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dionuclides Transport from the Hypothetical Disposal Facility in the KURT Field Condition on the Time Domain

        Youngtaek Hwang,Nak-Youl Ko,Jong Won Choi,Seong-Seock Jo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2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0 No.4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하처분연구시설인 KURT 주변의 지하수 유동 환경과 관련하여 수집 및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상의 처분장에서 누출된 방사성 핵종의 이동 현상을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계산하였다. KURT에서 실시된 현장 시험에서 밝혀진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파악된 지하수 유동 경로를 따라 방사성 핵종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시간 영역에서 용질 이동 모의를 하는 TDRW(Time Domain Random Walk) 방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류(advection)와 분산(dispersion) 현상 외에 방사성 핵종의 붕괴(decay), 평형 흡착(equilibrium sorption),암반 기질로의 확산(matrix diffusion) 현상이 용질의 이동 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모의 결과를 통해 방사성핵종과 지하 매질의 특성에 의한 흡착 현상, 기질 확산 현상이 핵종 이동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으며, 방사성 핵종의 연쇄반응에 의한 영향도 평가하였다. KURT 부지 환경에서 지표로 유출될 수 있다고 계산된 방사성 핵종의 유출량은 처분장에서 누출될 수 있는 양의 10-3배 미만이었고, 암반 기질로의 확산 및 흡착이 고려되면 그 비율이 더욱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종 이동 모의 방법은 방사성붕괴나 흡착, 확산 등 이동 지연 현상을 고려하면서 핵종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어 안전성 평가에서 요구되는 심부 지하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 관련 자료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URT 부지 환경에 위치한 가상의 처분 시설에서 누출되는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Time Domain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황영택,고낙열,최종원,조성석,Hwang, Youngtaek,Ko, Nak-Youl,Choi, Jong Won,Jo, Seong-Seock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2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0 No.4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하처분연구시설인 KURT 주변의 지하수 유동 환경과 관련하여 수집 및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상의 처분장에서 누출된 방사성 핵종의 이동 현상을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계산하였다. KURT에서 실시된 현장 시험에서 밝혀진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파악된 지하수 유동 경로를 따라 방사성 핵종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시간 영역에서 용질 이동 모의를 하는 TDRW(Time Domain Random Walk) 방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류(advection)와 분산(dispersion) 현상 외에 방사성 핵종의 붕괴(decay), 평형 흡착(equilibrium sorption), 암반 기질로의 확산(matrix diffusion) 현상이 용질의 이동 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모의 결과를 통해 방사성 핵종과 지하 매질의 특성에 의한 흡착 현상, 기질 확산 현상이 핵종 이동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으며, 방사성 핵종의 연쇄 KURT 부지 환경에 위치한 가상의 처분 시설에서 누출되는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Time Domain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반응에 의한 영향도 평가하였다. KURT 부지 환경에서 지표로 유출될 수 있다고 계산된 방사성 핵종의 유출량은 처분장에서 누출될 수 있는 양의 $10^{-3}$배 미만이었고, 암반 기질로의 확산 및 흡착이 고려되면 그 비율이 더욱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종 이동 모의 방법은 방사성붕괴나 흡착, 확산 등 이동 지연 현상을 고려하면서 핵종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어 안전성 평가에서 요구되는 심부 지하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 관련 자료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data observed and analyzed on a groundwater flow system in the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site, the transport of radionuclides, which were assumed to be released at the supposed position, was calculated on the time-domain. A groundwater pathway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surface was identified by simulating the groundwater flow model with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measured from the field tests in the KURT site. The elapsed time when the radionuclides moved through the pathway is evaluated using TDRW (Time Domain Random Walk) method for simulating the transport on the time-domain. Some retention mechanisms, such as radioactive decay, equilibrium sorption, and matrix diffusion, as well as the advection-dispersion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to influence on the elapsed time.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effects of the sorption and matrix diffusion, determined by the properties of the radionuclides and underground media, on the transport of the radionuclides were analyzed and a decay chain of the radionuclides was also examined. The radionuclide ratio of the mass discharge into the surface environment to the mass released from the supposed repository did not exceed $10^{-3}$, and it decreased when the matrix diffusion were considered.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reparing the data on radionuclide transport for a safety assessment of a geological disposal facility because the method could evaluate the travel time of the radionuclides considering the transport retention mechanism.

      • 수입폐기물의 오염확인을 위한 지표 방사성 핵종 선정

        최용 ( Yong Choi ),이승희 ( Seung-whee Rh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국내에서는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2011년 노원구의 아스팔트 도로로부터 방사성물질이 검출되는 사례가 있었으며, 이때 측정된 방사선량은 지표면 및 지상 1m에서 국내 평균 방사선량 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 방사성핵종 중 137Cs의 방사능 농도가 국내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허용농도인 0.1Bq/g과 비교하여 200 ~ 300배 정도의 농도로 분석되어 원자력 관계 법령에 의한 처리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생활환경에서 방사성물질 노출 등의 사례를 통해 국내에서는 일본으로부터 수입되는 농·수산물뿐만 아니라 시멘트 원료 등으로 수입되는 석탄재 등의 수입폐기물에 대해서도 그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매우 높아졌다. 이에 국내에서는 수입폐기물 중 방사성물질 오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류를 정하는 고시를 마련하고 있지만 방사성물질 오염확인 절차와 분석대상 핵종 및 기준치 등에 대하 사항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폐기물의 방사성물질 오염확인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지표 방사성핵종을 선정하고, 해당 핵종의 기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폐기물의 방사성물질 오염확인을 위한 지표 방사성핵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 발생한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를 포함하여 국제원자력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의 국제 원자력고장·사고사례로부터 원자력 관계 시설의 사고 시 주변 환경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는 방사성핵종의 종류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로 방출된 방사성핵종의 반감기 등의 특성과 비방사성폐기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치를 비교·검토하여 수입폐기물의 방사성물질 오염확인 시 활용할 수 있는 지표 방사성핵종의 종류를 선정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방사성폐기물 신분류기준을 고려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핵종재고량 예측

        정강일,정노겸,문영표,정미선,박진백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6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4 No.1

        국내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 대한 핵종량은 대부분의 방사성핵종에 대한 규명이 요구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경주 처분시설 부지에서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을 위한 처분시설의 활용도 및 효율성 그리고 신분류기준을 반영한핵종재고량을 예측하였다. 장기 방사성폐기물의 예측하기 위해 2014년까지 다양한 발생원별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과 발생전망을 분석하였다. 예측된 핵종재고량 결과는 처분시설에 대한 안정적인 개발 및 Safety case의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meet nuclear regulatory requirements, more than 95% individual radionuclides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inventory have t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radionuclide inventory has been estimated by taking the long-term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the development plan of disposal facility, and the new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into account. The state of radioactive waste cumulated from 2014 was analyzed for various radioactive sources and future prospects for predicting the long-term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The predicted radionuclide inventor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e the development of waste disposal facility and to deploy the safety case for its long-term safety assessment.

      • KCI등재

        방사성폐기물 처분안전성 평가 자료 제공을 위한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KAERI-SDB) 개발

        이재광,백민훈,정종태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3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1 No.1

        방사성폐기물 처분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방사성 핵종의 수착특성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성이 취약하여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방법으로 핵종 수착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핵종 수착 데이터베이스(KAERI-SDB)를 개발하였다. KAERI-SDB를 개발하기 위하여 1998년에 개발된 수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SDB-21C을 분석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였으며,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정 및 보완된 핵종 수착 자료에 실시간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KAERI-SDB는 로그인/회원가입, 자료 검색 및 저장 그리고 검색결과에 대한 차트 구현 등의 기능들이 포함되도록 고안되었다. KAERI-SDB는 수착 자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향상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 처분 안전성 평가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핵종 수착관련 자료들을 일반인에게 공개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 처분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와 대중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불포화 암반 파쇄대를 통한 핵종 이동

        김원석(Won Seok Kim),김정진(Jungjin Kim),안진모(Jinmo Ahn),남성식(Seongsik Nam),엄우용(Wooyong Um) 大韓環境工學會 2015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7 No.8

        불포화대 암반 단열에서 방사성 핵종인 3H, 90Sr and 99Tc의 흡착실험이 진행되었다. 천층처분시설의 인공방벽을 통과해 누출된 방사성 핵종은 빗물이나 공극수에 의해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하여 지하수로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처분장의 장기간 안전점검을 위해,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한 방사성 핵종의 거동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층처분주변에서 채취된 불포화대 암반 단열 샘플을 이용하여 X-ray microtomography 분석을 수행하였고, 회분식 흡착실험을 이용하여 방사성핵종인 3H, 90Sr and 99Tc의 흡착실험이 진행되었다. 암반 단열의 충전물질로 불석광물 및 점토광물 존재 시 중흡착성 핵종인 90Sr의 흡착 분배계수 값이 충전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암반 단열 특성화 및 방사성 핵종의 흡착분배계수를 구했으며,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한 핵종의 거동이 지연됨을 이해할 수 있었다. Adsorption experiments for radionuclides such as 3H, 90Sr and 99Tc were conducted using fractured rock collected in unsaturated zone. The released radionuclide through artificial barrier from the near surface repository can be transported by the flow of rainfall or pore water through fractures in unsaturated zone and reach to groundwater flow.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ransport behavior (retardation) of radionuclides through fractured rock for the safety assessmen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repository. Fractured rock samples were collected and characterized by X-ray microtomography (XMT) analysis, which can be used to develop a more robust unsaturated fracture transport model. When fracture-filling materials are exist, distribution coefficient of 90Sr is higher than without fracture-filling materials. In this study, batch sorption distribution coefficient (Kd) of radionuclide was determined and used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radionuclide retardtion through fracture-filling materials.

      • KCI등재SCOPUS

        한국 심부 지하수 환경에서의 방사성 핵종(우라늄, 플루토늄, 팔라듐)의 지화학적 거동 모델링

        최재훈(Jaehoon Choi),박선주(SunJu Park),서현수(Hyunsoo Seo),안현태(Hyun Tai Ahn),이정환(Jeong-Hwan Lee),박정훈(Junghoon Park),윤성택(Seong-Taek 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The safe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quires accurate predictions of the long-term geochemical behavior of radionuclides.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odel geochemical behaviors of uranium (U), plutonium (Pu), and palladium (Pd) under different hydrogeochemical conditions that represent deep groundwater in Korea. Geochemical modeling was performed for five types of South Korean deep groundwater environment: high-TDS saline groundwater (G1), low-pH CO2-rich groundwater (G2), high-pH alkaline groundwater (G3), sulfate-rich groundwater (G4), and dilute (fresh) groundwater (G5). Under the pH and Eh (redox potential) ranges of 3 to 12 and ±0.2 V, respectively, the solubility and speciation of U, Pu, and Pd in deep groundwater were predicted. The result reveals that U(IV) exhibits high solubility within the neutral to alkaline pH range, even in reducing environment with Eh down to -0.2 V. Such high solubility of U i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a-U-CO3 complexes, which is important in both G2 located along fault zones and G3 occurring in granitic bedrocks. On the other hand, the solubility of Pu is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on pH, with the lowest solubility in neutral to alkaline conditions. The predominant species are Pu(IV) and Pu(III) and their removal is predicted to occur by sorption. Considering the migration by colloids, however, the role of colloid formation and migration are expected to promote the Pu mobility, especially in deep groundwater of G3 and G5 which have low ionic strengths. Palladium (Pd) exhibits the low solubility due to the precipitation as sulfides in reducing conditions. In oxidizing condition, anionic complexes such as Pd(OH)3-, PdCl3(OH)2-, PdCl42-, and Pd(CO3)22- would be removed by sorption onto metal (hydro)oxides. This study will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fate and transport of radionuclides in deep groundwater conditions of South Korea and therefore contributes to develop strategies for saf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심지층에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서는 방사성 핵종의 장기적 지구화학 거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심부 지하수를 대표하는 다섯가지 지화학 환경 조건에서 지화학 모델링을 수행하여 일부 방사성 핵종의 지화학 거동을 예측하였다. 다섯가지 국내 심부 지하수의 지화학 환경은 다음과 같다: 고 TDS 염지하수(G1), 산성 pH의 CO2가 풍부한 지하수(G2), 고 pH 알칼리성 지하수(G3), 황산염이 풍부한 지하수(G4), 묽은(담수) 지하수(G5). 3~12의 pH 범위와 ±0.2V의 산화-환원전위(Eh) 조건에서 일부 방사성 핵종(우라늄, 플루토늄, 팔라듐)의 국내 심부 지하수 내에서의 용해도와 화학종(존재형태)을 예측하였다. 모델링 결과, 용존 상태의 우라늄은 주로 U(IV)로서 중성~알칼리성의 넓은 pH 환경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며, Eh가 -0.2V인 환원 환경에서도 알칼리 pH 조건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이러한 높은 용해도는 주로 Ca-U-CO3 착물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 착물의 활동도(activity)는 국내 심부 지하수 중 주요 단층대를 따라 산출되는 G2와 화강암반에 위치하는 G3에서 높다. 한편, 플루토늄(Pu)의 용해도는 pH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중성~알칼리성 조건에서 가장 낮은 용해도가 나타난다. 주요 화학종은 Pu(IV)와 Pu(III)이며, 이들은 주로 흡착을 통해 제거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콜로이드에 의한 이동을 고려하면, 이온강도가 낮은 심부 지하수인 G3와 G5 유형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 촉진에 따라 이동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팔라듐(Pd)은 환원 환경에서는 황화물 침전 반응으로 인해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며, 산화 환경에서는 주로 금속(수)산화물에의 흡착을 통해 Pd(OH)3-, PdCl3(OH)2-, PdCl42- 및 Pd(CO3)22-와 같은 음이온 착물이 제거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심부 지하수 환경에서 방사성 핵종의 운명과 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전략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Fe, Ni 핵종분리 분석 연구

        최진수,이상호,홍은희,정가희,손욱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원전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해서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 및 방사성폐기물 인수방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폐기물의 총 방사능량 및 규명대상 핵종별 농도가 평가되어야 한다. 폐기물 내 방사능 농도는 일부 핵종을 제외하고 극미량이므로 분석을 위해서는 대상 핵종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분리/추출해야 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중 방사성폐기물 시료에서 [원안위고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의 필수 핵종규명 항목인 난분석 베타핵종 <sup>55</sup>Fe 및 <sup>63</sup>Ni을 시료에서 분리하는 전처리 방법에 대해서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활용하여 Fe 및 Ni 형태로 개별 분리한 후 회수율을 측정하는 분석방법을 연구하였다. 실제 분석에서도 Carrier로 주입되는 안정동위원소 Ni, Fe을 활용한 모의시료를 제작하였고 공침 등의 분리법으로 처리 한 후 이온교환수지 및 Ni resin을 이용해 Fe, Ni을 분리하였다. 개별분리된 시료에 대해서 핵종분리과정의 회수율 측정을 위해 ICP-OES로 최종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여 회수율을 평가하였다. Fe, Ni 핵종의 회수율은 88∼105 %로 안정되게 도출되었으며, 핵종분리법에 대해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보조지표를 활용한 중 · 저준위 처분시설 성능평가 : 방사성 핵종 플럭스 사례연구

        정강일,정미선,박진백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3 No.1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스템의 이해도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해서는다양한 보조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에 적용되는 국외 처분시설의 보조지표들을 조사하고,우리나라 월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근계지역의 공학적 방벽과 원계지역의 자연방벽 성능평가를 위해 연속적인 방벽에서의 방사성 핵종 이동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벽 간의 방사성 핵종 플럭스를 보조안전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처분시설의 정상시나리오를 콘크리트 사일로의 건전조건과 열화조건으로 나누어 방벽별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방사성 핵종에서 방벽별 지연성능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콘크리트가 건전한 경우에서 공학적 방벽의 방벽별 상세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열화콘크리트의 경우, 공학적 방벽의 성능저하도 및 자연암반과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본 연구 결과는 2단계 표층처분시설 설계 최적화 및 방벽성능의 검증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에는 처분시설의Safety Case 구축과 안전성의 이해 제고 및 신뢰성 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보조지표를 추가 선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The use of complimentary indicators, other than radiation dose and risk, to assess the safety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has been discussed in a number of publications for providing the reasonable assurance of disposal safety and convincing thepublic audience. In this study, the radionuclide flux was selected as performance indicator to appraise the performance ofengineered barriers and natural barrier in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waste disposal facility. Radionuclide fluxshowing the retention capability by each compartment of the disposal system is independent of assumptions in biospheremodel and exposure pathways. The scenario considered as the normal scenario of disposal facility has been divided intointact or degraded silo concrete conditions. In the intact silo concrete, the radionuclide flux has been assessed with respectto the radionuclide retardation performance of each engineered barrier. In the degraded silo concrete, the radionuclide fluxhas been explored based o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engineered barriers and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naturalbarrier quantitative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optimally design the near-surface disposal facility being planned as thesecond project phase. In the future, additional complimentary indicators will be employed for strengthening the safety casefor improving the public acceptance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waste disposal facility.

      • KCI우수등재

        부산시 금정구 일대 암석 및 토양에서 일부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분포 특성

        이효민(Hyomin Lee),문기훈(Ki-Hoon Moon),김진섭(Jin-Seop Kim),안정근(Jung Keun Ahn),김현철(Hyun-Chul Kim) 한국암석학회 2008 암석학회지 Vol.17 No.3

        부산 금정구일대의 암석, 토양 및 토양가스 내 주요 환경방사성 핵종들(<SUP>40</SUP>K, <SUP>228</SUP>Ac, <SUP>226</SUP>Ra, <SUP>222</SUP>Rn) 및 U의 분포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질 암석들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방사능은 <SUP>40</SUP>K>토륨붕괴계열>우라늄붕괴계열 순으로 낮게 나타나 화강암질 암석에서 U에 비해 Th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화됨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암석 내 U 농도 및 <SUP>226</SUP>Ra and <SUP>228</SUP>Ac 방사능은 암석의 분화단계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잔류토양 내 환경방사성 이 핵종들의 방사능과 U의 농도는 모암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토양가스, 토양 및 암석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분포는 낮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들은, 토양가스 및 토양에서 환경방사성 핵종들의 방사능은 모암에 의한 영향보다, 암석의 풍화작용과 토양형성작용 동안 이들 핵종들과 모핵종들의 용탈 및 흡착 등의 거동 특성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음을 시사한다.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me major environmental radionuclides (<SUP>40</SUP>K, <SUP>228</SUP>Ac, <SUP>226</SUP>Ra, <SUP>222</SUP>Rn) and U in rocks, soils and soil gas were studied at Geumjeong-Gu, Busan, Korea. The activities of radionuclides in granitic rocks are decreased in the oder of <SUP>40</SUP>K>thorium decay series>uranium decay series. This reveals that Th was relatively more enriched in granitic rocks than U. The U content and activity of <SUP>226</SUP>Ra and <SUP>228</SUP>Ac, however, don’t reflect the fractionation sequence of granitic rocks in the study area. The activities of all these radionuclides and U content in soils are generally higher than in rocks, and their distribution in rocks, soils and soil gas show very low co-relationship.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activities of radionuclides in soil and soil gas were greatly affected by leaching and adsorption properties of the radionuclides and their parents during weathering and pedogenetic process rather than their concentrations in parent r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