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건계열 대학생의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관련요인

        기시우,고광욱,김혜숙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신체활동 동기 준비도란 사람의 행동 변화와 관련된 심리적 선행요인의 측정 가능한 지표로 정의된 다.1)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요인을 이해하려면 신체적으로 활동적이 되거나 유지하도록 만드는 욕 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1) 사람은 욕구가 생기면 그것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게 되며, 이러한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동기부여라 한다.1) 세계 많은 국가에서 신체활동부족 수준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전 염성 질병의 유병율과 함께 전 세계 인구의 일반적인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이다.2) 대학생 은 인간발달단계의 분류상 때로는 학생으로, 때로는 성인기로 분류되는 과도기적인 시기이다.11) 따라서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양성이라는 대학교육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그 관리가 필요하다.12)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 된 신체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간호학과에 치중하거나 13), 대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14), 신체활동으로 인한 심리 변화15), 식이섭취16) 등의 연구가 진행 되었으나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진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보건계열 학생들은 신체활동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전공교과 이수중에 체감할 수 있는 환경에서 학업을 진행한다는 특수성이 있다. 이 러한 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이에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신체 활동 변화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다양성 확보 및 최적화에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이론 모형에 근거하여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관련요인 에 대한 연구를 위해 대상 보건계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의 분포를 알아보고, 대 상 학생들의 신체활동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여 신체활동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변화에 필요한 동기의 이해 도를 진일보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은 생활환경변화로 인해 감소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보건계열 학생들의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관련요인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변화에 필요한 동 기의 이해도를 진일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3그룹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이론 모형을 적용한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관련요 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고신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NO. KU IRB 2022-0027)의 심의 승인 후 연구자가 직접 해당학교를 방문하여 각 학과 주임교수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방법을 설명하고 협조 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협조로 7월 11일 대상 학과 학생들에게 연구자 참여자 모집 문건을 온라인으로 발송하여 연구의 목적 및 취지를 이해하고, 자의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한 학생을 대상으로 7월 18일부 터 3주간 온라인 설문지(구글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게 하여 수집하였다. 대상 학과 별 70명씩 210명에게 설문 URL을 배포하여 물리치료학과 53명, 스포츠 계열학과 54명, 미용계열 학과 69명이 응답하여 총 176명(응답율 83.8%)이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P광역시에 있는 3개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계열 3개학과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신체활동 변화단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결과는 SPSS(Ver. 18.0)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로 물리치료과 53명(30.1%), 스포츠 계열 54명(30.7%), 미용계열 69명(39.%)이 참여하 였고, 평균연령은 22.09±3.67(세), BMI 평균은 22.85±3.87(Kg/m2)으로 정상이 79.5%(140명) 이었으며, 2 학년이 80.1%(141명)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이 57.4%(101명), 남학생이 42.6%(75명)으로 여학생의 비중 이 조금 높았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의 변화단계의 분포는 계획 전 단계 10.8%, 계획단계 30.7%, 준비단 계 19.9%, 행동단계 21.6%, 유지단계 17%이었다.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부정적인 요 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대상자 분포는 현재 운동을 하고 있지 않지만 앞으 로 6개월 안에 규칙적인 운동을 시작할 계획이 있다는 계획단계가 30.7%(54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현재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만 6개월이 되지 않은 행동단계가 21.6%(38명), 현재 규칙적이 지 않지만 운동을 하고 있는 준비단계가 19.9%(35명), 규칙적인 운동을 6개월 이상 지속하고 있는 유지 단계가 17%(30명), 6개월 안에 규칙적인 운동을 할 계획이 없는 계획 전 단계가 10.8%(19명) 이었다. 다 음 표 3은 변화단계별 대상자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 성 중 성별(X2=28.164, p〈.001), 학년(X2=19.863, p〈.001), 연령(X2=17.402, p〈.001), 주거형태(X2=23.541, p〈.001), 건강상태(X2=27.831,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운동행위 변화단계를 파악하고, 운 동행위 단계별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도출하여 운동행위 변화단계 미치는 관 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개의 전문대학에서 신체활동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3개 학과를 선정 후 각 70명씩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176명이 응답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의 운동행위 변화단계는 타 집단에 비해 운동을 하고 있는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고, 범이론 모형 구 성요소들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의사결정균형의 부정 적 요소가 낮을수록 운동행위 변화단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인 보건계 열 대학생들의 운동행위 변화단계 향상을 위해서는 부정적 요소를 낮추도록 운동장소 및 운동시간 확보 와 피로감 해소에 대한 대응 방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로 운동행위를 행동하지 않고 있는 계획 전 단계, 계획단계에 있는 학생들을 위해 건강한 삶의 중요성 및 그를 위한 신체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부 정적인 요소 감소를 위한 환경구축 및 자구노력을 기울일 있도록 학교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 되고,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면 신체 활동에 중요한 중재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

        송미순(Misoon Song),김선호(Seon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는 범이론모형에 기반하여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혈압 노인에게 적용하여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에 내원하며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65세 이상 고혈압 노인 41명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범이론모형에 기반한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을 8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행위 변화단계, 전체 변화과정 점수, 행위적 변화과정 점수, 운동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경험적 변화과정 점수, 의사결정균형, 혈압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행위강화 중재는 비활동 고혈압 노인의 운동행위로의 이행과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혈압 노인에게 적용된다면 운동습관을 형성하게 하여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transtheoretical model (TTM) based exercise behavior improving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on the stage of change,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exercise self-efficacy, blood pressure and physical activity.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41 adults over 65 years of age with hypertension who did not practice regular exercise. The experimental group (n=20) received the 8-week TTM based exercise behavior improving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hypertension self care management education. Descriptive analysis, x<SUP>2</SUP>-test, t-test, paired t-test were used for analyzing the data using SPSS for Windows 14.0. As a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ge of change, total score for processes of change, behavioral process of change, exercise self-efficacy, total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experiential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blood pres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TTM based exercise behavior improv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exercise behavior among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범이론 모형에 기반한 치료가 청소년 게임 중독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주해원,현명호,박지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6

        The current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Prochaska & DiClemente, 1983)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 Korean adolescents. Twen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ed to internet games wer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Of them, twelve subjects were assigned to a treated condition; the remains, to an untreated control condition. At baseline and post-treatment all subjects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to asses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and practice of activities for recovering from game addiction. Treatment for attenuating game addiction was delivered only in the treated condition for eight sessions spanning 4 weeks. After treatment, the treated group significantly showed attenuation in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augmentation in practice of activities for recovering from game addic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This program appeared effective especially in reducing internet game expectancy, withdrawal, and tolerance and in promoting use of the following processes to modify game addiction problems: consciousness raising, social liberation, self-reevaluation, environment reevaluation, self-liberation,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timulus control. The current findings support the applicability of the TTM to adolescents addicted to internet games. 범이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은 문제행동의 회복과정을 설명하는 모델로 다양한 중독성 장애에 적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TTM에 근거한 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 게임 중독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중학교 상담교사와 학부모로부터 본 프로그램을 권유받은 학생 중 게임 중독 위험군으로 평가된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참여를 수락한 12명은 치료집단에, 나머지 학생은 통제집단으로 배정되었다. 치료프로그램은 한국게임산업개발원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매뉴얼을 연구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으며 매회 90분씩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게임 중독 척도와 변화전략 척도를 치료 전후에 작성하였다. 그 결과 치료집단의 중독 수준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본 프로그램은 게임에 대한 긍정적 기대, 금단 현상, 내성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변화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였다. 그들은 주로 강화관리, 자극통제, 자기해방, 인식증진, 자기재평가, 사회적 해방을 바탕으로 게임사용 습관을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게임 중독의 회복에 TTM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산업재해 근로자의 변화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

        송문희(Moon-Hee Song),권희경(Hee-Kyung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범이론을 적용하여 산업재해 근로자(이하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족, 산업재해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산업재해로 요양 치료를 받고 있는 305명의 근로자로부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 수준은 초이론 모형에서 대부분 전숙고, 숙고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둘째, 산재근로자의 변화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심리안정성, 장애수용도, 독립성이었고, 가족 요인은 가족의 지지도였으며, 산재 관련 요인은 주관적 재해상태, 재해 당시 직업, 직업 복귀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을 위해 개인의 심리와 가족의 지지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motivation for change of injured workers. Data from 305 injured workers were anla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ed workers motivation for change were: multiple psychological security, acceptability of injury, and independence at personal level, family support at family level, and perceptive severity of injury, job, and return to job.

      • KCI우수등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전동킥보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민혜,정헌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2 國土計劃 Vol.57 No.2

        전동킥보드 이용의도의 영향요인을 찾는 연구는 다양하며, 주로 성능기대와 같은 유용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기대와 더불어 환경성, 안전성이 전동킥보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타 요인과의관계까지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요인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효과적인 정책 마련에도 중요함에 따라, 본 연구는 이를 반영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행동변화의 세부 과정에 따라 전동킥보드 이용의도에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집단을 이해함으로써 현 상황에 맞는정책 방향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동킥보드가 이용되는 공간적 범위의 확산 및 이용자 증가 속도와 달리 전동킥보드의 이용환경 조성 속도는 더디기에 이와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동킥보드 이용의도의 영향요인을UTAUT2 및 행동변화단계에 따라 검토하여 여러 측면에서 이용환경 조성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