coverage tendencies. 본 연구는 사회운동의 보도를 통해 신문의 보도성향에 따른 기술적 차이와 이념적 프레임 형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보수언론으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진보언론으로 ≪한겨레≫, ≪경향신문≫을 선택하였다. 2015년도 민중총궐기 투쟁대회가 일어난 날로부터 일주일간 이와 관련된 62건의 보도사진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적 분석, 내용적 분석을 포함하여 7개로 분류한 프레임을 통해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적 분석인 보도사진의 구도와 보도사진의 시각에서 사용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같은 보도사진 시각을 다른 대상에게 사용하여 그 목적에서 차이가 있었다. 보수 언론은 보도사진 시각을 통해 입원한 경찰을 나약하게 보이게 하고 폭력 시위자를 위협적으로 전달하였으며, 진보 언론은 보도사진 시각을 통해 물대포를 맞는 시위대를 나약하게 표현하고 시위에 나선 언론 단체 회원들을 강하게 표현하였다. 둘째, 언론의 보도 성향에 따라 자신의 신문사와 일치하는 성향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보수 언론에서는 ‘폭력난동 프레임’이 가장 많았으며, 진보 언론에서는 ‘과잉 대응 프레임’이 가장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신문의 보도성향에 따라 보도사진을 통해 프레임을 형성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기업의 포토이벤트 뉴스가치에 대한 사진기자의 윤리적 인식 형성에 관한 연구 - 신문 경제면 보도사진을 중심으로 -

        조영호(Youngho Cho) 한국언론법학회 2020 언론과 법 Vol.19 No.3

        본 연구는 신문의 경제면에 게재되는 기업의 포토이벤트를 취재하는 사진기자들이 선택하는 뉴스가치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식의 문제를 심층인터뷰를 통해 탐색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기업의 포토이벤트를 취재하는 사진기자들은 뉴스가치의 판단준거로 규범적 뉴스가치와 실용적 뉴스가치를 혼용하고 있었으며, 기업의 광고성 PR성 보도사진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양가적 태도와 딜레마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파악했다. 현장의 사진기자들은 경제면에 게재되는 PR보도사진이 광고와 보도사진의 교환이라는 인식이 높을수록 규범적 뉴스가치를 적용하며 딜레마적 태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인식이 낮을수록 실용적 뉴스가치를 적용하며 기업의 호의보도를 적극적으로 취재하는 양가적 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뉴스가치의 조정과 타협의 과정으로 이어졌으며, 호의보도는 보도사진의 객관성이라는 명제와 충돌하면서 사진기자들에게 가치와 인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news value selected by photojournalists who report on corporate photo events published on the business news section of newspaper. And also examine the issue of ethical perception formed in the commercial news production mechanism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e purpose of this exploration, this study took a hard look at the perceptions of photojournalists who cover corporate photo events news by focusing the concepts of ambivalence and dilemma.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ascertain the phenomenon of the forms of two conflicting news values and it is revealed as ambivalent attitudes and dilemma attitudes from photojournalists. In detail, photojournalists who tacitly agreed with covering corporate events photos showed ambivalent attitudes. However photojournalists who applied events photos as a behavior of the exchange of favorable news coverage showed dilemma attitudes. This findings provides an significant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role and function of photojournalism, and to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photojournalists who meet with an ethical issues by two conflicting news values in the commercial news production mechanism.

      • KCI등재

        ‘위험’ 주제 보도사진의 비주얼 텍스트 유형 연구

        김은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2

        보도사진은 의도를 가진 시각적 언어를 기반으로하는 매체이다. 신문기사는 언어 텍스트를 통해, 보도 사진은 비주얼 텍스트를 통해 사건·사안의 의미를생산하고 교환한다. 기존의 보도사진 연구는 언어적 텍스트와 비주얼 텍스트의 상관성에 집중해 왔으며,비주얼 텍스트 측면에서는 주로 카메라에 의한 기 계적 약호 분석에 한정된 경향을 보여 왔다. 언어와는달리 이미지는 해석의 스펙트럼이 넓고 모호한 측 면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보도사진 또한 내용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까닭에 언어범주에 포함되며, 시각적 유형 또한언 어의 규칙 속에 잠재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보도사진의 시각적 유형추출을 위한 분석틀을 설계해 궁극적으로는 문법적 차원의 이미지 분석을 목적으로한다. ‘위험’주제 재난 보도사진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비주얼 텍스트의 조형적 구조 분석을 시도하 기 위해 플로슈의 조형이론에 기대어 표현층위의조형적 대조를 가이드라인으로 가설적 분석틀(위상,색 채, 형태범주)을 설계하여 적용한 후, 보도사진의특성을 포함한 최종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연구의 결 과, 위험주제 보도사진은 이미지의 구도와 색채 그리고 보도의 주제의 상관관계를 통해 유형화 할 수 있 음을 검증하였다. The news photos are the media that havean intention based on the visual language. Thenewspaper articles produce meaning andexchange incident issues through the linguistictexts, and the news photos do with visualtexts. The previous study of the news photos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linguistictexts and visual texts, and in the aspect ofvisual texts, it showed a tendency as limitingto the analysis of mechanical abbreviation bythe camera. This is because images havecharacteristics of wide and vague spectrum ofinterpretation, unlike that of the language. This study includes the news photos tothe linguistic range as it purposes to transferthe message, and purposes to analyze imagesin grammatical aspect eventually by designingthe analysis frame to extract visual types ofthe news photos as assuming the visual typesmay be hidden under the linguistic rules. Thestudy range was limited to the news photoswith the topic of ‘danger’, and it designedthe final analysis frame including thecharacteristics of the news photos afterdesigning and adapting the hypothesizedanalysis frame(topological, color, formativerange)with the formative contrast of theexpressive level which lean on the Floch`sVisual Semiotics to have an attempt onformative structure analysis of visual texts. The result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news photos with the topic of danger could beformaliz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composition and color of images, and topic ofthe news.

      • KCI등재

        대선후보 보도사진에 대한 공정보도 비교연구: 제17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임양준 ( Yang June 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한국 신문을 통해 보도된 제17대 대통령후보들의 인물보도 사진을 바탕으로 보도의 공정성에 대한 신문사별 특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신문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그리고 『한겨레신문』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신문사별 대선후보 인물사진 보도비율은 『조선일보』(29.5%)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경향신문』(26.9%), 『한겨레』(22.2%) 그리고 『중앙일보』(21.4%) 순으로 나타났다. 인물사진의 전체적인 크기 면에서는 『경향신문』(28.9%)이 가장 크게 보도했으며, 『한겨레신문』(26.3%), 『조선일보』(22.6%), 그리고 『중앙일보』(22.1%)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선후보 인물사진에 대하여 11개 항목의 분석유목을 적용한 결과, 『조선일보』는 이명박 후보와 이회창 후보에 대하여 우호적인 편파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의 경우 이명박, 정동영 그리고 이회창 후보에게 우호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겨레신문』은 이명박, 이회창, 그리고 문국현 후보에게 긍정적인 편파성을, 그리고 정동영 후보에게는 부정적인 편파성 보도를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인물사진에 대한 설명글의 경우 대부분의 신문들은 후보자들에 대한 선거관련사건을 요약하여 보도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보도사진내용에 대한 간단한 설명에만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main differences on the newspapers` photo coverage of the presidential candidates in terms of fairness and impartiality. For the research, the four major newspapers such as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Shinmun, and Kyunghyang Shinmum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Chosun Ilbo has the highest ratio of reporting on the photos for the presidential candidates(29.5%), followed by Kyunghyang Shinmun(26.9%), Hankyoreh Shinmun(22.2%) and Joongang Ilbo(21.4%). In terms of the grand total size of the candidates` newspaper photos, Kyunghyang Shinmun was the outnumbered other daily newspapers with 28.9%, followed by Hankyoreh Shinmun(26.3%), Chosun Ilbo(22.6%), and Joongang Ilbo(22.1%).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newspapers` political stance influenced the photo coverage for the special candidates. For example,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reported more favorably both of Myoungbak Lee and Hyoechang, Lee, conservative political party candidates. However, Kyunghyang Shinmun, a progressive daily, reported more favorably Dongyoung Jeong and Kukhyun Moon, both of progressive political party candidates. Finally, the captions of all newspapers reporting candidate photos gave rarely a full explanations on the presidential campaigns or political-related events, but just a short brief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