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응스님 범패의 융합적 세계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본고에서는 일응스님의 삶과 그의 음악 세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일응스님께 범패와 작법을 배우거나 일응스님과 함께 재식 활동을 한 승려들을 찾아 경향 각지를 다니며 증언을 녹취하여 이루어졌다. 이로써 일응스님의 범음성이 어떻게 성숙되고 발전되고, 그것이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알 수 있었고, 나아가 일응스님의 범패가 한국 불교음악의 지역적 특성들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 민간음악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알 수 있었다. 한 승려를 통하여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삶이 그 만큼 다양한 여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 출신으로 완제 범패를 익힌 후에 서울의 동교파와 서교파를 오가며 경제 범패를 익혔고, 한 때는 승려가 아닌 국악인으로서 시조창 활동을 하며 가야금산조와 북 가락을 익히다가 다시금 승려로 되돌아와 서울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작법보유자가 되었으나 이후에는 전주와 광주 익산 등지에서 후학 양성에 주력한 것이 그것이다. 1년여에 걸쳐 현지조사와 증언과 일응스님 범패 음원을 악보로 채보하여 음악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응스님 범패에는 경제 범패로 인한 정제된 음정과 세련된 가락을 지니면서도 호남지역의 향토적인 성음이 각 악곡에 용해되어 있었다. 높은 고음으로 올라갈 때는 간혹 가성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시조창의 영향으로 보이며, 화청에서 자유자재로 장단을 타고 넘나드는 범패 가락은 가야금산조와 북가락과 같은 민간 한국 전통음악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로써 일응스님 범패의 특징은 지역을 뛰어 넘는 성격과 한국 전통 음악의 기법을 자신의 범패 가락으로 활용하는 융합적 세계에서 찾을 수 있다. 주목할 것은 민간의 음악 기법을 불교음악으로 수용하면서도 절제되고 무게감을 잃지 않는 점이 일응스님 범패의 가장 큰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racterizing and hand down of a monk's chants Beompae(梵唄) through Ven Ileung's life on the condition of Korean Buddhist society and tradition. For this study, I met his students and colleagues whole area of Korea and recorded the evidences. After that I recorded his songs on western music notation and analysed it. Ven Ileung was born on 1920 in Jeonju of Jeolla province, died on 2003 in Seoul. That days on Korea history was the convulsions period under Japan's colonial rule , before and after Korean war, so Buddhist monks should be experienced their fragmentation. Ven Ileung became a monk 1931(his age was 11) learned and exercised the songs and dancing in the Buddhist ritual, it was Woanje style of the Jeolla province. After 5 years he went to Seoul to learn Geonggi style chants for his advanced song. At one time, He return to secular society to escape from the fragmentation of Buddhist monk's society and school. At that time he acted as a singer of Sijo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lyric song also learned Gayagum(Korean 12 stringed Zither) Sanjo and the rhythm of drum. After several years, he came back to be a monk and harder to exercise Buddhist ritual song and dancing for ceremony service then before. The result he could get the accredit as his songs and dancing and became a initiator of the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in Seoul. After that He went to his home town Jeolla province and instruct his students Buddhist ritual and song and dancing. By his effort his students could became initiators of Jeolla 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analysis of his various chants is that some time there were falsetto voice on high pitched melody, it is came from Korean traditional lyric song Sijo. Some time there were a vocalization like Jeolla province fork song mostly on low pitched melody, it is due to his home town jeolla's fork song style. But his song is more purified and collected the pitch and interval of his melody then his students and colleagues in Jeolla district, it is because of that he learned and acted in Seoul. Especially when he song Hoacheong, song very delicate emotionally and express rhythmically, it is influenced by Gayagum Sanjo and Korean traditional rhythm pattern of drum. Given his life, acting of Buddhist ritual and 10the feature of his Buddhist song Beompae, the character is in the fusion and harmonious condition with Seoul and region, the religious sprit and layperson music. The noteworthy on his songs is the temperanc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gnified vocal although receptive of the common musical skill. It is the most virtue on his songs.

      • KCI등재

        영남범패 전승에 관한 연구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1 No.-

        Silla Kingdom has been playing the important role as spiritual foundation of Korea and its Buddhism, as one can find most of the greatest temples were established during that time. As its capital city, Yŏngnam 嶺南 region has many Buddhist cultural treasures including three Buddhist temple treasuries. Since Master Chin'gam 眞鑑禪師 started taught his pupil monks of Chinese style pŏmp'ae 梵唄 (Buddhist ritual chant), the Chinese pŏmp'ae have been transformed into Korean style. Yŏngnam region still keeping the closest style of original pŏmp'ae from Silla Kingdom. Currently, pŏmp'ae of Yŏngnam region shows three different styles: first, T'ongbŏm sori 通梵소리 from T'ongdosa 通度寺 and Pŏmŏsa 梵魚寺 temples, and second P'algongsan 八公山 style pŏmp'ae, which also shows characteristics of Seoul style pŏmp'ae, from P'yoch'ungsa 表忠寺 temple around Miryang 密陽 and Ch'ŏngdo 淸道 area, located in northern Kyŏmgnam 慶南 region. Last but not least, pŏmp'ae of Ssanggyesa 雙溪寺 temple at Hadong 河東 city, Anjŏngsa 안정사 temple of Kosŏng 固城 city, and Yonghwasa 용화사 temple of T‘ongyŏng 統營 areas in southern Kyŏmgnam region shows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outhern and western pŏmp'ae. Many monks of Yŏngnam region spread out to Pusan 釜山 with the pŏmp'ae they have learned and taught. Preserving and transmitting pŏmp'ae of both Pusan area and Kyŏmgnam region is very important in keeping the closet tradition to that of Silla Kingdom. Contrast to the characteristics of Kyŏngje 京制 (Seoul style) pŏmp'ae which performed in high pitches using five vowels (a, e, i, o, and u), that of Yŏngnam pŏmp'ae only uses two vowels (ŏ, and hŏ) and sung in a deep, down voice in a low pitch. It also shows such special sound quality as well as musical structure compare to pŏmp'ae from Seoul (Kyŏngje). Compare to the rich musical repertoires of Honam 湖南 region, Yŏngnam region have not distinguished for its music cultures until now. Knowing the fact that pŏmp'ae of Yŏngnam region stands for its musical excellency as well as rich context, we can call if p'ansori 판소리 stands for musical repertoire originated from Honam region, pŏmp'ae stands for that of Yŏngnam region, balancing both regions music culture. 한국 대부분의 고찰은 신라시대에 세워졌을 정도로 신라천년의 역사는 오늘날 한국문화 정체성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영남지역은 신라의 수도가 있던 지역으로 삼보사찰을 비롯하여 불교문화의 보고를 많이 지니고 있다. 신라시대에 진감선사가 쌍계사에서 당풍범패를 가르치기 시작한 이래 수천 년간 한민족의 토양에 정착하면서 당풍범패가 한국화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영남은 신라범패의 귀착지로써 신라범패의 원형에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주목된다. 영남지역의 범패는 대구·경북지역의 팔공산제와 부산·경남지역의 영남제로 구분되는데 팔공산제는 전승의 활기가 부진하여 자체적인 소리색을 지니지 못하여 경기제소리와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부산·경남지역의 영남범패는 독특한 범음의 세계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지역의 범패관련 사찰과 승려들을 직접 만나 조사하고 확인하여 영남범패 전승현황을 파악하였다. 현재 영남지역은 통도사와 범어사 승려들에 의한 통범소리를 주축으로 하여, 북부경남지역의 밀양과 청도 방면은 표충사를 중심으로 팔공산제와 경제와 같은 웃녘소리의 영향이 있고, 서부경남 지역인 옥천 쌍계사·고성 안정사·통영 용화사 일대는 서도소리와 남해 바다소리 성격이 다소 있다. 영남의 여러 강줄기가 부산의 바다로 흘러오듯이 범패의 강줄기도 부산으로 모여들었다. 도시에 인접한 범어사는 화엄종찰로써 예로부터 큰 재를 지내면서 많은 어장을 배출하였는데, 사찰명이 어산의 ‘어’자를 담고 있고, 조선시대 범패의 가사를 수록한 어산집과 범패의 이름을 딴 어산교에 이르기까지 범패를 노래하던 사찰의 면모를 많이 지니고 있다. 부산지역의 왕성한 범패전승은 범어사를 본거지로 하는 동래어산회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부산영산재 보유자 중에 청공스님은 해인사출신이고, 해강스님은 안정사출신, 혜용스님과 구암스님은 통도사 출신이지만 그들은 모두 부산의 어산회 강사였던 범어사 용운스님의 소리 전통을 따르므로 통범소리로 귀착하였는데, 용운스님은 서울의 송암스님 보다 한해 앞인 1972년도에 부산시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남지역의 범패는 다양한 계통의 승려들이 모여들었으므로 범패전승에 있어서도 크고 작은 사찰과 범패전습소를 통해서 전승되므로 1인의 1단체로 집약된 서울과 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다. 각처에 각각의 범패강습소가 산재하고 있는 영남의 전승현황이 서울지역에 비해 다소 산만해 보이지만, 예로부터 어떤 절에 ‘재’가 있으면 사방에서 범패승들이 몰려와서 함께 의식을 지냈던 풍습에 비추어 보면 오히려 이런 모습이 더 자연스러운 전승의 모습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부산·경남 지역 범패의 전승 활기는 지방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동시에 범패의 원형보존과 연구에 대해서도 그 의미와 가치가 매우 높다. 높은 성조로 ‘아에이오우’의 모음을 구사하는 경제에 비해, ‘어’와 ‘허’의 담담한 모음 구사와 낮은 저음에 깊고도 웅장한 자비성을 최고의 소리로 여기는 영남범패는 경제와 확연히 다른 소리길과 미적 세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신라범패의 원형에 더 가까울 가능성이 있어 연구 가치가 높다. 판소리와 산조로 명성을 지닌 호남지역에 비해 내세울 것이 없던 영남의 소리문화였지만 활발한 범패의 전승현황을 볼 때 “호남의 판소리, 영남의 범패”라고 할 ...

      • KCI등재

        범패수행의 전거와 의미에 대한 一考

        이병진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3

        The traditional name which classified BUMEUM(梵音)ㆍBUMPAE(梵唄) for the Korean general BUMPAE is systematic classification method rather than the name EOSAN(魚山)ㆍJAKBUB(作法) which as attach importance historical origin as the SEON Order(禪宗) of BUMPAE. In this, I tried to assort this as a meaning of praise practice the tradition of Bumpae(Hotsori) which have transmitting with BumeumㆍBumpae in notice there is general property of practice what they have been come to believe in and put in practice as like praising, providing, reciting since the monks have practice followed the shape of Buddha's voice and teaching. In Korean Buddhism tradition, Bumpae practices are likely to sort to shape of play instrument, dance, repetition of Buddha, Bumpae, ceremonies, praise, I tell the basic purpose is the praise and providing to Buddha who the foundation of teach also origin of devotion, and tell the most model of praise and devotion is the tail of practice for Buddha Sakyamuni's past life which to praise Buddha BOOLSA(弗沙) and get Buddha‘s promise. However, in situation for difficult to meet the actual Buddha, the general Bumpae practice which practicer possibly choose is mean much that it's be formated faith and joy become to foundation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because the practicer who practice to praise general Bumpae praise the Buddha's Darma body(法身) also selves and other people. Meanwhile, I suggested Bumeum(Jitsory) the tradition of practice in total Bumpae is possibly should be an item of transmitted shape as the Jamo(字母) practice what it's the teaching to get wisdom of empty(般若知慧) through the voice resonance practice that which allowed ancient India Veda culture since the origin age of Buddhism history and I suggested Smaguijakbup(三歸作法;Darma formula devotion to three kind of treasure) which have been transmit through the Yeongsanjae(靈山齋) the Korean national treasure 50th presently for the example. like this, on the form of transmission for a part of our Buddhism society that which have been writing as Bumeum(梵音)ㆍBumpae(梵唄) that recognised just Bumpae(梵唄) or Eosan(魚山) without other distinguished usually, I payed attention about the possibility for there be different qualities for each other as Bumeum and Bumpae, and I discovered finally the systemicity of Bumpae practice which have been transmitted in Korean Buddhist society. If summary this, I may refer the methodology Bumpae practice as heritage of Korean Buddhist society it's consisted like the system for length and breadth which both be able to supplement to each other and ascension each other by enlightenment practice(般若) and praise(讚嘆) practice both. But also this trait is not just confined in Bumpae practice which have been practiced by group in temple or by a practicer in hermitage but the true principle of Buddhist practice turned out from the property of Bumpae and ritual ceremony which have been transmitted with integrating the methodology of Buddhist practice from our traditional Buddhist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불교의 교단에 전해오는 범패라는 문화의 정체성을 수행으로 보고 범패를 수행한 경전적 전거를 찾아서 고찰함으로서 그러한 수행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불교의 범패는 범음ㆍ범패와 어산ㆍ작법이라는 두개의 명칭으로 주로 일컬어지는데 그 중 범음(梵音)ㆍ범패(梵唄)라는 명칭은 범패의 법리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범패의 선종적 연원을 중점으로 보는 어산(魚山)ㆍ작법(作法)이라는 명칭보다 체계적인 분류방식으로 볼 수 있다. 논자는 범음ㆍ범패적 체계에서 전하는 범패(홑소리)의 전통에 원시불교시대부터 출가승들이 붓다의 음성과 법문의 형태를 따라 수행한 이래로 찬탄, 공양, 암송 등 붓다께 귀의하고 가르침을 실천해 온 보편적 수행의 특성이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찬탄적 수행으로 분류했다. 한국불교에서 전해지는 범패형태를 대략 기악, 가무, 염불, 범패, 재공, 찬탄으로 분류하면서 볼 때, 이들 수행의 목적을 가르침의 근원이자 수행자들의 귀의처인 붓다에 대한 찬탄과 공양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찬탄과 공양의 가장 수승한 표상은 과거 불사불(弗沙佛)을 찬탄하고 수기를 받았던 석가모니불의 전생수행으로 보았다. 그러나 전세의 석가모니불처럼 현신불(現身佛)을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수행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범패(홑소리)적 수행은 붓다의 법신과 가르침을 찬탄하고 자타의 수행을 찬탄함으로서 형성되는 믿음과 환희심이 수행과 깨달음의 기반이 된다는데 깊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범패 중에서 짓소리라고 하는 분야가 있는데 기능적인 면에서도 익히기가 어려워서 수련경력이 오래된 구참승(久參僧)이라야 제대로 구사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고 수승한 범패라는 의미에서 범음(梵音)이라는 존중어로 불리운다. 짓소리는 홑소리와는 형태와 느낌이 사뭇 달라서 처음 듣는 이들도 신비로운 느낌을 받는다. 이 짓소리가 불교 역사의 초기부터 고대인도 베다 연원의 문화를 수용하여 음성공명수행으로 공반야(空般若)를 깨달았던 자모(字母)수행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주장의 예로 논자는 현,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靈山齋)를 통해서 전승되고 있는 삼귀작법(三歸作法)의 설행형태를 제시했다. 논자는 이처럼 통상 구분 없이 범패(梵唄), 내지 어산(魚山)이라고 인식하는 범패를 범음ㆍ범패로 표기해 온 한국불교의 전승양식에서 범음(짓소리)과 범패(홑소리)에 서로 다른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며 고찰하였다. 그 결과 범패수행의 체계성을 발견했는데 이를 요약한다면 전해오는 범패수행의 방법론적 특징은 범음(짓소리)의 반야수행과 범패(홑소리)의 찬탄수행이 종횡(縱橫)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두 분야의 수행법이 상호보완ㆍ상승하게 되는 수행체계라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불교계 전체의 수행방법론을 집약하며 전승되는 것이 범패의례의 특성이라는 점에서 범패의 이런 특징은 비단 범패수행에만 국한되지 않고 불교수행의 보편적인 이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범패, 그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고찰

        윤소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동물은 물론 살아있는 사람까지 제물로 바쳤던 고대의 종교음악은 세속적 쾌락이나 원시적 본능과 종교음악의 영역이 구분되지 않았다. 고등 종교가 발현되면서 계율과 윤리관이 형성되듯이 음악에도 정신적 ․ 감성적 규제가 이루어졌다. 신(神)이라는 막연한 대상을 찬양하던 고대 종교와 달리 그 종교를 창시한 성현의 말씀을 암송하는 율조가 고등종교음악의 시초가 되었다. 성현의 말씀에 의한 율조는 이전의 종교와는 비할 수 없는 강한 결속력으로 사회적 기반을 형성하였고 말씀이 지닌 음악적 성격은 공동체를 하나로 응집시키는 윤활유가 되었다. 기독교 신학자들의 음악 철학에 의한 그레고리오성가와 중국 성현들의 사상이 반영된 문묘제례악과 범패가 한국에 유입되었다. 이들 음악은 각기 선율적 양상은 달랐지만 이전의 원시 종교와 달리 절제되고 승화된 음악을 추구한 점에서 일치하였다. 그러나 조선조 억불숭유 시기를 지나며 유교음악의 법도는 유지되었지만 범패는 본래의 법도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오늘날 한국의 범패는 중국 전통에 의한 어단성장(語短 聲長)의 선율에 티베트와 일본의 밀교적 성격과 한국적 토착화로 인한 민속적 성격이 혼재되어 있다. 일부 승려들에 의해 전승된 범패는 개인의 예술적 기량이 더하여져 고도의 예술적 경지에 이르렀다. 이는 음악적ㆍ 민속적ㆍ문화적 관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범패의 종교적 목적에서 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대만의 성운대사는 “범패는 본래 대중들에게 들려주는 것이지 불타가 듣는 것이 아니다. 만약 대중이 알아듣지 못하면 어떻게 법음선류(法音宣 流)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알아 듣지 못하는 한문 의례에 시대적 감성과 먼데다 고도로 예술화된 오늘날 한국 범패에 대하여 생각하 게 하는 대목이다. “범패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적 질문으로부터 범패 본연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illuminate the Korean beompae through the shamanic music of primitive religions, and the formation and ritual use of religious music around the world. Just as high religion emerged and its precepts and ethics were formed, mental and emotional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in music. Unlike ancient primitive religions that praised a vague object of deity, the melody of recitation of the words of saint, the founder of the religion, formed the beginnings of high-religious music. Thereafter sacred and elegant music with restrained feelings differing from secular music was pursued The Gregorian chant, regarded as among the most sacred music in the world today, reflected the music philosophy of theologians at the time. The Confucian ritual music of the Munmyo Jeryeak and Buddhist Beompae chanting reflected the precepts of Chinese music philosophy, and flowed into Korea. While Buddhism was suppressed under the Joseon Dynasty, the spirit and law of Confucian music was maintained. However the Buddhist chant Beompae could not maintain its original spirit. Thus, today's Korean Beompae has a mixture of Korean folk characteristics due to indigenization. Bumpae, handed down by select monks, reached high artistic levels with the addition of individual artistic skills. This is not a problem from a musical, folklore, and cultural perspective, but there is room to think about it from the original religion purpose of Beompae. Taiwan’s great Ven Singwin(星雲) said, “Beompae is originally song for people, not for Buddha or Bodhisattva. If people do not understand, how can it be called Beompae?” Ven Singwin’s words implicitly reference Korean rituals which cannot be understood by those unfamiliar with the Chinese text, and highly technical art song Beompae that are far from the sensibility of today. It is time to discuss the original role of the Beompae, and to ask the question, “What is Beompae?”.

      • KCI등재

        범패(梵唄)라는 용어의 해석에 대하여

        이병진 ( Lee Byeong-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범패(梵唄)는 불교의 의식음악이자 수행으로 불교가 있는 나라에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종교현상이다. 범패의 한자 표현은 범패(梵唄)인데 이는 중국과 한국이 동일하다. 범패는 불교의 발생지인 인도에서 전해진 것으로 그 어원은 고대 힌두교 의식의 찬가를 뜻하는 pāṭha이며 현행 용어 범패(梵唄)도 범어식으로 보면 brahma와 pāṭha의 조합이다. 범패는 초기불교 교단에서 pāṭha(唄의 원어)로 불리던 것이 중국으로 전해져서 포개(蒲介;púgà), 파사(婆沙;póshà) 또는 패익(唄匿;bàinì) 등으로 번역되었고 범(梵)자가 결합하여 오늘날 사용하는 용어 범패(梵唄;fànbài)로 전해졌는데 본 논문의 주제는 그 용어의 해석 방향에 대한 고찰이다. 오늘날 한국불교에서는 범음․범패 및 어산․작법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용어가 사용되는데 전자는 다국적 범패를 수용한 의미를 가지고 후자는 중국 전승의 범패라는 역사적 의미가 강조되는 용어이다. 그 중의 범음(梵音)은 불음(佛音)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범패를 통해 전승된 수행적인 의미가 강조되는 용어이며 범패는 의례에 소요되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포괄한다. 뿐만 아니라 범패는 전독(轉讀), 패찬(唄讚), 가영(歌詠), 어산범패(魚山梵唄), 인도(引導)소리 등 법회의 목적과 행법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파생되었지만 이러한 용어들의 관리와 활용은 교단에 소속한 종교인들의 의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대중에게 소개되는 용어는 최소한으로 족할 것이지만 그 용어해석은 사물의 본질에 상응하는 적절함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범패는 불교의 종교의례를 상징하는 중요한 용어이므로 그 의미의 전달은 민중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BUMPAE(梵唄) is ritual music also self-reflection of Buddhism which are the phenomenon on every where if there are belief Buddhism. The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 is Bumpae, those are same both of China and Republic of Korea. this like Bumpae was transmitted from India which is the place of origin of Buddhism, also that word is occurred on ancient hindu culture. The etymology of Bumpae is pāṭha meaned Veda chant of ancient hindu, interpret of word for present Bumpae are combination with brāhma' and ‘pāṭha’. However, also this etymology could not over to one meaning what is origin of shape only, according of that the position which are grown Buddhism as philosophy the one and only. The origin of Bumpae that just have been called as pāṭha in early Buddhim organization, called again as 蒲介(púgà), 婆沙(póshà) or 唄匿(bàinì) on the way of transliteration while following The silk road to China, was became the Bumpae(梵唄) word of present finally. Nowaday there are used the twice of couple words Bumeum(梵音)·Bumpae(梵唄) as meaning of acception for histories of multinational Bumpae and also Eosan(魚山)·Jakbeob(作法) as word which is belief as it is transmission from China only. The Bumeum has meaning that it's original sound of Buddha on the word of Bumeum·Bumpae, this is emphasize meaning of meditation in Bumpae. These meaning of BUMEUM(梵音;the universal sound) may had been transmission by JAMO(字母;Mother Character) in India, China and Korea also in Jittisory in Korea. We are able to know that These Bumeum are belief as it's a method to attain Buddhahood by best belief and methodology by trainees belong Mahayana Buddhism because that title has such meaning those are Buddha's voice and sermon. Particularly, these trend is very appeared deeply through sutras. The BUMPAE include like pray to Buddha, chanting sutra, play instruments, dancing, offering, Bumpae which attend to Korean YEONGSAN(靈山;spiritual mountain) ritual ceremony In the system of BUMEUM·BUMPAE(梵唄;universal paean). there are one kind of commonalities, it is element of praising when watch in position of Bumpae even those diverse practice are practiced by diverse type and methodology. Because the premised thing when join every practice are three devotions, and four pledges. If there aren't wish to praising, not can do to become a believer and vow. therefore, the suitable meaning of BUMPAE which is common title for BUMEM·BUMPAE there may as well going to be served to express like ‘The sound of praising Buddha.’ There are originated various style and mean of Bumpae but it is responsibility of experts to control for various words. Besides, it would be sufficient for the word to recommend for public as minimum word of numeral also the content should be suitable. because it would be foundation of increase for Buddhism culture also nostalgia of popular for suitable expression of word about Bumpae which are ritual ceremony and self-reflection of Buddhism. Therefor, I consider that the glossary of Bumpae should be stay not like “it is the sound from temple when have ritual ceremony” but it's advisable as the glossary “the sound for praise Buddha” or “the music for praise Buddhism”.

      • KCI등재

        일반논문 : 불모산 범패의 선율유형 연구-우담 문중 은파스님을 통하여-

        윤소희 ( So Hee Y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본고는 영남범패 중 마산·창원의 성주사·장유암·불곡사를 중심으 로 전승되고 있는 불모산소리의 전승자 은파스님의 증언으로 ‘거불성’ 과 ‘옹호게’, ‘진묵게’과 ‘할향게’, ‘복청게’와 ‘무량위덕’을 같은 유형 다른 악곡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올해 80의 연세로 접어드는 은파스 님은 해방되던 해에 우담스님이 주석하던 장유암으로 출가하여 우담 → 금해 → 은파로 이어지는 불모산소리 문중의 맏이로서 외부 활동을 그 다지 하지 않았으므로 불모산소리의 순수한 소리 맥을 간직하고 있다. 영남범패의 가장 기초소리인 ‘거불성’으로써 불모산소리와 통범소리 를 비교하여 불모산범패의 소리 유형을 영남범패의 보편적 유형의 준거 틀로 활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지역의 소 리에 잔가락의 미세한 차이는 있어도 선율의 골격과 방향이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불모산범패를 통해 분류된 소리유형을 영남범패 의 소리 분류에도 적용할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확인된 세 가지 유형의 여섯 곡을 살펴보면, ‘거불성’과 ‘옹호게’는 같은 유형의 악곡으로, 시작구는 완전히 다르다. 중간 부분은 거불성보다 긴 악곡인 ‘옹호게’에 ‘거불성’에 없는 새로운 부분이 한 부분 정도 첨가 된 것 외에는 대부분 같은 선율이고, 종지구는 장식적인 끝음의 첨가 외 에 거의 같다. 반면 ‘진묵게’와 ‘할향게’는 시작과 종지부분이 거의 같고, 중간 부분은 ‘할향게’에 새로운 요소가 한 부분 있기는 하나 그다지 색 다른 변화는 아니어서 전반적으로 비슷한 악곡이었다. ‘복청게’와 ‘무량 위덕’은 다 같이 범어(梵語)가사인 다라니와 진언을 이어서 하는 악곡으 로 곡의 윤곽이 앞의 네 곡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러한 악곡을 본고에서 는 ‘복청게 계열’ 악곡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불모산범패의 분류를 ‘거불성 계열’ ‘진묵게 계열’ ‘복청게 계열’로 유형별 명칭을 부여하였는데, 앞으로 남은 곡들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율유형 분류를 계속하고자 한다. 아울러 영남범패가 서로 대동소이하므로 불모산범패의 선율 유형은 통범소리와 영남범패 전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는 무박절 로 거의 비슷하게 들리는 범패이지만 분명하게 구분되는 선율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불교음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하고 대중화 하는 기 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Bulmosan Mountain Beompae music by testimony of monk ‘Eunpa’. To narrow and further the study, I have choose ‘Geobul-seong’, ‘Ongho-gye’, ‘Jinmook-gye’, ‘Halhyang-gye’, ‘Bokcheong-gye’ and ‘Muryangwideok’ Beompae songs and compare these songs with other songs. Monk ‘Eunpa’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t the Jangyoo-am hermitage in 1945. Monk ‘Woodam’ was the chief priest at that time, so the genealogy of Bulmosan mountain Beompae family trasnmitted in the order ‘Woodam’-‘Guemhae’-‘Eunpa’. Because monk ‘Eunpa’ did not widen the area and stayed mainly within the ‘Masan’ and ‘Changwon’ regions, his Beompae shows the most distintive characters of Beompae music of Bulmosan Mountain Beompae of Woodam family.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ions in the musical structures of previously mentioned Beompae songs, I was able to grouping them into three bigger category which are ‘Geobul-seong group’, ‘Jinmook-gye group’, and ‘Bokcheong-gye group’ by their similarity on the melodies. After these three groups have identified, I have compare them with the ‘Tongbeom-sori’ style Beompae music in order to see if the way of grouping these Beompae songs can be used as the universal reference frame. Comparisons between the ‘Geobul-seong’ song sung in both ‘Tonebeom-sori’ and other various styles existed in the ‘Youngnam-regional Beompae-sori’ shows that despite the minor differences such as ornaments, the basic melodic structure is built in almost similar style.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within the various Beompae songs, grouping them into similar melodies can also be adapted to that of Youngnam regional Beompae music when studying the structures and melodies of these music particularly. Moreover, we can see the bigger and clearer frame of basic structure of Beompae music as well as its pattern by doing so. Furthermore, I think this type of analyzation method can also be adapted to many other Beompae music practiced in various styles throuout the Korean penninsula, since they all handed down by monk ‘Jingam’ of Shilla Dynasty.

      • KCI등재

        범패의 위격과 율조 변화 - 영남범패와 대만범패를 중심으로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의례의 진행에 종속되는 범패는 촘촘하게 읊는 율조 에서부터 모음을 한없이 늘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음은 중국․대만이나 한국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한․중 범패의 율조 유형을 비교해 보면 중국은 경전을 낭송하는 일자일음의 송경율조부터 한 자에 여러 음으로 모음을 장인하는 찬류 악곡과 투곡식 범패까지 각각 독립된 장르를 이루고 있다. 중국 범패의 이러한 성격은 대부분의 범패를 승려와 대중이 함께 노래하기 때문이다. 즉 일정한 패턴이 있어야 다 함께 노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한국은 한 곡을 촘촘히 낭송할 수도 있고, 염불조․반염불조․홑소리․짓소리까지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승려 혼자 노래하는 의례 상황에서 비롯된다. 한국의 범패를 승려가 혼자 부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줄이고 늘이는 것이 자유롭지만 여기에는 의례와 관련된 엄중한 차별이 있다. 즉 부처님이나 불보살께 직접 인사를 올리거나 예를 올릴 때는 선율을 장엄하게 지어 부르고, 기도와 축원의 뜻을 지닌 사설조 가사들은 염불처럼 촘촘하게 읊거나 민요조로 빠르게 줄여 부르는 것이 자유롭다. 이러한 제반 내용들을 간추려 볼 때, 한국 범패 악곡이 염불조냐 홑소리냐 짓소리냐는 것은 의례의 성격과 범패의 위격에 따른 결과이지 음악적 동기나 목적에 의해 생겨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범패의 음악적 변화나 율조의 차이는 그 범패가 지닌 의례적 기능과 위격에 의한 결과이다. 오늘날 점차 짧아져가는 범패의 흐름에서도 범패의 위격에 맞추어 장엄하거나 줄여서 부를 줄 알았던 옛 사람들이 법도를 배울 필요가 있다. 부처님이나 불보살께 예를 올릴 때 장엄하게 갖추어 불렀던 옛 사람들의 자세는 오늘날 문화재나 예술적 대상이 되어버린 범패에 대한 자세를 반성하게 한다. Korean Buddhist Beompae chants are subordinate to the ritual process and have various patterns of melody, from short syllabic to long melisma, in the same way as Chinese or Taiwanese chants. But if we look in detail, we can find different features. Chinese chants have distinct forms, such as sutra recitation, poetic chanting, and the long suit form. They are usually sung or chanted all together during a ceremony. But Korean monks might sing different song patterns according to the ritual. A professional monk would sing the chants, as he is able to change the pattern freely in the ritual. Korean Buddhist monks freely reduce or extend the melody by vowel tones. But this might be done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song. If the contents of the text are for bowing or expressing deep honor to Buddha or Bodhisattva directly, the chant is never reduced. So the triple refuge Samguieoi and Buddha feet Jisimsinlye usually feature a full melody with Jissori. But the vowel melody line of play or blessing songs are short and simple, and so often sung in a folk melody style. And so we know there are several styles, like Yeombul, Hotsori or Jissori. These forms are determined by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song text, and relate to the importance of ritual rather than the goal of musical beauty. So if we seek to study or understand them well, we first need to take note of the role or the meaning of the chants in the ritual, because they were born out of the desire to express a religious message rather than a musical impulse.

      • KCI등재

        영남범패 분석 연구 - 국립문화재연구소 희귀음반 영남범패를 통하여 -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8 No.-

        The CD Yŏngnam Pŏmp'ae 嶺南梵唄 publish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s the oldest sound resource among of Yŏngnam Pŏmp'ae be in existence, so it is very significant to find of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Buddhist ritual chant in Yŏngnam province. For this study, I recorded 39 piece except 3 piece of Kyŏnggi 京畿 style and Hwach‘ŏng pŏmp'ae 和請梵唄 among of 45 pieces by western notation and analyzed that. On the result, I found there are idiom phrases through each other relation. For example many chants are variated from Kŏbulsŏng 擧佛聲 which is invitation song for Buddha and Bodhisattva to ceremony place and the basic chant in Yŏngnam province by changing the beginning note or melody, ending note or melody and some others could be another song. Most scale of Yŏngnam pŏmp'ae are arranged with 3~5 notes. Usually in a scale, the main notes are mi, la, do. The sol note appeared not open, make the melody to be p'yŏngjo 平調 or ujo 羽調 mode (similer to major) and if the ‘re’ note appear in a song then the chant become high toned melody. I classified the aspect of melody to Yŏmbulcho 念佛調 (Yŏmbul style), Pan (half) Yŏmbulcho, Hossori pŏmp'ae 홋소리 범패, Chissori pŏmp'ae 짓소리 범패, by the melodic interval, extention of the vowel sound and comparatively of melismatic. Most of song can be from Yŏmbulcho to pŏmp'ae by the ritual condition, it is the character of Korean Buddhist chant. The musical forms in the CD of Yŏngnam Pŏmp'ae are various like rondo style, beginning slowly to ending fast, 3 parts forms by slow-fast-slow, stropic song, through -composed song ext. The melody of long chants over 10 minutes usually translate a mode to another or change the key. But there are some chants even though have long melody don’t change their key or mode. Like these songs are sang mostly chorus or antiphonal chorus. Also the melodic style is different as the lyric, Chinese letter’s songs are usually melismatic, Mantra or Dhāranī songs are syllabic style. Accompanied percussions are usually four kinds of instrument with kkwaenggwari 꽹과리 (small gong) role the conduct and lead, ching 징 (large gong), drum and mokt'ak 木鐸 (single wood block). The scale of percussions arrangement is larger than other region, so the mood and condition of ritual in Yŏngnam province is more energetic and powerful. It is special, there are many chorus and antiphonal chorus and fork song style in Yŏngnam Pŏmp'ae. This fact is said that Buddhist chants are more popular than other region. So Yŏngnam Pŏmp'ae give a idea how to modernize and popularize of Buddhist chants (pŏmp'ae) on our time. 본고에서는 국립문화재 연구소에서 펴낸 『영남 범패』 음원 중 경제소리 3곡과 화청류 악곡 3곡을 제외한 39곡을 채보하여 126페이지에 해당하는 악보를 분석하여 영남범패의 전반적인 성격을 고찰 하였다. 본 음반에는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던 김용운스님의 독소리와 용운스님과 영남 어장들과의 교창, 합창을 비롯하여 기타 영남 여장들의 독소리와 합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현존하는 영남범패 음원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써 영남범패의 원류를 파악하는데 의미가 크다. 채보 악보를 통하여 이들 악곡의 면면을 고찰해 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악곡들에는 서로 관통하는 관용구들이 내재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기초소리인 ‘거불성’에서 시작음이나 중간 혹은 끝 소절만 살짝 바꾸어 다른 가사를 붙여 부르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선율을 형성하는 음들은 대개 3~5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된 구성음은 ‘미라도’의 3음이지만 드물게 나타나는 솔음으로 하여 평조 내지는 우조적인 성격이 나타나고, ‘도’음 위의 ‘레’음이 출현하는 악곡은 활달하면서도 고조된 느낌을 준다. 선율의 전개 양상을 보면 염불조 반염불조, 범패조 홑소리, 짓소리로 다양하게 소리를 지어간다. 이들의 형식은 환입 · 만중삭 · 느리고 빠르고 느린 3부분 · 유절 · 통절 형식 등 다양한 형식을 지니고 있다. ‘삼귀의, 연향게, 향화게, 지장청’과 같이 긴 곡에서는 변조 현상이 보였다. 이들은 Key만 바뀌는 것과 선법이 바뀌는 등 다양한 변조 과정을 보였다. 그러나 ‘오공양’이나 ‘육거불’ 같은 곡은 10분이 넘는 긴 곡이지만 합창이나 교창으로 부르는 연행 형식의 변화만 있고 변조를 하지 않는다. 가사에서 보면 한문 가사는 대개 길게 늘여 부르고, 범어 가사는 대개 박절감이 있는 빠른 패턴으로 노래한다. 『영남범패』에 수록된 범패들은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저음으로 노래하고 있다. 모음을 ‘아에이오우’로 분절하기 보다 ‘어’와 ‘허’, ‘아’와 ‘어’도 아닌 중간 발음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 ‘지심신례’와 같은 곡은 남성 베이스가 할 수 있는 최저점으로 떨어져서 마치 깊은 숨소리와도 같은 표현을 한다. 뿐만 아니라 긴 악곡에 등장하는 ‘음소리’와 ‘아아훔’은 노래하기보다 휴식을 취하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영남범패는 무념․무상을 추구하는 불교의 정신세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세속음악이나 여늬 종교음악에서 찾을 수 없는 독특한 음악세계이다. 타악 절주를 보면, 어장이 광쇄로써 악절을 맺을 때 타점을 강하게 찍어 다음 소절로 넘어가는 지휘역할을 하고 북 가락은 기본박을 짚거나 재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잔가락을 화려하게 구사하며, 전반적으로 사물을 갖추어 타주하는데서 법기 음향이 강렬하면서도 풍부하다. 오늘날 중국과 대만의 불교의례를 볼 때 범패는 대개 대중과 합창하거나 교창으로 이루어진다. 산동적산법화원 신라인들의 범패의 모습도 이와 같았던 점을 감안해 볼 때 오늘날 독소리 위주의 범패에 간소한 타악절주를 보이는 것은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을 거치면서 위축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영남범패』에 실려있는 다양한 연행방식의 범패는 오늘의 불교의례와 음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승려 대중이 합창과 교창하는 과정에 민요조의 신명나는 범패는 불교음악의 대중화와 현대화에도 기여하는 ...

      • KCI등재

        臺灣의 梵唄

        윤소희 한국국악학회 2005 한국음악연구 Vol.38 No.-

        대만은 현재 새로이 창작되는 다양한 불교 음악들이 많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생활 찬불가이고, 예불이나 법회에서는 전통 범패를 노래하고 있다. 대만은 중국의 전통을 이어서 조석 예불과 여러 가지 법회의식을 행하고 있어, 본토가 사회주의 혁명으로 전통이 단절되었던 것에 비해 중국의 전통 불교 음악을 연구하는 데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에 본인은 대만의 전국 각지를 순회하면서 불교사찰을 중심으로 현지 조사 를 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파악 하였다. 중국범패의 실질적 형성은 의식 규범과 관련이 있다. 오늘날 대만의 사원에서 행해지는 조석예불법회 의식 은 진(晉)나라 남북조에 기원하고, 수당 이후 불교의 각 종파가 일어나서 명(明)ㆍ청(靑)시기에 이르러 의 식과 노래가 보편화되고 정형화되어 대만으로 건너왔으며 지역적으로는 강소(江蘇), 절강(浙江) 일대 사원 의 해조음(海嘲音)과 복주의 고산조(鼓山調) 두 가지가 대만 범패의 근간이다. 대만의 불교 의식은 4~5명의 司楗楸(법기를 두드리며 의식을 이끌어 가는 승려)와 主法(주지승 혹은 의식 을 이끄는 최고 리더)이 이끌어 간다. 조석예불에서부터 법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패들을 크게 분류를 하면 송경류(誦經類), 참회류(懺悔類), 발원류(發願類), 배원류(拜願類), 흔상류(欣賞類), 염불류(念佛類)로 니눌 수 있다. 이들 중 아침 예불에는 능엄곡(楞嚴?), 대비주(大悲?), 십소주(十小?), 심경(心經), 찬불게(讚 佛偈), 삼귀의(三?依), 선녀천곡(善女天?), 위타찬(韋馱饌)을, 저녁예불에는 아미타경(阿彌陀經), 왕생주( 往生?), 대참회문(大懺悔文), 찬불게(讚佛偈), 불호(佛號), 관문불호(觀文佛號), 회향문(?向文), 경중게(警 衆偈), 삼귀의(三?依), 대비주(大悲?), 가람찬(伽藍讚) 등을 부른다. 한국의 영산제와 비교 될 수 있는 의식인 “법회”는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 소요되는 의식들이 대부분이다. 법회의 종류는 설날에 행하는 禮千佛法會, 초파일의 浴佛法會, 7월의 孟蘭益法會를 비롯하여 水陸齋, 梁皇 寶讖法會, 藥師法會, 彌陀法會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만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법회는 양황법회로서 음 력 7월이면 어느 사찰에서건 양황참을 거행한다. 대만의 법회는 주로 “誦經儀式”으로 이루어지는데 의식 진행과 범패를 보면 옌닌이 기록한 산동 적산원의 신라인들의 송경의식과 연결되는 점이 많다. 이에 대한 상세한 비교연구는 다음 차례로 미루기로 한다. 대만 범패의 음악적 성격을 보면, 선율 유형에는 海潮音과 鼓山調로 나눌 수 있다. 海湖音은 선율의 흐름이 마치 물결처럼 곡선을 그리며 유연하게 흐른다는데서 비롯된 대만식 이름으로 느리고 정적인 노래이다. 鼓 山調는 여러 가지 타악 반주가 활발하고 리듬적 요소가 크게 부각되는 동적인 노래이다. 음계는 대개 반음 이 없는 5음계로 이루어 지며 가끔 반음이 등장하는 6음계도 있다7싸와 선율의 관계는 일자일음식과 일자 다음식의 선율이 있는데 일자다음의 멜리스마틱 선율은 대개 느린 海湖音 많고 느린 곡에는 요성과 장식음 도 다양하다. 일자일음식의 노래는 처음엔 아주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 빨라져서 나중엔 아주 빠른 단순한 염불이나 독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가사의 유형은 4ㆍ5ㆍ7언 싯구를 비롯하여 경전을 촘촘히 낭송 조로 읽어 내려가는 것과 진언과 게송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리듬은 대개 2/2, 4/4등 짝수박의 네 박자 계통이며 예외적으로 5박, 6박의 리듬도 발견 되었다. 템포는 이끌어가는 승려에 따라 때로는 박이 늘 어나고 당겨질 수도 있으므로 수치로서 정확하게 잘라 말할 수 없다. 범패의 반주는 4~8가지 정도의 타악 기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타악기는 種, 鼓, 魚, 磬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불교적인 덕목에 맞추어 상징적 의 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노래하는 방법에는 첫 소절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신도들과 승려의 합창으로 이루 어지는데 선창자의 끝자락을 중복해서 반복하거나 다음 소절을 이어가는 교창과 선창자의 첫 소절을 이어 서 합창으로 함께 부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합창할 때는 의식을 이끌어가는 승려 중 한명 혹은 몇 명이 약 3, 4도 위의 헤테로포니 선율을 노래하므로서 종교적 환희심과 음악적 미를 더하기도 한다. 한국의 범패가 일부 범패 전문승려에 의해 전승되는 것과 달리 대만의 범패는 승려와 신도가 함께 합창으 로 하는 만큼 범패 전문승려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승려는 승려교육 기간 중 범패를 배우고, 특히 의식을 이끌어가는 타악의 역할이 크므로 타악 반주법을 주력해서 배운다. 신도들은 타악의 여러 신호를 듣고 진행의 방향을 알게 되며, 모든 범패는 신도와 승려가 함께 노래하므로 특별히 까다롭거나 어려운 발 생이나 선율은 없다. Taiwan's buddhist chant "Beompae" succeeds to China's Beompae. The actual formation is connected with the ritual standard. These days the Buddhist mass that services in the Taiwan's temple originates in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of Jin 晉. After collapsing Sui 隋 and Tang 唐, various religious denomination of Buddhism arose, the ceremony and songs became common at the age of Miong 明ㆍ Ging 靑 Moreover they became traditional and went to Taiwan. locally, Haichaoyin 海潮音 of and several temples in Jiang-su 江蘇, Zhe-jiang 浙江 and Gaoshandiao 鼓山調 in Fuzhou 福州 are the basis of China Beompae.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China Beompae are divided into the Haichaoyin and the Gaoshaodiao by melody. The first thing is Tienningqiang 天寧腔 came from Jiangsu and Zhejiang, it is named like that in Taiwanese because the melody streams like water drawing a cure. Haichaoyin is slow and static. On the other hand, Gaoshandiao is dynamic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percussion instrument such as the drum or the bell and the constituent of rhythm is prominent.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 of the words and melody, there are two types ; one is melisma, the other is syllabic. The melismatic melodies are in the slow of Haichaoyin. The syllabic melodies start very slowly, gradually become fast during the Buddhist pray. The patterns of the words are very various. For example, there are the word of Buddha and hymn. The type of reading the Sutras in a recitation tone including verses like 4ㆍ5ㆍ7words. Most of the rhythm are even number time like two-two time, four-four time. It is difficult to say the time correctly because it can be extended or pulled according to the monk who leads a ceremony. The Beompae's accompaniment is composed of four to eight percussion instruments. These percussion instruments are made up of the mixture of bell 鍾, drum 鼓, wood block 魚, and jade stone 磬 these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ymbol of Buddhist philosophy. Taiwan people regard these as sanctity instruments 法器 and hold sacred. Most of the types of singing are to repeat the chorus leader or to sing in chorus connecting anti phon and the first bar of the leader. In the case of the singing in chorus, sometimes a leading monk or some monks increase religious delight and musical beauty making heterophony whom the monks add other three to four high tone. Korean Beompae is inherited by the professional monks, but Taiwan's Beompae is inherited naturally by the ceremony singing in chorus with the monks and believers.

      • KCI등재

        일응 스님 범패 연구

        윤소희 ( So Hee Yoon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0 No.-

        일응스님은 전주에서 태어나 11살 무렵 출가하여 일찌감치 완제범패를 섭렵하였다. 이후 서울 봉원사의 이월하스님으로부터 서교제 범패를, 개운사의 전우운스님으로부터 동교제 범패를 익혔으며. 다시금 고향인 전주로 내려와 완제범패를 다졌다. 사찰정화분규로 종단의 혼란이 있던 시기에는 일시적으로 환속하여 국악인으로써 활동하였다. 이때 사조창 분야에 두각을 내어 명인의 반열에 들 정도였으며, 더불어 가야금 산조와 북가락 연마로 민간 전통 음악 어법을 다양하게 섭렵하였다. 일응스님의 이러한 삶의 과정은 그의 범패에 그대로 영향을 미쳤다. 경제 범패의 영향으로 지방에서만 범패를 익힌 스님들과 달리 정확한 음정구사와 세련된 성음을 구사하게 되었고, 경제 범패만 익힌 승려들과 달리 완제 범패의 영향으로 굵게 떠는 저음과 고음에서 육자베기토리와 같이 꺽는 성격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그런가하면 ‘화청’이나 ‘봉청’과 같은 악곡의 고음부분에서는 시조창에서와 같이 가성으로 부드럽게 들어 올리는 부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런가하면 전주 출생으로 시조창과 가야금, 북가락 등 기예가 뛰어났던 면모는 ‘화청’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었다. 고음 부분에서 애조를 띈 시김새를 구사하는가 하면 반음에 가까운 음정으로 꺽는 발성이 그것이다. 후반부 선율에서 다채로운 변화장단 선율이 돋보였는데 이는 가야금산조와 북가락을 익히며 전통음악의 다채로운 기교가 범패가락으로 용해된 것이었다. 한편 지역을 불문하고 범패는 메나리토리를 근간으로 하는데 일응스님의 범패에는 메나리토리 선율이 거의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이는 남도 태생인 일응스님 범음성의 개성으로 인하여 메나리토리적인 성격이 약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racterizing and hand down of a monk`s Buddhist ritual chants (pomp`ae 梵唄) through Venerable Ilung`s life on the condition of Korean Buddhist society and tradition. For this study, I met his students and colleagues whole area of Korea and recorded the evidences. After that I recorded his songs on western music notation and analysed it. Ven. I1ung 一應 was born on 1920 in Chonju 全州 of Cholla province 全羅道, died on 2003 in Seoul. That days of Korea history was the convulsions perio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and after Korean War, so Buddhist monks should be experienced their fragmentation. Ven. Ilung became a monk 1931 (his age was 11) learned and exercised the songs and dancing in the Buddhist ritual, it was uxanje 完制 (Chonju style) of the Cholla province. After 5 years he went to Seoul to learn kyongje 京制 (Kyonggi 京畿 style) chants for his advanced song. At one time, He return to secular society to escape from the fragmentation of Buddhist monk`s society and school. At that time he acted as a singer of sijo 時調 (a kind of traditional Korean lyric song) and also learned kayagum sanjo 伽倻琴散調 (solo instrumental music for 12-stringed zither) and the rhythm of drum. After several years, he came back to be a monk and harder to exercise Buddhist ritual song and dancing for ceremony service then before. The result he could get the accredit as his songs and dancing and became a initiator of the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in Seoul. After that he went to his home town Cholla province and instruct his students Buddhist ritual and song and dancing. By his effort his students could became initiators of Cholla 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analysis of his various chants is that some time there were falsetto voice on high pitched melody, it is came from traditional Korean lyric song (sijo). Some time there were a vocalization like folk song of Cholla province mostly on low pitched melody, it is due to his home town Cholla`s folk song style. But his song is more purified and collected the pitch and interval of his melody than his students and colleagues in Cholla province, it is because of that he learned and acted in Seoul. Especially when he song bwacb`ong 和請 (Buddhist song in Korean language) song very delicate emotionally and express rhythmically, it is influenced by kayagum sanjo and Korean traditional rhythm pattern of drum. Given his life, acting of Buddhist ritual and the feature of his Buddhist song pomp`ae, the character is in the fusion and harmonious condition with Seoul and region, the religious spirit and lay person music. The noteworthy on his songs is the temperanc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gnified vocal although receptive of the common musical skill. It is the most virtue on his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