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물관 자료와 박물관 미래

        천진기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이 논문은 “‘지금 여기’를 어떻게 기록하고 수집하고 남길 것인가?”, “대량 생산 소비시대에 박 물관에서는 무엇을 수집하고 연구할 것인가?”, “인류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찾아 현재 인류문화 를 관통하는 문화요소는 무엇인가?”, “수집된 박물관 자료를 어떻게 조합하여 입체적인 역사문화 전시로 표현할 것인가?”, “다양하고 방대한 박물관 자료를 이용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서비스할 것 인가?” 등에 대한 질문을 국립민속박물관 사례를 통해 해답을 구하고자 한다. 박물관 자료는 유형 문화재 중심의 이른바 ‘물건’ 중심의 박물관 자료 수집에서 벗어나 무형유산자료, 음원?사진?동 영상 등 아카이브자료, 디지털 운영체계와 쇼프트웨어까지로 확대가 필요하다. 박물관 자료는 유형 /무형, 아날로그/디지털, 역사/지금(현재)의 구분이 아니라 통합과 융?복합이 필요하다. 박물관자 료는 유물, 텍스트, 음성, 사진, 영상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들 자료를 디지털 형식으로 콘텐츠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용자들은 유형/무형의 다양한 형태의 박물관 자료를 자유롭게 검색 공유할 수 있게 되고 박물관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성별, 연령, 위치, 국적 및 관심사 등에 관계없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든 간에 맞춤형 박물관자료를 제공받 을 수 있게 된다. 미래의 박물관에서는 박물관 자료의 통합과 활용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박물관 자료와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것인가에 박물관에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경기도 실학박물관 해외자료 조사 · 수집의 성과와 과제

        홍인국 한국박물관학회 2008 博物館學報 Vol.- No.14·15

        현대 박물관의 활동과 기능은 실물자료를 근거로 크게 자료수집 정리보관 조사연구 사회교 육의 4가지 기능을 갖는다 이들 기능은 다시 「수집 · 보존」, 「조사 · 연구」, 「전시 · 교육」의 3가지 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조사 · 연구 기능은 박물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박물관의 조사 · 연구 기능보다는, 교육기능과 역할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 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박물관마다 전시 · 교육활동에 토대가 되는 조사 · 연구 활 동에 관심을 갖고 조사연구 대 상에 대한 구체적인 분야와 내 용을 정리, 시행함으로서 다각적이 고 다목적인 박물관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에 서 200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 실학박물관(이하 실학박물관)의 국내 · 외 조사 · 연구 활 동을 중심으로 자료 수집 및 조사과정에서 겪은 여러 시행착오와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리하여 향후 박물관의 바람직한 조사 연구 활동방향과 그 문제점을 공론화하고 이에 대한 해 결방안도 모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 対馬博物館․対馬朝鮮通信使歴史館の朝鮮通信使資料および関連資料

        町田一仁 조선통신사학회 2024 조선통신사연구 Vol.37 No.-

        2021년 가을부터 2022년 봄에 걸쳐 한일 교류의 섬인 대마도 에 두 개의 박물관 시설이 개관하였다. 대마도박물관과 그 분관인 대마도조선통신사역사관이다. 대마도박물관은 한일교류사를 전시 의 기둥으로 삼았고, 대마도조선통신사역사관은 조선통신사에 특 화된 전시를 진행하고 있으나 원본 자료가 적지 않아 복제자료로 전시를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위해 양관 모두 수집 예산을 확보하여 개관 초부터 조선통신사자료 및 그 관련 자료 수집에 힘 썼다. 그 결과 대마도박물관에서 조선통신사자료 6건 6점 및 관련 자 료 2건 2점 등 총 8건 8점, 대마조선통신사역사관에서 조선통신 사자료 10건 10점 및 관련 자료 10건 11점 등 총 20건 21점을 수집하였다. 특히 대마도조선통신사역사관의 수집품은 신기수(辛 基秀) 컬렉션과 마쓰바라 카즈유키[松原一征] 컬렉션으로 두 명의 컬렉터가 대마도 역지빙례(易地聘禮) 등의 주제에 따라 체계적으 로 수집한 자료이다. 양관이 수집한 자료는 몇 점을 제외하고는 그동안 공개될 기회 가 없었던 새로운 자료가 대부분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구성 자료도 1점 포함돼 있다. 또한 <김의신병풍도(金義信書屏 風)>, <한시각필포포대도(韓時覚筆布袋圖)>, <이현찬수야즉예필제갈무후진도(李礥賛狩野即誉筆諸葛武侯真圖)> 등 예술적으로 뛰어 난 작품도 있다. 이 글은 향후 조선통신사 연구에 이바지하기 위해 이들 수집자 료를 한 점씩 소개하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 새로운 자 료 발굴 성과를 공표하는 것이다. Museums had no original materials at all at the time of opening, reproductions of Joseon Tongsinsa materials and videos were made with the consent of the owner for the exhibition.In particular, one of the purposes of the installation was to understand and disseminate the records of Joseon envoys registered in UNESCO’s Memories of the World, so many copies of the registered composition materials are made and exhibited. However, collection of original materials is essential to the survival of museums and historical museums, and exhibitions based on research and study of collected materials are fundamental factors that enhance the significance of the museum’s existence. Furthermore, the excavation of new materials by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after UNESCO’s “Memories of the World” registration is also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deepening research.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is article are all new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released until now except for a few items, and many of them are of comparable value to UNESCO’s “Memories of the World.” The Tsushima Museum will continue to collect data on the entire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including the Joseon envoys, and the Tsushima Chosun envoys’ history museum will make efforts to gradually shift the exhibition from reproduction to original materials.

      • KCI등재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과 활용방안

        성주현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1

        Among the approximately 800 pieces of national movement data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14 cases and 355 pieces were selected and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 as a record and preservation status of collections possessd by Korean Christian Museum. The 355 pieces of release data were divided into 'trial-related materials', 'materials written by judicial and police authorities', 'materials for the judiciary, public security, and colonial rule', and 'other materials'. These 'trial-related materials' are part of the execution records such as written judgment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incidents or the peop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data are very important for studying the national movem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urrent status of the trial-related material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 first is the trial-related materials related to the assassination case of the 1910s. The second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on the March 1st movement. The third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1920s. The fourth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he fifth is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socialism and communism activities. The sixth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of 1930s. In addition, the use of the 'trial-related materials' can be us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ccurately through comparative verification of trial-related data; second, it can be used for deepen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on national movement through trial data; Thir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iscovery of a new independent activist, and the fourth is that it should be able to publish the source book of the unidentified trial data and provide the internet.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e data, but it is also important to use it, especially if you have unique data that is not verified elsewhere and you want to make better use of the data. It is a well-known fact that materials stored in museums are more difficult to access than public institutions. In this regard, the unidentified material contained in the Korean Christian Museum is likely to be the only material. We should not stay at the above mentioned "explanation of the national movement data" but publish the materials and make them available to more researchers, which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s of the national movement research as well as to increase the value as the data. 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관련 자료 약 800여 점 가운데 자료적 가치와 보존 상태를 고려하여 314건, 355점을 선별하여 해제를 한 것이다. 355점의 해제 자료는 ‘재판관련 자료’, ‘사법·경찰기관 작성 자료’, ‘사법·치안·식민통치 관련 각종 자료’, 그리고 ‘기타 자료’ 등으로 분류하여 관련 주제별로 구성하였다. 이들 ‘재판 관련 자료’는 민족운동과 관련된 사건 또는 인물에 대한 판결문 등 행형기록의 일부이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행형기록은 다양한 유형의 자료들이 있는데, 이들 자료는 일제강점기 민족운동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을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는 ‘1910년대 암살사건 관련 재판자료’, 둘째는 3.1운동 관련 재판 자료, 셋째는 1920년대 민족운동 관련 재판 자료, 넷째는 광주학생운동 관련 재판자료, 다섯째는 사회주의·공산주의 활동 관련 재판자료 여섯째는 1930년대 재판 관련 자료이다. 그리고 ‘재판 관련 자료’의 활용으로는 첫째, 재판 관련 자료의 비교 검증을 통해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점, 둘째는 재판자료를 통한 민족운동 연구의 심화와 확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셋째는 새로운 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넷째, 미확인 재판자료의 자료집 발간 및 인터넷 제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안하고 있다. 자료는 보존도 중요하지만 활용도 중요하다, 그중에서도 다른 곳에서 확인되지 않고 유일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경우일수록 자료를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물관에 소장된 자료는 일반 기관보다 접근하기 더 어려운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미확인 자료는 유일한 자료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민족운동 자료 해제’에만 머물지 말고 자료집을 간행하여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족운동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일본 공립박물관의 에코뮤지엄 수용

        배은석(EunSok Bae),박윤옥(YoonOk Park),김경희(KyoungHee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4

        일본의 조요시는 교토시와 나라시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며, 조몬시대의 유적지와 200여개의 고분을 보유하고 있는 역사 도시이다. 이곳에 위치한 조요시역사민속자료관은 지자체가 설립하여 운영하는 공립박물관으로 지역사회의 지원과 관심을 담보로 한다. 이 박물관을 관통하는 주제는 고분제사이고, 그 외에도 지역의 오랜 역사와 민속자원을 보존하여 전시하고 있다. 조요시는 조요시역사민속자료관을 중심으로 2016년 에코뮤지엄을 위한 기본 방침을 세우고 조요에코뮤지엄을 시작하였다. 본고는 오하라 가즈오키의 에코뮤지엄 개념도에서 다루는 세 가지 주요 요건인 박물관 활동(M)과 지역유산의 현지보존(H), 자발적인 주민참여(P)의 관점에서 조요에코뮤지엄을 연구하였다. 조요에코뮤지엄은 중핵박물관인 조요시역사민속자료관과 여러 곳에 설치된 안내시설을 활용하여 박물관 활동(M)을 전개하고 있었다. 또한 위성박물관으로 지역의 역사자원, 자연자원, 산업자원, 시설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서로 연결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지역유산을 현지보존(H)하고 있다. 아울러 이 모든 활동에 주민의 참여(P)를 이끌어내고 있다. 일본 조요시역사박물관이 지역사회의 참여를 독려하고 주민의 풍요로운 삶에 기여하는 방법으로 에코뮤지엄을 선택하여 추진하는 방식은 우리나라의 공립박물관에게 시사하는 점이 있다. 조요에코뮤지엄의 사례는 지역사회에서 괴리된 박물관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문화 중심축이 되기 위해서 박물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Located in between Kyoto and Nara, the Joyo City i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hub, containing historical sites from the Jomon period and called City of Tumuli with over 200 ancient tombs. This city has the Joyo City Museum of History and Folklore as a local authority museum. Establish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local authority museums are subject to the support and interest from the local community. The main theme of the Museum of History and Folklore is ancient tomb rites, and the museum preserves and exhibits the long history and folk resources of the area. In 2016, the basic policy for the ecomuseum was established and the Joyo Ecomuseum began since then. Based on the Ohara's concept of the ecomuseum, the Joyo Ecomuseum i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 important criteria: museum activities (M), on-site preservation of local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H),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P). The Joyo Ecomuseum has been developing museum activities (M) by employing the core museum, the Museum of History and Folklore, and information facilities located throughout the city. Also, local heritage is preserved (H) through various activities to discover historical, natural, industrial, and facility resources of the area that network each other as satellite museums.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s (P) is drawn in all these activities. The way how the Museum of History and Folklore, Joyo, Japan accommodates and promotes an ecomuseum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the active life of residents has lessons to local authority museums in Korea. The case of the Joyo Ecomuseum seems to suggest the directions where the museum should head for to become a cultural center of the local community, not a museum isolated from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공립박물관의 민속자료 수집과 활용 연구: 수원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윤재 청람사학회 2022 靑藍史學 Vol.35 No.-

        지방자치제가 확립되면서 급격하게 증가해온 공립박물관은 설립⋅운영주체에 따라 분류한 국내 박물관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을 기준으로 경기도에는 56개의 공립박물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오늘날과 같이 도시화로 이전까지와는 다른 삶의 모습이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립박물관에서는 잊혀진 지역의 문화를 기록하고 기억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수원박물관은 2008년 수원시에서 설립한 공립박물관으로서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원의 모습을 연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옛 수원의 모습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사라진 마을의 모습을 기록하고 나아가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까지 담아내기 위해 마을지 편찬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박물관에서는 관련 민속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민속자료는 우리 민족 전래의 생활양식이나 풍습으로서 의식주, 생업, 신앙, 세시관행 및 이에 사용되는 의복, 가구, 가옥 등 국민생활의 추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지역의 생활상을 담고있다. 이러한 민속자료를 수집하여 관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관이 있다면 그곳은 바로 항구적 비영리기관으로서 소장자료를 관리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공립박물관일 것이다. 민속자료는 지역민들이 실제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지역성이 드러난다는 특성을 갖고 있는 만큼 공립박물관에서 수집하는 것이 자료가 가지고 있는 맥락에 적합하고, 또한 개인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소장품의 관리에 따르는 재정적⋅인력적인 부분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공립박물관은 시민과 함께 적극적으로 지역의 민속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시와 교육을 통하여 시민과 공유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심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해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주민 주도형 마을문화자료관 만들기의 가능성과 의의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마을 주민들이 주도하여 자기 마을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 활용하려는 마을문화자료관을 만들어서 제대로 운영하는 곳은 거의 없다. 지금까지는 관공서가 주도하여 마을문화자료관을 만든 다음 주민들에게 관리하도록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그런 시설은 마을의 역사, 인물, 관광자원 등을 전시하여 외부인들에게 마을을 홍보하고 자랑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전북 진안군에 있는 ‘학선리 마을박물관’은 주민 주도형 마을문화자료관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이 마을박물관은 서울에서 민중목회 활동을 하던 타지 출신의 귀농인이 폐교를 활용하여 농한기에 노인들에게 한글, 도예, 연극, 컴퓨터 등을 가르치는 ‘행복한 노인학교’를 운영하다가 만든 것이다. 그는 주민들과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노인들이 사용하던 물건을 수집하여 폐교에 손수 전시실을 꾸몄다. 또한 그는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전시하며 자료에 관한 이야기를 녹음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마을 주민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학선리 마을박물관이 만들어져서 지금처럼 운영되기까지에는 설립자뿐만 아니라 봉사정신을 가진 몇몇 귀농인들, 폐교를 매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 출향인사와 교회, 행정기관의 소액 재정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 마을박물관은 외부 관광객을 위한 것이 아니라, 마을 주민들을 위한 문화시설이므로 주민들에게 필요한 시설로 정착되고 있다. 따라서 학선리 마을박물관의 설립과 운영은 지속가능한 마을문화자료관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So far, there are no cases in Korea where the village culture interpretive hall thar collects, preserves, displays, and utilizes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is formed and well operated driven by the villagers. It has been common for the public offices to take the lead in establishment and then pass the management to the residents. Such facilities served the purpose of publicizing and boasting the village to the outsiders by displaying the village's history, people, and touristic resources. The 'Hakseon-ri Village Museum' located in Jinan-gun, Jeonbuk is a representative case of resident -driven village culture interpretive hall. This museum was born by a stranger who used to be involved in public ministry activities in Seoul as he returned as a farmer and began operating 'Happy Senior School' teaching Hangul, pottery, theater, computer, etc. to the elder people during agricultural off-season at a shut-down school. Based on the trust with the residents, he collected objects that the elders used to use and prepared a display room in the shut-down school all on his own. He organized and displayed the collected cultural materials, and also recorded the stories about the resources and created and is operating useful programs for the villagers. For the Hakseon-ri Village Museum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as it is now, not only the founder but also a few returned farmers with the volunteering spirit, a personage who left hometown earlier and bought the shut-down school to be used, and financial aid by churches/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ll played important roles. Especially, this museum is not for visitors but for the villagers as a cultural facility, and thus has become a facility needed by the villager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is museum can be a model for sustainable village culture interpretive hall.

      • KCI등재

        박물관의 다층적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연구 - 소사희망원 생활공간 자료수집 과정을 중심으로 -

        신동욱(Shin, Dongwook),송도영(Song, Do-young)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이 논문은 박물관 자료수집의 방법으로서 구술사 자료의 수집과정과 수집된 구술사 자료에 대한 건축적 검증과정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소사희망원(Sosa Opportunity Center)의 생활공간을 복원한 전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펄벅기념관 관련 역사적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 에 대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혼혈인들의 생활공간인 소사희망원 공간에 대한 자료수집 과정은 사진 및 도면자료의 수집, 혼혈인 인터뷰를 통한 구술자료의 수집, 구술자료 현장 스케치 작업, 공간구조도 제작, 건축적 합리성 검토 및 건축도면 제작 과정 등을 포함한다. 한편,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구술사 자료는 인터뷰 대상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억되는 부분이 존재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수집자료 중 구술사 자료가 가지고 있는 신뢰도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건축적 합리성을 토대로 수집된 구술사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된 자료수집 방법 중 사진자료, 구술자료, 도면자료, 건축도면 자료 등은 새로운 정보가 취득되는 과정 속에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하면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건축학적 고증을 통해 구술사 자료의 합리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소사희망원내 혼혈인들의 생활공간을 재구성하였다. In regard to museum’s original function, acquisition, this case study restores living spaces of the Sosa Opportunity Center through acquisition and verification of oral history. The study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collecting contents about specific history and memories connecting the author and Bucheon, i.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memorial hall. Acquisition of oral history related to the living spaces of the mixed blood wa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acquiring pictures and floor plans, and oral data from interviews with mixed-bloods, drawing field sketches based on oral records, producing spatial structure maps, reviewing architectural rationality, producing blueprints and others. Oral history acquired in this process, however, revealed that interviewees had differing memories. To solve this reliability issue of oral records out of materials collected by museum, this research strived to verify their reliability based on architectural rationality. Of data acquisition methods adopted by this research, particularly pictures, oral data, floor plans and blueprints were collected in the order of need in the course of acquiring new pieces of information on a repetitive basis, and finally the acquired materials restored living spaces of mixed-bloods in the Sosa Opportunity Center after architectural ascertainment.

      • KCI등재

        한국 · 중국 · 일본의 역사박물관 자료전시와 스토리텔링 특징 분석

        고선영(Koh, Seon Yeong),현은령(Hyun, Eun R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광범위한 박물관종류 중 역사박물관 전시에 관련된 자료전시와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한국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중국 ‘국가박물관’,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외 논문, 학술지, 전문서적, 간행물, 인터넷을 통한 D/B 검색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박물관의 인터넷 홈페이지의 2017년 기준 공개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인용의 시의성을 보완하였다. 3개국의 역사박물관 자료전시와 그에 따른 스토리텔링 특징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료전시 특징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은 첨단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여 역사 상황에 대한 상상력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중국 ‘국가박물관’은 전시물에 대한 국가중심의 역사해석을 통해 국가 정체성의 확보를 강화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은 정확한 사료에 의한 실물재현 위주의 전시를 통해 역사상황에 대한 상상력보다는 사실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 중국 · 일본의 대표적인 역사박물관의 스토리텔링 유형을 김연희(2012)의 박물관 스토리텔링기법 기준으로 분석해보면,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은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 유형이 가장 많았다. 또한 중국의 ‘국가박물관’과 일본의 ‘국립역사미속박물관’은 인포메이션 스토리텔링 유형이 가장 많다는 공통점을 보였다. 하지만 중국은 긴 역사를 대표하는 진귀한 문물들로 이루어진 상설전시를 기반으로 과거를 강조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반면, 일본은 역사적 사료전시와 함께 후대가 연구한 성과물을 안내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쓰고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한국은 ‘미래’, 중국은 ‘과거’, 일본은 ‘현재’를 키워드로 박물관 전시와 스토리텔링을 기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in data exhibition and storytelling related to the exhibition of history museum out of widespread museum types targeting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National Museum’ of China and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A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he theses at home and abroad, academic journals, specialized books, publications and D/B search through internet for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lso, the timeliness of document citation was supplemented by applying the opened materials as of 2017 on the internet homepage of museums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having arranged the findings of the types in data exhibition and storytelling according to it. First of all, examining the data exhibition types of typical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as enhancing imagination on a historical situation through positively applying high-tech media. Also,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was using a strategy of intensifying the securement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state-centered historical interpretation on the exhibits. Finally, the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was concentrating on understanding a fact rather than imagination on a historical situation through displaying focusing on the actual revival based on accurate historical data. Sequentially, analyzing the storytelling types of typical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basis of Kim Yeon-hui(2012)’s storytelling technique of a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as the largest in the entertainment storytelling type. In addition,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and the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showed a common ground as saying of being the largest in the information storytelling type. However, China is utilizing a strategy of emphasizing the past based on the permanent exhibition comprising the rare products of civilization, which stand for long history. On the other hand, Japan showed a difference of using a storytelling strategy, which guides future generations’ research results, along with the exhibi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light of this outcome, it is being indicated that the museum exhibition and the storytelling are being planned with a key word as ‘the future’ by South Korea, as ‘the past’ by China, and as ‘the present’ by Japan.

      • KCI등재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이선경,김찬종,신명경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6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science practice from exhibits, and how those are presented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a feasible science inquiry community. The idea of science inquiry community was offered as a form of science practice that ended with science learning. A grasp of 'scientific practice to learning' is understood as a way to conceive scientific methods as well as facts and understanding knowledge. To get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scientific practice of 'earthquake' as a socioscientific topic in the communities, we analyz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exhibits related to 'earthquake', 2) the educational goals and intentions of educator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in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ose museums presented the exhibits consisting of various and practical cases and events of 'earthquakes' as a socioscientific topic related to their curriculum. At the target museum, it was clearly stated that the pursuing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relations with local interests and socioscientific issues. For making earthquakes relevant to visitors, delivering lived experiences with raw data and interactive media was emphasized in exhibit characteristics.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