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루월 소설 연구

        김영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This study has a purpose to investigate the literary world of Park Lu-weol, especially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ion Picture Age, then to list up and categorize. Park Lu-weol wrote many film novel and six-pence pop novel around 1931. At thattime, he founded film magazine The Motion Picture Age, and presented many works. This list will help the researchers go further study, and make higher the attentionof Park Lu-weol and his works. So far the attention about him was very weak, inspite of his various activity. He continued creative activity during about thirty yearsand concentrated on pioneering and widening film novel. This s tudy will categorize his novel into two type, film novel and s ix-pence popnovel,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structure. He wrote about 10film novel and 12 six-pence pop novel. The film novel represent his modern world,on the other hand six-pence pop novel represent his premodern world. The twoworld co-exist in his works. This i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in 1930's society. This study includes the revaluation of Park Lu-weol's novel and his status, achievement. He has to be revaluated reasonably. Through this research, people will understandhis wa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the meaning of his works. 본고는 『영화시대』와 박루월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 세계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소설을 목록화․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루월은 1931년 『영화시대』 창간을 전후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개시하였다. 그렇기에 『영화시대』와의 관계 양상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파악하는 작업은 매우 긴요하다. 이어서 본고에서는 그간 전모가 알려지지 않았던 박루월의 소설을 목록화하였다. 목록화 작업은 실증적인 조사 과정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그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목록을 유형화한다. 본고는 박루월 소설을 영화소설과 딱지본 대중소설로 유형화하고, 그 서사구조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30년대 초반 소설의 지형에서 박루월이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고, 그가 발표한 작품에 대한 유형화와 분석을 토대로 박루월소설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박루월은 다양한 분야에서 30년 가까이 창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영화소설이라는 장르를 개척하고 확장하는 데 주력한 작가이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는 그가 남긴 작품을 통해 확인된다. 영화소설 장르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심훈, 최금동, 안석영 같은 작가들 외에 박루월이 발표한 작품의 수가 10여 편에 이른다는 사실을 통해 1930년대 박루월의 활발한 창작활동을 짐작할 수 있으며, 그가 발표한 작품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영화소설에서 박루월의 위상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박루월 개인의 복원이라는 차원을 넘어 작품을 통해 영화소설가로서의 그의 위치와 업적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내포한다. 더불어 후기 신소설의 계보를 잇는 신파적 대중소설가로서의 위상 역시 온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박루월이1930년대 다각화된 문단 상황 속에서 문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해온 방식과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영화를 읽는 시대의 도래, 『영화시대』(1931-1949)─한국 근대 영화잡지와 토착적 영화 문화

        이화진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3

        The film magazine Yeonghwasidae(Motion Picture Age), founded by Park Ruwol(1903-1965) in 1931, wa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early years of the Cold War. Yeonghwasidae was the only continuous publication of Korean-language film magazines in Modern Korea.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attempt to approach the minor culture that formed the undercurrent of popular print culture in the colonial publishing system. Rather than conveying the specialized knowledge on film, Yeonghwasidae focused on furnishing plenty of light and amusing reading matters, which Park in the editorial chief had consistently practiced as a publisher. This paper summarizes Park’s cultural practices and publishing history of Yeonghwasidae, and explore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Korean language film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vernarcular film culture in Modern Korea. Film magazine is the product of various connections between culture and media, and the place to create public discourse about the domestic film industry. In this sense,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film Chunpung(Spring Breeze, 1935), which was produced by the company Yeonghwasidae, in relation to cultural discourse in the mid 1930s, and also examines that post-1945 Yeonghwasidae intervened in contemporary cultural issues and offered a discursive field linking Korean cultural circle and Korean audience/readers when Japanese film magazines were alienated after liberation. 박루월(1903-1965)이 창간한 영화잡지 『영화시대』(1931-1949)는 식민지 시기와 냉전 초기에 걸쳐 발행되었다. 『영화시대』는 1930년대에 창간된 조선어 영화잡지 중 유일하게 지속적으로 발행되었는데, 이는 『영화시대』가 식민지의 이중적 출판 구조에서 대중문화의 저류를 형성했던 마이너 문화에 접속을 시도했던 것과 관계가 깊다. 『영화시대』는 영화에 대한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 통속적 읽을거리를 풍부하게 담아내는 데 주력했다. 이는 편집주간 박루월이 출판인으로서 일관되게 실천해온 것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박루월의 문화적 기획과 『영화시대』의 발행 이력을 정리하고, 식민지 시기 조선어 영화잡지의 기획이 갖는 문화적 의미와 토착적 영화 문화의 형성에 대해 탐구한다. 근대 영화잡지는 문화와 미디어 간 다양한 이동과 접속의 산물이자 영화 산업에 대한 대중 담론을 창조하는 장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영화시대사가 제작한 영화 <춘풍>(1935)을 1930년대 중반 문화 담론과의 관계에서 검토하고, 해방 후 일본어 영화잡지가 외부화된 상황에서 『영화시대』가 비로소 동시대의 문화적 이슈에 개입하며 조선의 문화계와 관객/독자를 연결하는 담론의 생산자로서 저널리즘의 장에 들어서는 문화 정치적 변화도 살폈다.

      • KCI등재

        매체 전환의 의도와 효과: 세동무, 젊은이의 노래를 중심으로

        김영애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3 No.-

        Before and after the late 1920s, silent films were the most advanced medium for colonial enjoyment of culture. At this time, film novels emerged as a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lent films. The film novels were popular before and after the 1930s and they could be divided into on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cenarios for film production and adaptation of the contents of movies already screened. Park Lu-weol’s film novels mostly correspond to the latter. Park’s works were distinctive in that he attempted to adapt to new elements by not only copying or reproducing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film. In particular, this distinction stands out in the process of adapting two films directed by Kim Young-hwan to two film novels in 1930.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film and movie novels “The three friends” and “The song of a young man”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version. Park Lu-weol adapted two films by Kim Young-hwan into film novel and published a book of the same name in the Youngchang publisher in 1930. The film novels, “The three friends” and “The song of a young man” were texts that symbo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film novel.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film, it was characteristic in that it showed a variation of the way of adding elements and motif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ilm novel usually inherit or abbreviate the narrative of the film, but not in the case of “The three friends” and “The song of a young m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friends” and “The song of a young man” and the intention and effect of media convers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uthor and director Kim Young-hwan and film novelist Park Lu-weol. 1920년대 중후반 무성영화는 식민지 대중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가장 첨단의 매체였다. 이때 변사의 해설에 의지해 영화 스토리의 전개를 들어야 했던 무성영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영화소설이 등장했다. 1930년대를 전후로 조선 문단에서 유행한 ‘영화소설’은 영화 제작을 위한 시나리오의 성격을 지닌 것, 이미 상영된 영화의 내용을 각색한 것 등으로 양분할 수 있다. 박루월의 영화소설은 대부분 후자에 해당한다. 박루월의 작품은 원작 영화의 서사를 단순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거기에 새로운 요소를 가미해 각색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변별적이다. 특히 김영환 연출의 두 영화를 1930년 두 편의 영화소설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변별점이 돋보인다. 본고는 영화 및 영화소설 『세동무』와 『젊은이의 노래』를 매체 전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박루월은 김영환의 원작 영화 두 편을 영화소설로 각색하여 1930년 영창서관에서 동명의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영화소설 『세동무』, 『젊은이의 노래』는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조선 문단에 유행했던 ‘영화소설’ 장르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원작 영화의 서사를 각색하는 과정에서 원작과 다른 요소나 모티프를 추가하는 방식의 변용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박루월의 영화소설은 특징적이다. 영화소설은 대개 영화의 서사를 그대로 계승하거나 축약하는 것이 관행인데, 『세동무』나 『젊은이의 노래』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본고는 영화 원작자이자 감독 김영환과 영화소설가 박루월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동무』와 『젊은이의 노래』의 상호텍스트적 특징 및 매체 전환의 의도와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성과 전개

        강옥희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5

        본고는 1910년대 이후 구활자로 출간된 , 근대적인 지향을 지닌 작품들을 딱지본 대중소설로 정의하고, 그동안 누락되었던 작품을 찾아 정리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딱지본 대중소설은 육전소설, 딱지본으로 불리며 저급한 문학작품으로 취급되어 문학사와 연구사에서 방치되었었다 . 그러나 딱지본 대중소설은 상업적 상품으로 기능했고 , 근대적인 대중독자를 형성했으며, 당대 대중들의 취향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대중문학 텍스트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현재까지 기본적인 서지작업조차 이루어지지 못했다 .1920 년~30 년대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전성기였으며 세창서관 의 판본이 대표적이다. 세창서관 에서 발간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저렴한 가격에 엘리1)* 상명대학교 국문학과 강사8 대중서사연구 제15호트 대중독자가 아닌 일반적인 대중독자들의 흥미에 부합하는 작품들이 많았다 .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시대 활발하게 간행되었고 1960년대까지도 명맥을 이어왔지만 대중독자들의 경험과 체험의 양상이 변화하면서 해방 이후에는 쇠퇴의 과정을 밟게 되었다.그러나 한때 당대를 풍미했던 딱지본 대중소설들은 평범하고 보편적인 대중독자들을 목표로 창작되고 유통되었기 때문에 작품 안에서 당대 대중들의 관심사 및 그들이 수용하고자 한 현실세계에 대한 모습을 살필 수 있고 , 대중들의 근대적 지향이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 KCI등재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genealogy of the translated novel, Chunhee. Chunhee is a translated work of La Dame aux Camélias by Alexandre Dumas Fils, a French novelist (1848).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Jin Hakmun, 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and Park Luweol translated some works of Dumas Fils. Especially, Park Luweol's work is a film novel. Not much has been known about this work until rec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genealog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Chunhee. Except for The Hongru by Jin Hakmu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other work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lation genealogy of Chunhee.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genealogy. When translating Japanese works, Jin Hakmun and Na Dohyang modified titles or names, making them Korean ones, and translated the whole original works.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on the other hand, accepted the title of Japanese version, ‘Chunhee’, and made a condensed transl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é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춘희』가 우리 문단에 번역 소개되어 온 역사적 정황을 작품별로 제시하고, 그 계보의 문학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춘희』의 번역사를 조망하고자 했다. 진학문, 나도향은 일본소설을 대본으로 번역 번안했으나 제목이나 인명 등을 조선적인 표현으로 바꾸었고 축역이나 경개역이 아닌 완역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반면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은 공통적으로 일본소설 제목 ‘춘희’를 그대로 수용하고 줄거리 중심의 축역, 경개역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고쳤다는 점에서 앞선 작가들과 변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