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 彫成에 대한 考察

        최연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고는 강화경판고려대장경(이하 고려대장경) 편제에서 첫 번째 入藏된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을 대상으로 경판 조성의 추이와 그 변화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을 주목한 이유는 고려대장경 편제 상 첫번째이며 처음 판각되었고, 보각경판 또는 중복경판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권1이 갖는 상징성이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의 조성연도가 불분명하였으나, 우왕 7년에 인출된 일본 大谷大本을 통해 丁酉年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대반야바라밀다 경」 권1의 제13장과 제14장은 경판 한 面만 판각되었는데, 내용 오류 또는 誤字 수정 등으로 인해 곧 再刻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600권으로 구성된 「 대반야바라밀다경」은 각수 1인이 권을 분담해 판각한 것이 대부분이나, 권1 은 得仁, 叔敦, 東伯, 子柱, 望升, 恩儒, 一明 등 각수 7명이 참여해 판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得仁, 叔敦, 東伯 3명의 각수는 6년간 참여한 전문 각수로 고종 26년에 최이가 조성한 南明泉和尙頌證道歌, 고종 27년 6월에 최이 주도로 조성된 戒環 주해의 妙法蓮華經권7, 고종 33년 7월 진양공 최이가 주도한 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판각에도 참여하였다. 이러한 활동 양상을 고려해 볼 때 고려대장경조성사업 첫 해인 丁酉年에 첫 번째로 판각하게 된 「대 반야바라밀다경」 권1은 전문 각수들이 참여해 직접 경판을 판각하면서 조성 사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그 역할을 하였을 것이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고려대장경 인출본 조사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자료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고려대장경 각수를 비롯한 주요 자료에 대한 별도의 조사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오백송반야경』의 삼성설 연구

        구효정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In this research, I examined 500-line Prajñāpāramitā scripture based on Chinese, Tibetan, and recently published Sanskrit version and tried to shed light on its ideologic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short scripture interprets various aspects of Mahāyāna practices including three samādhis.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text with the frame of the three natures turned those practices explicitly yogacaric. Also, the defilements and their antidotes are uniquely arranged with 5 items. The scripture received attention from the Other-emptiness school of Tibetan buddhism and was listed as their scriptural proof. Here, the three natures are uniquely named as wuxing(無性, abhāva), jiaxing(假性, nābhāva), and shixing(實性, sabhāva). Since the dependent nature is named “inferior existence” and the perfect nature “true existence”, the terms seem to emphasize the existence of the perfect nature. However, examining the passages, we can see they are to express three different modes of existence and treated evenly. They do not assert the ultimate existence of the perfect nature and promote the theory of Other-emptiness. 반야바라밀의 해석은 삼성설(三性說)에 의거해야 한다는 유식학파의 입장은 반야경의 저작에도 반영되어 『이만오천송반야경』의 「미륵청문장」과 『오백송 반야경』에서 명시적으로 삼성설이 설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역, 티베 트역, 그리고 최근 편집 출판된 범본에 근거하여 『오백송반야경』의 특징을 살 펴보고 그 사상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특히 삼성설 문구들을 분석하여 경전 에 나타난 삼성설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오백송반야경』은 유식 사상 설파를 위해 저작된 독립 경전이다. 짧은 경전 임에도 삼삼매를 비롯하여 다양한 수행도를 다루고 있으며, 삼성을 주제로 하 여 정합적으로 경전을 조직하면서 대승 수행도들을 유가행파적인 방식으로 변용하였다. 번뇌와 대치(對治) 그리고 수행도의 분류에서 다른 텍스트에서 볼 수 없는 5종을 사용하는 특이점도 있다. 『오백송반야경』은 티베트의 타공학파(他空學派)가 경전적 근거로 나열하여 조명을 받았다. 이 경전에서 삼성은 특이하게 무성(無性), 가성(假性), 실성(實性) 으로 칭해진다. 원성실성은 진실한 존재, 의타기성은 하열한 존재로 명명해 타 공학파에게 경증으로 채택될 만한 명칭이다. 그러나 내용을 살펴보면 이는 존 재 양식의 종류를 표현한 용어이지 실제로 원성설성이 궁극적으로 존재한다 는 입장을 취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The Ineffabl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Turning of the Dharma Wheel: An Exploration of Pedagogical Strategies in the Prajñāpāramitā-sūtras

        Yao-ming Tsai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0 불교학 리뷰 Vol.27 No.-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issue of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way in which the reality of the world is demonstrated. The usage of languages is never confined with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or phenomenal world. Buddhist teachings, especially the Prajñāpāramitā-sūtras, use whatever language to demonstrate and elucidate the ineffable reality of the world. For example, space is invariably declared as empty and such technical terms with negative prefixes as not-arising (an-utpāda) and not-ceasing (a-nirodha) are adopted to express the meaning of space. Whatever terminology may be used to point to the reality, but the reality cannot be identified as or contained in convention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gap revealed by the ineffability of the reality, i.e., what is left by the insufficiency and inadequacy of discourses, meditative practices and insightful wisdom may take over to fill up.

      • KCI등재

        규기의 주장에 대한 원효의 견해, 그리고 원측과의 접점(Ⅰ)

        이민성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2 No.-

        The Taehyedogyŏng chongyo attributed to Wŏnhyo is a commentary of Xuanzang’s last translation, Da bore boluomiduo jing (Skt.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 However, the main contents consist of somewhat far from prajñā, such as the three natures and tathāgatagarbha.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contents are critique of Kuiji's arguments; that is to say, Wŏnhyo directly took part in the debate on ‘the ‘Distinctiveness of the Five Natures(五性各別說)’ and on ‘Emptiness and Having / Existence(空有)’, which were big issues in 7th century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고려 고종 26년 판각의 「南朙泉和尙頌證道歌」에 표기된 刻手의 기능적인 전문영역

        최영호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professional function of the Nammyeongcheonhwasangsongjeungdoga -woodblock’s engraver that the Choi-Yi has created in the 26th year of the Koryo-Dynasty’s King-Gojong. the key text is the the No. 758-1 treasure (Samsung-editio) & the the No. 758-2 treasure (Gongin-editio).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analyzed the outward form of bibliography & the overall configuration-system & the publication-information & the engraver and so on. First of all, the two editions are the same kind of Buddhist-memory-heritage that it was printed the same woodblock. secondly, the engraver of the Nammyeongcheonhwasangsongjeungdoga was confirmed to a total of 11 people. and the four of these engravers were newly read and corrected in this study. thirdly, their professional function was the engraver that they carved the woodblocks on the job site. therefore, the No. 758-1․2 treasure can be confirmed as the printed editions of the same woodblock. 이 글에서는 고려 고종 26년(1239) 최이가 조성한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인출본에 새겨진 외형적 형태와 전체 구성체계 및 간행정보, 각수의 글자․활동형태 등을 정리하고 각수자료를 새롭게 판독한 다음, 각수의 전문기능과 인출 원본의 목판․금속활자 여부를 진단하였다. 핵심 자료는 보물 제758-1․2호(삼성본․공인본)이며, 고종 24∼27년 고려국대장도감에서 조성된 해인사대장경판의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과 13세기 중엽 판각된 목판의 인출본도 비교지표로 활용하였다. 우선, 일부의 연구에서 금속활자본으로 추정하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제758-2호(공인본)도 보물 제758-1호(삼성본)와 마찬가지로 동일 경판을 찍은 판본으로 확정하였다. 둘째로,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개별 각수는 득인․동백 등 전체 11명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淂․叔 ․吳準․思集으로 각각 오독한 사례를 득인․숙돈․오준․은유로 바로잡았다. 셋째로, 이들의 전문기능은 어미자 工人이 아니라 개별 목판을 직접 판각한 각수로 확정하였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인출본에 찍힌 각수의 이름에서는 나무결의 흔적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물 제758-1․2호의 인출본은 동일 종류의 목판을 찍어 만든 판본으로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